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

덤프버전 : (♥ 0)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 노스롭 그루먼의 항공기 ]


||<-2><tablewidth=100%><bgcolor=#007ea5> 군용기 ||
||<colbgcolor=#8ec7d0,#2e6771> 전투기 || P-61 블랙위도우F-89 스콜피온
F4F 와일드캣F6F 헬캣F7F 타이거캣F8F 베어캣
F9F 팬서F9F 쿠거F-11 타이거F-5 타이거 IIF-14 톰캣YF-17 코브라FA-18 호넷F-20 타이거샤크YF-23 블랙위도우 II ||
|| 공격기 || A-6 인트루더/EA-6 프라울러YA-9A-10 ||
|| 폭격기 || B-35 플라잉 윙B-49 플라잉 윙B-2 스피릿B-21 레이더 ||
|| 수송 || C-2 그레이하운드 ||
|| 조기경보통제기 || E-2 호크아이E-8 조인트 스타스 ||
|| 대잠초계기 || S-2 트랙커 ||
|| 무인기 || RQ-4 글로벌 호크RQ-180X-47 ||
|| 훈련기 || T-38 탤론 ||
||<-2><bgcolor=#999999,#666666> 그루먼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단발기 || 그루먼 FF그루먼 F3F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 XF5F 스카이로켓 ‧ XP-50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경헬기S-52, H-19
다목적헬기UH-1E/N
수송헬기CH-46, CH-53
공격헬기AH-1G/J/W
대잠헬기SH-2, SH-3, SH-60
제공 전투기1세대FJ-1, FJ-2, FJ-4, F2H(F-2), F9F-2, F7U, F9F-6
2세대F3H-1/2(F-3), F-11, F8U, F4D(F-6)
3세대F-4A/B/J/N/S, F-111B
4세대F-18A/B/C, F-14A/B/D
해병전투기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F3D-2Q(F-10), EA-6B, EP-3
수송기C-1, C-2
공중급유기KC-130
해상초계기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E-1, E-2C/D, E-6
훈련기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S-2 Tracker.jpg
[1]

1. 개요
2. 제원
3. 개발 및 운용
3.1. 운용국
4. 파생형
5. 관련 문서
6. 가상 매체
7. 둘러보기
8. 참고 링크


1. 개요[편집]


미국의 방위사업체 노스롭 그루먼이 1954년 개발한 대잠초계기. 애칭은 '트래커(Tracker)'이다[2].


2. 제원[편집]


Grumman S-2 (S2F) Tracker
※ S2F 시절의 기준

  • 전 장 : 13.26m (43 ft 6 in)
  • 전 고 : 5.33m (17 ft 6 in)
  • 주익 전장 : 22.12m (72 ft 7 in)
  • 주익 면적 : 4.51㎡ (485 sq ft)
  • 최대 중량 : 10,630kg (23,435 lb)
  • 비무장시 중량 : 8,308kg (18,315 lb)
  • 최대 이륙 중량 : 11,860kg (26,147 lb)
  • 동 력 (엔 진) : 1,137kW (1,525 hp) 출력의 9행정 공랭식 라이트 R-1820-82WA ×2 (Wright R-1820-82WA)
  • 최대 속도 : 해표면에서 280 mph 당 450km/h (243 kn)
  • 순항 속도 : 150mph 당 240km/h (130 kn)


3. 개발 및 운용[편집]


S-2A 트래커는 미해군 항모용 신세대 대잠 공격기 구상에 따라 나온 첫 기종이다. 육상 기지의 대잠 초계기로서는 아무래도 초계영역 바깥에 있는 적을 파괴시키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구상은 속도의 비중을 낮추는 대신 긴 항속거리와 다양한 무장을 감당해낼 수 있는 능력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초계를 위한 탐지기를 장비하여, 그루먼 AF-2 가디언 2기로 수행하는 적 잠수함의 초계/격퇴의 개념을 대체한다는 목적도 있다. 이 목적에 부합시키기 위해, 동시기에 두 종류의 프로토타입 생산을 명령하였다.

