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아이파크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구단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부산 아이파크/2024년 문서
부산 아이파크/2024년번 문단을
부산 아이파크/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width=25%>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width=25%>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파일:FC 안양 로고.svg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
||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2><bgcolor=#001c48> {#ffffff ◀}}}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2><bgcolor=#e0002e> 파일:K3리그 로고.svg K3리그 ▶ ||
||<-2><bgcolor=#0067ac> ◀ 2023년 참가 구단 ||<-2><bgcolor=#001c48> 2025년 참가 구단 ▶ ||
||<-2><bgcolor=#104297> FA컵 참가 구단 ||<-2><bgcolor=#444444> 과거 참가 구단 ||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Busan I Park
정식 명칭부산아이파크축구단
영문 명칭Busan I Park Football Club
법인명HDC스포츠㈜
창단1979년 11월 22일(44주년)
구단 형태기업 구단
소속 리그K리그2
연고지부산광역시
연고지 변천부산광역시/경상남도 (1983~1989)[1]
부산광역시 (1990~ )
홈구장 변천구덕운동장 (1983~2002, 2005, 2015~2021, 2023~ / 12,349석)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2002~2015, 2022~ / 53,769석)
구단명 변천새한자동차 축구단 (1979)
대우 축구단 (1980~1982)
대우 로얄즈 (1983~1995)
부산 대우 로얄즈 (1996~1999)
부산 아이콘스 (2000~2004)
부산 아이파크 (2005~ )[2]
라이벌 - 낙동강 더비
모기업HDC그룹
구단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몽규
대표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병석
전력강화실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동우
경영기획실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민철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섭
주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한도
부주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찬,
파일:브라질 국기.svg

라마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민혁
영구 결번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주성[3]
마스코트똑디, 해라
상징색빨간색, 흰색, 회색[색상코드]
캐치프레이즈
MY BUSAN (마! 이게 부산이다)
공식 웹사이트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우승 기록
K리그1
(4회)[4]
1984, 1987, 1991, 1997
코리아컵
(1회)
2004
리그컵
(3회)
1997, 1997, 1998
AFC 챔피언스 리그
(1회)
1985-86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회)
1986
홍콩 구정컵
(1회)
2013
하와이안 아일랜즈 인비테이셔널
(1회)
2012
창 촌부리 인비테이션
(1회)
2013
전국축구선수권대회
(2회)
1989, 1990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회)
1981전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K리그 최초 프로통산 100승 달성[1]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 국기.svg


(년, From , 억원)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 국기.svg


(년, To , 억원)
최다 출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관 - 362경기[기준]
최다 득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태호 - 57득점[기준]
최다 도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마니치 - 34도움[기준]
최다 공격 포인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마니치 - 87개[기준]
최다 무실점
파일: 국기.svg

- 경기[기준]
최연소 출장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벤 : 17세 9개월 4일 - 1993-10-23 (vs. 일화 천마. 리그컵)[기준]
최고령 출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한윤 : 38세 4개월 21일 - 2012-12-02 (vs. FC 서울. K-리그)[기준]
최연소 득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벤 : 17세 9개월 11일 - 1993-10-30 (vs. LG 치타스. 리그컵)[기준]
최고령 득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한윤 : 38세 2개월 12일 - 2012-09-23 (vs. 울산 현대. K-리그)[기준]

