어드마이어 돈

덤프버전 :

어드마이어 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2세 (구 3세) 수말
[ 펼치기 · 접기 ]

케이슈샤상
최우수 3세 이상 수말
1954
메이지 히카리
1955
키타노 오
1956
라이징 위너
1957
카츠라 슈호
1958
우네비 히카리
1959
마츠카제 오
1960
하쿠쇼
1961
카네츠 세키
1962
그레이트 요루카
1963
우메노 치카라
1964
키스톤
1965
니혼 필로 에이스
1966
몬타 선
1967
타케시바 오
1968
미노루
1969
애로우 익스프레스
1970
롱 원
1971
히데 하야테
유슌상
1972
레드 이글
1973
키타노 카치도키
1974
라이진
1975
텐 포인트
1976
마루젠스키
1977
뱀브턴 코트
1978
빙고 가루
1979
린도 타이요
1980
서니 시불레트
1981
호쿠토 플래그
1982
다이젠 킹
1983
롱 하야부사
1984
스크럼 다이나
1985
다이신 후부키
1986
메리 나이스 · 골드 시티
JRA상
1987
사커 보이
1988
사쿠라 호쿠토 오
1989
아이네스 후진
1990
린도 셰이버
1991
미호노 부르봉
1992
엘 웨이 윈
1993
나리타 브라이언
1994
후지 키세키
1995
버블껌 펠로우
1996
마이네르 맥스
1997
그래스 원더
1998
어드마이어 코진
1999
에이신 프레스턴
2000
메지로 베일리
최우수 2세 이상 수말
2001
어드마이어 돈
2002
에이신 챔프
2003
코스모 선빔
2004
마이네르 레코드
2005
후사이치 리샤르
2006
드림 저니
2007
고스호크 켄
2008
세이운 원더
2009
로즈 킹덤
2010
그랑프리 보스
2011
알프레도
2012
로고타입
2013
아시아 익스프레스
2014
다논 플래티나
2015
리온디즈
2016
사토노 아레스
2017
다논 프리미엄
2018
어드마이어 마스
2019
콘트레일
2020
다논 더 키드
2021
두 듀스
2022
돌체 모어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 펼치기 · 접기 ]

유슌상
1984 · 1985
안드레 아몬
1986
라이프 타테야마
JRA상
1987 · 1988
없음
1989
다이나 레터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없음
1993
메이쇼 호무라
1994
후지노 맛켄 오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1997
없음
1998
윙 애로우
1999
없음
2000
윙 애로우
2001
쿠로후네
2002
골드 알뤼르
2003 ·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카네 히키리
2006
아론다이트
2007
버밀리언
2008
카네 히키리
2009
에스포와르 시티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니혼 필로 아워즈
2013
벨샤자르
2014
홋코 타루마에
2015
코파노 리키
2016
사운드 트루
2017
골드 드림
2018
르 방 스 레브
2019
크리소베릴
2020
추와 위저드
2021
티오 케인스
2022
카페 파라오




파일:nar_clear1.png NAR 그랑프리 더트 그레이드 경주 특별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nar_clear1.png 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펼치기 · 접기 ]

1995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토케이 니세이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기후현 문장.svg 화이트 나루비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파일:도쿄도 문장.svg 이나리 토우자이
2000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하이세이코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노보 잭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알뤼르
2003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로지타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4
파일:히로시마현 문장.svg파일:시마네현 문장.svg파일:Anglo-Arabian-Brand.png 니혼카이 로렐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임 패러독스
200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 파일:미국 국기.svg 밀 조지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파일:가나자와시 시장.svg파일:기후현 문장.svg 와카오 라이덴
2008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하스피탈리티
2009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 파일:효고현 문장.svg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Anglo-Arabian-Brand.png 타가미 호마레
2010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코스모 벌크
201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스 타임 · 파일:기후현 문장.svg파일:도쿄도 문장.svg 후지노 웨이브
2014
파일:기후현 문장.svg 라이덴 리더 · 파일:미국 국기.svg 어주디케이팅
2015
파일:기후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구리 로망
2016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이나리 원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사우스 비고러스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마르슈 로렌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



