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준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준영(동명이인) 문서
박준영(동명이인)번 문단을
박준영(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남규
제2대
박철수
제3대
이을식
제4대
추규영
제5대
민병기
제6대
이기세
제7대
황성수
제8대
이하영
제9대
민영남
제10대
최의남
제11대
민영남
제12대
송호림
제13대
김용관
제14대
신용우
제15대
김보현
제16대
김재식
제17대
허련
제18대
고건
제19대
장형태
제20대
김종호
제21대
김창식
제22대
전석홍
제23대
문창수
제24대
송언종
제25대
최인기
제26대
백형조
제27대
이효계
제28대
이균범
제29대
구용상
제30대
조규하
제31·32대
허경만
제33대
박태영
제34-36대
박준영
제37대
이낙연
제38·39대
김영록
파일:전라남도 슬로건.svg




박준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당(2008년)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019E33> 서울시장 ||<width=25%> 부산시장 ||<width=25%> 대구시장 ||<width=25%> 인천시장 ||
|| 한명숙 || 김정길 || 이승천 ||<bgcolor=gold> 송영길 ||
||<rowbgcolor=#019E33> 광주시장 ||<width=25%> 대전시장 ||<width=25%> 울산시장 ||<width=25%> 경기지사 ||
||<bgcolor=gold> 강운태 || 김원웅 || 무공천 || 무공천 ||
||<rowbgcolor=#019E33> 강원지사 ||<width=25%> 충북지사 ||<width=25%> 충남지사 || 전북지사 ||
||<rowbgcolor=gold> 이광재 || 이시종 || 안희정 || 김완주 ||
||<rowbgcolor=#019E33> 전남지사 ||<width=25%> 경북지사 ||<width=25%> 경남지사 || 제주지사 ||
||<bgcolor=gold> 박준영 || 홍의락 || 무공천 || 고희범 ||
||<-5>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선거구 개편
황주홍[1]
이윤석[2]
제20대
박준영
[3]
제20-21대
서삼석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고건
서울시장
제2대
이명박
서울시장
제3대
김진선
강원지사
제4대
허남식
부산시장
제5대
박준영
전남지사
제6대
김관용
경북지사
제7대
박맹우
울산시장
권한대행
최문순
강원지사
제8대
이시종
충북지사
제9대
유정복
인천시장
제10대
최문순
강원지사
제11대
김관용
경북지사
권한대행
이시종
충북지사
제12대
박원순
서울시장
제13대
권영진
대구시장
제14·15대
송하진
전북지사
임시회장
홍준표
대구시장
제16대
이철우
경북지사






||
[ 펼치기 · 접기 ]

공보수석비서관 (1968~2003)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제4대
박선숙
홍보수석비서관 (2003~2017)
초대
이해성
제2대
이병완
제3대
조기숙
제4대
이백만
제5대
윤승용
제6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홍상표
제3대
김두우
제4대
최금락
초대
이남기
제2대
이정현
제3대
윤두현
제4대
김성우
제5대
배성례
국민소통수석비서관 (2017~2022)
초대
윤영찬
제2대
윤도한
제3대
정만호
제4대
박수현
홍보수석비서관 (2022~현재)
초대
최영범
제2대
김은혜
제3대
이도운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4대
박선숙
초대
송경희
제2대
윤태영
제3대
김종민
제4대
김만수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제5대
정태호
제6대
윤태영
제7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박선규
김은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3대
김희정
제4대
박정하
초대
윤창중
제2대
김행
제3대
민경욱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4대
정연국
초대
박수현
제2대
김의겸
제3대
고민정
제4대
강민석
문재인 정부
제5대
박경미
초대
강인선
제2대
이도운
제3대
김수경




국민의 정부 제2대 공보수석비서관 및 대변인
제34-36대 전라남도지사
박준영
朴晙瑩 | Park Jun-young
파일:박준영 전남지사.jpg
출생1946년 10월 21일 (77세)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1]
본관밀양 박씨
재임기간국민의 정부 제2대 공보수석비서관대변인
1999년 5월 25일 ~ 2001년 9월 11일
제2대 국정홍보처장 (차관급)
2001년 9월 11일 ~ 2002년 1월 9일
제34-36대 전라남도지사
2004년 6월 6일 ~ 2014년 6월 30일
제5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2011년 8월 26일 ~ 2012년 10월 10일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인창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가족배우자 최수복, 슬하 3녀
종교불교 (법명: 무공)
병역육군 병장 만기전역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0
소속 정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약력중앙일보 사회부 기자
중앙일보 외신부 기자, 차장
중앙일보 편집국 정치2부장·부국장
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비서관 (국민의 정부)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및 대변인 (국민의 정부)
제2대 국정홍보처장 (국민의 정부)
제34-36대 전라남도지사 (민선 3·4·5기 / 새천년민주당·민주당(2005년)·민주당(2008년))
전국시도지사협의회 부회장
제5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신민당 창당준비위원장
민주당 공동대표
제20대 국회의원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국민의당)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2.1.1. 전라남도지사 시절
2.1.2. 퇴임 이후
3. 논란
4. 여담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인, 前 정무직공무원, 前 기자. 제34-36대 전라남도지사(민선 3-5기)를 지냈다.


2. 생애[편집]


1946년,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에서 태어났다. 서울특별시인창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66학번)를 졸업하였다. 이후 중앙일보에 사회부 기자로 입사하였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문 제작 거부를 주도해 신군부에 의해 강제 해직됐다가 7년만에 복직하여 외신부 기자, 차장이 되었다. 이후 1995년 중앙일보 편집부 부국장까지 역임하였다.

