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보수당계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새로운보수당계 문서에서 이준석계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소개하는 문단을 존치하고 이준석계 문서는 별도로 작성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보수당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파일:푸른깃발배경제거.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이승만 정부 · 장면 내각(범민주) · 박정희 정부 · 최규하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사상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중도실용주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기독교 우파 · 기독교 민주주의 · 공화주의 · 보수자유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보수주의 · 재정 보수주의 · 반동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질서자유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 협동조합주의 · 권위주의 · 국가주의 · 안티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정치인대통령이승만 · 윤보선(범민주)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부통령이시영 · 김성수
국무위원제1공화국 ·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국회의원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당 대표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광역자치단체장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지식인자유주의황석영(범민주) · 조순(범민주) · 박세일 · 신율 · 이어령
우파민족주의김지하 · 김정배 · 최광식
뉴라이트이석연 · 나성린 · 이영훈 · 신지호 · 권희영
시장자유주의복거일 · 공병호 · 전원책
반공주의조갑제 · 제성호 · 이문열 · 김동길
기타서경석 · 이인호 · 하영선 · 서민
정파강경보수친박 · 친황 · 친홍 · 청구동계 · 민정계
온건보수친이 · 친윤친무 · 이회창계 · 상도동계 · 민주계
개혁보수친유 · 남원정 · 소장파
시민단체 · 사단법인바른사회시민회의 · 국민행동본부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 자유경제원 · 바른군인권연구소 · 고엽제전우회 ·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독 경제인회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이클린연대 · 한국대학생포럼 · 청년정치학교 · HOW's · 박사모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 안티페미협회
언론제도권조선일보 · 중앙일보 · 동아일보 · 문화일보 · 국민일보 · 세계일보 · 데일리안 · 한국경제신문 · TV CHOSUN · 채널A
비제도권뉴데일리 · 데일리안 · 미래한국 · 시사포커스 · 우파 유튜버
정당연대국제민주연합 · DJP연합(범민주·해체) · 선진과 창조의 모임(범민주·해체)
역사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관련 문서대한민국 보수정당 · 제3지대 정당 · 대한민국 극우정당 · 보수정당 틀 · 제3지대 정당 틀 · 극우정당 틀 · 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 극우정당의 계파 분류
싱크탱크여의도연구소 · 국민미래연구원 · 애국정책전략연구원 · 아산정책연구원 · 자유기업원
창작물자민이 · 환생경제 · 오른소리가족
인터넷 커뮤니티디시인사이드 · 에펨코리아 · 엠엘비파크 · 일베저장소 · 와이고수 · PGR21 · 청년의 꿈 · 뽐뿌(범민주)
관련 정당중도신자유민주연합 · 국민대통합당 · 한국국민당 · 남북통일당 · 독도한국당
극우가자코리아 · 국민새정당 · 국민참여신당 · 기독자유통일당 · 대한당 · 친박연대 · 새누리당 · 우리공화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자유의새벽당 · 친박신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자유당 창당 ~ 사사오입 개헌
대한국민국민회원내자유당원외자유당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국민회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이승만계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헌정동지회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박정희 친위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유정회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공화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한국민정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공화민정
3당 합당 ~ 14대 총선
상도동계청구동계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상도동계새한국신정국민청구동계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상도동계신민당자민련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신한국자민련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상도동계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민주계상도동계국민이회창계자민련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한국자민련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민주계이회창계민국자민련민정계한미연
16대 대선 ~ 17대 총선
통합민주계이회창계민국하나로자민련민정계친박
17대 총선 ~ 17대 대선
중심소장파민주계이회창계자민련친박
17대 대선 ~ 18대 총선
중심이회창계친이친박
18대 총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국민련선진친이친박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민주계선진생각친이친박
19대 총선 ~ 18대 대선
선진비박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비박친박
새누리당 분당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바른늘푸른비박친홍친박친조삼성동계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바른통합파늘푸른비박친홍친박새누리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호남계손학규계친안친유복당파친홍친황친박애국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바른새보수전진친무친홍친황친박통일공화
미래통합당 창당 ~ 21대 총선
국민통합경제친박공화
21대 총선 ~ 국민의힘 당명변경
국민통합
국민의힘 당명변경 ~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국민국민의힘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친안친유친윤친홍
8회 지선 ~ 현재
비윤친윤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1. 개요
2. 역사
3. 구성원들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보수정당 내에서 바른정당, 바른미래당 또는 새로운보수당의 당적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을 총칭하는 표현.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탈당한 인물들이 만든 바른정당이 그 시초이다.

2. 역사[편집]


2020년 미래통합당이 창당되는 과정에서 최초로 탄생했다. 21대 총선 당시 한국당계와 공천 문제로 갈등하는 과정에서 언론에 의해서 생겨났다.

계파 이름의 유행에는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와 큰 연관이 있다. 새로운보수당 자체가 창설한지 한달이 조금 지나서 해체되어 미래통합당으로 합류하였고, 본래라면 인지도가 훨신 큰 바른정당이나 바른미래당계라는 이름이 붙어야 했겠지만 새로운보수당이 창설되면서 생긴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는 새보계가 미래통합당에 합류하고난 후에도 디시내에서 규모가 큰 갤러리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이 온건보수 세력에 반감을 가진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나 극우커뮤니티 같은 곳에서 바른정당 계파를 통틀어서 새보계라고 지칭하며 까내리고,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 역시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같은 곳에서 자신들의 성향에 맞지 않거나 마음에 안드는 인물을 새보계로 몰아가는 것을 보고[3] 만물새보계설을 주장하는거냐며 비웃으며 자조적으로 돌려까며 사용하며 널리 퍼졌다.

그 증거로 온갖 커뮤니티에서 새보계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보수당계에 속하는 당사자들은 자신들을 새로운보수당계가 아닌 개혁보수라고 소개하고 있고, 언론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한 적이 있긴 하나 역사에 비하면 그다지 많진 않다.[4]

최초에는 유승민친유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새보계가 친윤, 친오, 소장파 등 다양한 계파로 흩어짐에 따라서 지칭하는 범위가 많이 증가했다.


3. 구성원들[편집]



3.1. 친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친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이준석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준석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기타[편집]


  • 김길성 (현 서울특별시 중구청장)
  • 남경필 (제15-19대 국회의원, 제34대 경기도지사)
  • 이성권 (현 부산시 경제부시장, 제17대 국회의원, 주 고베 총영사)
  • 정문헌 (현 종로구청장, 제17·19대 국회의원)
  • 하태경 (현 해운대구 갑 제21대 국회의원[5])

4. 관련 항목[편집]



[1] 원내대표 시절 이준석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보고 새보계라면서 공격했었다. 정작 윤석열이 김기현을 당대표로 밀어주자 180도 돌변하는건 참 아이러니.[2] 나준석이라고 부르며 까댔다.[3] 오세훈, 김기현[1], 나경원[2], 안철수[4] 21대 총선 당시 경향, 조선 등 몇몇 언론사에서 새보수당계라고 짤막하게 소개는 하였으나 총선 이후에 거의 사장된 후, 몇몇 기사에서만 짤막하게 등장한다.[5] 친유, 친이준석, 친윤계에서 모두 활동하는 정치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소장파 문서의 r3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소장파 문서의 r3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12:24에 나무위키 새로운보수당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