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퀸(밴드)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퀸(밴드)/노래방 수록 목록
,
,
,
,
,
,




파일:퀸(밴드)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록 음악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로큰롤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사이키델릭 록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네오 사이키델리아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보어덤스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노이즈 록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블루스 록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크림 · 야드버즈(레드 제플린)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하트랜드 록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AC/DC · 에어로스미스 ·
어덜트 오리엔티드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프로그레시브 록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소프트 록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닐 영 · 폴 사이먼
팝 록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필 콜린스 · 피터 가브리엘 · 로드 스튜어트 · 조지 마이클
파워 팝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헤비 메탈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NWOBHM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에어로스미스 · KISS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 건즈 앤 로지스
파워 메탈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스래시 메탈메탈리카 · 메가데스 · 앤스랙스 · 슬레이어
블랙 메탈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데스 메탈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고딕 메탈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프로그레시브 메탈러시 · 제쓰로 툴 · 크림슨 글로리 · Vanden Plas · 퀸즈라이크 · 드림 시어터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메슈가(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판테라 · 램 오브 갓
얼터너티브 메탈Alter Bridge · 헤일스톰
뉴 메탈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기타 하위 장르 :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둠 메탈 · 심포닉 메탈
펑크 록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포스트 펑크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U2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고딕 록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듀란 듀란 · 블론디 ·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신스팝크라프트베르크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뉴 오더
하드코어 펑크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포스트 하드코어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라몬즈 · 버즈콕스 · 엘비스 코스텔로 · 그린 데이 · 위저 · Sum 41 · 오프스프링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머신 건 켈리
그라인드코어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데스코어화이트채플 ·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 본 오브 오시리스
얼터너티브 록쟁글팝더 스미스 · R.E.M.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징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니켈백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브릿팝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포스트 브릿팝라디오헤드 ·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더 스미스 · R.E.M.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시규어 로스 · 톡 톡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
Queen
헌액 부문공연자 (Performers)
멤버브라이언 메이, 프레디 머큐리, 존 디콘, 로저 테일러
입성 연도2001년
후보자격 연도1999년
후보선정 연도2000년, 2001년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브릿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작
'''[[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작(1977년~1999년)|{{{#000 Brit Award for Song of the Year
(1977 ~ 1999)}}}]]'''
||
[ 펼치기 · 접기 ]

1977년1982년1983년1984년1985년
파일:45100762_10156065908052362_6160018589014294528_n.jpg
-
-
파일:Karma_Chameleon.jpg
-
Bohemian RhapsodyTainted Love Come On EileenKarma ChameleonRelax
Soft CellDexys Midnight Runners컬처 클럽Frankie Goes to Hollywood
1986년1987년1988년1989년1990년
파일:everybody-wants-to-rule-the-world.jpg
파일:웨슽엔걸스12.jpg
파일:네벌거너기뷰업.jpg
-
-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West End GirlsNever Gonna Give You UpPerfectAnother Day in Paradise
티어스 포 피어스펫 샵 보이즈릭 애스틀리Fairground Attraction필 콜린스
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
파일:enjoy the silence.jpg
파일:These_Are_the_Days_of_Our_Lives__(US_single).jpg
-
파일:Pray.jpg
파일:Plife.jpg
Enjoy the SilenceThese Are the Days of Our LivesCould It Be MagicPrayParklife
디페시 모드테이크 댓블러
1996년1997년1998년1999년
-
파일:SGW.jpg
-
파일:rw_angels.png
Back for GoodWannabeNever EverAngels
테이크 댓스파이스 걸스All Saints로비 윌리엄스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b69858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카니예 웨스트더 후U2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46위47위48위49위50위
Beck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폴리스
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아티스트
29위



파일:Heart logo.png
Heart 선정 영국 최고의 음악가
[ 펼치기 · 접기 ]

영국의 라디오 방송국 Heart가 'Best of British: Musicians'를 선정.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비 지스엘튼 존케이트 부시
6위7위8위9위10위
스팬도 발레유리드믹스필 콜린스듀란 듀란Wham!







파일:월스트리트 저널 로고.svg 선정
가장 인기 있는 록밴드
[ 펼치기 · 접기 ]

