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빈 게이

덤프버전 : (♥ 0)

마빈 게이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마빈 게이
MARVIN GAYE
헌액 부문공연자 (Performers)
멤버(개인자격)
입성 연도1987년
후보자격 연도1986년
후보선정 연도1986년, 1987년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b69858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2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The Complete Hot Five and Hot Seven Recordings> (1920~1928)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Young Lovers> (1954)
엘비스 프레슬리, Sun Records sessions (1954-1955)
마일스 데이비스, <Kind of Blue> (1959)
밥 딜런, <The Freewheelin' Bob Dylan> (1963)
2003년 등재
로버트 존슨, <The Complete Recordings> (1936-1937)
베니 굿맨, <The Famous 1938 Carnegie Hall Jazz Concert> (1938년 1월 16일)
글렌 굴드, <Goldberg Variations> (1955)
엘라 피츠제럴드, <Ella Fitzgerald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1956)
델로니어스 몽크, <Brilliant Corners> (1956)
찰스 밍거스, <Mingus Ah Um> (1959)
주디 갈란드, <Judy at Carnegie Hall> (1961)
비틀즈,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조니 캐시, <At Folsom Prison> (1968)
캐롤 킹, <Tapestry> (1971)
마빈 게이, <What's Going On> (1971)
브루스 스프링스틴, <Born to Run> (1975)
2004년 등재
존 콜트레인, <Giant Steps> (1959)
제임스 브라운, <Live At The Apollo> (1963)
비치 보이스, <Pet Sounds> (1966)
올맨 브라더스 밴드, <At Fillmore East> (1971)
존 윌리엄스, <Star Wars> (1977)
퍼블릭 에너미, <Fear of a Black Planet> (1990)
너바나, <Nevermind> (1991)
2005년 등재
데이브 브루벡, <Time Out> (1959)
비비 킹, <Live at the Regal> (1965)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Are You Experienced> (1967)
프랭크 자파 앤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 (1968)
웬디 카를로스 <Switched On Bach> (1968)
스티비 원더,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소닉 유스, <Daydream Nation> (1988)
2006년 등재
피트 시거, <We Shall Overcome> (1963)
벨벳 언더그라운드니코,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Burnin'> (1973)
사라 본, <Live in Japan> (1973)
폴 사이먼, <Graceland> (1986)
2007년 등재
조니 미첼, <For The Roses> (1972)
허비 행콕, <Head Hunters> (1973)
마이클 잭슨, <Thriller> (1982)
2008년 등재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7)
더 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2009년 등재
뮤지컬 <집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9)
빌 에반스 트리오, <The Complete Village Vanguard Recordings> (1961년 6월 25일)
더 밴드, <The Band> (1969)
패티 스미스, <Horses> (1975)
윌리 넬슨, <Red Headed Stranger> (1975)

201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10년 등재
캡틴 비프하트 앤 히스 매직 밴드, <Trout Mask Replica> (1969)
스틸리 댄, <Aja> (1977)
데 라 소울, <3 Feet High and Rising> (1989)
2011년 등재
빈스 과랄디 트리오, 애니메이션 <A Charlie Brown Christmas> 사운드트랙 (1965)
러브, <Forever Changes> (1969)
프린스, <Purple Rain> (1984)
2012년 등재
사이먼 앤 가펑클, <Sounds of Silence> (1966)
오넷 콜먼, <The Shape of Jazz to Come> (1959)
핑크 플로이드,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라몬즈, <Ramones> (1976)
비 지스 외,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1977)
2013년 등재
아트 블래키, <A Night at Birdland> (1954)
린다 론스태드, <Heart Like a Wheel> (1974)
뮤지컬 <스위니 토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79)
U2, <The Joshua Tree> (1987)
2014년 등재
조안 바에즈, <Joan Baez> (1960)
도어즈, <The Doors> (1967)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tand!> (1969)
라디오헤드, <OK Computer> (1997)
로린 힐,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1998)
2015년 등재
조지 칼린, <Class Clown> (1972)
존 콜트레인, <A Love Supreme> (1964)
산타나, <Abraxas> (1970)
메탈리카, <Master of Puppets> (1986)
2016년 등재
소니 롤린스, <Saxophone Colossus> (1956)
마티 로빈스, <Gunfighter Ballads and Trail Songs> (1959)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People> (1964)
데이비드 보위,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1972)
이글스,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1976)
토킹 헤즈, <Remain in Light> (1980)
N.W.A, <Straight Outta Compton> (1988)
2017년 등재
해리 벨라폰테, <Calypso> (1956)
웨스 몽고메리,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1960)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트랙 (1965)
스티브 라이히, 리처드 맥스필드, 폴린 올리베로스, <New Sounds in Electronic Music> (1967)
플리트우드 맥, <Rumours> (1977)
Run-D.M.C., <Raising Hell> (1986)
2018년 등재
덱스터 고든, <GO> (1962)
뮤지컬 <헤어>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68)
커티스 메이필드, <Superfly> (1972)
신디 로퍼, <She's So Unusual> (1983)
<Schoolhouse Rock!: The Box Set> (1996)
JAY-Z, <The Blueprint> (2001)
2019년 등재
더스티 스프링필드, <Dusty in Memphis> (1969)
칩 트릭, <Cheap Trick at Budokan> (1978)
티나 터너, <Private Dancer> (1984)
셀레나, <Ven Conmigo> (1962)
닥터 드레, <The Chronic> (1992)