[1] 1991년 4월 7일, vs 현대 호랑이, 2-1[기준] A B C D E F G H I K리그, 리그컵, 코리아컵, ACL, CWC 합산 기록. 2023 시즌 종료 기준.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2006 K리그 페어플레이상
2018 K리그 팬 프렌들리 클럽상
2018년 14회 한국 스포츠산업대상 우수 프로스포츠단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K리그1 MVP
(5회)
박창선 (1984 28경기 6득점 7도움)
정해원 (1987 28경기 6득점 4도움)
정용환 (1991 33경기 2득점)
김주성 (1997 16경기 1도움)
안정환 (1999 24경기 14득점 7도움)
K리그1 득점왕
(1회)
정해원 (1986 19경기 10득점)
K리그1 도움왕
(2회)
아미르 (1995 26경기 7도움)
우르모브 (2001 23경기 10도움)
K리그1 신인상
(3회)
김주성 (1987 28경기 10득점 4도움)
정광석 (1993 21경기)
송종국 (2001 25경기 2득점 1도움)
K리그1 감독상
(4회)
장운수 (1984 우승, 18승 7무 5패)
이차만 (1987 우승, 16승 14무 2패)
베르탈란 (1991 우승, 17승 18무 5패)
이차만 (1997 우승, 11승 4무 3패)
K리그1 베스트 11
(37회)
5회
김주성 (1987, 1991, 1996, 1997, 1999)
3회
정용환 (1984, 1987, 1991)
2회
장외룡 (1983, 1985)
이태호 (1984, 1990)
정해원 (1986, 1987)
김풍주 (1987, 1991)
안정환 (1998, 1999)
1회
조광래 (1983)
이춘석 (1983)
박노봉 (1986)
최태진 (1988)
손형선 (1988)
조덕제 (1989)
이재희 (1990)
박현용 (1991)
김판근 (1993)
아미르 (1995)
하석주 (1996)
신범철 (1997)
정재권 (1997)
마니치 (1997)
송종국 (2001)
우성용 (2001)
뽀뽀 (2006)
김창수 (2012)
임상협 (2014)
K리그2 MVP
(2회)
이동준 (2019 37경기 13득점 7도움)
안병준 (2021 34경기 23득점 4도움)
K리그2 득점왕
(1회)
안병준 (2021 34경기 23득점)
K리그2 도움왕
(1회)
호물로 (2018 35경기 9도움)
K리그2 베스트 11
(12회)
2회
김문환 (2018, 2019)
호물로 (2018, 2019)
최준 (2021, 2023)
1회
포프 (2016)
이정협 (2017)
이동준 (2019)
안병준 (2021)
구상민 (2023)
이한도 (2023)
코리아컵 MVP
(1회)
김용대 (2004 5경기 5실점)

유소년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8)
개성고등학교[1]
15세 이하
(U-15)
낙동중학교
12세 이하
(U-12)
부산 아이파크 U-12

[1] 2012년 기존 동래고등학교에서 변경.

1. 개요
2. 시즌별 일람
4. 코칭 스태프 명단
5. 선수 명단
6. 역대 감독
7. 역대 주장
8. 유니폼
9. 홈구장
10. 클럽 하우스
11. B팀
12. 타 구단과의 관계
13. 영구 결번
14. 역대 주요 선수
15. 팬덤
15.1. 서포터즈 - P.O.P
15.2. 응원가
15.3. 네임드 팬
15.4. 응원단
16. 마스코트
17. 사건 사고
18. 여담
19. 관련 문서
2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79년에 창단된 부산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K리그2 소속의 프로 축구단이다.

K리그1 4회 우승(1984, 1987, 1991, 1997), 코리아컵 1회 우승(2004), AFC 챔피언스 리그 1회 우승(1985-86)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전통의 명문 구단이다. 1985-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1986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으로 대륙 클럽 대항전에서 우승한 최초의 K리그 구단이기도 하며 대륙 클럽 대항전에서 전승 무패 우승을 이룩한 최초의 K리그 구단이다.


