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안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무안국제공항에 착공 예정인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무안공항역 문서
무안공항역번 문단을
무안공항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안역
함 평
← 7.6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Muan
한자務安
간체자务安
가나務安(ムアン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16-32 (사창리)
관리역 등급
배치간이역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호남선1938년 5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무 안

현 역사(2001년 준공)
파일:무안역_구 역사.png
구 역사(1985년 준공, 2001년 철거)
1. 개요
2. 역사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시간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무안역 스탬프.jpg
무안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양파를 형상화했으며, 무안역이 영업하는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날인 가능하다.

영산강 나루터의 아련한 추억

1913년 사창역이란 이름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1985년 무안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동시에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사창역이란 역명은 역사가 위치한 마을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재에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에 위치하고 있다. 사창마을은 영산강을 앞에 두고 뒤쪽으로 너른 들이 있어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다. 과거 무안역이 아닌 사창역이던 시절, 사창역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인근 학다리에 있는 교량이 너무 멀어 나룻배를 이용하곤 했는데, 영산강 강바람이 심하게 불기라도 하면 승객들이 열차를 놓칠까 애를 태우곤 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16-32 (사창리 653) 소재.

주변에 옥만호 전 공군 대장이 사재를 털어 만든 호담 항공우주전시장이 있어[1] 목포/무안 지역 소풍코스로 많이 찾는 역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1938년 개업했으며 원래 역명은 사창리에 있다고 해서 사창역(社倉驛)이었다. 1985년 8월 12일에 무안역으로 개명되었다.

호남선 복선 전철화로 인해 2001년에 역이 한 번 이전되었다.

무안읍과 몽탄면 경계지점에 있어 무안읍 중심지와 멀리 떨어져 여객수요가 매우 적다. 역에서 조금만 나가면 행정구역상 무안읍 성암리이지만 원래부터 읍내에서 몽탄 방면 교통량도 적어서 심리적 거리도 멀다.

2009년 기준 한 해 1만 5000명 정도만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2] 그나마 옆동네 함평역은 읍내하고 멀리 떨어졌어도[3] 나비축제 버프로 많이 이용하는데 여기는 그런 것도 없어 일로역에게 제어를 받는 신세가 돼버렸다.

자세히 보면 그나마 몽탄면과 무안읍을 연결하는 몽탄로에서도 약 700m 가량 떨어져 있어서, 버스를 타고 가기에는 애로사항이 있다. 다행히 2004년 10월부터 역 앞을 경유하는 목포 버스 800번이 잠깐 노선에서 빠져나와 역 앞에서 돌아나가는 방식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2015년 2월 개편으로 인하여 미경유하게 되면서 이 역을 이용하려면, 역 진입로에서 하차하여 약 10분 가량 걸어야 하게 되었다. 이런 애매한 접근성으로 인하여, 몽탄면에서는 열차 정차 횟수가 비슷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고 면 소재지에 위치한 몽탄역에 밀리고, 무안읍에서는 차량 접근성이 뛰어나고 정차하는 열차 수가 더 많은 함평역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애매한 역이 되었다. 'OO역 우측 50m' 같은 그 흔한 철도공사 표지판조차 없다!

사실 호남선 선로를 몽탄 쪽으로 놓는 게 더 짧고 공사하기 편한지라 그냥 무안읍을 안 지나게 지은 다음에 그나마 가까운 역에 이름을 주었다고. 행정구역상으로는 바로 코앞이 무안읍이지만 읍내가 멀다.

호남선 경유 일부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있다. 하지만 경전선 경유 무궁화호는 필수정차한다. 호남선 목포착발 주말 새마을호가 있던 시절에는 취급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옛 이야기.

2014년 1월 24일에 열차운전시행세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으로 지정되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서광주역, 능주역, 몽탄역과 함께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직원이 근무하고 18시에서 다음날 9시, 토·일·공휴일에는 직원이 근무하지 않으므로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경우 코레일톡으로 표를 구입하거나 열차에 탑승 후 발권해야 한다.

역 근처에 옥만호 전 공군 대장이 사재를 털어 만든 호담 항공우주전시관이 있었다. 현재는 기존 전투기 모형에 추가로 전차 모형과 훈련장까지 비치해 놓은 밀리터리 테마파크로 증축되었다. 때문에 체험학습으로 초등학생과 유치원생이 자주 이용한다.


3. 승강장[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지하도를 통해 대합실과 연결된다.
함평
1234
몽탄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비고
2004년35명
2005년38명
2006년50명
2007년69명
2008년61명
2009년45명
2010년51명
2011년60명
2012년59명
2013년59명
2014년57명
2015년53명
2016년40명
2017년32명
2018년31명
2019년31명
2020년17명
2021년19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시간표[편집]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34무궁화1402용산
09:52무궁화1952부전
16:34무궁화1404용산
18:46무궁화1982광주
18:56무궁화1470익산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39무궁화1981목포
12:25무궁화1401목포
12:35무궁화1951목포
18:19무궁화1473목포
20:19무궁화1469목포
21:52무궁화1403목포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0:40:57에 나무위키 무안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밀리터리 테마파크로 증축변경되었다.[2] 심지어 어지간한 지방 지하철 노선도 하루에 1만 5천명 이상이 이용하는 역이 여럿 있다.[3] 학교역 시절에는 함평읍내보다 더 멀었지만 하위 등급 열차는 필수 정차할 정도로 원래 이용객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