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쿠스(영화)

덤프버전 : (♥ 0)

스탠리 큐브릭 감독 장편 연출 작품



스파르타쿠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AFI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카사블랑카
4위레이징 불
5위사랑은 비를 타고
6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7위아라비아의 로렌스
8위쉰들러 리스트
9위현기증
10위오즈의 마법사
11위시티 라이트
12위수색자
13위스타워즈
14위싸이코
15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6위선셋 대로
17위졸업
18위제너럴
19위워터프론트
20위멋진 인생
21위차이나타운
22위뜨거운 것이 좋아
23위분노의 포도
24위E.T.
25위앵무새 죽이기
26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27위하이 눈
28위이브의 모든 것
29위이중 배상
30위지옥의 묵시록
31위몰타의 매
32위대부 2
33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34위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35위애니 홀
36위콰이 강의 다리
37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38위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39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0위사운드 오브 뮤직
41위킹콩
42위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43위미드나잇 카우보이
44위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셰인
46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47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48위이창
49위인톨러런스
5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52위택시 드라이버
53위디어 헌터
54위M.A.S.H.
55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56위죠스
57위록키
58위황금광 시대
59위내슈빌
60위인 더 수프
61위설리반의 여행
62위청춘낙서
63위카바레
64위네트워크
65위아프리카의 여왕
66위레이더스
67위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68위용서받지 못한 자
69위투씨
70위시계태엽 오렌지
71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72위쇼생크 탈출
73위내일을 향해 쏴라
74위양들의 침묵
75위밤의 열기 속에서
76위포레스트 검프
77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78위모던 타임즈
79위와일드 번치
80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스파르타쿠스
82위선라이즈
83위타이타닉
84위이지 라이더
85위오페라의 밤
86위플래툰
87위12인의 성난 사람들
88위베이비 길들이기
89위식스 센스
90위스윙 타임
91위소피의 선택
92위좋은 친구들
93위프렌치 커넥션
94위펄프 픽션
95위마지막 영화관
96위똑바로 살아라
97위블레이드 러너
98위양키 두들 댄디
99위토이 스토리
100위벤허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AFI 선정 100대 영감을 주는 영화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 2006년 미국영화연구소는 역대 미국 영화 중 가장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또 그들의 정신을 고양시킨 100개의 영화를 선정했다.
1위멋진 인생
2위앵무새 죽이기
3위쉰들러 리스트
4위록키
5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6위E.T.
7위분노의 포도
8위브레이킹 어웨이
9위34번가의 기적
10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11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12위아폴로 13
13위후지어
14위콰이 강의 다리
15위미라클 워커
16위노마 레이
17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8위안네의 일기
19위필사의 도전
20위필라델피아
21위밤의 열기 속으로
22위야구왕 루 게릭
23위쇼생크 탈출
24위녹원의 천사
25위설리반의 여행
26위오즈의 마법사
27위하이 눈
28위꿈의 구장
29위간디
30위아라비아의 로렌스
31위영광의 깃발
32위카사블랑카
33위시티 라이트
34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35위초대받지 않은 손님
36위워터프론트
37위포레스트 검프
38위피노키오
39위스타워즈
40위미니버 부인
41위사운드 오브 뮤직
42위12인의 성난 사람들
43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44위스파르타쿠스
45위황금 연못
46위들백합
47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48위아프리카의 여왕
49위게리 쿠퍼의 재회
50위씨비스킷
51위컬러 퍼플
52위죽은 시인의 사회
53위셰인
54위루디 이야기
55위흑과 백
56위벤허
57위요크 상사
58위미지와의 조우
59위늑대와 춤을
60위킬링필드
61위사운더
62위브레이브 하트
63위레인 맨
64위검은 종마
65위태양속의 건포도
66위실크우드
67위지구 최후의 날
68위사관과 신사
69위저것이 파리의 등불이다
70위광부의 딸
71위폭력 탈옥
72위어두운 승리
73위에린 브로코비치
74위강가딘
75위심판
76위버드맨 오브 알카트라즈
77위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78위델마와 루이스
79위십계
80위꼬마 돼지 베이브
81위소년의 거리
82위지붕 위의 바이올린
83위디즈씨 도시에 가다 :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
84위형사 서피코
85위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86위스탠드 업
87위워킹 걸
88위성조기의 행진
89위해롤드와 모드
90위호텔 르완다
91위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92위페임
93위뷰티풀 마인드
94위굿바이 마이 라이프
95위마음의 고향
96위위대한 승부
97위마담 퀴리
98위베스트 키드
99위레이
100위불의 전차
2006년 발표 / 출처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스파르타쿠스 (1960)
Spartacus
파일:spartacus.png
장르사극, 드라마, 소설 원작 영화
감독스탠리 큐브릭
각본달튼 트럼보
원작하워드 패스트 작 1951년 소설 - "스파르타쿠스"
제작에드워드 루이스
주연커크 더글라스, 로런스 올리비에, 진 시먼스, 찰스 로튼
촬영러셀 매티
편집로버트 로렌스
음악알렉스 노스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나 프로덕션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스튜디오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1960년 10월 6일(뉴욕 드밀 극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4년 1월 23일(중앙극장)
화면비2.20:1
상영 시간197분[1]
제작비$12,000,000
월드 박스오피스$60,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86,000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배경
3. 제작
4. 평가
5. 한국에서
6. 기타



