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53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CH53_121221.jpg
파일:INT_E49S5KMXoAwB_Yr.png파일:INT_8634461945_0d2bd4f55a_o.png
Sikorsky CH-53 Sea Stallion

1. 개요
2. 제원
3. 개발 역사
4. 특징
5. 파생형 및 계열기
5.1. 파생형
5.2. 계열기
6. 운용
6.1. 미 해군/미 해병대
6.2. 독일
6.3. 오스트리아
6.4. 이스라엘
6.5. 이란
6.6. 멕시코
6.7. 일본
7. 사고
8. 가공매체에서의 등장
8.1. 게임
8.3. 애니메이션 • 도서
8.4. 만화
9. 기타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CH-53 헬기는 미국시코르스키사에서 제작한 대형 수송 헬리콥터다. 회사 자체에서는 S-80이라고 부른다.

제원명의 '스텔리온'(Stallion)은 종마를 의미한다.

2. 제원[편집]


CH-53E 기준
Sikorsky CH-53E Super Stallion
제조사Sikorsky Aircraft
첫비행1974년 3월 1일
배치1981년
생산1978년~1980년대 까지
생산댓수234기
임무수송임무
전장30.2 m (99 ft 1/2 in)
전폭동체 : 4.7 m (15 ft 6 in)
날개 포함 : 8.64 m (28 ft 4 in)
전고8.46 m (27 ft 9 in)
메인 로터 지름24 m (79 ft)
승무원조종사 2명, 중무장 병력 37명 수용(승객 55명 수용)
또는 들것 24개 탑재
회전면적460 m² (4,900 ft²)
공허중량15,071 kg (33,226 lb)
최대이륙중량33,300 kg (73,500 lb)
수송능력내부 : 13,600 kg (30,000 lb)
외부 : 14,500 kg (36,000 lb)
엔진General Electric T64-GE-416A 터보샤프트 엔진 x3기
(3,270 kW (4,380 shp) each)
순항속도278 km/h
최대속도315 km/h
항속거리1,000 km (540 nmi)
페리항속거리1,833 km (990 nmi)
전투행동반경160 km
실용상승고도5,640 m (18,500 ft)
상승률13 m/s (2,500 ft/min)
회전판 하중8.95 lb/sq ft
무장양쪽 도어 거치 : GAU-15/A 12.7 mm 기관총 x2정
후방 램프 : GAU-21 12.7 mm 기관총 x1정


3. 개발 역사[편집]


1960년 미 해병대는 CH-37 모하비(Mojave) 헬리콥터의 대체기를 찾고 있었고, 육군, 해군, 공군이 추진중인 수직이착륙 수송기 프로젝트로 추진된 XC-142A 틸트윙 개발계획에 참여하게 된다. 허나 미 해병대가 제 때에 납품받지 못하겠다면서 발을 빼 버렸기 때문에 계획은 좋지 않은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이후 이 계획은 1962년에 다른 형태로 부활하는데, 미 해군 무기국(Bureau of Naval Weapons)에서 추진한 HH(X) 계획으로, 적재력 3,600kg 상태에서 전투행동반경 190km, 순항속도 280km/h를 낼 수 있는 수송, 항공기 인양, 공중강습, 응급환자 구호 등의 임무에 사용가능한 헬리콥터였다.

이 프로젝트에 미국의 보잉, 시코르스키, 카만이 참여했다. 카만과 협력한 페어리로터다인(Fairey Rotodyne)은 영국 정부가 지원계획을 철회하면서 가장 먼저 탈락하고 남은 보잉의 CH-47과 시코르스키의 S-61R 모델을 대형화하고 터보샤프트엔진을 2기 탑재한 프로토타입이 경쟁했다. 보잉은 이미 미 육군에서 CH-47이 운용되고 있었던 것에 자신감을 갖고 있었으나 결국 1962년 7월에 시코르스키의 승리로 결정되었다.

개발과정은 초기에는 높으신 분들 때문에 순탄치 못했고, 특히 로버트 맥나마라(Robert S. McNamara)[1] 국방장관이 "그냥 육군이랑 같은 거 쓰지? 이미 CH-47을 잘도 굴리는데" 라고 어깃장을 놓았다. 해병대가 "우리 사양에 맞추려면 개수비용 더 들어감" 이라고 설득을 해서 결국 개발되었는데, 그 뒤로는 일이 잘 풀리게 되어 YCH-53A이 초도비행한 뒤 불과 2년 뒤인 1966년부터 양산되었다.[2] 그리고 다음 해인 1967년부터 바로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한다.

