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제이 블라이즈

덤프버전 : (♥ 0)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밥 딜런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프린스엘비스 프레슬리제임스 브라운스티비 원더
11위12위13위14위15위
밥 말리데이비드 보위더 후너바나비치 보이스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돈나핑크 플로이드U2마빈 게이
21위22위23위24위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더 클래시AC/DC벨벳 언더그라운드척 베리
26위27위28위29위30위
닐 영아레사 프랭클린엘튼 존라디오헤드에어로스미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존 레논블랙 사바스건즈 앤 로지스티나 터너조니 캐시
36위37위38위39위40위
폴 매카트니플리트우드 맥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킹크스폴리스
41위42위43위44위45위
밴 헤일런메탈리카레이 찰스조니 미첼알 그린
46위47위48위49위50위
라몬즈JAY-Z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팔리아멘트-펑카델릭샤데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빌리 조엘비욘세리틀 리처드퍼블릭 에너미피터 가브리엘
56위57위58위59위60위
키스스투지스칩 트릭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휘트니 휴스턴
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림제네시스노토리어스 B.I.G.토킹 헤즈도어즈
66위67위68위69위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콜드플레이오티스 레딩투팍 샤커데프 레파드
71위72위73위74위75위
R.E.M.재니스 조플린밴 모리슨더 큐어러시
76위77위78위79위80위
Run-D.M.C.레너드 스키너드주다스 프리스트에미넴메리 제이 블라이즈
81위82위83위84위85위
ABBA스틸리 댄어스 윈드 & 파이어커티스 메이필드더 밴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N.W.A.조지 마이클비 지스비스티 보이즈엘비스 코스텔로
91위92위93위94위95위
그린 데이LL Cool J펄 잼머라이어 캐리아웃캐스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저니프리텐더스디페시 모드홀 앤 오츠앨리샤 키스
출처
같이 보기: 하드 록 아티스트




[ 1위 – 125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엘튼 존머라이어 캐리마돈나
6위7위8위9위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테일러 스위프트스티비 원더시카고
11위12위13위14위15위
휘트니 휴스턴폴 매카트니엘비스 프레슬리자넷 잭슨로드 스튜어트
16위17위18위19위20위
드레이크프린스리아나빌리 조엘가스 브룩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허브 앨퍼트에미넴어셔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슈프림즈이글스비 지스비치 보이스플리트우드 맥
31위32위33위34위35위
산타나템테이션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홀 앤 오츠
36위37위38위39위40위
아델비욘세에릭 클랩튼라이오넬 리치레드 제플린
41위42위43위44위45위
브루노 마스존 덴버마룬 5올리비아 뉴튼 존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필 콜린스다이애나 로스밥 딜런존 멜렌캠프JAY-Z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나 서머니켈백보이즈 투 멘카펜터즈저스틴 비버
56위57위58위59위60위
레이디 가가포리너브리트니 스피어스핑크앨리샤 키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케이티 페리마일리 사이러스잭슨 파이브어스 윈드 앤 파이어마빈 게이
66위67위68위69위70위
U2린다 론스태드밴 헤일런밥 시거에어로스미스
71위72위73위74위75위
블랙 아이드 피스넬리캐롤 킹저스틴 팀버레이크몽키즈
76위77위78위79위80위
케니 로저스하트팀 맥그로배리 매닐로R. 켈리
81위82위83위84위85위
저니사이먼 앤 가펑클마이클 볼튼에드 시런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핑크 플로이드메리 제이 블라이즈카니예 웨스트쓰리 도그 나이트
91위92위93위94위95위
코모도스폴라 압둘브라이언 아담스크리스 브라운건즈 앤 로지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데프 레파드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린킨 파크제임스 테일러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101위102위103위104위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폴 사이먼백스트리트 보이즈릴 웨인캐리 언더우드
106위107위108위109위110위
앤디 윌리엄스스틱스조지 마이클셰어TLC
111위112위113위114위115위
샤니아 트웨인두비 브라더스포 시즌스피터 폴 앤 메리케니 체스니
116위117위118위119위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50 센트레이 찰스제네시스더 폴리스
121위122위123위124위125위
래스컬 플래츠루다크리스글로리아 에스테판조지 해리슨앨런 잭슨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앨범,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파일:Grammy.svg그래미 어워드
9회 수상
[1]
[ 펼치기 · 접기 ]
최우수 R&B 앨범상
제48회
(2006년)
제49회
(2007년)
제50회
(2008년)
"Get Lifted" - 존 레전드"The Breakthrough" - 메리 제이 블라이즈"Funk This" - 샤카 칸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
제48회
(2006년)
제49회
(2007년)
제50회
(2008년)
"We Belong Together" - 머라이어 캐리"Be Without You" - 메리 제이 블라이즈"No One" - 앨리샤 키스