202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닐 영레드 제플린프린스비치 보이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카녜 웨스트더 후U2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Nirvana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26위27위28위29위30위
Madonna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Kendrick Lamar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Björk
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Public Enemy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46위47위48위49위50위
Beck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Beyoncé
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폴리스
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Black Sabbath
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스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아티스트
10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엘비스 프레슬리롤링 스톤스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제임스 브라운리틀 리처드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NME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보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 2011년 영국의 대중음악 전문지 NME에서 대중들을 상대로 '가장 위대한 가수 Top 20' 투표를 진행. 1,000만 표 이상이 모여 순위를 정했다.
영미권에서 가수(Singer)는 보컬리스트를 뜻한다.
1위2위3위4위5위
마이클 잭슨프레디 머큐리엘비스 프레슬리액슬 로즈존 레논
6위7위8위9위10위
데이비드 보위로버트 플랜트폴 매카트니스티비 원더아레사 프랭클린
11위12위13위14위15위
매튜 벨라미레이 찰스짐 모리슨밥 말리엘튼 존
16위17위18위19위20위
커트 코베인스티븐 타일러믹 재거마빈 게이티나 터너
출처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스티비 원더마이클 잭슨폴 매카트니
6위7위8위9위10위
어셔프린스로드 스튜어트드레이크마빈 게이
11위12위13위14위15위
필 콜린스빌리 조엘라이오넬 리치브루노 마스닐 다이아몬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케니 로저스브라이언 아담스조지 마이클바비 빈튼존 멜렌캠프
21위22위23위24위25위
처비 체커레이 찰스크리스 브라운리키 넬슨저스틴 팀버레이크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 앵카배리 매닐로넬리바비 다린R. 켈리
31위32위33위34위35위
제임스 브라운에미넴리처드 막스카니예 웨스트제이-지
36위37위38위39위40위
밥 시거닐 세다카저스틴 비버브루스 스프링스틴존 덴버
41위42위43위44위45위
50 센트플로 라이다앤디 깁로이 오비슨디온
46위47위48위49위50위
빌리 오션토미 제임스존 레논브룩 벤턴마이클 볼튼
51위52위53위54위55위
릴 웨인바비 브라운에드 시런루다크리스에릭 클랩튼
56위57위58위59위60위
쟈니 리버스글렌 캠벨릭 스프링필드T.I.더 위켄드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여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 펼치기 · 접기 ]

이름마빈 게이
MARVIN GAYE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1990년 9월 27일
위치1500 Vine Street





마빈 게이
Marvin Gaye
파일:ㅁㅂㄱㅇ.jpg
본명마빈 펜츠 게이 주니어
Marvin Pentz Gay, Jr.
출생1939년 4월 2일
미국 워싱턴 D.C.
사망1984년 4월 1일 (향년 44세)[1]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서명
파일:마빈_게이2_사인.png
[ 펼치기 · 접기 ]

부모님 마빈 게이 시니어 (1914-1998)
알버타 게이 (1913-1987)
자녀슬하 2남 1녀
마빈 게이 3세 (1965-)
노나 게이 (1974-)
프랭키 게이 (1975-)
배우자안나 고디 게이 (1963–1977, 이혼)
얀 게이 (1977–1981, 이혼)
학력Randall Junior High School
카도조 에두카티온 캠퍼스
신체185cm, 73kg
혈통아프리카계 미국인
별명모타운의 왕자
Prince of Motown
종교기독교 (개신교, 오순절교회)
활동1957년1984년
사용 악기보컬, 건반 악기, 드럼
장르소울, R&B, 펑크, 가스펠, 재즈, 사이키델릭 소울, 프로그레시브 소울
레이블
파일:Motown logo.svg
· 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