그런데, 해병대가 또 다른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 실전투입이 이루어진 1967년에, 해병대에서는 막 배치된 기체보다 1.8배의 수송능력을 지닌 기체를 원했고, 육군과 해군도 역시 강력한 기체를 찾고 있었다. 그래서 시코르스키는 1968년부터 엔진을 하나 더 탑재하고 더욱 강력한 티타늄-유리섬유 복합소재 로터를 채용한 개량형 기체의 개발에 착수했다. 기체 자체도 더욱 대형화되었고, 계기판의 디지털화도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실험기인 YCH-53E는 17.8톤의 적재력 및 외부 장착물 없이 총중량 25.4톤하에서 310km/h 기록이라는 엄청난 성능을 보였다. 이 기체는 1978년부터 양산되어, 1981년부터 실전배치되었다.

현재는 이것보다 더 크고 아름다운 동체에 1기로 7,500마력을 내는 GE 38-1B 엔진을 3기 탑재한 CH-53K가 개발중이며 2019년에 전력화될 예정이다.

2014년 5월 6일 플로리다 주 웨스트 팜 비치의 시코르스키 항공사에서 CH-53K 킹 스탤리온이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CH-53E를 개량한 CH-53K는 3개의 7,500 마력 (5,590kW)급 General Electric GE38-1B 터보샤프트 엔진을 장착, CH-53E형보다 20knots (37km/h; 23mph)더 빠른 비행속도를 가지며 신형 디지탈 글라스 조종석, 플라이바이 조종 시스템, 신형 Elastomeric 허브 시스템, 복합재 로터를 장착해서 고온과 고고도에서 운용 가능한 성능을 가진다. 기어박스 조립체 중량만 12,500lb(5,670kg)로 UH-60 블랙호크의 자체중량보다 무겁다. 내부 길이는 30ft(9.14m), 폭은 9ft (2.74m), 높이 6.5 ft (1.98m)로 1ft(30cm) 더 넓어지고 15% 더 커졌지만 동체 측면의 신형 복합재 스폰손은 짧아졌다. CH-53K은 CH-53E보다 거의 2배가 늘어난 27,000lb(12,200kg) 외부 화물을 장착하고 같은 110nmi(204km)의 행동반경을 가진다. CH-53K의 최대 적재량은 35,000lb (15,900kg)에 달하며 최대 중량은 88,000lb(39,900kg)로 CH-53E의 73,500lb(33,300kg)보다 커졌으나 CH-53K이 차지하는 공간은 CH-53E과 유사하다.


4. 특징[편집]


55명의 병력[3], 13.6톤의 내장 화물 또는 14.5톤의 외장 화물을 슬링을 통해 운반할 수 있고, 게다가 278km/h의 순항속도 및 1,000km의 항속거리를 자랑한다. 그리고 미 해병대의 항공기 중 C-130보다 가벼운 모든 기체를 인양할 수 있는 괴력도 발휘한다. 게다가 대형 헬기 주제에 함재운용에 적합하다. 해군과 해병대가 CH-47 및 이후의 XCH-62를 거부한 이유도 함재운용에 불리한 점이 있어서였다.
CH-53이 AH-1Z 복구에 동원되는 영상
이 특징 덕분에 CH-53은 소해헬리콥터로도 쓰이고 있다. 커다란 소해장비를 수면에 늘어뜨려 끌고 다니며, 부설된 기뢰를 유폭시키거나 무력화할 수 있다. 아무래도 기뢰가 폭발했을 때에 수상함이 어떤 경로로든 폭발의 충격파를 피할 수 없는 데 반해, CH-53은 공중에 떠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또한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기뢰 부설 해역에 단시간 내에 전개하여 고속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성능과는 달리, 탑승자 입장에서 상당히 불편한 기종이라고 한다. 무지막지한 소음도 그렇고, 무려 7개의 로터에서 만드는 엄청난 바람 때문에 뜨고 내릴 때 주변에 있기도 힘들다는 듯. 게다가 미군 수송기들(헬기 포함)은 정비 편의 및 고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기체 내부패널이 아예 없는 상태로 제작되는 기체가 대부분이다. 이 헬기는 후방램프등이 있어 유압계통이 움직이기 때문에 기름이 튀는데, 그게 하필 객실 위쪽이라 객실에 수시로 기름이 떨어진다 한다. 증언1 증언2 민수용 항공기였다면 기름 받침대를 대거나 드레인 파이프를 대어 간단히 해결 가능하지만 미해병대는 그럴생각이 없어서 탑승객들은 기름을 맞고 다닌다는듯. 게다가 오히려 기름이 안 떨어지면 고장이라고 불안해 하는 증언들을 볼 수 있다. 원래 기름이 떨어져야 하는데 안 떨어진다면 윤활유가 전부 새서 없거나 무언가 오작동이 나는 것이라나...