따라서 1950년 6월 30일 그루먼사는 XS2F-1형 2기와 S2F-1형 15기를 제조했다. 한국전쟁과 공산 진영의 위협에 따라 급속히 진행된 이 계획은 뉴욕 베스피지 공장으로부터 기체를 공수해와 1952년 12월 4일 해군과 그루먼사로부터 성공적인 시험비행을 하게 된다. 예전보다 크기가 작아지고, 레이더 탐색이라는 진보된 전자기술, 기체 하부에 적재하여 장착할 수 있는 자기 이형 탐지기(MAD), 순간 전자 대응 위치 탐지기(ECM), 음파탐지기와 기체 오른쪽 날개에 단 커다란 서치라이트에, 폭탄, 수뢰, 어뢰, 로켓과 같은 완전무장을 완성하였다.

1954년 2월 트래커로 교체된 VS-26 비행중대가 탄생하게 된다. 1958년 해군은 특수한 ASW 작전을 위해 각각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부터 헬리콥터 중대와 연계된 각각 20기로 이루어진 2개 VS 비행중대(CVS)가 탄생하여 기체 수가 늘어났으며, 항모탑재기 목적상 접이식 날개가 제공되었다. S-2 트래커는 단거리 이착륙에 맞는 플랩, 슬롯, 스포일러가 지원되었고, 엔진 하나로도 비행할 수 있도록 커다란 러더(방향타)가 장비되게 되었다. 어뢰와 핵무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더 커진 폭탄창을 단 S2S-2형을 포함한 S2F-1형 755기를 그루먼사로부터 조달받았다.

그리하여 일본이 S2F-1형 60기를 구입하는 동안 미국의 동맹국캐나다에서 100대를 시험적으로 면허 생산하도록 하였다. 네덜란드이탈리아에 각각 26대, 브라질도 자체 항모용으로 13대를 구입하였고, 우루과이, 태국, 대만, 아르헨티나 또한 시험적으로 구입하였다. 조달하는 동안 많은 기체가 그루먼사의 기본 방침에 따라 E-1A 트레이서 조기경보기를 통해 C-1A 트레이더와 COD(항모에 실어 운반하는 것)의 형태로 특별하게 제공되었다.
Stoof (S-TWO-F)로 불리는 이 행위는 1957년 해군과 그루먼사의 계획에 따라 2세대 기종과 1962년 S-2D형의 표준안이 잡히기 전의 새 기종인 S2F-3형까지 독특하게 이루어진다. 1959년 5월 21일에는 자동 전파 발신 부표, 수중 핵 폭뢰, 더욱 진보한 탐지기를 달 수 있게 된다. 새롭게 계산된 전술 항법 시스템과 그 외 여러 부분이 향상된 S2-E형으로 더욱 업그레이드된다. 그루먼사는 호주 해군에 14기를 납품하는 동안 S2-D형 100기와 S2-E형 228기를 해군에 조달하였다. 초기의 에어프레임(엔진을 뺀 나머지)을 변경하고 개량한 것이 S-2G형과 S2-E형이다.

1976년 8월 30일, S-2G형을 마지막 함대에게 제공하는 것을 끝으로, 모두 제트 엔진인 록히드 S-3 바이킹의 VS-37 비행중대에게 임무를 넘기고 점차 퇴역하게 된다. C-1 트레이더와 E-1 트레이서 역시 C-2 그레이하운드와 E-2 호크아이로 제각기 인계된다. 미 해군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퇴역한 S-2 트래커의 잔여 기체는 미 정부에 의해 캘리포니아 삼림소방청에서 쓰이게 된다. 이것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운용되고 있으며 개릿 터보프롭 엔진의 이 구형 기체를 꾸준히 개장시키고 있다. 실제로, 이 기체들중 몇몇은 미군보다 오히려 CDFFP(캘리포니아 삼림소방청)에서 더 오래 쓰이고 있고 기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도 군용과 민용으로 현재 운용되고 있다.


