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이쇼 볼러

덤프버전 :

이름メイショウボーラー
Meisho Bowler
名將球手
출생2001년 4월 16일 (23세)
성별수컷
털색흑갈색 (黑鹿毛, 쿠로카게)
아비타이키 셔틀
어미나이스 레이즈 (Nice Raise)
외조부스톰 캣 (Storm Cat)
생산자히노데 목장
마주마츠모토 요시오
조교사시라이 토시아키 (릿토)
성적29전 7승 [7-5-3-14]
23전 7승[중앙]
5전 0승[지방]
1전 0승[HKG]
총상금4억 6672만 4000엔
4억 3382만 4000엔[중앙]
3290만 엔[지방]
주요
우승
G1페브러리 스테이크스 (2005)
G2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 (2003)
G3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 (2003)
가넷 스테이크스 (2005)
네기시 스테이크스 (2005)
주요 자마니시켄 모노노후 (2011)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종마 생활
4.1. 주요 자마
5. 은퇴 이후
6. 여담
7.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Meisho_Bowler_Portrait.jpg
새로운 빛
新たな光
2023년 명마의 초상

새로운 빛

아무리 자신감이 부수어진다 해도

그대의 눈은 아직 타오르고 있다

하지만 흥분은 조금 누르고

지금은 냉정히 생각하는 것이다

그대가 자랑하는 건 무엇인가

잠들어있는 힘은 없는가

하나하나 그러모아서

빈틈없이 짜 맞추는 것이다

그렇게 손에 넣은 빛의 다발을

그대는 다시 한 번 믿으면 된다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타이키 셔틀
タイキシャトル
1994
파일:미국 국기.svg
데블스 백
Devil's Bag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로
Halo
발라드
Ballade
웰시 머핀
Welsh Muffin
1987
파일:영국 국기.svg
칼리언
Caerleon
머피티스
Muffities
나이스 레이즈
Nice Raise
1994
파일:미국 국기.svg
스톰 캣
Storm Cat
1983
파일:미국 국기.svg
스톰 버드
Storm Bird
털링구아
Terlingua
나이스 트러디션
Nice Tradition
197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서치 트러디션
Search Tradition
나이스 댄싱
Nice Dancing
* 노던 댄서 5×4 9.375%


3. 커리어[편집]






4. 종마 생활[편집]


2008년 경주마를 은퇴하고 이후 이스트 스터드에서 씨종마 생활을 하게 된다. 주로 중앙보다는 지방에서 활약한 말들이 많았다.

4.1. 주요 자마[편집]


  • 굵게 표시된 경기는 GI/JpnI 경주.


5. 은퇴 이후[편집]


2022년 12월부로 씨종마 생활을 끝내고 은퇴마 협회 나이스 네이처 33세 생일 도네이션에 의해서 은퇴마 목장인 히다카 호스 프렌즈[1] 로 이송해서 여생을 보내기 시작했다.

6. 여담[편집]