참고로 SH-3수상기비행정처럼 물 위에서 이착수를 할 수 있었듯이, CH-53의 경우에도 물 위에서의 이착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다만 SH-3처럼 플로트와 활주형 선체 형태의 동체를 지니지는 않았기 때문에(플로트나 활주형 선체 형태의 동체는 공기저항을 키우기 때문에 공기역학적인 불리함을 감수해야 할 필요성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착수 능력은 어디까지나 물 위에서의 불시착을 위해 준비된 것에 가까운 제한적인 수준으로 국한된다고 한다.

5. 파생형 및 계열기[편집]



5.1. 파생형[편집]


  • YCH-53A
  • CH-53A
  • CH-53D
  • CH-53E
  • HH-53
  • MH-53E (Sea Dragon)
  • MH-53J (Pave Low III)
  • RH-53A
  • TH-53A
  • RH-53D
  • VH-53D
  • VH-53F


5.2. 계열기[편집]




6. 운용[편집]



6.1. 미 해군/미 해병대[편집]


파일:FHIU94daUAoai-f.jpg
미국에서는 해군과 해병대가 쌍발형인 CH-53, HH-53 Super Jolly Green Giant, MH-53 Pave Low를 운용중이며, 엔진 3기를 탑재하여 성능이 대폭 향상된 E형은 1974년부터 해병대 및 해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해군은 MH-53E Sea Dragon이라는 제식명을 붙여 해군용 대형화물 수송 및 소해작전에 활용중이다. 공군에서도 공중급유 능력을 추가하여 실종자 수색 및 구출 임무에 사용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퇴역한 상태다.

주한미군에도 CH-53 계열의 헬기가 배치되었으며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미 공군의 MH-53J Pave Low III가 배치되어 있다가 MH-47E로 교체되었고 2008년 말부터는 미 해군의 소해헬기인 MH-53E가 배치되어 운용중이다.

현재 운용 중인 항공단은 아래과 같다.
  • 미 해병대
    • HMH-361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361
    • HMH-366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366
    • HMH-461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461
    • HMH-462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462
    • HMH-464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464
    • HMH-465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465
    • HMH-466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466
    • HMH-769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769
    • HMH-769 - Marine Heavy Helicopter Squadron 772

  • 미 해군
    • HM-12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2
    • HM-14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4
    • HM-15 - Helicopter Mine Countermeasures Squadron 15

2020년 3월, 데이비드 버거 미 해병대 사령관은 해병 소속 전차부대와 해병 소속 AH-1Z 비행대, 해병 소속 V-22 비행대, 그리고 해병 소속 CH-53 비행대를 전부 해체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으로의 주 적인 중국군과 주 전장인 동남아시아 섬 지역에서 싸우기 위해서는 무거운 전차/야포, 적의 레이더에 쉽게 피탐될 대형 상륙함정/헬기 전력은 과감히 포기하고, 대신 기동성에 중점을 두고 중대급 전투단이 중심이 되어 가벼우면서 고화력인 유도탄/로켓탄, 적의 레이더에 잘 피탐되지 않을 드론과 소형 고속상륙정 등을 사용하여 여러 섬들 사이를 이동하며 중국군을 치고 빠지며 강력한 적 전력을 발견하면 타군의 중무장 병기를 유도하여 격파하는 식으로 중국군과 싸우겠다는 구상이다.#

2021년 10월 3일 미국 해병대에 코네티컷 에서 제작된 첫번째 CH-53K 헬리콥터가 인도 되었다. #

2023년 시점에서 미 해병대의 전차부대는 데이비드 버거 미 해병대 사령관의 계획대로 모두 해체되어 육군으로 이관되었지만, AH-1Z 비행대는 유지중이고 CH-53 비행대와 V-22 비행대 역시 계속 유지되고 있다.