월스트리트 저널이 2018년 음반 판매량, 유튜브 조회수, 차트 및 음원 성적 등을 종합하여 통계 산출을 통해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록밴드를 선정했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레드 제플린핑크 플로이드롤링 스톤스
6위7위8위9위10위
AC/DC이글스메탈리카건즈 앤 로지스에어로스미스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VH1이 2000년 발표한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순위.
1위2위3위4위5위
레드 제플린블랙 사바스지미 헨드릭스AC/DC메탈리카
6위7위8위9위10위
너바나밴 헤일런더 후건즈 앤 로지스KISS
[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에어로스미스섹스 피스톨즈사운드가든핑크 플로이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크림라몬즈오지 오스본더 클래시앨리스 쿠퍼
21위22위23위24위25위
펄 잼딥 퍼플주다스 프리스트아이언 메이든칩 트릭
26위27위28위29위30위
모터헤드이기 팝러시머틀리 크루레드 핫 칠리 페퍼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데프 레파드도어즈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앨리스 인 체인스제인스 애딕션
36위37위38위39위40위
프랭크 자파야드버즈MC5닐 영 & 크레이지 호스스톤 템플 파일럿츠
41위42위43위44위45위
Ted Nugent킹크스Nine Inch NailsZZ Top판테라
46위47위48위49위50위
스콜피온즈The Rollins Bird재니스 조플린Smashing Pumpkins슬레이어
51위52위53위54위55위
Thin LizzyFaith No MoreKornSonic YouthBlue Oyster Cult
56위57위58위59위60위
White ZombieHeart앤스랙스Bad CompanyNew York Dolls
61위62위63위64위65위
제쓰로 툴Ministry보스턴SteppenwolfThe Cult
66위67위68위69위70위
Joan Jett & The Blackhearts롤링 스톤스Husker Du메가데스Living Colour
71위72위73위74위75위
레너드 스키너드푸 파이터즈Twisted SisterPat BenatarSpinal Tap
76위77위78위79위80위
본 조비HoleMarilyn MansonRattGreen Day
81위82위83위84위85위
PixiesQueensrycheKing's XUFOWhitesnake
86위87위88위89위90위
포리너킹 크림슨ToolLita Ford레인보우
91위92위93위94위95위
DanzigBlack CrowesLenny Kravitz예스Fugazi
96위97위98위99위100위
Meat LoafPrimusMountainBed BrainsQuiet Riot

같이 보기: 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펼치기 · 접기 ]

이름
QUEEN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2002년 10월 18일
위치6356 Hollywood Blvd.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A1A70,#47478d><#1A1A70,#191919>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 Sales
Recording Artists
of 2018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세일즈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6위
2018년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47478d><#1A1A70> 파일:Ifpi.svg
IFPI Global
Albums
Recording Artists of the Year
국제음반산업협회
글로벌
앨범
레코딩 아티스트
||
||<#fff,#191919><color=#000,#fff> 2018년 6위
2019년 5위
"연도4=display:none@"
"연도5=display:none@"
@연도5@년 @순위5@위
||



[ 펼치기 · 접기 ]

※ 1999년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전문가 81명/청취자 1,556명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Top 10 선정.
※ 전문가 81명↓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핑크 플로이드
6위7위8위9위10위
엘튼 존밥 딜런롤링 스톤스에릭 클랩튼마돈나
※ 청취자 1,556명↓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너바나
6위7위8위9위10위
레드 제플린에릭 클랩튼마돈나ABBA핑크 플로이드
※ 전문가 + 청취자 종합↓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너바나
6위7위8위9위10위
핑크 플로이드마돈나에릭 클랩튼밥 딜런
출처




세계 음악가 음악 판매량
List of best-selling music artists
[ 2억 이상 판매한 음악가 ]
순수 음반 판매량이 아닌, 뮤직비디오 스트리밍, 싱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정규, EP, 컴필레이션 앨범 등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포함된 국가별 앨범 인증단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1] 출처는 위키백과이다. 위키백과 자료 설명 글에 "글로벌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는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없습니다."라고 언급되었다.[2]
판매량 정보는 앨범의 순수 판매량을 보고 싶으면 순 앨범 판매량정리하는 차트마스터를 참고하면 된다. 대부분의 팝스타 팬들이 참고하는 사이트이다. 앨범 판매량 순위보기[3]

비틀즈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마돈나엘튼 존
최대 600,000,000장[4]500,000,000장최대 400,000,000장[5]최대 300,000,000장[6]최대 300,000,000장[7]
레드 제플린리아나핑크 플로이드에미넴머라이어 캐리
최대 300,000,000장[8]250,000,000장최대 250,000,000장[9]220,000,000장최대 220,000,000장[10]
테일러 스위프트휘트니 휴스턴이글스롤링 스톤스
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
셀린 디옹AC/DC
최대 200,000,000장[11]최대 200,000,000장[12]

[1] 그러나 미국은 인증은 소속사에서 수동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는 더 정확성을 잃게 된다.[2] #[3] 다만 여기도 모든 국가 판매량을 계산한 것은 아니고 주요 큰 국가만 계산되기 때문에 순수 판매량이 꽤 축소된 경향이 있다. 아티스트 모두 실제는 더 팔았을 것이라고 추측된다.[4] 최소 500,000,000장 – [5] 최소 350,000,000장 – [6] 최소 275,000,000장 – [7] 최소 250,000,000장 – [8] 최소 200,000,000장 – [9] 최소 200,000,000장 – [10] 최소 200,000,000장 – [11] 최소 175,000,000장 – [12] 최소 150,000,000장 –
[ 1억 5천만 이상 판매한 음악가 ]

드레이크가스 브룩스카니예 웨스트빌리 조엘저스틴 비버
170,000,000장170,000,000장160,000,000장160,000,000장150,000,000장
에드 시런브루노 마스브루스 스프링스틴U2에어로스미스
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
필 콜린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ABBA프랭크 시나트라
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
[ 각주 ]
[각주]