파일:Admire_Don_001.jpg
이름アドマイヤドン
Admire Don
출생1999년 5월 17일
홋카이도 이부리 종합진흥국 아비라초
노던 팜 목장
죽음2022년 9월 21일 (23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도 이천시 송암축산[1]
성별수컷
털색갈색(鹿毛, 카게)
아비팀버 컨트리(Timber Country)
어미베가
외조부토니 빈(Tony Bin)
성적25전 10승 [10-3-2-10]
17전 5승[중앙]
7전 5승[지방]
1전 0승[UAE]
총상금8억 6780만 8000엔
4억 380만 8000엔[중앙]
4억 6400만 엔[지방]
주요
우승
G1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001)
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04)
통일 G1JBC 클래식(2002~2004)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2003)
제왕상(2004)
G3엘름 스테이크스(2003)
주요 수상2001년 JRA상 최우수 2세 수말
2003, 2004년 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2003, 2004년 NAR 더트 그레이드 경주 최우수마
레이팅ICM117 - I117 (2003)
주요 자마알버트(2011)[2]
어드마이어 데우스(201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지스톰(2013)
상세 정보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 | HORSEPIA
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데뷔 전
3.2. 현역
3.3. 은퇴 후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어드돈.jpg
다음으로 내디디다
次へと踏み出す
2019년 명마의 초상

다음으로 내디디다

주위로부터의 기대는

신경쓰지 말자

하지만 나 자신에 대한 기대는

무엇보다도 소중히 여기도록 하자

다만 결과를 낸다고 해도

의기양양한 것은 한순간의 일

곧 등을 펴고

다음에 풀어야 할 과제를

찾아 내딛는 것이다

그것이 나의 커리어 플랜

JRA 명마의 초상

일본경주마. 2000년대 초반 더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현역 당시 G1 최다승인 7승을 기록한 유명 경주마이다. 은퇴 이후 씨수마로 전업했으며, 2011년부터 한국으로 건너와서 종마로 활동하고 있다. 생전에는 한국에 소재하는 몇 안되는 일본 중상대회[4] 우승마였다.[5]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팀버 컨트리
Timber Country
1992
파일:미국 국기.svg
우드맨
Woodman
1983
파일:미국 국기.svg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플레이메이트
Playmate
폴 아스펜
Fall Aspen
1976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텐스
Pretense
체인지 워터
Change Water
베가
ベガ
1990
토니 빈
Tony Bin
198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캄팔라
Kampala
세번 브리지
Severn Bridge
앤틱 밸류
Antique Value
1979
파일:미국 국기.svg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문스케이프
Moonscape
* 톰 풀 5×4 9.375%
* 스왑스 5×4 9.375%
* 네이티브 댄서 5×5 6.25%
* 하이페리온 5×5 6.25%
주요 반형제[6]어드마이어 베가(父 선데이 사일런스) (1996년생)
어드마이어 보스(父 선데이 사일런스) (1997년생)[7]

2014년 오카상 우승마 하프 스타의 어미인 히스토릭 스타(父 팔브라브) 또한 어드마이어 돈의 반형제다.

3. 생애[편집]



3.1. 데뷔 전[편집]


1999년 팀버 컨트리와 베가와의 사이에서, 베가의 3번째 자식으로 태어났다. 1번째 자식인 어드마이어 베가와는 어미가 같은 반형제지간이다.


3.2. 현역[편집]


2세 시즌이던 2001년에는 2세 신마전과 교토2세 스테이크스,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에서 연달아 승리하며 파죽지세로 3연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3세 시즌인 2002년에는 클래식 삼관 대회인 사츠키상 7착, 더비 6착, 킷카상 4착을 기록하며 부진에 빠졌었다가 킷카상 바로 2주 뒤에 열린 JBC 클래식에 더트 경주로서는 신마전 이후 처음으로 참가, 여기서 우승을 거머쥐며 이후로는 더트 전문마로 활동을 전환한다.


이후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제왕상 등 더트 G1 경기에서 승리를 거뒀으며, 특히 JBC 클래식은 2004년까지 무려 3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2004년 JBC 클래식이 마지막 승리로, 이후에는 여세를 몰아 2년만에 잔디 대회인 아리마 기념에도 출주했지만 7착을 기록, 이후로도 2005년까지 계속 활동하다가 카시와 기념에서 4착을 기록한 것을 끝으로 현역을 은퇴하였다.


3.3. 은퇴 후[편집]


2006년 봄부터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하여 중앙에서 2마리, 지방에서 5마리의 중상대회 우승마를 배출했다.