6.2. 독일[편집]


파일:INT_RJG_5413.png파일:INT_RJG_5884.png
독일이 도입한 CH-53은 G형으로 CH-53D의 독일군 버전이다. CH-53G을 시작으로 CH-53GS, CH-53GE, CH-53GA 등의 파생형이 있다. 1971년부터 도입을 시작해 총 112대를 운용했다. 초도물량 2대만 미국제이고 나머지는 모두 독일의 VFW-포커 사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다. 시코르스키에서 부르는 명칭은 S-65C-1. 기존의 CH-53과의 차이는 독일 연방군의 요구조건에 맞춘 대규모 개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미사일 경보 및 자체방어 시스템을 새로이 구비하고, 외부연료탱크를 2개 탑재하여 36명의 완전무장 병력 또는 5,500kg의 화물을 탑재하고 1800km를 항행 가능하게 만든 것도 모자라서 야간 저고도 침투를 위해 나이트 비젼 고글을 사용가능하게 만들었다. 2013년 기준 42대를 운용중이다.

예상보다 일찍 퇴역을 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독일군이 CH-53을 개량하는 것 보다는 새로운 기종 도입에 초점을 잡았기 때문. 원래 기체 보강공사등 CH-53GA로 개량해서 최소 2030년까지 운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새로운 기체로 전량 교체하면서 동시에 퇴역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

2022년 6월 1일 CH-53G를 대체할 독일군 차기 중수송헬기로 CH-47F가 선정되어 2029년까지 도입할 예정이다. #


6.3. 오스트리아[편집]


1970년대 2대의 CH-53을 도입하여 S-65Öe라는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80년대 높은 운용 비용 등을 이유로 퇴역시키고 이스라엘에 매각하였다.

6.4. 이스라엘[편집]


파일:INT_E6rHDvLXMAUTaHj.png파일:INT_EumDO7ZXAAk-F81.png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의 전투경험을 통해 조종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다양한 구경의 화기로부터의 내탄성이 충분한 기체가 필요했고 CH-47과 CH-53을 비교한 끝에 결국 CH-53D를 채택하여 야수르(יַסְעוּר, 바다제비)라는 히브리어 제식명을 부여하였다. 도입 이후 CH-53은 병력 및 견인포 수송, 적진에 침투하여 장병을 구출하는 임무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1969년의 루스터 53 작전(Operation Rooster 53)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수송력을 살려 이집트에 설치된 소련제 레이다 시스템을 통째로 노획하는 용도에도 투입되었다. 이스라엘의 CH-53이 욤 키푸르 전쟁에서 MiG-21의 기관포 사격에 피격된 적은 있었으나 격추되지는 않고 무사히 귀환하여,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이스라엘 공군은 1990년대에 한번 69년부터 운용해온 CH-53D의 동체 구조 보강, 각종 전기 배선 및 캐빈 개량, 플레어 장착, Elbit사의 항공전자 에비오닉스와 HUD 장착, 첨단 미션 컴퓨터등을 장착하는 '야수르 2000'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2007년에는 야수르 2000 개량을 받은 CH-53을 2025년까지 돈 들인만큼 어떻게든 더 굴리고자 운용하기로 결정하여 새롭게 야수르 2025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개량을 담당한 곳은 IMI Mata Helicopters Division으로 주 개량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수명 연장
  • 시코르스키사의 신형 기어박스 장착
  • Elbit사의 HMS(Helmet Mounted System) 장착
  • 각종 미사일 방어대책과 자체 방호능력 강화
  • 디지털 콕핏화, 위성 네트워크 통신시스템, 비행안전 시스템, 자동 호버링 시스템, 신형 에비오닉스 장착 등

야수르 2025 프로그램으로 개량되는 CH-53D중에서는 퇴역하여 주요 부품 제거후 폐기장으로 보냈던 1대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2010년 7월 루마니아에서 실시된 루마니아군과 이스라엘의 합동 훈련중 야수르 1대가 추락하여 6명의 이스라엘 공군 조종사와 승무원, 1명의 루마니아측 관계자가 사망한 사고로 인한 헬리콥터 전력 부족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이와 별도로 대폭 성능이 향상된 재설계 신규제작기체 K형을 평가할 예정도 잡혀 있다. 2013년 야수르 2000 프로그램으로 개량된 18대와 야수르 2025로 개량된/중인 기체 5대를 포함하여 23대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기할 사항은 이스라엘과 독일 모두 CH-47 치누크와의 비교를 통해 CH-53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왜그런가 하면 도입시기와 관련이 있는데, 이 둘이 도입을 결정한 시기에 CH-47은 초기형 이었고 기계적 신뢰도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었고 치누크의 장점인 넒은 전투반경과 고고도 능력도 종심이 극단적으로 짧은 이스라엘에선 필요가 없는지라 더 많이 나르는 53쪽이 좀 더 평가가 좋았다. 그러나 이후 CH-47도 계속 개량이 되어서 70년대 이후로는 CH-47을 선택하는 나라들이 많아졌다.