1억 5천만 미만부터는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같이보기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파일:퀸(밴드) 심볼.svg
Queen
||
파일:queen profile.jpg
▲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로저 테일러, 존 디콘, 프레디 머큐리, 브라이언 메이[1]
▼ 다른 사진 보기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결성1970년 6월 27일[2][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콘월 트루로
데뷔1973년 7월 6일
데뷔 싱글 "Keep Yourself Alive"
데뷔 앨범
멤버프레디 머큐리 (리드 보컬, 피아노)[4]
브라이언 메이 (기타, 보컬)
존 디콘 (베이스)[5]
로저 테일러 (드럼, 보컬)
장르, , 하드 록, 글램 록, 프로그레시브 록, 소프트 록, 팝 록[6]
레이블EMI, 팔로폰, 엘렉트라 레코드, 케피톨, 할리우드, 아일랜드, 버진 EMI, 스완 송 레코드[7]
링크파일:퀸(밴드)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VEVO 로고.svg

1. 개요
2. 특징
3. 멤버
3.1. 전 멤버 및 세션 멤버
6. 인기
6.1. 미국 시장
6.2. 대한민국에서의 인기
7. 기타
8. 디스코그래피
8.1. 스튜디오 앨범
8.2. 라이브 앨범
8.3. 컴필레이션 앨범
8.4. EP
8.5. 싱글
8.5.1. UK 차트
8.5.1.1. UK 차트 1위
8.5.1.2. UK 차트 2위
8.5.1.3. UK 차트 3위~10위
8.5.1.4. UK 차트 11위~20위
8.5.2. 빌보드차트 성적
8.6. 별도 문서가 있는 퀸의 음악



1. 개요[편집]



퀸은 1970년에 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영국록 밴드이다.

2. 특징[편집]


브라이언 메이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시절 만든 밴드인 ‘스마일’이 모체이며, 이후 드럼을 치던 치의대 출신 로저 테일러가 가입하고, 뒤이어 보컬인 프레디 머큐리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킹스 칼리지 런던에 다니던 존 디콘베이시스트로 참여하여 1971년 밴드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네 멤버는 학업과 음악 활동을 병행하다가 1973년 1집을 발매하면서 메인스트림에 데뷔하였고, 1975년에 4집인 A Night at the Opera를 발표하면서 전성기를 맞아 세계적인 밴드의 반열에 올랐다. 1980년대에는 잠깐 침체기를 겪기도 했지만 1985년 라이브 에이드를 통해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보컬인 프레디 머큐리의 에이즈로 인해 라이브 투어를 중단하게 된다. 이후 1991년 프레디 머큐리가 에이즈로 인해 사망하고, 뒤이어 1997년 존 디콘이 밴드를 탈퇴하여 자발적인 은둔 생활을 시작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밴드의 음악 활동이 소강기에 접어들게 된다. 현재는 남은 멤버 두 명이 세션 멤버들을 모아 투어를 다니는 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퀸은 비틀즈,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처럼 특정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폭 넓은 사운드를 선보이는 밴드였다. 초반에는 레드 제플린데이비드 보위의 영향을 받은 음악과 무대 의상 때문에 하드 록메탈 음악, 그리고 글램 록으로 분류되었지만[8], 실은 레드 제플린과 데이비드 보위 외에도 비틀즈, 지미 헨드릭스, 더 후 등 아주 다양한 밴드들의 영향을 받은, 즉 음악적 자양분이 풍부한 밴드였다. 이들은 주 장르라고 할 수 있는 하드 록과 글램 록 외에도 소프트 록, 팝 록, 프로그레시브 록, 디스코 등 매우 다양한 장르들을 시도했다. 또 여러 장르를 록에 접목시키면서 넓은 폭의 중독성 있는 곡들을 발매하여 현대까지 모든 세대에서 인기있는 록 밴드 중 하나가 되었다.

여러 히트곡들의 음악성과 흥행 여부와는 별개로, 동시대에 활동했던 여러 밴드들에 비하면 음악적 영향력과 음악사적 중요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AC/DC와 더불어 음악 평론가들이나 팬들에게는 평가가 다소 낮은 밴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음악적인 평가와는 별개로 상업적으로는 매우 성공해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에 이은 역대 록 밴드 음반 판매량 4위이며[9][10], 퀸이 다소 실패한[11] 미국을 카운팅에서 제외한다면 비틀즈레드 제플린 다음가는 결과가 나오는 등 매우 큰 인기를 누렸으며, 현재까지도 We Will Rock You, We Are the Champions 등 수많은 명곡들로 사랑받고 있다.