3.1. 운용국[편집]


냉전 초반에 나온 대잠초계기인지라 많은 1세계 국가들이 운용하였다.
  • 미군
  • 일본 해상자위대
  • 아르헨티나 (현역)
  • 브라질 (현역)
  • 캐나다 공군
  • 호주 공군
  • 이탈리아
  • 타이완
  • 페루
  • 우루과이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태국
  • 튀르키예


3.1.1. 대한민국 해군의 운용[편집]


파일:S-2 korean.jpg

공군이 1970년 5월부터 1971.12월까지 8대를 도입, 운용하다가 1976년 1월에 해군항공대에 이관하였고, 이후 1976년 8월부터 1982년까지 23대를 추가 도입하여 총 31대를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는 너무나 노후화되어서, 1995년 P-3 오라이언으로 대체되기 시작해 2001년까지 해상초계 및 대잠수함 공격용으로 운용한 바 있다.

공군에 C-123이 있었다면 해군에는 S-2가 있다고 할 정도로 불미스러운 사고도 일어난 기종이기도 한데, 1976년 5월 25일에 추락사고를 일으켜 초대 비행대대장 등이 순직했고, 1989년에도 추락하여 탑승자 4명이 순직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P-3 오라이언이 도입되면서 모두 퇴역하여 잔존 기체들은 각 함대사령부 같은 규모가 큰 부대 부지에 전시되어있다. 그 중 S-2 트래커 한대는 용산 전쟁기념관 야외에 전시되어있다.


4. 파생형[편집]


  • C-1 트레이더
S-2 트래커의 수송기 개조형. C-2로 대체된다.

  • E-1 트레이서
S-2 트래커의 조기경보기 개조형. E-2로 대체된다.


5. 관련 문서[편집]