6.5. 이란[편집]


팔라비 왕조 당시의 이란이 RH-53 3대를 도입했다.


6.6. 멕시코[편집]


이스라엘에서 4대를 도입하여 공군에서 운용 중이다.


6.7. 일본[편집]


파일:CH-53_JPN_1.jpg
일본 해상자위대가 MH-53E형 10대(11대 였으나 95년 사고로 한대 상실)를 2017년까지 운용했다. 후속기는 MCH-101이 선정되었다.

  • 일본 해상자위대
    • 제51항공대(1989)
    • 제111항공대(1990~2017)

7. 사고[편집]


기체 자체가 크고 수용가능 인원도 많기 때문에, 헬리콥터 사고 사망자 순위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이스라엘 소속의 기체가 사고가 많았으며, 1977년에는 54명 사망, 1997년에는 두 대의 공중충돌로 73명 사망, 2010년에는 루마니아에서 훈련중 추락하여 이스라엘 공군 6명과 루마니아군 관계자 1명 사망 등 대형 헬리콥터 사고의 주인공이 된 불명예도 있다. 세계 최악의 헬리콥터 인명사고 상위 10위 내에 3건이 있는데, 2위, 5위가 각각 이스라엘에서 일어난 1997년, 1977년 사고이며, 10위는 2005년 이라크에서의 미 해병대 CH-53E 추락사고(31명 사망)이다.

대형사고는 아니지만, 2017년에는 오키나와 주둔 주일 미해병대의 슈퍼 스탤리온이 비행도중 도어쪽 창문이 떨어져 나가 초등학교에 낙하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를 두고 일본 혐한성향 네티즌 들은 무조건 한국을 욕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해당 기종의 정비를 대한항공에서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결과 대한항공은 창문쪽 정비와는 관련이 없고, 승무원의 실수로 떨어진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혐한 네티즌들은 당연히 반발중이다. 계약내용 중에는 분해 후 장비교체 및 재조립, 비파괴 검사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창문만은 관계없다는 것이 말이 되냐는 것이 이유인데, 엄연히 승무원 과실에 의한 인재라고 발표되었음에도 이를 믿지 못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이 기체 사고가 몇건 있었는데, 1989년에 경상북도 영일군에서 해병대 소속 CH-53이 추락하여 19명이 사망하였고, 1995년에는 경기도 오산시에서 주한미공군 소속의 MH-53J가 기체결함으로 추락하였지만 사망자는 없었다. 2012년에는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미해군 소속의 MH-53E가 추락하였고, 2013년에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미해병대 소속의 CH-53E가 추락하였지만 두 사고 모두 사망자는 없었다. 하지만 CH-53E는 수평기능센서에 스트론튬 90을 사용하는지라 이로 인한 방사능 오염이 우려되어 사고지점 출입이 제한되기도 했다.


8. 가공매체에서의 등장[편집]


CH-47 치누크나 UH-60 블랙호크, UH-1 휴이와 Mi-24 하인드에 비해서 인지도가 적어서인지 많이 등장하지는 않지만 특유의 묵직한 중량감과 위압적인 덩치빨 덕에 강한 인상을 남길 때가 많다.