7.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03년 (2세)
7.20코쿠라2세 신마잔디 1000m1.411착후쿠나가 유이치(유 제타)
8.9코쿠라피닉스상OP잔디 1200m2.011착(로열 슬랑오르)
9.7코쿠라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GIII잔디 1200m1.511착(코스모 선빔)
10.18교토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GII잔디 1600m1.711착(그레이트 저니)
12.14나카야마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GI잔디 1600m2.012착올리비에 펠리에코스모 선빔
2004년 (3세)
3.7나카야마야요이상GII잔디 2000m4.932착후쿠나가 유이치코스모 벌크
3.7나카야마사츠키상GI잔디 2000m16.863착다이와 메이저
5.9도쿄NHK 마일 컵GI잔디 1600m5.033착킹 카메하메하
6.6도쿄야스다 기념GI (국제)잔디 1600m14.9811착츠루마루 보이
10.30교토스완 스테이크스GII잔디 1400m4.813착타마모 핫 플레이
11.21교토마일 챔피언십GI (국제)잔디 1600m19.977착듀랜달
12.19주쿄CBC상GII잔디 1200m3.414착나카다테 에이지프레셔스 카페
2005년 (4세)
1.9나카야마가넷 스테이크스GIII더트 1200m3.831착후쿠나가 유이치(엥엘 그뢰세)
1.29도쿄네기시 스테이크스GIII더트 1400m1.811착(하드 크리스탈)
2.20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GI더트 1600m2.011착(시킹 더 다이아)
3.27주쿄타카마츠노미야 기념GI잔디 1200m3.2216착어드마이어 맥스
5.5후나바시카시와 기념GI더트 1600m-15착스트롱 블러드
11.3나고야JBC 스프린트GI더트 1400m-24착블루 콩코르드[2]
12.28소노다효고 골드 트로피GIII더트 1700m-22착요코야마 노리히로니혼 필로 서트
2006년 (5세)
1.29도쿄네기시 스테이크스GIII더트 1400m4.127착후쿠나가 유이치리미트리스 비드
2.19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GI더트 1600m23.0915착카네 히킬리
5.3나고야카키츠바타 기념GIII더트 1400m2.224착로키 어필
6.4도쿄야스다 기념GI (국제)잔디 1600m53.51314착불리시 럭
8.15사가서머 챔피언GIII더트 2300m3.222착메이쇼 배틀러
9.10주쿄센토어 스테이크스GII잔디 1200m11.457착쉬 이스 토쇼
10.1나카야마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I (국제)잔디 1200m20.2102착테이크오버 타겟[3]
10.28교토스완 스테이크스GII잔디 1400m8.659착프리사이스 머신
12.29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샤틴홍콩 스프린트G1 (국제)잔디 1200m13.05중지앱솔루트 챔피언[4]
2007년[5] (6세)
9.30나카야마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I잔디 1200m32.91115착후쿠나가 유이치애스턴 마짱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로 창설
1984
로바리아 아몬
1985
앙드레 아몬
1986
하츠노 아모이
1987
리키산 파워
1988
로만 프린스
1989
벨벳 글로브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러시안 골드
1993
메이쇼 호무라
중앙 GII 승격 후
1994
치어스 아톰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중앙 GI 승격 후
1997
신코 윈디
1998
구르메 프론티어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윙 애로우
2001
노보 트루
2002
아그네스 디지털
2003
골드 알뤼르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메이쇼 볼러
2006
카네 히키리
국제 GI 지정 후
2007
선라이즈 바커스
2008
버밀리언
2009
석세스 브로켄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테스타 마타
2013
그레이프 브랜디
2014 · 2015
코파노 리키
2016
모아닌
2017
골드 드림
2018
논코노 유메
2019
인티
2020
모즈 애스콧
2021 · 2022
카페 파라오
2023
레몬 팝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
(G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66
야마핏
1967
코유
1968
파인 해피
1969
타니노 무티에
1970
시바쿠사
1971
후쿠류 히카리
1972
키슈 로렐
1973
키타노 카치도키
1974
닐 킹
1975
키타노 카이운
1976
아탈 오
1977
뱀브턴 코트
1978
니혼 필로 폴리시
1979
라폰테스
1980
서니 시불레트
1981
리드 에이티
1982