6. 가상 매체[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경헬기S-52, H-19
다목적헬기UH-1E/N
수송헬기CH-46, CH-53
공격헬기AH-1G/J/W
대잠헬기SH-2, SH-3, SH-60
제공 전투기1세대FJ-1, FJ-2, FJ-4, F2H(F-2), F9F-2, F7U, F9F-6
2세대F3H-1/2(F-3), F-11, F8U, F4D(F-6)
3세대F-4A/B/J/N/S, F-111B
4세대F-18A/B/C, F-14A/B/D
해병전투기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F3D-2Q(F-10), EA-6B, EP-3
수송기C-1, C-2
공중급유기KC-130
해상초계기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E-1, E-2C/D, E-6
훈련기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전투기4세대F-14(A/B/D)R, F/A-18(A/BR, C/D)해병
4.5세대F/A-18E/F
5세대F-22N, F-35B해병, F-35C
6세대{F/A-XX}
공격기A-12, AV-8B/AV-8B+해병
수송기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조기경보기E-2C/D, E-6
대잠초계기P-3C, P-7, P-8A, S-3R, S-2R
정찰기HC-144해경
공중급유기KC-130
전자전기EA-6BR, EA-18G, EP-3
훈련기프롭DHC-3, T-34, T-44A, T-6 II
제트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헬리콥터TH-57, UH-72
가상적기F-21AR, F-16(A/B), (T)F-16N
다목적기UC-35D
무인기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파일:대한민국 공군 라운델(저시인성).pn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회전익기 경헬기OH-23GA/M(R), 500MD 디펜더A, Bo 105CBS-5A, {LAH}A, OH-58BN/R, 벨 505
다목적 헬기UH-19DA/R, UH-1(B/N/H)R, UH-60PA/N/HH-60PAF, 벨 412, HH-32AAF, KUH-1A/KUH-1M/MUH-1M
수송헬기CH-47(D/NE/{F})A/HH-47DAF
공격헬기AH-1(JR/S)A, AH-64EA, {상륙공격헬기M}
대잠헬기
N
SA 319BR, 슈퍼 링스 Mk.99(A/U), AW159, {MH-60R}
경찰헬기
P
500MDR, 벨 206(BR/B3R/L3), 벨 212R, ANSATR, 벨 412SPR, Ka-32C, Mi-172, A109C-MAX, AW-119 MK2, KUH-1(P/CG), S-92, AS565, AW139
전투기프롭F-51DR
1세대F-86D/FR
2세대F-5A/BR
3세대F-4(DR/E), F-5(E/F)/KF-5(E/F)
4세대/4.5세대F-16(C/D)/KF-16(C/D/U(V)), F-15K, FA-50, {KF-21}
5세대F-35A,{F-35B}, {KF-21 보라매 Block 3}
공격기A-37BR, AT-33R
수송기C-123KR, C-54ER, C-47R, C-46R, C-212P, C-130(HR/H-30/J-30/MC-130K), CN-235(-100M/-220M)AF/P, {C-390}
드론SUAV티로터A, RQ-103KA
UAVKUS-7(RQ-7)N/R, RQ-101A, 서쳐 IIA, 헤론A, RQ-102K 참매A, {CUAV-II}A, {MQ/RQ-105K MUAV}, RQ-4B, VELOS V2P, 루펠 EP, S-100N
UCAV하피, {KUS-X}, {UCCR}
지원기조기경보기E-737
해상초계기S-2EN/R, 해취호N/R, SX-1 서해호N/R, SX-2, SX-3 제해호N/P(R), P-3(C/CK)N, CL-604P, {P-8AN}
전선통제기
연락기
U-9(C/F)R, O-2AR, O-1(A/E/G)R, L-20(U-6)(A/N)R, L-5R, L-4R, SX-5 통해호R, KA-1, OV-10
정찰기RF-86FR, RF-4CR, RF-5AR, EC-47QR, RF-16C/D, RC-800(B/G), 팰콘 2000S, RA-50
공중급유기KC-330
전자전기{한국형 SOJ 전자전기}
훈련기프롭창공-91, Ki-9교통부/R, T-103R, T-41DR, T-28AR, T-6R, TF-51DR, 부활호R, 새매호R, KT-1, KT-100, CARV-IIIN
제트T-33AR, T-37CR, T-59R, T-38L/R, T-50/TA-50
가상적기J-7R, MiG-19R, Il-28/H-5R, L-2, MQM-107
특수목적기고정익기 L-26R, VC-54R, VC-118R, HS-748, VCN-235, 보잉 737-3Z8/{737 MAX 8L}, 보잉 747-4B5L/R/747-8B5L
회전익기 H-13R, UH-19DR, UH-1(B/N/H)R, 벨 212R, 벨 412SPR,AS332L2, VH-60P, VH-92
※ 윗첨자R/(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고려/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경 운용(육A/해N/공AF/해병M/경찰, 해경P), 별개 표시 없을시 공군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대만 국장.svg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中華民國 國軍
회전익기 경헬기500MD, OH-58D, TH-67A, OH-6A육/R, TH-55A육/R
다목적 헬기EC225, S-70(C-1/C-6)/UH-60M, H-5R, UH-1(BR/H), UH-34D육/R
수송헬기CH-47SD
공격헬기AH-1W, AH-64E
대잠헬기S-70C(M)-1/2
전투기프로펠러기호크 IIIR, P-40R, P-51R