이후 녹원목장 회장인 지대섭 전 의원에 의해 2011년 1월 28일 한국으로 건너와 2월 13일에 국내 번식마로 등록, 제주도에서 종마 활동을 시작했다. 수입 당시인 2011년을 기준으로 1회 교배료는 200만원을 받았다. ‘질주 DNA’ 대물림…교배 한 번이 다이아몬드 1캐럿 값

2016년 2월 1일한국마사회 산하 장수목장으로 잠시 옮겨졌다가 그 해 8월 30일에 녹원목장 산하 송암축산으로 옮겨졌다. 이 때의 영향인지 2017년 이후 교배횟수가 한 자리수 대로 뚝 떨어졌다. 수태율 또한 2017년까지는 평균 60~70%를 유지했으나 2018년에 교배 7마리 중 단 3마리[8]만이 태어나며 수태율이 42.9%로 급락, 이후로는 용도만 번식마로 유지할 뿐 종마 활동이 전무한 상황이다. 생산통계 자마 정보 다만, 이후의 내용들을 보면 해당 정보는 갱신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레이트 소드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천지스톰이 2018년 3월 11일 서울마주협회장배(G3) 대회에서 우승을 거두면서 한국에서도 대상경주를 우승한 자마가 탄생했다.[9] 천지스톰은 2020년에 은퇴하여 현재는 아비 어드마이어 돈에 이어 번식말로 활동중이며 2021년 7월 기준 국내 자마 중 유일하게 '번식용'으로 용도가 등록되어 있다. 2021년 3건의 교배를 마친 후 2022년 3월 8일 물보라자마(암말), 3월 22일 금희자마(암말), 4월 8일 금수봉자마(숫말)[10]가 각각 태어나며 어드마이어 돈의 손자마도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마사회의 공고를 통해 2022년 9월 21일 죽은 것이 알려졌다.[11] 원래는 다른 번식마들처럼 전례대로 목장 부지 내의 매장을 고려했으나 법적 문제 등으로 인해 유체는 소각 처리되었다고 한다.


4. 기타[편집]



  • 어드마이어 돈의 사망 이후 한 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 유저가 사인과 생전의 성격 등에 대해 송암 목장 측에 직접 문의 했었는데, (당시 기준으로) 2018년부터 폐사까지 줄곧 미교배였다는 KRA 스터드북의 기록과 달리 사망 직전인 2022년 초에도 교배를 해 암말 하나가 수태되었다고 한다. [12] 이후 2023년 5월 즈음에야 교배 내역이 신고되었다.[13] 같은 기자의 2023년 취재

  • 공교롭게도 사망 직후 JBC 클래식 기념으로 역대 우승마들을 취재하기 위해 사전에 약속되었던 일본인 기자가 방문 했었는데, 칼럼에서 올해(2022년) 태어난 산구(産駒)[14]가 소개되었다. 판타스틱 자마