1. 개요[편집]




1960년 스탠리 큐브릭이 감독하고 주연 커크 더글러스(스파르타쿠스 역), 로런스 얼리비에이(크라수스 역), 진 시먼스, 찰스 로튼, 토니 커티스 등 초호화 멤버로 만든 영화.


2. 배경[편집]


원작 소설을 쓴 하워드 패스트[2]는 1950년대 매카시즘이 판을 칠 때 반미 활동 조사위원회에 협조적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3개월 간 징역살이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 감옥에서 처음 소설을 구상, 집필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출소하고 나서 완성된 소설을 출간하려고 해도 받아주는 출판사가 없어서 자비로 출판해야 했다고. 이를 시나리오로 각색한 돌턴 트럼보 역시 매카시즘 때문에 11개월의 징역살이를 한 적 있다. 스탠리 큐브릭은 <영광의 탈출>(1960)의 오토 프레밍어와 마찬가지로 돌턴 트럼보를 공개적으로 고용해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시대에 종언을 고했다.

큐브릭은 제작사(유니버설)의 지나친 간섭과 주연 커크 더글러스와의 마찰 때문에 자신의 색깔을 만들 수 없었다는 이유로 버린 자식 취급한다. 그런데도 1961년 아카데미 시상식 6개 부문 노미네이트, 4개 부문 수상했다. 사실 아카데미에서 받은 상도 큐브릭과 거리가 먼 분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피터 유스티노프), 의상, 미술, 촬영에서 받은 거다.

3. 제작[편집]


커크 더글러스와 제작사는 바로 전해인 1959년 전세계적으로 대히트를 친 <벤허>와 같은 웅장한 대하 역사극을 원했다고 한다. 특히 더글러스는 끊임없이 자신을 초월적인 영웅 캐릭터로 묘사해달고 요구했지만, 그 괴팍한 스탠리 큐브릭이 그런 작품을 만들리가... 결국 커크 더글러스와 마찰이 빚어져 그는 나중에 큐브릭을 대놓고 미친 놈이라고 욕했고 큐브릭은 '지를 영웅 캐릭터로 발광하듯이 뽐내달라던 미친 놈 주제에?'라고 서로 미쳤다고 비웃었다고 한다.(1998년 키노 지) 심지어는 커크 더글러스는 이 당시 '스탠리 큐브릭은 유능한 시발 새끼다'(Stanley Kubrick is a talented shit)라는 폭언까지 남기기도 했다.

영화 후반에 노예들이 로마군에게 외친 대사인 "I'm Spartacus!(내가 스파르타쿠스다!)"가 유명하다. 다만 이는 영화만의 허구로 실제로 있었던 일화는 아니다.

1960년대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대표하는 영화였으나 명성과 달리 블루레이 퀄리티는 썩 만족스럽지 못한걸로 유명했다.[3] 그러다가 2015년 유니버셜 스튜디오에서 사활을 걸고 복원 작업에 돌입해 복원판 블루레이를 내놨는데 굉장한 찬사를 들었다.


4. 평가[편집]


큐브릭의 영화판은 걸작이긴 하되 역사적 사실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는 평[4]을 듣는다.