[ 1위 – 100위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스 브룩스엘튼 존
6위7위8위9위10위
머라이어 캐리허브 앨퍼트테일러 스위프트시카고마이클 잭슨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드 제플린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로드 스튜어트에미넴휘트니 휴스턴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리 조엘마돈나산타나이글스플리트우드 맥
21위22위23위24위25위
밥 딜런스티비 원더셀린 디옹에릭 클랩튼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존 덴버핑크 플로이드자넷 잭슨프린스캐롤 킹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일리 사이러스니켈백팀 맥그로밴 헤일런비치 보이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U2아델엘비스 프레슬리브리트니 스피어스어셔
41위42위43위44위45위
템테이션스린킨 파크JAY-Z앨런 잭슨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건즈 앤 로지스샤니아 트웨인캐리 언더우드몽키즈에어로스미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슈프림즈앨리샤 키스메탈리카데프 레파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린다 론스태드저니메리 제이 블라이즈제쓰로 툴
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포리너존 멜렌캠프사이먼 앤 가펑클케니 체스니
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앤디 윌리엄스조지 스트레이트백스트리트 보이즈마이클 볼튼
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라이오넬 리치아레사 프랭클린요세프/캣 스티븐스밥 시거
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2 출처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여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테일러 스위프트케이티 페리다이애나 로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도나 서머코니 프랜시스비욘세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레이디 가가디온 워윅
21위22위23위24위25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트셀린 디옹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아델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
31위32위33위34위35위
모니카
헬렌 레디
신디 로퍼니키 미나즈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
36위37위38위39위40위
메리 제이 블라이즈티나 터너케샤데비 깁슨시나 이스턴
41위42위43위44위45위
칼리 사이먼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
46위47위48위49위50위
나탈리 콜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팻 베네타에이브릴 라빈조디 워틀리샤카 칸페이스 힐
56위57위58위59위60위
미시 엘리엇에이미 그랜트스티비 닉스캐롤 킹쥬스 뉴턴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90년대 아티스트
91위



역대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최우수 버라이어티 스페셜상 (생방송)
제73회
(2021년)
제74회
(2022년)
제75회
(2023년)
스티븐 콜베어
(스티븐 콜베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특집)
닥터드레, 스눕 독, 메리 제이 블라이즈, 에미넴, 켄드릭 라마, 50 센트
(펩시 슈퍼볼 LVI 하프타임 쇼)
[2]




||
[ 펼치기 · 접기 ]

이름메리 제이 블라이즈
MARY J. BLIGE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2018년 1월 11일
위치6201 Hollywood Blvd.




[1] 총 37회 후보 지명[2] 메인 출연자 자격으로 수상.

메리 제이 블라이즈
Mary J. Blige
파일:imgmjb.jpg
본명Mary Jane Blige
메리 제인 블라이즈
출생1971년 1월 11일 (53세)
뉴욕주 뉴욕시 브롱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데뷔1992년 1집 What's the 411?
활동 기간1988년 ~ 현재
장르힙합, 소울, R&B
신체175cm
배우자켄두 아이작 (2003-2018: 이혼)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서명파일:marylogo-e1566065566308.png

1. 개요
2. 상세
3. 생애
3.1. 데뷔 이전
4. 영향력
4.1. 그가 영향을 받은 사람
4.2. 그가 영향을 준 사람
5. 디스코그래피
5.1. 앨범
5.2. 싱글
6. 여담



1. 개요[편집]



Queen of the Hip-hop soul

미국의 아티스트. Queen of the Hip-hop soul[1]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200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 중 하나로 꼽힌다.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목소리는 정말 이 장르를 하기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소울풀하다. 특히 힙합 소울과 알앤비에서 그녀의 실력이 보인다. 전세계적으로 450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올리는 등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가수이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엄브렐러 아카데미(드라마) 등에 출연하며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하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슈퍼볼 56의 하프타임 쇼에 닥터 드레, 켄드릭 라마, 에미넴, 스눕 독, 즉 닥터 드레 사단과 함께 공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2. 상세[편집]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자선가이다. 1991년 Uptown Record사에서 데뷔를 했고, 지금까지 13개의 앨범을 발매하였으며, 그중 8개는 전세계적으로 멀티플래티넘을 받았다. 지금까지 9개의 그래미상, 세번의 골든글로브상을 받았다. 그리고 두번이나 아카데미 시상식에 노미네이트되었다.

1992년에 첫 앨범인 'What's the 411?'으로 데뷔했고, 1994년도에 두번째 앨범 'My Life'가 발매되었다. 두 앨범 모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선정되었다.[2]

3. 생애[편집]



3.1. 데뷔 이전[편집]


뉴욕 주에서 자랐다, 7살 때까지 조지아 주 사바나에서 유년기를 보내기도 했다. 부모님과 다시 뉴욕으로 돌아온 후에 뉴욕 주 욘커스에 위치한 the Schlobohm Housing Projects에 거주했다. 엄마는 간호사였고 아빠는 재즈 뮤지션이었다고 한다. 1970년대 중반, 아빠가 가족을 떠난 후로는 엄마의 수입에 의존해 살았다.