8.1. 게임[편집]


  • 레프트 4 데드 2에선 인트로 동영상과 불타는 호텔 시작부에서 잠깐 나오고 교구 맵 맨 마지막 챕터에서 탈출할때 사용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경우 파생형인 Pave Low가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싱글에선 세퍼드 장군의 자가용이라도 되는지 전부 세퍼드가 타고 다니며 멀티에선 건쉽처럼 돌아다니면서 기관총을 쏴대는데 플레어도 있고 훨씬 우월한 체력, 데미지, 명중률, 연사력을 자랑하며 2개가 달려있어서 양방향으로 사격을 해댄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싱글에선 등장하지 않고 멀티 공격 패키지 킬스트릭으로 등장하는데, 상당히 높은 포인트를 요구하는 것 치곤(12...AC-130과 동급이다!) 그다지 성능이 좋지않다. 아니, 사실 성능 자체는 전작과 같은데 포인트를 너무 요구하는데다 동급의 AC-130과 화력차이가 너무 심하고, 킬스트릭 격추 수단이 많아진데다 덩치가 크고 굼떠서 쉽게 격추당한다. 헬기 중에선 유일하게 플레어를 가지고 있지만 비행고도가 낮아 플레어를 터뜨리고도 못 피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2012 E3에서 공개된 영상에서 '코르디스 디에' 후반에 뜬금없이 LA 상공에 적으로 등장했지만 정식 발매되며 짤렸다.
  • World in conflict에선 미군이 TA포인트로 차량을 소환할 때 등장한다. 그 외에 뉴욕 미션 동영상에서 등장하는데 오디오슬레이브의 The Shadow Of The Sun이 브금으로 흘러나옴과 함께 소련군이 점령한 뉴욕의 시가지에 해병대 병력을 투입하기 위해 들어가며,소련군의 공격에 의해서 블랙호크와 공중 충돌하여 격추되고 그외 몇몇 기체들은 소련군이 점령한 도시에 착륙하여 해병대를 투입하기 위해서 플레어를 뿌리며 돌입하여 해병대 병력들을 투입시키는 간지폭풍 장면을 보여준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몇몇 맵에서 대테러리스트 시작지점에서 병력을 투입했는지 이륙하는 장면이 나온다.
  • 워게임 시리즈 에서 미군 팩션의 병력 수송과 보급을 담당해준다. 보급량은 타 보급 헬기보다 높다. 본격 천조의 드랍쉽.
  • 월드 앳 암즈 공수부대 유닛에서 제트스트림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소셜 코인으로 비행장과 대규모 비행장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한 유닛당 소셜 코인 20개가 필요하다. 제트스트림 IV의 공격력은 158이다. 소셜 코인 들어간 것 치고는 꽤 좋은 유닛이다. 4티어 결합하는데 비용은 소셜 코인 72개라서 저렴한 편이다.
  • 메탈 기어 솔리드 에서는 연표대에서 후반부를 다룬 메탈 기어 솔리드 5의 삭제미션인 "파리의 왕국" 과 메탈기어 솔리드 4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 에서 이 헬기에 모티브를 얻은 가상의 미제 대형 수송헬기가 나온다.원판처럼 후방 로터가 없고 카나드 방식 꼬리날개 추력편향 방식인데 대형화된 로터 형상과 덩치 크기를 보면 빼박 이것.
  • 프롬 더 씨 에서는 CH-53 '시드래곤'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에서 카고밥이라는 이름의 대형 수송 헬기로 등장한다. 이후 Grand Theft Auto V에서도 CH-47과 디자인을 섞어 동명의 수송 헬기로 등장한다.
  • 도미네이션즈에서 전술성 병력으로 CH-53E가 등장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CH-53E 슈퍼 스탤리온(도미네이션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좀비 온라인 에서 GEBA의 수송헬기로 등장한다.
  • 데이메어 1998 에서 H.A.D.E.S 측의 수송헬기로 등장한다.


8.2. 영화[편집]


  • 트랜스포머 1편에서 디셉티콘 소속인 블랙아웃이 스캔한 기체로 등장하였다. 트랜스포머 실사영상물에서 최초로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준 기체이다. 변신 후 카타르의 미군 기지를 단독으로 박살내는 간지폭풍을 보여주지만 후반부에 F-22에게 두들겨맞고는, 윌리엄 레녹스에게 스파크를 명중당해 사살당한다. 카타르 기지에서 변신을 처음 선보일 때 로터를 한 쪽으로 접는 장면은 CG가 아니라 진짜 MH-53[4]의 로터가 접히는 장면이다.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에서는 역시 디셉티콘 소속인 그라인더가 스캔하여 재등장, 샘 윗위키를 납치하는등 전편만큼 나름대로 활약을 하지만 이번엔 상대가 하필이면 옵티머스 프라임인 탓에 순식간에 한 팔을 잃고 머리가 두쪽나며 끔살당했다.
  • 레지던트 이블 3편에서 아이작 박사가 엘리스의 혈청을 얻기위해 강화된 좀비들을 실은 컨테이너를 수송시킬때 사용하며, 5편에서 구조를 위해 등장하고, 마지막 장면에서 미군 소속기가 나와 백악관 주변의 인류 최후의 보루를 지키는 방어벽으로 넘으려는 좀비들을 막기위해 출격하는 장면으로 한대가 나와 비행형 크리쳐떼에게 추락한다.
  • 영화 킬링필드 대피하는 장면에서 캄보디아 미 대사가 대피할 때 등장한다.
  • 배틀쉽에서 하와이의 히캄 해병대 기지에서 외계에서 온 선봉대 습격에 의해 아무런 쪽도 못쓰고 전부 파괴당했다.