3. 멤버[편집]


퀸의 구성 멤버
파일:프레디 머큐리 1:1.jpg
프레디 머큐리 Freddie Mercury
생몰1946년 9월 5일 - 1991년 11월 24일 (향년 45세)
출신지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스톤타운
활동1970년 - 1991년
포지션리드 보컬, 피아노
파일:브라이언 메이 1:1.jpg
브라이언 메이 Brian May
출생1947년 7월 19일 ~ (76세)
출신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미들섹스 햄프턴
활동1968년 -
포지션기타, 보컬
존 디콘 John Deacon
출생1951년 8월 19일 ~ (72세)
출신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셔 레스터
활동1971년 - 1997년
포지션베이스 기타, 보컬[12]
로저 테일러 Roger Taylor
출생1949년 7월 26일 ~ (74세)
출신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퍽 주 킹스린
활동1968년 -
포지션드럼, 보컬
파일:Queen logo.png

밴드 자체의 낮은 평가와는 별개로 멤버들의 역량은 매우 뛰어났다. 비록 인간 흉기들의 모임인 크림, 더 후, 레드 제플린 정도까진 아니어도, 평론가들에게 역량 갖다가 까이는 경우는 거의 없을 정도로 기본기가 튼튼했다. 이 중에서도 프레디 머큐리와 브라이언 메이는 각 분야의 최고 실력자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 프레디 머큐리로버트 플랜트, 로저 달트리, 이안 길런, 로니 제임스 디오, 믹 재거 등과 함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록 보컬리스트이자 프론트맨 중 한 명으로 꼽힌다.[13] 1970년대에는 맑은 미성을 바탕으로 벨팅 창법을 사용하면서 굉장히 야누스적인 보컬을 들려주었고, 1980년대에는 70년대의 창법을 버리고 전반적으로 인골라에 빠지긴 했으나, 파워풀하고 허스키한 탁성으로 곡을 이끌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음역대 또한 매우 넓어서[14] 음원에서 매우 넓은 음역대를 보여주기도 한다. 다만 라이브에선 컨디션이 좋은 공연에서도 3옥타브 도 이상의 고음은 내기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였기에 음역대가 바리톤이라는 의견도 많다.[15] 또한 송라이팅에도 일가견이 있었는데, 퀸 하면 떠오르는 아름다운 멜로디를 가진 대다수의 히트곡들은 전부 프레디 머큐리의 작품이었다. 또한 상술했듯이 프론트맨으로서의 퍼포먼스도 굉장히 고평가를 받는데, 무대에서 관객들과 아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도 하고, 관객 모두를 노래에 참여시키기도 한다. 게다가 무대에서 뛰어다니기도 하는 등, 에너제틱한 퍼포먼스를 선보여 무대의 분위기를 능숙하게 고조시키기도 하였다.

  • 브라이언 메이는 록 음악 역사상 최고의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비록 동시대에 지미 페이지, 에릭 클랩튼, 제프 벡, 피트 타운젠드, 에디 밴 헤일런 등의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기타리스트들이 활동했고 퍼포먼스 또한 저들과 비교하면 얌전했기에[16] 저평가받는 면이 있으나, 객관적으로 보면 연주력 측면에서 저들에게 절대 밀리지 않으며, 하드 록헤비 메탈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전설적인 기타리스트이다. 잉베이 말름스틴 등 수많은 후배 기타리스트들이 자신에게 영향을 준 기타리스트로 브라이언 메이를 뽑는 경우도 많다. 하드 록 스타일의 속주도 속주였지만 브라이언 메이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은 딜레이 이펙터를 이용하여 기타로 돌림노래를 하는 퍼포먼스이다. 더군다나 다른 기타리스트들과는 달리 본인이 직접 만든 수제 기타인 레드 스페셜을 사용했기에, 사운드 톤 또한 유일무이하다.[17] 그렇기에 소리만으로도 구분되는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한다. 또한 보컬과 작곡, 키보드에도 능했는데, 그는 여러 곡들을 작곡하고 때로는 직접 보컬 혹은 키보드도 맡는 등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 로저 테일러의 드러밍은 밴드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존 본햄, 키스 문, 찰리 와츠 등의 드러머들과는 달리 대중음악 역사에 길이 남을 수준은 아니지만, 퀸이라는 대형 록 밴드에 걸맞는 높은 수준의 드러머라고 평가받는다. 하드 록, 헤비 메탈, 글램 록, 팝 록, 오페라 등 퀸이 시도했던 수많은 장르에서 그에 걸맞는 드러밍을 보여 주었으며, 라이브 공연들에서의 드럼 솔로를 보면 기교가 없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탄탄한 연주력으로 레드 제플린로버트 플랜트가 1983년에 진행한 솔로 공연에서 객원 드러머로 참여한 적도 있었다. 보컬에도 꽤나 능했는데, 걸걸한 음색과 달리 3옥타브 중후반대까지 올라가는 음역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직접 보컬을 맡은 곡들도 있었고, 라이브 공연에서는 바리톤으로 추정되는 프레디 머큐리의 뒤에서 든든하게 고음 파트를 받쳐 주었다. 그의 이런 독보적인 특성을 가장 잘 계승한 드러머로는 푸 파이터스테일러 호킨스가 있었다.[18]