5. 한국에서[편집]


대한민국에는 '스팔타커스 2004'란 제목으로 유니버셜 스튜디오에서 DVD로 출시한 작품이 있는데, 네이버 영화에는 '스파타커스'로 등록되어 있으며 TV 영화로 분류되었다. EBS에서 방영한 적이 있으며 장장 3시간에 달하는 분량인데 나름 꽤 몰입감있고 재밌게 잘 만들었다. 정작 DVD에서 자막은 '스파르타쿠스'로 나온다.(...)

이 영화에서 나름의 명대사가 있는데 바로 스파르타쿠스가 처음 경기장에 가서 대기장에 있을 때다. 먼저 오프닝(?)으로 방화범들을 십자가에 매달아 산 채로 불을 붙여 화형시키는데 관중들은 웃고 떠들고 즐거워하며 환호한다. 이 모습을 같이 지켜보던 동료가 스파르타쿠스에게 신에 대한 생각을 묻자 한마디 한다. 이 세상에 신이 있다고 해도 여기엔 없군.(If there are gods in this world, they're not here)

스파르타쿠스가 동료 드라바와 붙게 되었는데 드라바에게 "살게 드라바, 그래서 목숨이 있는 거잖나.(Live Draba, That's what life is for)"라고 말한다. 드라바는 경기에서 패배하여 살해당한 뒤 짐짝처럼 끌려나오는 검투사를 보면서 스파르타쿠스에게 "신의 축복을 받았다면 어려서 죽었어야지.(If the gods love you, you die in childhood)"란 묘한 말을 남기는데, 결국 시합에서 드라바가 이기나 드라바는 죽이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갑자기 높으신 분들이 있는 곳으로 달려가다 참혹하게 죽는다. 비굴하게 사느니 당당하게 죽음을 맞기로 결심한 것이다. 결국 대들면 이렇게 된다는 본보기로 드라바의 시체를 매달아놓는데 영화에서는 이 드라바로 인해 스파르타쿠스가 반란을 결심하는 계기가 된다.

더군다나 당시 노예들의 자녀는 똑같은 노예의 운명을 걷게 되었으니 스파르타쿠스는 아내의 임신 사실에 걱정도 하는 한편, 반드시 자유를 쟁취하여 노예의 대물림을 막겠다는 각오를 다지게 된다. 물론 영화에서는 스파르타쿠스 세력이 패배하여 노예 수천명이 십자가형으로 참혹하게 죽으며, 스파르타쿠스 본인은 맨 마지막으로 십자가형을 당한다.[5] 다행히 스파르타쿠스의 아내와 아들은 적장에게 붙잡혔음에도 다른 로마인의 도움으로 자유인 증명서를 받고 도망에 성공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영화였기에 망정이지, 만약 영화가 아닌 현실이었다면 스파르타쿠스의 처자식은 비참한 최후를 맞거나 차라리 죽는게 나을 정도로 비참한 인생을 살았을 것이다.

6. 기타[편집]



2017년부터 미국 의회도서관미 국립영화등기부가 영구 보존하는 영화이다.

이 영화에 출연한 출연진들은 프랑코 제피렐리의 1977년 성서 영화 <나사렛 예수>에서 다시 등장한다. 크라수스 역의 로런스 얼리비에이는 니고데모, 바티아투스 역의 피터 유스티노프헤롯 대왕으로 출연했다.
[1] 1967년에는 161분으로 압축되어 나왔다.[2] 1914 - 2003.[3] DVD 시절엔 크라이테리온 콜렉션에서 낸 적도 있다. 심지어 지금도 절판 안 되고 팔린다.[4] 젊은 시절의 카이사르가 원로원에 있다든가, 원로원의 의원으로서 카이사르를 돕는 원로원 의원의 이름이 그라쿠스라든가 등.(실제로 그라쿠스 형제는 후손을 두지 못했다.)[5] 자기가 이끈 노예들이 자기가 패하는 바람에 십자가에 매달려 죽는 걸 보면서 죄책감에 죽는 순간까지 고통받으라는 뜻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파르타쿠스/창작물 문서의 r1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스파르타쿠스/창작물 문서의 r1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6:00:42에 나무위키 스파르타쿠스(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