2.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부산 아이파크
시즌별 일람
||
시즌리그코리아컵ACLCWC
디비전리그순위 경기승점
19831부수퍼리그2166732114+719---
1984축구대제전12817654723+2459---
1985축구대제전3219752216+625-우승-
1986축구대제전42010282624+222---
1987한국프로축구대회132161424120+2146---
1988한국프로축구대회52485112830-221---
1989한국프로축구대회3401414124444042---
1990한국프로축구대회230121173025+535---
1991한국프로축구대회140171854932+1752---
1992한국프로축구대회53071492633-728---
1993한국프로축구대회630100202232-1040---
1994코리안리그63076173756-1927---
1995코리안리그52895143040-1032---
1996한국프로축구대회63299144551-6368강--
1997한국프로축구대회1181143249+15371라운드--
1998K-리그51810082722+5258강8강 조별 리그-
1999K-리그232170154240+23716강--
2000K-리그6271101642420294강--
2001K-리그427101163833+5418강--
2002K-리그92768133645-9268강--
2003K-리그9441310214171-304932강--
2004K-리그72461262119+230우승--
2005K-리그42577112833-52832강4강-
2006K-리그82697104042-23416강--
2007K-리그132648142039-19208강--
2008K-리그122657143039-92216강--
2009K-리그122878133642-62916강--
2010K리그82889113637-133준우승--
2011K리그631137114944+5468강--
2012K리그7441314174051-115332강--
2013K리그 클래식6381410144341+2524강--
2014K리그 클래식8381013153749-12438강--
2015K리그 클래식1138511223055-252632강--
20162부K리그 챌린지541197155240+126416강--
2017K리그 챌린지237201165530+2568준우승--
2018K리그2337151485635+215616강--
2019K리그2237191357347+26673라운드--
20201부K리그11227510122538-13258강--
20212부K리그2536129154656-10453라운드--
2022K리그2104099223452-18363라운드--
2023K리그2236201065029+21703라운드--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아이파크/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2022 시즌 코칭 스태프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박진섭Park Jin Sub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3월 11일
코치김치곤Kim Chi G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7월 29일
골키퍼 코치박지훈Park Ji Ho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11월 9일
의무 트레이너박해일Park Hae Il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3월 28일
의무 트레이너임경민Lim Gyeong 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9월 20일
전력 분석관안세형An Se Hy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7월 11일
팀 매니저양재모Yang Jaem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6월 22일
통역안대규An Dae Gyu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10월 20일
장비 담당관진원석Jin Won Su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10월 5일
주치의김명준Kim Myeong 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치의김호준Kim Ho 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 선수 명단[편집]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2023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계약 년도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구상민Koo, Sang Min1991년 10월 31일186cm, 80kg2016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어정원Eo Jeong-Won1999년 7월 8일175cm, 68kg2021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동수Kim Dong-su1995년 2월 21일188cm, 82kg2022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한희훈Han Hee-hoon1990년 8월 10일183cm, 78kg2022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조위제Cho Wi-Je2001년 8월 25일189cm, 82kg2022부주장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준Choi Jun1999년 4월 17일177cm, 72kg2021
7파일:브라질 국기.svgMF페신Jefferson Gabriel Nascimento Brito1999년 1월 4일178cm, 67kg2023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박종우Park Jong-woo1989년 3월 10일180cm, 74kg2019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찬Kim Chan2000년 4월 25일188cm, 81kg2022
10파일:브라질 국기.svgMF라마스Bruno José Pavan Lamas1994년 4월 13일177cm, 70kg2022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정환Kim Jung-Hwan1997년 1월 4일175cm 65kg2023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승규Lee Seung Kyu1992년 7월 27일193cm, 85kg2023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정원진Jung Won-jin1994년 8월 10일175cm, 65kg2022부주장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정윤Lee Jeong-Yoon2000년 11월 9일182cm, 72kg2023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손휘Son Hwi2004년 4월 3일172cm, 64kg2023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임민혁LIM Min-Hyeok1997년 3월 6일165cm, 61kg2023[1]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홍욱현Hong Uk-Hyeon2004년 1월 6일191cm, 82kg2022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한도Lee Han-do1994년 3월 16일185cm, 80kg2022주장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예훈Choi Ye-Hoon2003년 9월 19일179cm, 70kg2022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상헌Lee Sang-Heon1998년 2월 26일178cm, 63kg2021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성호영Sung Ho-yeong1999년 1월 8일173cm, 68kg2020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천지현Cheon Ji-Hyeon1999년 7월 2일172cm, 65kg2022
2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현규Lee Hyeon-Kyu2002년 7월 31일168cm, 66kg2023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지묵Choi Ji-Moog1998년 10월 9일178cm, 70kg2023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상준Lee Sangjun1999년 10월 14일173cm, 67kg2018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강영웅Kang Yeong-Woong1999년 3월 4일177cm, 74kg2021
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최기윤Choi Gi-Yun2002년 4월 9일175cm, 68kg2023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양세영Yang Se-Young2002년 10월 3일168cm, 60kg2023
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현준Lee Hyun-Jun2004년 4월 23일186cm, 78kg2022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원태랑Won Tae-Rang2002년 7월 5일175cm, 68kg2023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상준Kim Sang-jun2001년 10월 1일185cm, 75kg2022재임대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장명근Jang Myeong-Keun2004년 6월 4일188cm, 80kg2023
3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호영Park Ho-young1999년 4월 7일194cm, 84kg2018
3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조민호Jo Min-Ho2004년 4월 10일175cm, 68kg2023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권민재Kwon Min-Jae2001년 6월 11일170cm, 63kg2022
38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임기목Im Ki-Mok2001년 1월 11일188cm, 80kg2023
39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민상기MIN Sanggi1991년 8월 27일188cm, 80kg2023임대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황병근Hwang Byung-Geun1994년 6월 14일193cm, 93kg2022
4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홍석현Hong Seok-hyeon2002년 2월 21일184cm, 76kg2023임대
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동렬Choi Dongryul2004년 11월 21일184cm, 78kg2023
4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황준호Hwang Joon-ho1998년 5월 4일190cm, 84kg2019
4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전승민Jeon Seung-min2000년 12월 15일174cm, 73kg2023
4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동진PARK Dongjin1994년 12월 10일185cm, 75kg2023임대
5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민승Kim Min-Seung2005년 2월 9일185cm, 78kg2023준프로
5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강상윤KANG Sangyoon2004년 5월 31일171cm, 65kg2023임대
63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박건희Park Gun-Hee2004년 6월 28일180cm, 74kg2023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세진Park Se-Jin1995년 12월 15일177cm, 67kg2022
7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성빈Park Seong-Bin2004년 6월 3일174cm, 64kg2023
7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정Lee Jeong2001년 3월 2일173cm, 67kg2023
81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여름YEO Reum1989년 6월 22일175cm, 69kg2023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승기Lee Seung-gi1998년 6월 2일177cm, 67kg2023
9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곽승조Kwak Seung-Jo2004년 1월 13일181cm, 70kg2023
96파일:브라질 국기.svgFW프랭클린Franklin Geovane de Santana Chagas1996년 8월 14일188cm, 80kg2023
9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최건주Choi Geon-Ju1999년 6월 23일176cm, 65kg2023
구단 정보
대표이사: 김병석 / 감독: 박진섭 / 홈구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출처: 부산 아이파크 웹 사이트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임대 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비고
진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한준규Han Joon-kyu1996년 2월 10일2023년 11월 소집해제
전남 드래곤즈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태민Lee Tae-Min2003년 5월 9일임대