  • 존 디콘 또한 위의 로저 테일러처럼 밴드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존 엔트위슬, 잭 브루스, 존 폴 존스 등의 베이시스트들과는 달리 대중음악 역사에 길이 남을 수준은 아니지만, 퀸이라는 대형 록 밴드에 걸맞는 높은 수준의 베이시스트라고 평가받는다. 퀸이 시도했던 수많은 장르에서 베이스의 표현력이 부족했던 적은 아예 없었으며, 존 엔트위슬존 폴 존스의 영향을 크게 받아 베이스 라인을 짜는 것에도 능했다. 여기에 디스코펑크(Funk)를 좋아하는 취향이 맞물려 테크니컬하면서도 보다 대중적인 스타일의 연주가 가능했다. 존 디콘 또한 밴드의 작곡가였지만, 밴드 멤버들 중 작곡한 곡은 가장 적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곡에도 능했다는 평가를 받는데, 퀸의 단 두 개 뿐인 빌보드 핫 100 1위곡 중 하나가 바로 존 디콘이 작곡한 Another One Bites the Dust이다. 이 외에도 You're My Best Friend 등 퀸의 여러 히트곡들을 작곡하였다.

이 외에도 퀸은 믹 재거,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와 더불어 당시 음악계에서 흔치 않은 중산층 출신이었다. 다만 상술한 두 밴드의 일원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한 것과 달리 퀸 멤버들은 대학에 진학하였으며, 대학에서 음악을 시작했다.[19] 여담으로 퀸 멤버들은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출신인 롤링 스톤스믹 재거와 더불어 록 음악계에서 가장 학력이 높은 사람들이었다. 로저 테일러는 런던 병원 의과대학치과대학을 다녔으며[20], 존 디콘은 킹스 칼리지 런던전기전자공학과를 나왔다.[21] 또한 브라이언 메이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천체물리학부를 다녔다.[22] 그렇기에 이들은 음악을 하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먹고 살만했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프레디 머큐리가 상대적으로 묻히기는 하지만, 그도 영국에서도 꽤 알아주는 미술대학인 일링 미술대학교 출신이다. 즉 명문대생 4명이 결합한 밴드였으며[23], 이 때문에 초기에 평론가들이 퀸을 까던 레퍼토리 중에서 “명문대생들이 똑똑한 거 티낸다”는 억지도 있었다.

3.1. 전 멤버 및 세션 멤버[편집]


퀸의 이전 멤버
파일:smiletim.jpg
팀 스타펠 Tim Staffell[24]
생몰1948년 2월 24일 (76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런던 아일워스
활동1968년 - 1970년
포지션보컬, 베이스 기타
파일:rog and mike.jpg[25]
마이크 그로즈 Mike Grose
생몰??? - 2019년 3월 6일 (향년 ???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활동1970년
포지션베이스 기타
파일:barry mitchell.jpg
배리 미첼 Barry Mitchell
생몰불명[26]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활동1970년 - 1971년
포지션베이스 기타
파일:doug bogie.jpg
더그 보기 Doug Bogie
생몰1953년(추정)[27]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활동1971년
포지션베이스 기타

퀸의 세션 키보디스트
파일:fred-mandel-abaa2d43-6fc7-4224-869d-fb6a0810971-resize-750.jpg
프레드 만델 Fred Mandel
생몰1953년(추정) (71세)
출신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토론토 온타리오
활동1982년 북미, 일본 투어
포지션건반 악기[28]
파일:Morgan_fisher_2007.jpg
모건 피셔 Morgan Fisher
생몰1950년 1월 1일 (74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메이페어
활동1982년 유럽 투어
포지션건반 악기
파일:spike.jpg
스파이크 에드니 Spike Edney
생몰1951년 12월 11일 (72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런던 해크니
활동1984년 -
포지션건반 악기, 일렉트릭 기타[29]

