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고창군 CI.svg 전라북도 고창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정읍시·고창군고창군 전역 + 정읍시 전역
도의원고창군1고창읍, 고수면, 신림면
고창군2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부안면

2. 개요[편집]


지리적으로 광주광역시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전라북도 평균보다는 진보적이다. 이웃 부안군이 호남 내에서 강한 보수 성향을 보이는 것과는 다소 대조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지역 구도가 정착되기 전에는 여촌야도의 특성으로 전형적인 보수 강세 지역 중 하나였다. 1963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50.96%, 민정당 윤보선 후보 39.54%로 누른 점, 1967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은 민정당 김상흡 후보 28.63%로 민주공화당 성정기 후보 28.37%로 고작 0.26%차이의 초박빙 결과가 나온 점, 1971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신용남 후보가 56.68%로 당선된 점이 그 예이다.

그러나 1987년 6.10 민주 항쟁으로 민주화가 이뤄지고 고창군도 그 영향을 받으면서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가 88.93%,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정균환 후보가 54.31%를 받은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민주당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가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대통령 선거에 한해서는 전라북도보다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 가까운 득표율을 꾸준히 올려 대체로 김대중 후보가 전라북도 최고 득표율을 이곳에서 기록했다.

고창군의 민심이 전주시 중심의 전라북도보다 광주광역시 중심의 전라남도에 가깝다는 점은 민주당계 정당이 분열된 시기에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등이 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소추 사태가 벌어졌고, 그 역풍으로 새천년민주당 후보들이 쓸려나가는 와중에도 고창군에선 박빙 승부를 벌였다. 지역구에서 열린우리당 김춘진 후보 35.45%, 새천년민주당 정균환 후보 33.63%를 얻었고, 비례에서는 52.23% : 26.53%를 얻었다. 새천년민주당은 고작 5석을, 그것도 전라남도에서만 얻은 게 전부였고, 나머지 지역들은 한 자릿 수 득표율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유의미한 득표율이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전라북도지사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김완주 후보가 42.87%를 얻어 민주당 정균환 후보(46.03%)에 3.16% 차로 밀렸고, 고창군수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강수 후보가 58.56%를 얻어 열린우리당 정길진 후보(32.79%)를 압도하고 당선됐다. 전라북도에서는 열린우리당,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서는 민주당이 승리했으니 고창군의 민심은 상대적으로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으로 분열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하정열 후보는 선거 보전 자금도 온전히 못 받는 4,779표(14.99%)에 그쳤다. 반면에 고창군 출신 이강수 후보 13,781표(43.24%), 정읍시 출신 국민의당 유성엽 후보(9,889표, 31.03%)로 사실상의 2파전이 펼쳐졌다. 비례표에서는 더불어민주당 26.32%, 국민의당 43.19%로 전라북도 평균(32.26% : 42.79%)보다 전라남도 평균(30.15% : 47.73%)에 가까운 편차를 기록했다. 2017년 5월 9일에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압도했는데, 고창군에선 문재인 23,877표(61.38%), 안철수 11,182표(28.74%)로 역시 전라북도 평균[1]보다 광주광역시·전라남도 평균[2] 득표율에 가까웠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재명 : 윤석열 득표율이 전라북도 평균 82.98% : 14.42%, 전라남도 평균 86.10% : 11.44%로 차이가 있었는데, 고창군에선 86.09% : 11.30%으로 전라남도 평균에 수렴했다.

구 민주당의 중진 정균환이 4선을 한 지역구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턴 인구 감소로 이웃 부안군과 공동 선거구를 구성하였는데, 선거구 개편으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31년 만에 정읍시와 한 선거구로 묶였다. 고창군수 출신인 무소속 이강수 후보는 고창군에서 60%의 득표를 올렸으나 정읍시장 출신의 현역 의원인 국민의당 유성엽 후보의 벽을 넘지 못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고창군 CI.svg 역대 고창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민주당민주당
이호종이강수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민주평화당더불어민주당
박우정유기상심덕섭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고창군 개표 결과
전라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관영조배숙(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811
(84.92%)
4,935
(15.07%)
+ 22,876
(△69.85)
72.85%
고창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심덕섭유기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584
(49.72%)
15,769
(47.28%)
+ 815
(△2.44)
72.85%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고창군
고창군 일원[고창]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9f4a5fef7b45624924eb900758be690[[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aff075630a02bbed130800cdbb9cf47[[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3da7fe58a420680b6bcd8f4970b6858[[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3,8771,21511,1827221,433
득표율61.38%3.12%28.74%1.85%3.68%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50,734
투표 수39,188
무효표 수289
투표율77.24%