6.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종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9~1980)
장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1983)
조윤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
장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이차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89)
5대6대7대8대
감독 대행
김희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엥겔 파일:동독 국기.svg
(1990)
베르탈란 파일:헝가리 국기.svg
(1991)
이차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
감독 대행
조광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
9대10대11대12대
조광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4)
감독 대행
정해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
김희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5)
셰큘라라츠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1996)
이차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9)
12대13대14대
감독 대행
신윤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감독 대행
장외룡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호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2002)
감독 대행
박경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15대16대17대
포터필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2003~2006)
감독 대행
김판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에글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2007)
감독 대행
김판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황선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0)
18대19대20대21대
안익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윤성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5)
감독 대행
이와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최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6)
조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21대22대23대24대
감독 대행
이승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조덕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감독 대행
이기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페레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1~2022)
25대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박진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 는 감독 대행에게 구단을 맡긴 뒤 다시 복귀한 경우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FA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부산 아이파크 역대 감독
국적이름기간
초대[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종환1979 ~ 1980
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운수1981 ~ 1983[6]
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윤옥1984
3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운수1984 ~ 1986[7]
4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차만1987 ~ 1989[8]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희태[9]1988 ~ 1989[10]
5대파일:동독 국기.svg프랑크 엥겔[11]1990[12]
6대파일:헝가리 국기.svg비츠케이 베르탈란1991[13]
7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차만1992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광래[14]1992
8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광래[15]1993 ~ 1994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해원[16]1994
9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희태[17]1994 ~ 1995
10대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1996
1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차만1997 ~ 1999[18]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윤기1999[19]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외룡[20]1999[21]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태수2000[22]
1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호곤2000 ~ 2002[23]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경훈2002
13대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이안 포터필드2003 ~ 2006[24]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판곤2006
14대파일:스위스 국기.svg앤디 에글리2006 ~ 2007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판곤2007
15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성화2007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판곤2007
16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선홍2008 ~ 2010
17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안익수2011 ~ 2012[25]
18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성효[26]2013 ~ 2015[27]
대행파일:브라질 국기.svg데니스 이와무라2015
19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영준2015 ~ 2016[28]
20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진호2017[29]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승엽2017
2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윤겸2018
2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덕제[30]2019 ~ 2020[31]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기형2020[32]
23대파일:포르투갈 국기.svg히카르두 페레스2021 ~ 2022
24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진섭2022 ~


7. 역대 주장[편집]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조광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정해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1988)
변병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이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
정용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4)
6대7대8대9대10대
조덕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하석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정재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정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정재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11대12대13대14대15대
이장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2001)
윤희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노정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이장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임관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16대17대18대19대20대
심재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이정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서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박진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김근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21대22대23대24대25대
김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박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이원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이경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이원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26대27대28대29대30대
박준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이종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한지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강민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강민수, 박종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31대32대33대34대35대
김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박종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한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세한자동차 시절은 제외된 불완전한 역대 주장 명단이다.