프레디 사후의 객원 멤버들
파일:4u4P2ySF.jpg
폴 로저스 Paul Rodgers
출생1949년 12월 19일 (74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요크셔 미들스버러
활동2005년 - 2008년, 퀸+폴 로저스
포지션보컬
파일:DSC_8771-761x1030.jpg
제이미 모지스 Jamie Moses
출생1955년 8월 30일 (68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서포크 입스위크
활동2005년 - 2008년, 퀸+폴 로저스
포지션기타
파일:danny-miranda.jpg
대니 미란다 Danny Miranda
출생1964년 3월 21일 (60세)
출신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
활동2005년 - 2008년, 퀸+폴 로저스
포지션베이스 기타
파일:1200px-Queen_And_Adam_Lambert_-_The_O2_-_Tuesday_12th_December_2017_QueenO2121217-14_(25093782907)_Cropped.jpg
아담 램버트 Adam Lambert
출생1982년 1월 29일 (42세)
출신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
활동2011년 -, 퀸+아담 램버트
포지션보컬
파일:neil fairclough.jpg
닐 페어클로우 Neil Fairclough
출생1969년 4월 27일 (55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맨체스터[30]
활동2011년 - , 퀸+아담 램버트
포지션베이스 기타
파일:fhd2qr1cw15awq1d.jpg
루퍼스 타이거 테일러 Rufus Tiger Taylor[31]
출생1991년 3월 8일 (33세)
출신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런던
활동2011년 - 2016년, 퀸+아담 램버트
포지션드럼, 퍼커션
파일:16427801_567218563477270_8912112729792777112_n-e1518094380205-900x475.jpg
타일러 워런 Tyler Warren
출생1986년 4월 5일 (38세)
출신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테네시 캠든
활동2017년 - , 퀸+아담 램버트
포지션드럼, 퍼커션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퀸 1972.jpg
파일:퀸 1977.jpg
1972년. 데뷔하기 1년 전의 모습이다.1977년. News of the World 발매 당시로, 음악적 전성기를 맞은 시절이다.
파일:퀸 1981.jpg
파일:퀸 1991.jpg
1981년. 과도기 시절의 모습이다.1991년. 프레디 머큐리 사망 몇 개월 전의 모습이다.
1974년 레인보우 극장에서의 "Liar" 연주.1977년 얼스 코트에서의 "Killer Queen" 연주.
1981년 몬트리올에서의 "Bohemian Rhapsody" 연주.1985년 라이브 에이드에서의 "We Are the Champions" 연주.

5. 평가와 영향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평가와 영향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인기[편집]


이래저래 음악성에 있어서 말이 많은 밴드이긴 하지만 흥행과 인기 만큼은 록 밴드 중에서도 비틀즈레드 제플린 바로 아래급으로[32], 레전드 록 밴드 중 하나로 꼽힌다. 인증 판매고가 1억 장이 넘고 추산 판매고는 2억 장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역대 록 밴드 음반 판매량 순위 4위에 해당된다.[33] 국내외에서도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등과 더불어 젊은 세대들한테서도 인기가 많은 록 밴드다. 록 음악에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아주 유명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 "최고의 록 밴드" 투표를 시키면 무조건 5위권 이내로 꼽히며, 특히나 영화 개봉 이후 레드 제플린핑크 플로이드에 맞먹을 만큼 더더욱 인기가 높아졌다.[34]

특히나 자국인 영국에서의 인기가 어마어마하다. 영국 음악 시장은 현역 당시 기준 세계 2위 규모의 음악시장이었는데, 퀸은 영국에서만큼은 다른 록 밴드들의 인기를 능가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영국에서의 인증 판매고를 보면 알 수 있는데, 퀸은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U2 등의 타 밴드들보다 영국에서의 인증 판매량이 앞선다.[35] 참고로 퀸은 영국차트에서 싱글과 앨범을 합쳐 가장 오랫동안 차트에 머문 뮤지션 순위로 2023년 1월 기준 2,345주 동안 머물러 엘비스 프레슬리, 애드 시런에 이어 3위를 기록 중이다.

2018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통계 산출에 의해 '역사상 가장 인기있는 록 밴드' 순위를 추려냈는데, 퀸은 여기서 3위를 기록했다.[36]#

다만 비틀즈,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등 자국의 다른 S급 록 밴드들에 비해 북미 지역에서의 성적이 유럽에서에 비해 다소 낮은 건 사실이다.[37] 그러나 세계 3위[38] 규모의 시장이자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도 100만 장을 넘기지 못한 일본에서 총 3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39]

6.1. 미국 시장[편집]