8.3. 애니메이션 • 도서[편집]


  • 메모리즈의 최취병기에서 생체 독가스를 막는 작전에서 투입할 때 주일미군(미 해군)이 소유한 CH-53이 등장한다.
  •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NERV 소속 헬기로 등장한다.
  • 대체역사 소설 동아시아 WW2에서 대한민국 해군 항모 탑재기종으로 등장한다.
  • 데프콘에서는 미군 소속 소해헬기로 MH-53 시 드래곤이, 해병대 소속으로 CH-53이 등장하는데 이 중 한 대는 상륙작전 도중 K-1 전차에게 지상에서 발각되어 105mm 주포를 맞고 가루가 되어버린다. 덤으로 3권에서는 MH-53E 페이브로 두 대가 인민군의 57mm 대공포 세례를 맞고 아파치들과 같이 격추되었다.

8.4. 만화[편집]


신도림(웹툰) 깊은숲편에서 천둥일행이 이 헬기를 이용해서 탈출한다.


9. 기타[편집]


  • 2012년 6월 29일, 미 해군이 운용하던 MH-53E 한 기가 포항시에서 추락하였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 NEWS1
  • 2013년 4월 16일 미군이 운용하던 MH-53 한 기가 강원도 철원에서 추락했으나 역시 인명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YTN뉴스사고 영상
  • 아카데미과학 에서 미국 MRC 사의 금형을 인수해서 1/48 스케일로 출시했었다. 현재는 단종된 상태이다.