니혼 필로 위너
1983
롱 하야부사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타니노 부케
1985
야마닌 팔콘
1986
다이와 생큐
1987
다이타쿠 롱샹
1988
아이돌 마리
1989
야마닌 글로벌
1990
노던 드라이버
1991
니시노 플라워
1992
비와 하야히데
1993
보디가드
1994
맥심 샤레이드
1995
로제 컬러
1996
시킹 더 펄
1997
볼드 엠퍼러
1998
에이신 캐머런
1999
파일:기후현 문장.svg 레전드 헌터
2000
파일:기후현 문장.svg 후지노 텐비
2001
패스트 타테야마
2002
실크 브라보
2003
메이쇼 볼러
2004
페르 귄트
2005
마루카 솅크
2006
오스미 다이도
2007
캡틴 툴레
2008
셴 발트
2009
리딜
국제 G2 지정 후
2010
레브 디소르
2011
클라렌트
2012
티엠 이나즈마
2013
호라이 아키코
2014
타가노 에스프레소
2015
에어 스피넬
2016
준 이콜
2017
장다름
2018
어드마이어 마스
2019
레드 벨 주르
2020
레드 벨 오브
2021
세리포스
2022
올 파르페
2023
잔타르 만타르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81
호쿠토 마츠시마
1982
다이젠 킹
1983
토아 팔콘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다이나 슈퍼
1985
쿄와 신잔
1986
산킨 하야테
1987
포트 나폴레옹
1988
댄디 아폴로
1989
하기노 하이 터치
1990
티엠 리듬
1991
징크 타몬 오
1992
마루카 아이리스
1993
나가라 플래시
1994
에이신 산산
1995
에이신 잇토 오
1996
갓스피드
1997
타케이치 켄토
1998
코에이 로망
1999
얼루링 액트
2000
리키 세레나데
2001
타무로 체리
2002
메이플 로드
2003
메이쇼 볼러
2004
코스모 발렌티
2005
얼루링 보이스
2006
애스턴 마짱
2007
마루부츠 이스터
2008
데 그라티아
2009
주얼 오브 나일
국제 G3 지정 후
2010
브라운 와일드
2011
에피세 아롬
2012
마이네르 에테르넬
2013
호라이 아키코
2014
오미 앨리스
2015
슈지
2016
렌 미노루
2017
아사쿠사 겐키
2018
판타지스트
2019
마이네르 그릿
2020
메이케이 옐
2021
나무라 클레어
2022
런던 플랜
2023
애스크 원 타임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가넷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승격
1997
스톤 스테퍼
1998
슈퍼 나카야마
1999
워싱턴 컬러
2000 · 2001
비 마이 나카야마
2002
브로드 어필
2003
니혼 필로 서트
2004
마이네르 셀렉트
2005
메이쇼 볼러
2006
리미트리스 비드
2007
쓰리 애비뉴
2008
타이세이 아톰
2008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네기시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87
그레이스 시라오키
1988
위닝 스마일
1989
다이나 레터
1990
에코 트랜스
1991
토모에 리젠트
1992
해피 기네스
1993
프로스트 라인
1994
후지노 맛켄 오
1995
영 에블로스
1996
스톤 스테퍼
1997 · 1998
워싱턴 컬러
1999
셀렉트 그린
2000
브로드 어필
2001
노보 트루
2002 · 2003
사우스 비고러스
2004
섀도우스케이프
2005
메이쇼 볼러
2006
리미트리스 비드
국제 G3 지정 후
2007
빅 그래스
2008
와일드 원더
2009
페라리 피사
2010
글로리어스 노아
2011
세이 크림슨
2012
실크 포춘
2013
메이쇼 마슈
2014
고르스키
2015
에어 할리파
2016
모아닌
2017
카후지 테이크
2018
논코노 유메
2019
코파노 키킹
2020
모즈 애스콧
2021
레드 르 젤
2022
티엠 사우스 댄
2023
레몬 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8:18:12에 나무위키 메이쇼 볼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앙] A B [지방] A B [HKG] [1] 히다카 지방에 있던 한 종마장을 재정비해서 은퇴 목장 겸 말 종사자 교육시설로 만들었는 데 여기에는 같은 은퇴마 협회 소속인 딥 스카이나 메이쇼 삼손이 지내고 있다.[2] 이후 2006 JBC 마일 우승, 2006~2008년 남부배 3연패를 달성하는 등 GI/JpnI 통산 7승을 했다.[3] 호주의 경주마. 이 경기와 영국의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를 포함해 단거리 국제 G1 7승을 달성한다. 2012년 호주 경마 명예의 전당에 헌액.[4] 호주에서 생산된 홍콩의 경주마. 이외에도 홍콩 단거리 국내 G1을 3회 우승했다.[5] 이 해부터 일본이 경마 파트 1으로 승격되므로, 모종의 이유로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Jpn등급 경주를 제외한 모든 중상이 국제 등급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