대중들, 특히 국내에서는 퀸이 미국 시장에서 처참하게 실패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성기 시절 퀸은 미국 시장에서 실패한 밴드가 절대 아니였으며, 오히려 성공했던 밴드였다. A Night at the Opera를 시작으로 퀸의 전성기 때 발매된 앨범들은 상업적으로 실패했던 Jazz를 제외하고 전부 빌보드 200에서 5위권 이내에 들었다. 심지어 이 Jazz도 빌보드 200에서 6위라는 고순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퀸의 성적은 1960년대 중후반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주도했던 밴드 중 하나인 더 후의 빌보드 200 성적과 맞먹을 정도이다. 또한 빌보드 핫 100에서도 1위 곡을 2개나 가지고 있다. 차트 뿐만 아니라 앨범 판매량만 봐도 알 수 있다. 미국에서만 300만 장 이상이 팔린 A Night at the Opera를 시작으로, News of the WorldThe Game은 미국에서만 400만 장 이상이 팔렸다. 인기가 없었다는 A Day at the RacesJazz도 미국에서만 100만 장 이상이 팔렸다. 무려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밴드들인 롤링 스톤스더 후의 최전성기에 나온 Sticky FingersWho's Next가 미국에서 각각 300만 장, 370만 장이 팔렸음을 고려하면, 이들과 비슷한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던 퀸이 최전성기 당시 미국에서 실패한 밴드가 절대 아니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사실 퀸의 음악성만 보더라도 퀸은 미국 시장에서 실패할 밴드가 전혀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대중들과 평론가들은 퀸이 주로 추구한 음악은 비틀즈레드 제플린, 그리고 데이비드 보위의 스타일이 섞인 하드 록이라고 평가하며, 퀸 본인들 또한 이 세 음악가들이 자신들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음악가들이라고 밝혔다. 이 중에서 영국 스타일이 짙은 데이비드 보위를 제외하면 비틀즈와 레드 제플린은 미국 시장에서 크게 성공했던 밴드였다.[40] 즉 퀸은 영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데이비드 보위 풍의 브리티시 하드 록글램 록을 추구함과 동시에 미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레드 제플린 풍의 정통 하드 록도 추구하면서 미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퀸이 미국 시장에서 실패했다는 이미지가 있는 이유는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퀸의 전성기 시절에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말 그대로 넘사벽 급인 레드 제플린이 활동했으며[41], 핑크 플로이드롤링 스톤스처럼 미국에서의 인기가 어마어마했던 영국 밴드들이 대거 활동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비틀즈의 전 멤버들 또한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레드 제플린은 앨범만 냈다 하면 1,000만 장 단위의 판매량을 기록하고[42]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심지어 음악적 역량이 떨어지기 시작한 1970년대 후반에 발매한 앨범인 PresenceIn Through the Out Door마저 빌보드 1위를 달성하였고 수백 만 장 단위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했다. 롤링 스톤스 또한 1971년 Sticky Fingers를 시작으로 빌보드 200에서 밥 먹듯이 1위를 차지했으며, 심지어 롤링 스톤스 3대 침체기 앨범이라고 불리는 음반들마저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롤링 스톤스는 다른 영국 밴드들은 한 번 만들기도 힘든 빌보드 핫 100 1위곡을 1970년대에만 3곡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리고 The Dark Side of the MoonWish You Were Here, The Wall로 대표되는 핑크 플로이드는 말 할 필요도 없다.[43] 즉 동시대에 활동했던 이러한 초대형 밴드들과 퀸의 빌보드 200 성적이 비교되면서 “퀸은 전성기 때에도 미국에서만은 실패했다!”라는 낭설이 나오게 된 것이다.[44]

두 번째로 퀸의 전성기 당시 상술한 영국 밴드들 뿐만 아니라 미국 본토 출신의 밴드들 또한 미국 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19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일어난 당시에는 미국 아티스트들은 영국 아티스트들에게 밀려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저조했으나[45], 1970년대 초반 당시 미국 음악계는 자립에 성공한 상태였다. 보통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가리킬 때 1960년대가 1차, 1970년대가 2차라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1970년대에 빌보드 차트를 문자 그대로 씹어먹었던 영국 밴드는 상술한 세 밴드와 폴 매카트니윙스 정도밖에 없었다.[46] 1970년대의 미국 음악계에서는 이글스같은 컨트리 록 밴드들이나 레너드 스키너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 등의 서던 록 밴드들, 그리고 에어로스미스, 보스턴, KISS, 밴 헤일런, 포리너 등의 아메리칸 하드 록 밴드들도 위의 세 밴드 만큼의 큰 인기를 누렸다. 즉 위의 영국 밴드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국 밴드들도 퀸과 동시기에 활동하면서 퀸은 미국에서 실패했다는 이미지가 형성된 것이다.

세 번째로 Hot Space의 대실패 이후 퀸이 미국에서의 활동을 줄여나갔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1984년부터 퀸은 미국에서 투어를 중단해 버렸다. 사실 1970년대 까지 영국과 미국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어 멤버들은 이미 떼부자가 되었는데, Hot Space가 크게 실패한 이후에 굳이 미국인들의 입맛을 맞출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I Want to Break Free에서의 코믹스러운 여장 뮤비가 보수적인 미국인들의 심기를 건드려 MTV에서 이 뮤비를 방송 금지시켜버렸던 사건도 있었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미국 대중음악은 마이클 잭슨프린스를 필두로 한 댄스 및 흑인 음악, 밴 헤일런본 조비 등을 필두로 한 글램 메탈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하드 록을 주로 추구하던 퀸의 입지는 더더욱 줄었다. 이러한 일들이 겹겹이 일어나면서 밴드의 리더 격인 프레디 머큐리는 "앨범이 크게 성공하지 않는 한 미국 투어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말했으며, 상술했듯이 이 이후로 정말 투어를 진행하지 않았다. 이렇듯 이 시기부터 퀸은 미국 시장 재건을 위한 의지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연스럽게 미국의 언론이나 라디오의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그렇기에 이때부터 퀸은 북미를 제외한 유럽이나 남미, 일본 등에서 여전히 큰 인기를 얻으며 활약했다. 11집 투어는 북미를 제외한 유럽, 남미, 남아공, 일본을 모두 돌며 투어를 진행했다.[47]

6.2. 대한민국에서의 인기[편집]


한국 한정으로는 고전 록과 팝을 통틀어서 퀸의 인기에 견줄만한 록 밴드는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다. 솔로 가수까지 다 합쳐도 그나마 마이클 잭슨 정도가 유일하게 비교가 가능한 수준이다.[48]