8. 유니폼[편집]





9. 홈구장[편집]


파일:154111756405662.jpg

부산 아이파크 홈구장
1983~2002,
2015~2021
2002~2015,
2022~
구덕운동장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0. 클럽 하우스[편집]



파일:maxresdef12412ault.jpg

부산 아이파크 클럽하우스
Busan I Park Club House
준공일2003년 2월 27일
위치부산 강서구 체육공원로 43 강서체육공원


11. B팀[편집]





12.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과거 리그의 패권을 두고 럭키금성-LG 치타스(現 FC 서울), 포항제철(現 포항 스틸러스), 현대 호랑이(現 울산 HD FC), 일화 천마(現 성남 FC), 수원삼성 블루윙즈, 전남드래곤즈 등과 라이벌리를 불태웠지만, 구단이 현대산업개발 즉 HDC에 매각된 이후 과감한 투자를 못하면서 스타들의 계속되는 이탈로 인해 기세를 잃게 된다. 이로인해 2010년대부터 K리그 승강제 출범과 함께 라이벌리가 바뀌게 된다. 같은 경남권의 시도민구단이자 낙동강 라이벌인 경남 FC과 낙동강 더비와 같은 연고지인 지역 라이벌로 부산교통공사와의 부산더비가 형성되어 있다.

12.1. 경남 FC - 낙동강 더비[편집]


낙동강 사이를 둔 연고지간의 더비. 경남권 최대 연고지인 부산과 창원의 가까운 거리를 경남 더비로도 부를 수 있으나 낙동강 사이에 1시간 거리 이내로 인해 낙동강 더비로 부르기도 한다. 옛날부터 부산과 경남의 경기를 팬들이 홈구장인 전 부산아시아드경기장 및 현 부산구덕운동장과 전 창원종합운동장과 현 창원축구센터 사이에 낙동강이 있어 불러준 이름이다. 두 팀의 맞대결은 낙동강 상류와 하류를 낀 지역 특성에 있다. 이로 인해 경남권 최대 도시인 부산과 창원에도 모두 K리그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과거에는 PK(부산·경남) 더비라 불리기도 한다.

부산 아이콘스-아이파크는 2003 시즌부터 2016 시즌까지 사용했던 부산아시아드경기장과 2000 시즌부터 2002 시즌을 거쳐 2016 시즌부터 과거 대우 로얄즈의 홈으로 유명한 부산구덕운동장을 현재의 홈으로 쓰고 있다. 경남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창원종합운동장을 사용한 이후 경남권 최대 축구전용구장인 창원축구센터가 개장한 이후 2010년부터 현재의 홈으로 쓰고 있다.

2016 시즌을 기준으로 홈으로 사용하는 부산 아이파크의 부산구덕운동장과 경남 FC의 창원축구센터는 무려 40km에 불과하다.

부산 아이파크는 과거 축구명가인 대우 로얄즈를 인수한 클럽이며 전신 명칭은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부산 아이콘스였다. 그 이전 2002 월드컵으로 인해 창단된 지자체클럽 중 K리그 첫 도민구단인 경남 FC의 창단과 함께 2006 시즌부터 K리그에 참가했다.

초창기에는 라이벌 의식이 크지 않았다. 기업구단과 시민구단의 규모 차이 때문일 수도 있지만, 두 팀의 성적이 그렇게 맞물리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하지만 2014년 경남 FC가 처음으로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고, 1년뒤 2015년에는 기업클럽 사상 첫 강등의 굴욕을 당하면서 희생양이 되었다. 이로인해 K리그 클래식 승격을 놓고 경쟁을 하면서 라이벌 구도가 되고 말았다.