1. 개요
2. 연예계 활동
3. 개인사
3.1. 비극적인 죽음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4.2.2. 빌보드 핫 100 2위
4.2.3. 빌보드 핫 100 3위~10위
4.2.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4.2.5. 빌보드 핫 100 21위~40위
4.2.6. 빌보드 핫 100 41위~100위



1. 개요[편집]


미국가수, 싱어송라이터. 흑인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연 아티스트로 꼽히는 인물이자 대중문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으로, 후대 음악, 특히 소울R&B 및 보컬 진행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된다.


2. 연예계 활동[편집]


초창기에는 태미 태럴[2]이나 타 모타운 가수들과 활동하면서 인기를 끌었다. 이 시절의 히트곡으로는 Pride and Joy (1963), Try It Baby (1964), 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1964), I'll Be Doggone (1965), Ain't That Peculiar (1965),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1967), Your Precious Love (1967), If I Could Build My Whole World Around You (1967), Ain't Nothing Like the Real Thing (1968), You're All I Need to Get By (1968),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968), Too Busy Thinking About My Baby (1969), That's the Way Love Is (1969) 등이 있고, 모타운 특유의 프로듀싱과 가창으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다가 1971년 동생의 베트남 전쟁 참전과, 듀엣으로 함께 20세기 최고 명반을 만들어냈던 짝꿍인 태미 테럴의 사망을 통해 충격을 받아 만든 What's Going On이라는 앨범을 내놓으면서 전설의 위상으로 올라서기 시작했다. 스티비 원더와 함께 모타운 레코드의 중흥을 이끌고 가사에 사회비판적인 내용을 담는 파격적인[3] 곡으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음악적으로나 메시지적으로나 기존 소울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음악에 모타운 사장은 이런 음악은 팔리지 않을 것이라고 난색을 표했지만 마빈 게이는 고집을 꺾지 않고 끝까지 관철시켰으며, 결국엔 성공시켰다. 이는 후대 흑인 음악계에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이후 낸 Let's Get It On 앨범은 전작과는 완전히 다른 색이었다. 선지적이고 사회비판적이었던 전작과 달리, 다분히 성(性)적인 세속적 주제를 토대로 하였다. 이미 경지에 오른 뮤지션답게 완벽하게 자신의 색을 입혀 섹슈얼한 음악의 상징적 존재로 굳건히 자리잡게 된 앨범이기도 하다. 또 동명의 타이틀 곡은 베드송으로 가장 많이 리퀘스트 받는 넘버이기도 하다.

음악적으로도 다양한 악기들과 부드러운 하모니 등 가히 소울의 질감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는 평을 들었으며 타 레이블에서 활동하던 오티스 레딩, 앨 그린, 커티스 메이필드아이작 헤이즈[4]와 더불어 소울이라는 장르에 천지개벽을 불러일으켰다.

가창력의 수준은 역대 최고로 평가받는 일도 드물지 않으며, 특유의 유려하고 부드러운 창법과 색채가 뛰어나 지금도 수많은 남자가수들이 영향을 받고있고, 또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3. 개인사[편집]


그의 개인사는 노래 파트너의 죽음과 이혼, 마약 중독[5]과 자살 시도 등의 굴곡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게다가 1980년대부터 실적 저조와 부인 '애나 골디'와의 이혼에서 비롯된 모타운과의 불화가 심해졌다. 애나 골디는 모타운의 창업자인 베리 골디의 누나다. 1922년생으로 남동생 베리(1929년생)보다 7살 많았고, 전 남편이었던 마빈 게이보다도 17살씩이나 연상이었다.

1966년 마빈 게이의 부인의 조카, Denise Gordy는 남자 아이를 출산하게 되었고 그 때가 Denise의 나이 17살이었다. 나중에 마빈 게이와 Denise 사이의 아이로 밝혀졌고 출생 후 아이는 곧바로 마빈 게이와 Anna 부부에게 입양되었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았던 시점, 44살 즈음이었던 Anna는 자신이 임신한 것처럼 꾸며내야만 했다.

