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잃을 상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2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も,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표준 중국어
sāng, sà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喪의 획순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喪은 '잃을 상'이라는 한자로, '잃다', '죽다', '상례(喪禮)'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잃다
중국어표준어sāngsàng
광동어song1song3
객가어sôngsong
민북어só̤ngso̤̿ng
민동어sŏngsáung
민남어song[文] / sng[白]sòng
오어saan (T1)saan (T2)
일본어음독ソウ
훈독も,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베트남어tangtáng

유니코드에는 U+55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RRV(土口口女)로 입력한다.

원래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뽕나무 사이에 (입 구) 여러 개가 끼어 있는 형태로 그려져, 뜻을 나타내는 (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뽕나무 상)이 합쳐진 형성자였다. 금문에 이르면 밑에 (망할 망)이 추가되는데, 이는 뜻과 소리를 동시에 나타낸다. 소전에서 桑이 일그러져 (개 견)과 같은 형태가 되고, 예서에서 형태가 전체적으로 뭉개져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장례', '상'(喪)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잃다', '죽다'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잃을 서)
  • (잃을 실)
  • (잃을 운)
  • 𢖑[⿰彳賛](잃을 찬)


5. 상대자[편집]


  • (얻을 득)
  • (얻을 수)
  • 𨵍[⿵門沾](얻을 점)
  • 𤇠[⿱乎灬](얻을 호)
  • (얻을 획)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두려워할 외)
  • (긴 장)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𩦌[⿰馬喪](꼬리흰누런말 상)[1]
  • 𦅇[⿰糸喪](담황색 상)
  • 𣾓[⿰氵喪]
  • 𰘧[⿰木喪]
  • 𫟣[⿰𧾷喪]
  • 𬦟[⿺走喪]
  • 𰷑[⿰貝喪]
  • 𫛑[⿰喪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43:5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꼬리흰누런말 상)의 동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