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무주군 CI.svg 전라북도 무주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무주군 전역 + 완주군, 진안군, 장수군 전역
도의원무주군무주군 전역

2. 개요[편집]


현재 호남권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호남에서는 광양시와 함께 보수 정당이 그나마 힘을 쓰는 곳이다. 보수 성향이 강한 경상북도 김천시, 충청북도 영동군과 인접해 생활권과 문화, 정서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 그 배경으로 파악된다.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래 치러진 6개 대통령 선거 결과를 보면 무주군과 광양시가 보수 정당 후보의 득표율 1위를 세 차례씩 가져갔다.[1] 하지만 제19대 대통령 선거 이후로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20대 대통령 선거 등에서 모두 광양시보다 보수 정당 득표율이 높았으므로 현재에는 광양시보다 보수 정당 지지세가 더 강하다.

다만 이는 호남 내에서 상대적으로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하다는 것일 뿐,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문재인 후보가 77.07%를 득표해 박근혜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이상으로 앞섰으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홍준표 후보와 유승민 후보가 도합 10% 정도 밖에 득표하지 못했다.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의 득표율이 정의당에 밀린 3위를 기록하는 등, 보수 정당의 득표율이 하락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이 비례대표 득표율 10.07%을 올리며 호남 지역에서 미래통합당이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한 유일한 지역이 되며 다시 한번 호남 지역에서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임을 입증하였다. 한편으로 이 선거에서 뜬금 없이 우리공화당의 비례대표 득표율이 전국 1위를 기록했다.(3.1%)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윤석열 후보는 다른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11%~15%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이 지역에서는 20%에 근접한 득표율을 기록했다.[2]

국회의원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민주당계 정당에서 당선인을 배출하고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무주군 개표 결과
전라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후보김관영조배숙
득표수
(득표율)
11,971
(77.98%)
3,381
(22.02%)
8,590
(▲55.96)
무주읍
78.04%21.96%▲56.08
무풍면
71.93%28.07%▲43.86
설천면
76.72%23.28%▲53.44
적상면
77.30%22.70%▲54.60
안성면
82.61%17.39%▲65.22
부남면
77.01%22.99%▲54.02
후보김관영조배숙
거소·선상투표
86.61%13.39%▲73.22
관외사전투표
77.23%22.77%▲54.46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관영조배숙격차
완주군·진안군·
무주군·장수군
[3][A][4]
81.67%18.33%▲63.34

무주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황의탁서정호황인홍(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21
(36.50%)
837
(5.34%)
9,114
(58.15%)
- 3,393
(▼21.65)
76.44%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주군
무주군 일원[무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ef0327d29dfae100751f4ed0a042790[[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55d2f7b50e30f9c9a01207dc6b410e3[[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85230e0cbadc11a6fbff0514e224863[[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3811,2253,998434723
득표율61.36%7.24%23.63%2.56%4.27%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21,591
투표 수17,019
무효표 수101
투표율78.82%

19대 대선 전북 무주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381
(61.36%)
1,225
(7.24%)
3,998
(23.63%)
434
(2.56%)
723
(4.27%)
+6,383
(△37.73)
78.82%
무주읍62.21%6.91%23.62%2.23%4.41%△38.5977.27
무풍면54.94%10.17%27.44%3.27%3.27%△27.5075.68
설천면60.03%7.97%24.15%2.66%4.41%△35.8876.41
적상면61.43%8.28%26.49%1.59%1.53%△34.9476.57
안성면66.64%5.03%21.28%1.64%4.06%45.3675.64
부남면57.29%8.86%27.80%2.47%2.02%△29.4974.4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7.45%10.95%29.20%4.38%0.73%△18.25
관외사전투표60.76%6.57%19.39%4.63%7.80%△41.37
재외투표66.15%0%[B]15.38%4.62%10.77%50.77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북 무주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3,292
(76.97%)
3,426
(19.84%)
9,866
(▲57.13)
무주읍
77.76%18.97%▲58.79
무풍면
71.84%24.83%[5]▲47.01
설천면
76.64%20.27%▲56.37
적상면
76.74%20.62%▲56.12
안성면
83.48%13.62%▲69.87
부남면
77.28%19.71%▲57.57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6.19%19.05%▲57.14
관외사전투표
70.41%25.77%▲44.63
국외부재자투표
76.36%21.82%▲54.55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완주군·진안군·
무주군·장수군
[6][A][7]
83.54%13.74%▲69.80

전라북도에서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이번에도 역시 그 사실이 증명되었다. 특히 무풍면에선 윤석열 후보가 무려 24.83%를 얻었다. 반대로 이재명 후보는 호남권에서 유일하게 80% 미만으로 얻었다.

3.3. 총선[편집]



3.3.1. 진안군·무주군·장수군[편집]



3.3.2.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편집]



3.3.3.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편집]


21대 총선 무주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안호영임정엽(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354
(54.33%)
6,118
(39.79%)
+ 2,236
(△14.54)
15,675
(72.83%)
무주읍52.02%43.24%△8.7870.53%
무풍면44.53%48.50%▼3.9871.61%
설천면53.22%41.60%△11.6270.58%
적상면48.12%45.54%△2.5871.39%
안성면64.66%30.31%△34.3570.60%
부남면52.85%40.04%△12.8074.79%
후보안호영임정엽격차
거소·선상투표43.28%53.73%▼10.45
관외사전투표66.03%22.90%△43.14
재외투표60.00%20.00%△40.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460
(10.07%)
7,492
(51.67%)
1,763
(12.16%)
478
(3.29%)
939
(6.47%)
+ 5,729
(△39.52)
15,675
(72.80%)
무주읍9.74%50.70%13.63%3.81%7.68%△37.0770.53%
무풍면14.03%47.57%11.91%3.18%4.24%△33.5371.61%
설천면10.97%52.05%12.39%3.12%6.19%△39.6570.61%
적상면10.26%49.30%10.40%2.98%4.29%△38.9071.39%
안성면7.13%57.89%10.25%2.27%6.49%△47.6370.60%
부남면8.81%55.41%8.43%1.13%5.03%△46.6074.79%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10.56%53.65%16.26%2.43%4.06%△37.40
관외사전투표11.69%48.09%13.72%5.44%7.55%△34.36
재외투표17.64%17.64%5.88%0%41.17%▼23.53





[1] 무주군은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16대 대통령 선거, 제18대 대통령 선거, 광양시는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17대 대통령 선거.[2] 이재명 후보가 호남권에서 유일하게 80% 이상을 득표율을 얻지 못한 지역이다.[3] 완주군 일원,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A] A B 관외투표 제외.[4] 지역구 국회의원: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재선).[무주] [B] 실제로 단 1표도 득표하지 못했다.[5] 전라북도 읍면동 윤석열 최다 득표율.[6] 완주군 일원,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7] 지역구 국회의원 :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