초기엔 작곡 아이디어를 제공받는 등 사이가 좋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악화되어 1973년에 들어서면 이미 법적으로 결별한 상태였다.[6] 1975년 결국 이혼 소송에 들어갔고, 마빈 게이는 이혼 소송 당시 심정을 담은 Here, My Dear를 발표했으나 그 뛰어난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우울한 내용과 당시 하락세였던 마빈 본인의 인기가 겹쳐 망했다. 그러나 후일 재평가되었다. [7] 이혼 당시엔 사이가 상당히 나빴고 애나도 Here, My Dear를 불쾌하게 여겼으나 마빈이 재기하면서 화해하고 앨범에 대한 평도 호전되었다. 하지만 화해 후 얼마 안 돼서 마빈이 아래 사고로 사망하는 바람에 충격을 받았다. 애나는 이후 재혼하지 않고 세간의 관심을 차단하고 살다가 2014년 사망했다. 항년 92세로 상당히 장수한 편.

결국 계약해지를 하고 각고의 재활 끝에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앨범 Midnight Love을 내고[8] 간만에 대히트를 치며 부활했다.


3.1. 비극적인 죽음[편집]


파일:gayedeath.jpg
마빈 게이의 사망진단서[9]
그러나 이런 경사를 제대로 누리기도 전에 투어가 끝나고 유럽과 미국을 돌면서 휴식기를 갖던 도중[10] 1984년 만우절 날, 부모끼리 벌어진 싸움을 말리다가 아버지랑 몸싸움이 붙었고 화가 난 아버지의 총에 맞아[11] 말 그대로 비명횡사하고 말았다. 곧 병원에 실려 갔지만, 첫 번째 총알이 정확히 심장에 맞아서 즉사했고, 손 쓸 수도 없었다고 한다. 애석하게도 마빈 게이를 죽인 총은 전에 그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아버지에게 줬던 것이었고, 공교롭게도 마빈의 사망일은 그의 생일(4월 2일) 하루 전날이었다.

아버지 마빈 게이 시니어는 체포되어 1급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당시 뇌종양을 앓아 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는 의사의 소견을 근거로 들면서 6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 이 판결은 당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실 마빈 게이 시니어는 사건 이전부터 막장 부모로 악명이 높았다. 일단은 목사였으나 알콜 중독에 자식들에게 매우 폭압적으로 굴며 체벌을 일삼고 제대로 된 직장도 없이 놀고먹었던 사람이라고 한다. 여기다 여장을 즐겨하는 크로스드레서였는데, 이 역시 마빈과 자식들의 유년 시절에 악영향을 미쳤다.[12] 시니어 본인은 아들을 사랑했다고 주장했지만, 정작 마빈 게이 본인이나 그의 어머니랑 주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심지어 마빈 게이가 가수로 성공해, 부모님을 챙겨주려고 했음에도 아버지 쪽에서는 별다른 감사도 표하지 않아서, 한동안 보러 오지 않았을 정도였다. 워싱턴 DC에서 마빈 게이의 날을 정한 뒤, 겨우 화해했다고 한다. 부인인 앨버타마저 1980년대 들어서 사이가 완전히 소원해져 각 방을 쓰는 처지였다고 한다. 특히 이 사건으로 인해 마빈 남매의 어머니인 앨버타 게이에게도 이혼당해 쓸쓸히 혼자 살다가 1998년 84세로 사망했다. 마빈 게이 시니어가 아들과 아내보다 더 오래살았으나 살아있는 동안 아들을 죽인 아버지로 사람들에게 멸시받고 아내랑 손자, 손녀들에게도 버림받으며 외로이 죽은건 어찌보면 자업자득인 셈이다.

어머니 앨버타 게이는 아들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며 이 사건으로 인해 남편과 이혼 소송을 내서 정식으로 이혼했다. 앨버타는 아들이 남겨준 재산 일부를 상속받고, 그 돈으로 알콜 중독 치료 병원에 기부하고 알콜 중독 치료 및 위해성을 알리는 활동에 나서며 살다가 1987년 골수암으로 74세로 세상을 떠났다. 마빈 게이는 어머니하고 사이가 좋았던 편이라고 한다. 노래 실력을 칭찬해주고 힘들어하는 자신을 위로해주는 다정한 어머니였다고 마빈 게이는 회고했다.