10.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경헬기S-52, H-19
다목적헬기UH-1E/N
수송헬기CH-46, CH-53
공격헬기AH-1G/J/W
대잠헬기SH-2, SH-3, SH-60
제공 전투기1세대FJ-1, FJ-2, FJ-4, F2H(F-2), F9F-2, F7U, F9F-6
2세대F3H-1/2(F-3), F-11, F8U, F4D(F-6)
3세대F-4A/B/J/N/S, F-111B
4세대F-18A/B/C, F-14A/B/D
해병전투기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F3D-2Q(F-10), EA-6B, EP-3
수송기C-1, C-2
공중급유기KC-130
해상초계기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E-1, E-2C/D, E-6
훈련기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전투기4세대F-14(A/B/D)R, F/A-18(A/BR, C/D)해병
4.5세대F/A-18E/F
5세대F-22N, F-35B해병, F-35C
6세대{F/A-XX}
공격기A-12, AV-8B/AV-8B+해병
수송기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조기경보기E-2C/D, E-6
대잠초계기P-3C, P-7, P-8A, S-3R, S-2R
정찰기HC-144해경
공중급유기KC-130
전자전기EA-6BR, EA-18G, EP-3
훈련기프롭DHC-3, T-34, T-44A, T-6 II
제트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헬리콥터TH-57, UH-72
가상적기F-21AR, F-16(A/B), (T)F-16N
다목적기UC-35D
무인기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현대 오스트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오스트리아 연방군 (1955~현재)
Österreichisches Bundesheer
회전익기
경헬기
OH-58B 카이오와 | SA.316B · 319B 알루에트 III | AB 206A 제트 레인저R | SA.318C 알루에트 IIR | 벨 47G2 · AB 47G2 · H-13H 수우R
다목적 헬기
AW169B | S-70A-42 블랙 호크 | AB 212AM | AB 204BR | WS-55 훨윈드R
수송헬기S-65ÖeR
전투기
1세대
J 29F "플리겐데 토네"R
2세대
J 35Ö Mk.II 드라켄R
3세대
F-5E 타이거 IIL/R
4(.5)세대
유로파이터 타이푼 Tranche 1
공격기사브 B 17R
수송기
경량CN-235-300L/R | SC.7 스카이밴 3MR
전술C-130K 허큘리스 | {C-390 밀레니엄}
다목적기PC-6B2-(H2/H4) 터보 포터 | 세스나 182(A/B)R · 172R | PA-18-(95/150) 슈퍼 컵R | DHC-2 비버R | L-19(A/E) 버드 도그R
무인기
SUAV
클래스 1 - 초소형
카시디안 트래커
훈련기
프롭PC-7Ö 터보 트레이너 | DA40 NG 다이아몬드 스타 | Z-126R | 사브 91D 사피르R | LT-6G 텍산R | 피아지오 P.149DR | 피아트 G.46-4BR | Yak-18R | Yak-11R
제트사브 105ÖR | CM.170 마지스테르R | 뱀파이어 (T.11/T.55)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회전익기 경헬기SA 313B 알루에트 IIR | MD 500-TOW LahatutR
다목적 헬기UH-1DR | AS565 팬서
수송헬기CH-53 Yas'ur, UH-60A Yanshuf, {CH-53K}
공격헬기AH-1G Tzefa A, AH-1Q Tzefa B, AH-1F Tzefa (C/D), AH-64A Peten | AH-64D-I Saraph
전투기프롭F-51(D, J26) 머스탱R | 스핏파이어 Mk IXcR | S-199 SakeenR | 브리스톨 보파이터R
1세대미티어(NF.13, F.8)R | M.D.450B 우라강R | 미스테르 IIR | 미스테르 IVAR | F-84FL/R
2세대SMB2 (삼바드R, 사'르)
3세대F-4-2000 | F-4E KurnassR | 미라주 III(BJ, CJ) 샤하크R | 미라주 V, |IAI 내셔 | IAI 크피르 (C2R, C7R, NG)
4세대 / 4.5세대IAI 라비 | IAI 나메르 | F-16(A 네츠/B) Block 1/5/10, F-16C 바락 Block 30, 40, F-16D 바락 II Block 30/40, F-16I Block 52(개량) | F-15(A 바즈, B, C, D) | F-15I 라'암 | {F-15EX}
5세대F-35I 아디르
공격기A-4(E, F, M, N) AyitR
폭격기B-17GR | S.O.4050 보투르 (IIA, IIB, IIN)R
수송기IAI 아라바R | C-130J
지원기조기경보기G550 CAEW
정찰기DH.98 (FB.IV, NF.30, T.3, PR.16) MosquitoR | DH.98 TR.33 Sea Mosquito | RF-4E Orev
공중급유기KC-707 Saknai | KC-130H Qarnaf | {KC-46}
무인기UAVIAI 헤론 | 헤르메스 450 | 헤르메스 900 | 헤르메스 1500
UCAVIAI 하피 | IAI 에이탄
훈련기프롭T-6R | G 120A | T-6A
제트M-346 Lavi | F-15 B/D, F-16D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08 20:53:02에 나무위키 CH-5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양반은 육군/해군/공군/해병이 서로 따로 놀면서 예산을 펑펑 써대는 행태를 매우 혐오했다.군용기 명명법부터 시작해서 각 군의 사무행정과 군수보급을 최대한 단순하게 통일해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해군/해병보고 CH-47을 도입하라고 요구한게 단순한 깽판은 아니었다는 이야기다. 그 덕에 F-4 팬텀 II가 3군 통합 전투기로서 서방권 하이급을 대표하는 전투기이자, 베스트셀러가 된 은인이자, 있지도 않는 계획을 모조리 합쳐 다시 따로 국밥으로 만든 원흉이란 평가를 가지고 있다.[2] 그래도 CH-47과 아예 연이 없는 것은 아니라서 지금도 치누크를 잘 쓰고 있다. 물론 육군처럼 적극적으로 헬리본 작전에까지 쓸 정도는 아니고(동생인 시나이트 쓰면 되니까), 그냥 중장비 운반용짐꾼으로 쓰인다고. 다만 육군 치누크 얻어타서 헬리본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Operation Bama 도중 아프가니스탄 Wusbin Valley에서 육군의 CH-47을 얻어타는 미 해병대 3사단 6연대 대원들. 2004년 5월 28일 사진.[3] 헬기 주제에 한개 소대의 병력을 이동할 수 있다.[4] 급유 프롭 반대쪽 레이돔의 형상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