2016 K리그 챌린지에서는 부산이 경남에 3승 1무로 앞섰고, 2017 K리그 챌린지부터 명칭협약을 맺었다. 당시 K리그 챌린지(현 K리그2) 소속이었지만 벌칙내기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부산 아이파크의 조진호 감독은 10월의 더비매치 이후 다음경기를 준비하던 중 갑작스런 심근경색으로 인한 별세를 하게 된다. 당시 부산 선수단은 스승을 잃으면서 큰 충격에 빠졌고 구단 관계자도 침통했다.

이 와중에 경남 FC는 낙동강 라이벌이지만 동반자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경남 구단은 조진호 감독의 갑작스런 별세로 인해 조의를 표시했다.

2017 K리그 챌린지에서는 부산 아이파크는 다이렉트 승격에 실패했고 경남 FC는 2017 K리그 챌린지 위너(2부 우승은 위너로 표기)로 다이렉트 승격과 함께 2014 시즌 첫 강등 이후 4년만에 K리그1으로 복귀했다. 2017년 맞대결 전적은 3승 1무였다. 부산으로서는 기업클럽의 구단주가 정몽규 현 아이파크 회장 겸 대한축구협회장이라는 점을 보면 굴욕과도 같았다. 공교롭게도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군경클럽인 상주 상무에 승부차기 끝에 발목이 잡히면서 하늘로 떠난 스승의 한을 풀지 못했다.

2018 K리그2에서 절치부심하면서 최윤겸 감독을 선임하면서 선수단까지 바꾸었으나 2018년에도 K리그1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8 K리그2에서 우승에 실패하면서 K리그2 플레이오프 승자로 다시한번 승격을 노렸지만 승강 플레이오프 상대가 하필 2012 &2016 K 리그 우승과 2015 FA컵 우승을 했던 GS그룹FC 서울이라는 리그 최고 인기클럽과의 대결이었다. 결국 안방에서 패하면서 승격 실패했다. 결국 최윤겸 감독 또한 1년만에 교체되었고 조덕제 감독으로 사령탑을 또 교체했다.

이후 경남 FC는 창단 최고 성적인 2018 K리그1 2위를 기록하고, 2019 AFC 챔피언스리그에 창단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나 갑작스런 DTD로 인해 2019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에 밀리기도 했다. 2019 K리그2의 2위가 바로 부산 아이파크였는데 결국 K리그2 플레이오프 승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2년만에 강등과 승격 사이의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기도 했다.

부산은 3년 연속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로 삼수생이었다.

2년 전 조진호 감독을 잃은 부산 아이파크는 2018년 최윤겸 감독이 승격 실패 이후 사퇴를 하면서 공교롭게도 조덕제 감독이 추스린 이후 K리그1 복귀를 노리고 있었다.

조진호 감독의 제자였던 이정협호물로 그리고 팀의 유스 출신이었던 이동준김진규 그리고 김문환은 하늘로 떠난 스승에게 2년 뒤에 한을 풀게 된다. 마침내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5년만에 K리그1으로 승격하게 된다.

하지만 1년만에 다시 2020 K리그1 최종 27 라운드 최하위로 인해 재강등의 아픔을 겪게 된다. 성남 FC와의 최종전에서 패하면서 재강등의 아픔을 겪게 되었다. 성남 FC는 10위, 인천 유나이티드는 11위.

추가로 2020 K리그2 승격 후보였던 경남 FC마저 최종순위 3위와 K리그2 플레이오프에서 수원 FC를 넘지 못하면서 2021 K리그1 승격에 실패하게 된다.

결국 2021 K리그1이 아닌 2021 K리그2에서 낙동강 더비가 다시 열리게 되었다.

이로인해 당분간 K리그1 승격을 놓고 K리그2에서도 맞대결을 하면서 지역 더비를 넘어 승격 더비가 되면서 치열한 승격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부산으로서는 K리그2에서 승격하기 매우 좋은 상황이며 경남은 중상위권에서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더비다.


12.2. 부산교통공사 축구단[편집]


과거 FA컵에서 맞붙으면서 부산 더비가 일어나기도 했다. 때는 2016년이었다. 2016년 FA컵 4라운드에서 부산 아이파크가 경남 FC를 2:1로 잡고 부산교통공사가 한남대를 2:0으로 이기면서 32강에서 부산 더비가 열리게 되어, 5월 11일 부산 더비가 실현되었다. 경기는 부산 아이파크의 3:0 완승.