이후, 조지아 주 리치몬드 힐에 살기 시작했다. 휘트니 휴스턴, 아레사 프랭클린과 같은 미국 흑인 음악의 전설적인 가수들이 노래를 교회에서 배운 것처럼 그곳에 위치한 Pentecostal 교회에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앞으로 여러 시련을 겪고 뉴욕에 위치한 Schlobohm Houses로 이사를 가 엄마, 언니와 함께지냈다. 고등학교에서 자퇴한 후 음악 커리어를 쌓기 위해 Pride라고 불리는 밴드에서 짧게나마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 실력을 인정받아 Uptown Record와 계악을 해서 그 회사에서 가장 젊고 첫번째 여성 아티스트가 되었다고.


3.2. 1집 What's the 411?와 2집 My Life[편집]


소속사와 계약 후에 예명인 Puff Daddy로도 알려져있는 프로듀서 Sean Combs(션 콤즈)와 일하기를 시작했다.[3] 그는 책임 프로듀서로 앨범의 중요부분을 담당했다. 1집 < What's the 411? >의 제목 중 '411'은 과거 메리의 직업이었던 전화교환수에서 따왔다고 한다.

1집 < What's the 411? >은 1992년 7월 28일 발표되었고 평론가들에게 긍정적인 평을 얻었다. 빌보드 200 6위, Top R&B/Hip-Hop Albums부분에서는 1위를 찍었다. Soul Train Music Awards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만 300만장이 넘게 팔렸다. 또 90년대의 중요한 앨범 중 하나로 평을 받아왔다. 힙합 비트에 곁들어진 메리의 목소리는 Contemporary R&B에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4. 영향력[편집]



4.1. 그가 영향을 받은 사람[편집]




4.2. 그가 영향을 준 사람[편집]



5. 디스코그래피[편집]



5.1. 앨범[편집]


  • 1. What's the 411? (1992)
  • 2. My Life (1994)
  • 3. Share My World (1997)
  • 4. Mary (1999)
  • 5. No More Drama (2001)
  • 6. Love & Life (2003)
  • 7. The Breakthrough (2005)
  • 8. Growing Pains (2007)
  • 9. Stronger with Each Tear (2009)
  • 10. My Life II... The Journey Continues (Act 1) (2011)
  • 11. A Mary Christmas (2013)
  • 12. The London Sessions (2014)
  • 13. Strength of a Woman (2017)


5.2. 싱글[편집]


Mary J. Blige 파일:빌보드 로고.svg Hot 100 기록
순위연도곡명비고
#1(6주)2001Family Affair
#21996Not Gon' Cry
2006Runaway Love[4]
#31995I'll Be There for You / You're All I Need to Get By[5][6]
2005Be Without You
#71992Real Love
#112008Just Stand Up![7]
#122002Rainy Dayz[8]
#141996Touch Me Tease Me[9]
#152001No More Drama
#211997I Can Love You[10]
#221995I'm Goin' Down
2003Love @ 1st Sight[11]
2007Just Fine
#241997Everything
#281992Sweet Thing
#291992You Remind Me[12]
1994Be Happy
2003Ooh!
2009Remember Me[13]
#322006Enough Cryin
#382000911[14]
#391995Mary Jane (All Night Long)
#412003Not Today[15]


6. 여담[편집]


Sia의 출세곡 Titanium을 원래 부르기로 했던 가수였다. 케이티 페리에게 이 데모를 줬다가 Firework와 너무 비슷하다고 거절당한 시아가 그녀에게 줄 데모를 우연히 입수한 다비드 게타가 데모에다가 그냥 프로듀싱을 했는데 초대박이 나 버렸다. 허나 시아는 이 때 은퇴를 생각하고 있었던 입장이라 게타가 사과를 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2009년의 마지막 히트곡 Empire State Of Mind의 보컬 역시 원래 메리 제이 블라이즈를 고려하고 있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5:58:38에 나무위키 메리 제이 블라이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힙합 소울의 여왕. 힙합 소울은 컨템퍼러리 R&B의 하위 장르이다.[2] 각각 271위, 126위[3] 이 당시는 래퍼가 아니라 업타운 레코드의 프로듀서로 일했었다. 펍 대디가 래퍼로 전향한 것은 그의 친구 비기가 사망한 직후인 1997년이다.[4] Ludacris 곡을 피쳐링[5] 마빈 게이와 테미 터렐의 1968년 곡 You're All I Need to Get By를 차용한 곡이다.[6] Method Man의 곡을 피쳐링[7] with Various Artists[8] feat. Ja Rule[9] Case의 곡을 Foxy Brown과 함께 피쳐링[10] feat. Lil' Kim[11] feat. Method Man[12] 데뷔 싱글[13] T.I. 곡에 피쳐링[14] Wyclef Jean의 곡에 피쳐링[15] featuring 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