마빈 게이의 유해는 어머니랑 자녀들이 참석한 장례식에서 장례를 치른 후에 화장되어 태평양에 뿌려졌다고 한다. 이후 다이애나 로스Missing You, 코모도스Nightshift, 토드 런그렌 등 동료 뮤지션들이 곡을 내면서 그의 안타까운 죽음을 추모했다.

'아버지가 자식을 살해한 사건'은 당시로서나 지금으로서나 경악할만한 죽음이었기 때문에 음악 채널인 VH-1/VH-1 Classic 에서 '제일 충격적이였던 음악사 순간 100선' 에 8위로 선정되기도 했다.(2001년 리스트에서는 5위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앨범[편집]


연도제목
1961년The Soulful Moods of Marvin Gaye
1962년That Stubborn Kinda Fellow
1964년When I'm Alone I Cry
Together[13]
Hello Broadway
1965년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A Tribute to the Great Nat "King" Cole
1966년Moods of Marvin Gaye
Take Two[14]
1967년United[15]
1968년You're All I Need[16]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969년M.P.G.
Easy (With Tammi Terrell)
1970년That's the Way Love Is
1971년What's Going On[17][18]
1972년Trouble Man
1973년Let's Get It On[19]
Diana & Marvin[20]
1976년I Want You[21]
1978년Here, My Dear
1981년In Our Lifetime
1982년Midnight Love[22]
1985년Dream of a Lifetime
Romantically Yours
1997년Vulnerable
2019년You're the Man


4.2. 싱글[편집]



4.2.1. 빌보드 핫 100 1위[편집]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968)
  • Let's Get It On (1973)
  • Got to Give It Up (1977)[23]


4.2.2. 빌보드 핫 100 2위[편집]




4.2.3. 빌보드 핫 100 3위~10위[편집]


  • Sexual Healing (1982) - 3위
  • Too Busy Thinking About My Baby (1969) - 4위
  • Mercy Mercy Me (The Ecology) (1971) - 4위
  • Your Precious Love (1967) - 5위[24]
  • 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1964) - 6위
  • You're All I Need to Get By (1968) - 7위[25]
  • That's the Way Love Is (1969) - 7위
  • Trouble Man (1972) - 7위
  • I'll Be Doggone (1965) - 8위
  • Ain't That Peculiar (1965) - 8위
  • Ain't Nothing Like the Real Thing (1968) - 8위[26]
  • Inner City Blues (Make Me Wanna Holler) (1971) - 9위
  • Pride and Joy (1963) - 10위
  • If I Could Build My Whole World Around You (1967) - 10위[27]


4.2.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편집]


  • You're a Wonderful One (1964) - 15위
  • Once Upon a Time (1964) - 19위[28]
  • What's the Matter with You Baby (1964) - 17위[29]
  • Try It Baby (1964) - 15위
  • It Takes Two (1966) - 14위[30]
  • Ain't No Mountain High Enough[31] (1967) - 19위[32]
  • You're a Special Part of Me (1973) - 12위[33]
  • My Mistake (Was to Love You) (1974) - 19위[34]
  • I Want You (1976) - 15위


4.2.5. 빌보드 핫 100 21위~40위[편집]


  • Hitch Hike (1962) - 30위
  • Can I Get a Witness (1963) - 22위
  • Baby Don't You Do It (1964) - 27위
  • Pretty Little Baby (1965) - 25위
  • One More Heartache (1966) - 29위
  • Your Unchanging Love (1967) - 33위
  • You (1967) - 34위
  • Chained (1968) - 32위
  • Keep On Lovin' Me Honey (1968) - 24위[35]
  • Good Lovin' Ain't Easy to Come By (1969) - 30위[36]
  • The End of Our Road (1970) - 40위
  • Come Get to This (1973) - 21위
  • Distant Lover (1974) - 28위
  • Music (2001) - 22위[37]


4.2.6. 빌보드 핫 100 41위~100위[편집]