19대 대선 전북 고창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877
(61.38%)
1,215
(3.12%)
11,182
(28.74%)
722
(1.85%)
1,433
(3.68%)
+12,695
(△32.64)
77.24%
고창읍63.31%2.90%27.40%2.11%3.81%35.9175.82
고수면57.42%2.58%33.81%1.14%3.78%△23.6178.26
아산면57.14%3.97%31.33%2.04%3.20%△25.8174.29
무장면60.78%3.62%31.30%0.68%2.15%△29.4871.65
공음면57.08%2.36%34.91%0.94%2.48%△22.1774.06
상하면59.94%2.88%30.13%1.38%3.0%△29.8174.37
해리면61.18%2.78%31.22%1.10%1.94%△29.9673.21
성송면60.72%3.59%29.91%1.63%2.85%△30.8174.07
대산면57.79%3.20%33.82%1.15%2.89%△23.9772.82
심원면60.48%3.42%29.75%1.77%2.99%△30.7372.54
흥덕면63.23%3.44%27.34%1.35%3.16%△35.8974.38
성내면59.80%3.05%30.05%0.99%3.89%△29.7575.21
신림면63.23%2.98%28.56%1.60%1.89%△34.6772.64
부안면58.54%3.79%32.54%1.34%2.04%△26.074.5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5.87%5.63%30.99%1.88%2.82%△24.88
관외사전투표64.20%3.01%21.42%3.69%7.24%△42.78
재외투표70.49%9.02%12.30%0.82%7.38%58.19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북 고창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33,000
(86.09%)
4,335
(11.30%)
28,665
(▲ 74.79)
고창읍
85.82%12.04%▲73.78
고수면
87.11%9.43%▲77.68
아산면
86.09%11.15%▲74.86
무장면
87.39%9.65%▲77.68
공음면
89.35%8.29%▲81.06
상하면
90.21%7.09%▲83.12
해리면
86.32%11.13%▲75.19
성송면
88.17%10.07%▲78.10
대산면
90.03%7.22%▲82.81
심원면
87.71%9.89%▲77.72
흥덕면
86.09%11.56%▲74.53
성내면
84.81%12.94%▲71.87
신림면
90.92%7.31%▲83.61
부안면
87.25%9.73%▲77.52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1.54%13.85%▲67.69
관외사전투표
79.39%17.28%▲62.11
국외부재자투표
75.73%19.42%▲56.31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정읍시·고창군[3][A][4]86.37%11.05%▲75.32

3.3. 총선[편집]



3.3.1. 고창군[편집]



3.3.2. 고창군·부안군[편집]



3.3.3. 정읍시·고창군[편집]


21대 총선 고창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읍시·고창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윤준병유성엽(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4,078
(75.07%)
7,995
(24.92%)
+ 16,083
(△50.14)
32,966
(67.09%)
고창읍73.75%26.24%△47.5164.25%
고수면71.89%28.10%△43.7968.15%
아산면68.88%31.11%△37.7865.97%
무장면77.51%22.48%△55.0264.45%
공음면80.19%19.80%△60.3965.54%
상하면81.58%18.41%△63.1765.20%
해리면79.10%20.89%△58.2163.20%
성송면72.93%27.06%△45.8865.52%
대산면78.39%21.60%△56.7963.67%
심원면76.11%23.88%△52.2364.98%
흥덕면75.60%24.39%△51.2166.32%
성내면63.04%36.95%△26.1066.68%
신림면76.25%23.74%△52.5164.94%
부안면77.01%22.98%△54.0364.01%
후보윤준병유성엽격차
거소·선상투표68.08%31.91%△36.17
관외사전투표76.97%23.02%△53.95
재외투표72.22%27.77%△44.44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372
(4.45%)
18,674
(60.57%)
2,531
(8.21%)
848
(2.75%)
2,154
(6.98%)
+ 15,720
(△50.99)
32,975
(67.08%)
고창읍4.44%61.08%8.88%3.24%7.96%△52.1464.25%
고수면4.11%59.91%9.49%3.06%6.88%△50.4168.19%
아산면5.11%54.74%8.06%2.21%7.46%△42.8365.97%
무장면4.46%60.79%9.00%1.69%6.29%△50.5864.45%
공음면3.45%64.75%7.28%1.91%5.15%△55.2665.53%
상하면2.96%61.51%8.19%1.87%6.32%△51.9965.20%
해리면3.43%64.48%7.73%1.85%5.55%△53.9063.20%
성송면4.80%62.26%6.44%1.84%6.54%△50.9265.52%
대산면3.27%66.55%6.83%2.27%4.50%△57.1763.67%
심원면4.06%64.57%8.43%3.25%5.25%△56.1464.98%
흥덕면5.19%60.91%6.00%3.09%5.36%△51.5266.32%
성내면6.22%53.96%5.84%2.35%3.96%△42.7466.68%
신림면3.49%63.23%8.82%1.83%6.98%△54.4164.94%
부안면4.11%63.15%6.86%1.95%5.85%△54.0564.01%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7.07%50.44%4.42%3.98%2.65%△30.97
관외사전투표5.91%52.29%9.93%3.98%11.05%△41.24
재외투표12.00%40.00%8.00%0%28.00%△36.00





[1] 문재인 64.84%, 안철수 23.76%.[2] 문재인 60.43%, 안철수 30.42%.[고창] [3] 정읍시 일원, 고창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4] 지역구 국회의원 :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