2023년부터 K4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부산 아이파크의 B팀인 부산 아이파크 퓨처스가 K3리그로 승격시 부산 더비가 성사 될 가능성이 있었다.

한때 K3리그 베이직에 참가하던 부산 FC와의 부산 더비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외는 별개로 선수수급에 있어서 양팀은 협조를 하는 편이다.

심지어 POP 서포터즈 일부도 포함되어 있다.

13. 영구 결번[편집]


부산 아이파크 영구 결번
No. 16 김주성 No. 24 송종국
K리그 최초로 영구 결번을 지정했으며 그 번호는 김주성이 사용한 16번이다. 그리고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2년간 부산에서 뛴 송종국의 24번도 영구 결번이었다. 그러나 송종국이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서 K리그로 돌아올 때 친정 부산이 아닌 수원으로 이적하면서 송종국과 부산 아이파크 구단 간 갈등이 발생한 후 구단에서 영구 결번을 취소했다.[33]

그리고 국내 대부분의 축구단이 그렇듯 부산도 12번을 팬들이 12번째 선수라는 의미에서 영구 결번으로 비워 두었다. 다만 공식적으로 발표한 영구 결번은 아니고, 2003년 외국인 선수 제이미를 마지막으로 자연스럽게 비워두는 번호가 됐다. 구단 홈페이지에 서포터즈인 P.O.P의 카페를 링크해 주는 페이지에서 12번을 암시하는 "12번째 선수"라는 문구가 있다. 구단 내에서 암묵적으로 지켜지는 결번으로 풀이된다.


14. 역대 주요 선수[편집]



15. 팬덤[편집]



15.1. 서포터즈 - P.O.P[편집]



파일:prideofpusan.png
P.O.P.


15.2. 응원가[편집]





15.3. 네임드 팬[편집]



15.4. 응원단[편집]


2024 시즌 부산 아이파크 응원단
장내 아나운서김진완, 이예지
치어리더미운영

과거 2010년대 아이돌파크 시절 임태현 응원단장과 박기량 치어리더가 2012년에 응원전을 진행했으나 성적부진 및 마케팅마저 미흡하면서 인해 오래가지 못했다. 2014년에는 부산 출신 유명 치어리더로 부산 kt 소닉붐 농구단과 한화 이글스에서 활약했던 김연정 치어리더가 1년을 함께했으나 2015년부터 명가인 울산 현대의 울산큰애기로 활약하면서 부산 축구 팬들의 기억에는 잊쳐졌으며 부산에서도 울산 현대를 응원하는 부산 축구팬들도 등장했다. 그리고, 팀은 창단 첫 강등의 아픔을 당했다.

K리그 챌린지 및 K리그2 강등 이후에도 응원단 운영에 호불호가 있었다. 첫 강등 이후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울산 출신이지만 동아대학교 응원단을 맡았던 박민수 응원단장이 데뷔하면서 응원전을 진행했지만 잘 알려지지는 않은 편이다. 박민수 응원단장 시절 2019 시즌 마침내 강등 이후 첫 승격을 하면서 알려지게 된다.

2021 시즌을 앞두고 강등 2기가 되었지만 부산 출신으로 전주/부산 KCC 이지스의 장내 아나운서로 알려진 김진완 아나운서와 과거 부산 kt 소닉붐 농구단의 응원단 출신이자 2020 시즌 울산 현대의 울산큰애기로 잠시 활약했으며 고향이 부산 출신인 홍재연 치어리더를 중심으로 응원전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응원단과 함께못해도 SNS에 소식을 올리기도 한다. 부산 팬들은 진정한 부산 아이파크에 애정이 있는 치어리더라며 좋은 평을 하고 있다.

2022 시즌부터 군경클럽인 김천 상무와 병행 응원을 하고 있는 멤버들이 있으며 2023 시즌은 개막전을 제외하면 치어리더 포함 응원단을 파견하지 못했다. 경기 시작 전 클럽송인 오! 최강부산의 영상 때 2022 시즌에 촬영된 치어리더들의 영상으로 대신하고 있다.

2024 시즌에는 치어리더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대신 전 치어리더였던 이예지가 장내 아나운서로 활약하게 되었다. 하지만, 홍재연 치어리더는 4년만에 울산 현대의 새 이름인 울산 HD FC의 울산큰애기로 복귀하면서 명암이 또 엇갈리게 된다. 응원단을 떠나면서도 울산 현대 활동중에도 구단 SNS에 관심을 이어간 팬심이었기에 부산 아이파크 팬들은 아쉬움의 드러냈다.