1세대F-84GGR, F-86(D/F)R
2세대F-100AR, F-104(A/B/D/G/J/DJ)R, F-5A/BR
3세대F-5E/F
4세대 / 4.5세대미라주 2000-5(EI/DI), F-CK-1(A/B, C/D), F-16(A/B/{V})
공격기XA-3, AT-3BR
폭격기모스키토 FB.26R, B-24MR, PB4Y-2R, B-25(C/D/J)R
수송기C-130H, C-123KR, C-119(G/L)R, C-54(D/G)R, C-47R, C-46R
비행정HU-16R
무인기SUAV홍작미-(1/2)형
UAV예연 II육/해, {등운}
지원기조기경보기E-2T/K
해상초계기P-3C, S-2(A/E/G/T)R
전선통제기 / 연락기O-1육/R, L-5R
정찰기RF-16A, RF-5E, R-CH-1R, RB-69AR, RB-57(D/F)R, RF-104R, RF-101AR
전자전기C-130HE
훈련기프롭T-34, T-CH-1R, T-28AR, AT-11R AT-6R, PL-1(A/B)육/공
제트{XT-5}, AT-3, T-38AR, TF-104GR, T-33R
특수목적기보잉 737-800, 포커 50, 비치크래프트 1900C, 보잉 727R, 보잉 720BR VC-118R VC-4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브라질라운델.png 현대 브라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S550, H-36, AS565
수송헬기H-36, AS532
공격헬기AH-2 세이버R
대잠헬기Mk.21A 씨 링스, S-70B, H-36
전투기1세대글로스터 미티어R, P-80 슈팅스타R
2세대F-5R
3세대미라주 IIIR, F-5E/FM
4세대 / 4.5세대F-39 그리펜
공격기AF-1B, AMX 인터내셔널 AMX, A-29A 슈퍼 투카노
수송기C-130M, KC-390
지원기조기경보기E-99M
대잠초계기S-2E 트래커해/R, P-3CAM, P-95
정찰기R-99
공중급유기KC-130H, {KC-30}
무인기UAVIAI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훈련기프롭EMB 312 투카노, A-29B 슈퍼 투카노
제트AMX 인터내셔널 AMX, F-5F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현대 호주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공격헬기AH-1G, 타이거 ARH, {AH-64E}
수송헬기CH-47CR, UH-1B/D/HR, S-70A-9R
전투기1세대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호커 P.1081
2세대CAC CA-23
3세대미라주 IIID/O(A)/O(F)R, F-4ER
4세대 / 4.5세대F/A-18A/BR, F/A-18F, F-111A/C/GR
5세대F-35A
폭격기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수송기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지원기조기경보기E-7A 웨지테일
대잠초계기P2V-4/5/7R, P-3B/C, AP-3C, TAP-3B, P-8A
정찰기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공중급유기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전자전기AP-3C, EF-18A
무인기UAV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MQ-4C
UCAV{MQ-28}
훈련기프롭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제트MB-326HR, 호크 127
특수목적기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현대 튀르키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회전익기 경헬기OH-58C
다목적 헬기UH-1D/N, UH-60, AS332, AS532 쿠거, T-70, AB206, Mi-8MT, {T-625 괴크비}
수송헬기CH-47F
공격헬기AH-1P/S/W, T-129 ATAK, {T-629}, {T-929 ATAK 2}
대잠헬기AB-212, SH-60B
전투기1세대F-84GR
2세대F-100C/D/FR, F-102AR, F-104GR
3세대F-4E-2020 터미네이터, F-5A/B/2000R
4세대 / 4.5세대F-16C/D, F-16C/D 블록 50+
5세대F-35A, {}
수송기C-160, C-130H, CN-235 M-100, A400M
지원기조기경보기E-7T 피스 이글
대잠초계기ATR 72 MPA
정찰기RF-4ER
공중급유기KC-135 R-CRAG
무인기SUAV바이락타르 Malazgirt, 바이락타르 미니 UAV, TAI Martı
UAVTAI 바이쿠스, TAI Gözcü, IAI 헤론, TAI IHA-X2, TAI 케클릭, TAI Şimşek, 바이락타르 TB1, TAI Turna, 베스텔 Karayel
UCAV바이락타르 TB2, 바이락타르 아큰즈, TAI 앙카-S, TAI 악숭구르, {바이락타르 크즐에마}, {앙카-3}
훈련기프롭KT-1T, 휴르커스, SF.260D, MFI-395 슈퍼 무샤크
제트T-38, NF-5A/B, {휴르제트}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8. 참고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21:00:04에 나무위키 S-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미 해군의 트래커[2] 적잠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수색꾼"이나 "경찰견"(군견)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