  • Stubborn Kind of Fellow (1962) - 46위
  • I'm Crazy 'Bout My Baby (1963) - 77위
  • What Good Am I Without You (1964) - 61위[38]
  • Take This Heart of Mine (1966) - 44위
  • Little Darling, I Need You (1966) - 47위
  • If This World Were Mine (1967) - 68위[39]
  • What You Gave Me (1969) - 49위[40]
  • How Can I Forget (1970) - 41위
  • Gonna Give Her All the Love I've Got (1970) - 67위
  • The Onion Song / California Soul (1970) - 50위[41]
  • You're the Man (Part 1) (1972) - 50위
  • You Sure Love to Ball (1974) - 50위
  • Don't Knock My Love (1974) - 46위[42]
  • After the Dance (1976) - 74위
  • Pops, We Love You (A Tribute to Father) (1978) - 59위[4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1:44:15에 나무위키 마빈 게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버지에게 살해당했는데, 공교롭게도 생일 하루 전인 만우절에 사망했다.[2] 1945~1970. 모타운에서도 손꼽는 젊은 여성 가수였으나 (마빈보다 6살 연하다. 데뷔 당시 14살이었는데, 타 레이블에서 활동하다가 이적한거라 듀엣 자체는 1967년에서야 했다.) 뇌종양으로 인해 만 24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마빈 게이와 함께 부른 'Ain't No Mountain High Enough'로 잘 알려져 있다. 태미의 요절은 마빈에게 상당히 충격이었고, 마약 중독의 늪에 빠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3] 당시 모타운 소속 가수들의 노래는 팝적인 사랑노래가 대부분이였다.[4] 사우스 파크의 '셰프' 제롬 맥엘로이 역을 맡았던 그 사람 맞다.[5] 엄청난 코카인 중독자였다고 한다.[6] 당시 재니스라는 여성과 교제하기 시작했고 아예 딴 살림을 차려 나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둘 역시 마약 문제와 부부 간의 불화 (마빈 쪽에서 강요한 오픈 릴레이션십에 가까웠다고 한다.)로 결혼 2년만에 1979년 이혼했다. 다만 애증에 가까웠는지 사망 당시에도 관계를 회복하려고 했다고 한다.[7] 참고로 나이차가 북미 기준으로도 컸던 편이라 마빈이 애나에게 얻어맞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8] 이 앨범에 수록된 곡이 바로 그 유명한 Sexual Healing이다. 이 노래를 만들 당시의 마빈 게이는 포르노에 중독된 상태여서(...) 지인에게 말 그대로 '성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조언을 듣고 이런 노래를 만들게 되었다고. 참고로 이 곡은 미국 흑인 음악 역사상 최초로 (훗날에 힙합 음악일렉트로니카 씬의 핵심이 된) 롤랜드의 드럼머신 TR-808 사운드가 전면 배치된 히트곡이다.(미국 밖으로 돌아보면 롤랜드의 본국 밴드인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의 앨범 BGM이 최초)[9] 사망 원인에 ’흉부 총격‘, ’심장, 폐, 간의 손상‘이라고 적혀 있다.[10] 이에 대한 뒷말이 좀 있는 게, 투어의 압박감에 정신적으로 몰리게 되자 다시 코카인에 손을 댔다느니, 방탄 조끼를 입고 무대에 올랐다느니 이야기가 있다.[11] 어머니가 말리고 난 뒤, 갑자기 자기 방에서 총을 들고와 아들에게 쐈다고 한다.[12] 마빈 게이가 유년기를 보냈던 1940-50년대 미국은 성 소수자나 크로스드레서 이미지가 매우 나빴다. 크로스드레서 자체가 나쁜건 아니지만, 자기 때문에 자식이 당하는 따돌림엔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폭압적으로 구는 이기적인 사람이었던 셈. 마빈 게이가 Gaye로 성을 바꾼 것도 이 때문이었다고.[13] with Mary Wells[14] with Kim Weston[15] with Tammi Terrell[16] with Tammi Terrell[17]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1위[18] 빌보드 200 6위[19] 빌보드 200 2위[20] with Diana Ross[21] 빌보드 200 4위[22] 빌보드 200 7위[23] 2015년 3월, 퍼렐 윌리엄스, T.I.가 피쳐링한 로빈 시크의 "Blurred Lines"가 이 곡을 표절했다는 판결이 나서 유족들에게 거액의 돈을 물어주게 되었다.[24] with Tammi Terrell[25] with Tammi Terrell[26] with Tammi Terrell[27] with Tammi Terrell[28] with Mary Wells[29] with Mary Wells[30] with Kim Weston[31] 영화 시스터 액트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OST다.[32] with Tammi Terrell[33] with Diana Ross[34] with Diana Ross[35] with Tammi Terrell[36] with Tammi Terrell[37] Erick Sermon의 곡에 피처링[38] with Kim Weston[39] with Tammi Terrell[40] with Tammi Terrell[41] with Tammi Terrell[42] with Diana Ross[43] with Diana Ross, Smokey Robinson, Stevie Wo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