16. 마스코트[편집]




파일:똑디 소개.jpg
파일:248795366_241332721361125_1292592044662430549_n.jpg
똑디해라


17. 사건 사고[편집]




18. 여담[편집]










파일:/pds/201307/11/15/f0018015_51de34af1ebe4.jpg

파일:/img/img_link7/889/888839_1.jpg









19. 관련 문서[편집]




20. 둘러보기[편집]












[1] 1983년부터 1986년까지는 순회 경기 시절로 명목상으로만 연고가 있던 때다.[2] 단, 영문 명칭은 2012년에 Busan I'Park에서 Busan I Park로 변경했다. 아이파크의 브랜드 로고를 보면 알겠지만 IPARK가 아니라 I PARK로 I와 PARK 사이가 띄어쓰기로 표기하고 있다. 구단 웹 사이트에서도 영문으로 BUSAN I PARK라고 표기하고 있다.[3] 1999년 지정[색상코드]
HDC Red: HDC 485C & C0 M95 Y100 K0
HDC Gray: HDC 425C & C30 M20 Y20 K70
[4] 팀의 전신인 대우 로얄즈 시절.[5] 1983년 12월 대우 로얄즈 프로축구단 창단 당시 초대 감독이었던 장운수 감독울 1대 감독으로 하여 대수를 계산하고 있다. 구단에서 23대 페레즈 감독 이후 박진섭 감독을 25대 감독으로 선임하였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새한자동차 시절 이종환 감독을 1대 감독으로 간주하여 감독 대수를 조정한 것으로 보였으나, 박진섭 감독을 24대 감독으로 발표하는 정정 공지가 게시되었다.박진섭 감독 25대 → 24대 정정 관련 공지사항[6] 1981 전기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우승.[7] 1984 축구대제전, 1985-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6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8] 1987 한국프로축구대회, 1989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9] 구단 선수 출신 감독대행.[10] 이차만 감독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소집된 동안 감독대행으로 선임되어 팀을 지휘했다.[11] 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12] 1990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13] 1991 한국프로축구대회 우승.[14] 구단 선수 출신 감독대행.[15] 구단 최초의 선수 출신 감독.[16] 구단 선수 출신 감독대행.[17] 구단 선수 출신 감독.[18] 1997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1997 아디다스컵, 1997 프로스펙스컵, 1998 필립모리스코리아컵 우승.[19] 6월 감독대행에 선임됐으나 9월 급성 백혈병으로 쓰러지고 3일만에 별세하였다.[20] 구단 선수 출신 감독대행.[21] 신윤기 감독대행 사망 후 새 감독대행으로 부임하여 혼란에 빠진 팀을 리그 준우승으로 끌어올렸다. [22] 2000년 초 감독으로 선임됐으나 구단이 대우그룹에서 현대산업개발로 매각된 후 구단 수뇌부와 마찰을 빚다 사임했으며 아이콘스-아이파크 감독으로 미기재.[23] 아이콘스-아이파크 초대 감독. 대우에서 현대산업개발 매각 이후 첫 사령탑.[24] 2004 하나은행 FA CUP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25] 2012 하와이안 아일랜즈 인비테이셔널 우승.[26] 구단 선수 출신 감독.[27] 2013 차이나 모바일 위성통신컵, 2013 창 촌부리 인비테이션 우승.[28] K리그 챌린지 강등.[29] 2017년 10월 10일 급성 심장마비로 별세.[30] 구단 선수 출신 감독.[31] K리그1 승격.[32] K리그2 강등.[33] 애초에 송종국의 영구결번은 뛴 기간도 겨우 2년이였던 탓에 이미 부정론이 있었다.[34] 2008년 제리 로이스터 재임시기만해도 황선홍 감독이 직접 시구로 나서기도 하고 로이스터 감독을 시축에 초청하는 등 상생마케팅을 했는데 이런 식으로 태세전환하는 바람에 어그로만 잔뜩 끌고 웃음거리가 되었다.[35] 이 경기는 수원의 공식전 1000번째 경기이자 수원의 FA컵 첫 4강 탈락 경기였다. 그 이전에는 4강에 가면 우승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결승에 갔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