파일:Fantadmire_Light.jpg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경기명
(그레이드)
트랙착순1착마
(2착마)
2001년
10.13교토2세 신마더트 1400m1착(스위트룸)
11.10교토교토 2세 스테이크스 (OP)잔디 1800m1착(오스미 어스트)
12.9나카야마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GI)잔디 1600m1착(야마노 블리자드)
2002년
3.16한신와카바 스테이크스 (OP)잔디 2000m3착시게루 갓 핸드
4.14나카야마사츠키상 (GI)잔디 2000m7착노 리즌
5.26도쿄도쿄 우준 (일본 더비) (GI)잔디 2400m6착타니노 김렛
8.18삿포로삿포로 기념 (GII)잔디 2000m4착티엠 오션
10.20교토킷카상 (GI)잔디 3000m4착히시 미라클
11.4모리오카JBC 클래식 (JpnI)더트 2000m1착(프리에미넌스)
11.23나카야마재팬 컵 더트 (GI)더트 1800m3착이글 카페
2003년
2.23나카야마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더트 1800m11착골드 알뤼르
9.6삿포로엘름 스테이크스 (GIII)더트 1700m1착(토시 더 보스)
10.13모리오카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JpnI)더트 1600m1착(코어리스 헌터)
11.3오이JBC 클래식 (JpnI)더트 2000m1착(스타 킹 맨)
11.29도쿄재팬 컵 더트 (GI)더트 2100m2착Fleetstreet Dancer
2004년
2.22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더트 1600m1착(사일런트 딜)
3.27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나드 알 셰바두바이 월드컵 (G1)더트 2000m8착Pleasantly Perfect
6.30오이제왕상 (JpnI)더트 2000m1착(나이크 어 딜라잇)
10.11모리오카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JpnI)더트 1600m2착유토피아
11.3오이JBC 클래식 (JpnI)더트 2000m1착(어주디 미츠오)
11.28도쿄재팬 컵 더트 (GI)더트 2100m2착타임 패러독스
12.26나카야마아리마 기념 (GI)잔디 2500m7착젠노 롭 로이
2005년
2.20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더트 1600m5착메이쇼 볼러
4.3한신산케이 오사카배 (GII)잔디 2000m6착선라이즈 페가수스
5.5후나바시카시와 기념 (JpnI)더트 1600m4착스트롱 블러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아사히
3세 S
2세마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49
아즈마 호마레
1950
토키노 미노루
1951
타카하타
1952
산게츠
1953
타카 오
1954
메이지 히카리
1955
키타노 오
1956
키타노 히카리
1957
카츠라 슈호
1958
우네비 히카리
1959
마츠카제 오
1960
하쿠쇼
1961
카네츠 세키
1962
그레이트 요루카
1963
우메노 치카라
1964
류게키
1965
메지로 보사츠
1966
몬타 선
1967
타케시바 오
1968
미노루
1969
애로우 익스프레스
아사
히배
3세 S
1970
온워드 가이
1971
토쿠 자쿠라
1972
레드 이글
1973
미호 란잔
1974
마츠후지 에이스
1975
볼드 심볼리
1976
마루젠스키
1977
갤런트 댄서
1978
빙고 가루
1979
린도 타이요
1980
텐몬
1981
호쿠토 플래그
1982
니시노스키
1983
하디 비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스크럼 다이나
1985
다이신 후부키
1986
메리 나이스
1987
사쿠라 치요노 오
1988
사쿠라 호쿠토 오
1989
아이네스 후진
1990
린도 셰이버
2세 수말 · 거세마
1991
미호노 부르봉
1992
엘웨이 윈
1993
나리타 브라이언
1994
후지 키세키
1995
버블껌 펠로우
1996
마이네르 맥스
1997
그래스 원더
1998
어드마이어 코진
1999
에이신 프레스턴
2000
메지로 베일리
아사
히배
FS
2001
어드마이어 돈
2002
에이신 챔프
2003
코스모 선빔
2세 수말 · 암말
2004
마이네르 레콜트
2005
후사이치 리샤르
2006
드림 저니
2007
고스호크 켄
2008
세이운 원더
2009
로즈 킹덤
국제 GI 지정 후
2010
그랑프리 보스
2011
알프레도
2012
로고타입
2013
아시아 익스프레스
2014
다논 플래티나
2015
리온디즈
2016
사토노 아레스
2017
다논 프리미엄
2018
어드마이어 마스
2019
살리오스
2020
그레나디어 가즈
2021
두 듀스
2022
돌체 모어
2023
잔타르 만타르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로 창설
1984
로바리아 아몬
1985
앙드레 아몬
1986
하츠노 아모이
1987
리키산 파워
1988
로만 프린스
1989
벨벳 글로브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러시안 골드
1993
메이쇼 호무라
중앙 GII 승격 후
1994
치어스 아톰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중앙 GI 승격 후
1997
신코 윈디
1998
구르메 프론티어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윙 애로우
2001
노보 트루
2002
아그네스 디지털
2003
골드 알뤼르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메이쇼 볼러
2006
카네 히키리
국제 GI 지정 후
2007
선라이즈 바커스
2008
버밀리언
2009
석세스 브로켄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테스타 마타
2013
그레이프 브랜디
2014 · 2015
코파노 리키
2016
모아닌
2017
골드 드림
2018
논코노 유메
2019
인티
2020
모즈 애스콧
2021 · 2022
카페 파라오
2023
레몬 팝





파일:nar_clear1.png 제왕상
(통일 GI)
우승마
파일:도쿄도 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78
로즈 잭
1979
하츠 마모루
1980
카츠 알
1981
아즈마 킹
1982
코난 루비
1983
트러스트 호크
1984
스즈유
198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로키 타이거
중앙경마 초대 경주 지정 후
198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톰 카운트
1987
테츠노 카치도키
1988
챔피언 스타
1989
파일:기후현 문장.svg 페이트 노던
199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사이치 브레이비스트
1991
챔피언 스타
199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나리타 하야부사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러시안 골드
1993
하시루 쇼군
199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태빌라이저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콘서트 보이
199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아부쿠마 포로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마키바 스나이퍼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네츠 플뢰브
200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네임 밸류
200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임 패러독스
200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보너빌 레코드
200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2010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마트 팔콘
201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트 블리츠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원더 어큐트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케이티 브레이브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드림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
202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크리소베릴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티오 케인스
2022 ·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메이쇼 하리오