2.1. 정치 활동[편집]


1999년 김대중 정부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이 되었다. 2001년 국정홍보처장이 되었다. 같은 해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받았다. 2003년 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에 임명되었다.


2.1.1. 전라남도지사 시절[편집]


2004년 4월 29일, 박태영전남지사자살[2]로 인하여 치러진 전라남도지사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전 해남군수인 열린우리당 민화식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지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지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전라남도지사 시절 전라남도청 이전, 2012 여수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전라남도지사 퇴임 2개월 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난 거도 박준영 지사 시기었다. 참고로 본인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후술할 논란으로 국민들에게 비난을 받았다.

2.1.2. 퇴임 이후[편집]


강봉균 전 의원과 함께 박근혜 정부의 호남총리 후보로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고, 2016년 1월에 김민석 전 의원의 원외 민주당과 통합해, 김민석 전 의원과 공동대표를 맡았으나, 안철수 의원이 창당한 국민의당 통합문제로 갈등을 보이자, 통합한지 두 달만인 2016년 3월에 탈당해 국민의당에 합류하였고, 본인고향인 영암군이 포함된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선거구에 출마선언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문서 참조.

2.1.2.1. 제20대 국회[편집]

2016년 3월 14일 국민의당에 입당했으며 전남 영암·무안·신안 선거구 후보로 공천 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3]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합당 당시 처음에는 안철수계로서 통합파로 분류되었으나 호남 민심이 양당의 합당에 부정적이자 국민의당을 탈당해 민주평화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민주평화당 창당 이틀만인 2018년 2월 8일 대법원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개월의 형이 확정되면서 의원직을 상실했다. 기사 이후 수감되었다가 2020년 3월 30일 가석방되어 출소했다.

3. 논란[편집]



  • 서남수교육부장관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황제라면 논란이 있었는데, 수차례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이를 먼저 직접적으로 제안하는 등 주도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비난을 받았다.#. 물론 언론들이 이 사안을 크게 키운것도 있지만 당시 분위기를 보면 사려깊지 못한 행동임에는 틀림없다.

  • 본인의 고향에 무리하게 진행했다 실패한 지자체 사업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잘 알려진 F1 코리아 그랑프리와 경기를 위해 건설된 영암서킷이 수천억대의 빚을 남기고 결국 실패하게 되자 시민단체 등에서 2011년 현직에 있을 때 한 번, 퇴임 후인 2015년에 다시 한 번, 모두 두 번이나 고발당했다. 전남지사 시절 추진된 사업이며, 본인 스스로가 엄청나게 홍보하고 열을 올리며 5조원 이상의 경제효과를 가져온다고 수없이 말했었다. 물론 고발에 대해서는 무혐의 처리되었다. # 무리한 투자는 맞지만, 투자가 실패했다고 죄를 물을 수는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현재의 기준에서 보자면 재판까지는 갔을 가능성이 높다. 무혐의 처분을 받았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다시 들춰질 수는 있으나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4. 여담[편집]


  • 목포중학교[4] 재학 당시 부친의 병환으로 가세가 기울면서 고교 진학을 1년 미루고 농사일을 했다. 좌절할 법도 했으나 학업에 대한 꿈을 놓지 않았고 상경하여 서울 인창고 야간부로 진학했다.
  •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신문제작을 거부하다 강제해직을 당한 적이 있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639e19799fbbc08e1a118ca40fd94d3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9 - 2000정계 입문

ta-hash-start=w-3c64f3e7b4ae513076da1639f67d267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5합당[5]

ta-hash-start=w-d07833c7293c1b1d8dd50c6468f68348[[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5 - 2007당명 변경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2007합당[6]

ta-hash-start=w-ed4227734ed75d343320b6a5fd16ce57[[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당명 변경

ta-hash-start=w-30ac4c52bd5bf0762504d49ecb92077d[[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7]

ta-hash-start=w-8fa85083ec873a434d58d2b75f55ca07[[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f4d2f2d6500412c8a6da7c426bbc7e6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8]

ta-hash-start=w-0125141592fa9ededc665c55d9958f69[[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7b6cb39239766a8e42cca81c2521b7c1[[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9]

무소속

2015 - 2016탈당[10]



(
무소속

)
2015 - 2016창당준비위원회

ta-hash-start=w-299024cfe2cd92197e0ab02d2421285c[[파일:민주당(2014년) 로고타입.svg
2016입당[11]

무소속

2016탈당[12]

ta-hash-start=w-2c0c63b0449c63fe70737d064f3c43bb[[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 - 2018입당

무소속

2018탈당[13]
2018 - 2020창당
2020 - 현재합당[14]
정계 은퇴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상반기 재보궐선거
(광역자치단체장)
전라남도지사308,299 (57.60%)당선 (1위)초선[15]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0,894 (67.69%)재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629,984 (68.30%)3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영암·무안·신안40,998 (41.72%)초선[16]


7. 둘러보기[편집]















[1] 읍으로 승격된 건 2003년이다. #[2] 박태영이 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재직 시절(2000년 전후)에 납품 비리를 저질렀다는 의혹으로 2004년 4월 27일과 28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고, 4월 29일, 세번째로 조사를 받기 위해 검찰에 출석하려다가 기사에게 차를 세우라고 하고 한강에 투신했다.[3] 무안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후보에게 패했지만(서삼석 후보는 전 무안군수 출신), 영암, 신안에서 승리하여 당선의 요인이 되었다.[4] 목포고등학교와 동계학교로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됐다.[5]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6]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7] 대통합민주신당과 신설 합당.[8]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9]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1] 민주당과 통합.[1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4]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15] 전임 박태영 사망.[16] 2018.2.5. 국민의당 탈당.
2018.2.6. 민주평화당 창당.
2018.2.8. 당선 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