파일:nar_clear1.png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통일 GI)
우승마
파일:이와테현 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88
파일:타카사키시 시장.svg 그레이트 서 펜
1989
파일:야마가타현 문장.svg 다이코 갈단
1990
그레이트 호프
1991
파일:니가타현 문장.svg 타케덴 파이터
1992
파일:우츠노미야시 시장.svg 타케덴 만게츠
1993 · 1994
토케이 니세이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이키 셜록
1998
메이세이 오페라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니혼 필로 주피터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티아라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아그네스 디지털
2002
토호 엠퍼러
200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4 ·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유토피아
2006 ~ 200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3연패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로 마이스터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트랜센드
2012 ·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4 ·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베스트 워리어
2016 ·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르 방 스 레브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선라이즈 노바
2020 ·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아르크토스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페 파라오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레몬 팝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엘름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96
교토 시티
1997
배틀 라인
1998
타이키 셜록
1999
니혼 필로 주피터
2000
신코 스플렌더
2001
앵겔 그레세
2002
프리에미넌스
2003
어드마이어 돈
2004 · 2005
퍼스널 러시
2006
히시 아틀라스
2007
메이쇼 토콘
2008
페라리 피사
국제 G3 지정 후
2009
마치카네 니홈바레
2010
쿠리르 패션
2011
랑포르세
2012
로만 레전드
2013
플릿 스트리트
2014
로만 레전드
2015
제벨 무사
2016
리카르도
2017
런던타운
2018
하이랜드 피크
2019
모즈 어트랙션
2020
타임 플라이어
2021
수아브 아라미스
2022
풀 뎁스 리더
2023
세키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34:45에 나무위키 어드마이어 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말 생산도 하지만, 일반적으론 경마팬들 사이에선 밀양 승마장과 함께 내륙의 주요 사설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중앙] A B [지방] A B [UAE] [2] 전적은 36전 9승의 평범한 말로 보이지만,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 3연승을 포함해 우승한 중상 경주 4개가 전부 3400미터 이상인 진성 장거리마였다. 여담으로 알버트의 반형제 여동생인 론다도르가 쿠로후네의 산구를 수태한 채 한국에 수입되었는데, 그렇게 녹원목장에서 태어난 송암론다도르는 어드마이어 돈의 마지막 산구를 수태하였다.[3] G2 2승마로, 외조부는 선데이 사일런스[4] 한국의 '대상경주'에 해당한다.[5] 어드마이어 돈 이전에도 메이세이 오페라 등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종마로 활동한 적이 있었다.[6] 중상마만 서술, 볼드체는 G1/Jpn1 우승마.[7] 2000년 세인트 라이트 기념(GII)을 우승했다.[8] 바다의꿈(거), 송암선샤인(암), 드림여왕(암). 이 중 바다의꿈은 2018년생 3마리 중 유일한 수컷이었으나 2021년 7월 9일에 거세되었다. 3마리 모두 서울 소속으로 등록을 완료하고 마체검사 통과, 이후 2021년 8월 기준으로 출발검사 및 주행검사가 진행되었다. 바다의꿈은 10월 24일 국산6등급 경주로 데뷔하였으나 송암선샤인은 2021년 9월 3일 주행심사 도중 우전제1지골골절로 데뷔를 앞두고 안타깝게 안락사되었다.[9] 여담으로 돈이 송암축산으로 옮긴 후, 현역이던 천지스톰이 해당 목장에서 2개월간 휴양을 한 적이 있었다. 인그란디어-지금이순간과는 달리 사진, 영상 등의 자료는 없으나 어쩌면 마주쳤을지도 모를 일.[10] 어미인 금수봉은 한국에서 활동한 또다른 일본산 종마인 메이세이 오페라의 자마이기도 하다.[11] 공고에는 없으나 송암 목장 측 관계자에 따르면 몇년 전부터 몸이 안 좋다가 2022년 봄에 잠시 호전되었는데, 여름에 접어들면서 상태가 악화되었다가 나중엔 제대로 서지 못할 정도로 악화되어 끝내 인도적 차원으로 안락사했다고 한다.[12] 마명은 송암 론다도르. 모마인 론다도르(미승리전을 통과하지 못했으나 부마는 킹 카메하메하, BMS는 댄스 인 더 다크다.)가 일본에서 수태 후 한국에 수입되어 녹원목장에서 태어난 포입마로, 부마는 쿠로후네다.[13] 아직 등록되지 않았으나, 현재 송암 론다도르를 소유한 피엠에스팜 관계자에 따르면 3월달에 갈색 수말을 출산했으며, 망아지와 모마 모두 건강하다고 한다.[14] 모마는 판타스틱으로 태핏 직계인 태피자의 자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