참고로 비틀즈의 경우, 국내에선 비틀즈라는 이름의 '인지도'는 높으나, 비틀즈의 음악을 찾아 듣는 실질적인 음악팬은 생각 외로 적은 편이다.[49] 한국 대중은 사실상 비틀즈를 록 밴드로 인식하지 않고 그냥 히트곡 서너곡을 내서 음악사에 족적을 남긴 올드 팝 그룹 정도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50] 그렇기에 Yesterday, Let It Be, Hey Jude 등의 몇몇 히트곡만 유명하며, 그 외에 페퍼 상사, 화이트 앨범, 애비 로드 수록곡 같은 비틀즈가 시도한 다양한 스타일의 명곡들에 대한 인지도는 극히 낮다[51]. 물론 한국에서도 적극적으로 명반을 찾아듣는 록 음악 매니아들은 비틀즈 음악도 좋아하는 경우들이 꽤 있지만, 애초에 한국은 옛날 록 음악과 명반을 찾아들을 정도로 열성을 가진 록 음악 리스너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그래봤자 얼마 안 된다. 즉 과거 유명인사로서 비틀즈라는 이름은 유명하지만 비틀즈가 가진 다채로운 면모 중에 너무 일부만 한정해서 알려져 있을 뿐 실질적인 인기는 생각보다 훨씬 적은게 한국에서의 실정이다.[52][53]

그나마 비틀즈는 어쨌든 이름이라도 유명하지만, 세계적으로 퀸과 비슷한 수준의 인기를 가진 롤링 스톤스, 핑크 플로이드, AC/DC, 더 후 등은 아예 모르는 경우도 많다. 롤링 스톤스는 혓바닥이 나온 입술 로고의 패션 브랜드나 심한 경우엔 잡지사 롤링 스톤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핑크 플로이드는 3~40년 전만해도 국내 인기가 퀸 다음가는 수준으로 높았으나 현재는 소수의 한정된 리스너들만 좋아하는 밴드일 뿐이다. AC/DC는 비록 각종 광고 및 예능 프로그램, 영화, 셔츠, 야구 선수들의 등장곡 등에서 곡이 사용되어 히트곡들은 매우 유명하지만, 밴드 자체는 모르거나 빈티지 패션 브랜드로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54] 다만 세계적으로 퀸 이상의 인기를 자랑하는 레드 제플린의 경우는 그래도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에서도 나름대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편이라서 롤링 스톤스와 핑크 플로이드 등 보다는 형편이 훨씬 나은 축에 속한다.[55] 그러나 레드 제플린도 국내 한정으로는 퀸의 폭넓은 인기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또한 너바나, 오아시스, 그린 데이, 뮤즈 등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들은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에서의 인기는 높은 편이지만, 퀸과 달리 그 윗 세대에서의 인기는 다소 낮다. 이 외에도 국내에서 내한 공연을 무려 4번이나 했을 정도로 인기가 있는 메탈리카마저도 00년대에 청춘을 보냈던 현재의 30대나 40, 50대를 제외하면 인지도가 제로에 가깝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세대를 막론한 폭넓고도 막강한 인기를 갖고 있는 록 밴드는 퀸이 유일무이할 정도로 독보적이다.

이처럼 원래도 인기가 높았던데다가, 퀸의 전기 영화인 ≪보헤미안 랩소디≫가 개봉한 이후로 신세대에서도 인기가 더더욱 높아졌다. 이 보헤미안 랩소디 영화는 한국에서 거의 1,000만 명에 가까운[56] 엄청난 관객을 모으는 초대박을 쳤으며 이는 전 세계를 통틀어 미국 다음으로 높은 수치이다. 즉 퀸의 본고장인 영국에서보다 대한민국에서 더욱 큰 인기를 얻은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퀸의 절대적인 인기로 인해 2022년에는 제주도에 프레디 머큐리의 동상이 건립되기에 이른다. 프레디 머큐리의 동상이 세워진 것은 전 세계에서 스위스몽트뢰를 제외하면 한국의 제주도가 유일하다. 스위스 몽트뢰는 프레디 머큐리가 생전에 제일 사랑했던 곳이라고 말해왔고, 오랜 기간 앨범 작업과 휴양도 했던 곳이라서 프레디 머큐리에게 가장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소이니 동상이 건립될 만도 하다. 그러나 한국의 제주도는 프레디 머큐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도 동상이 세워질 정도로 유별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57]

국내에서의 인기가 원래 이만큼 절대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현역 당시에도 국내에서 인기가 있긴 했지만, 당시 청춘 세대들은 퀸보다 레드 제플린딥 퍼플을 필두로 한 하드 록 및 헤비 메탈 밴드들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58] 이 두 밴드 외에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핑크 플로이드 또한 당대에 퀸보다 국내 인기가 더 높은 밴드들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퀸의 인기가 여전히 유지된 까닭은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퀸의 곡을 마성의 BGM처럼 광고 음악으로 자주 사용했고 각종 예능 프로그램들에서도 많이 삽입했으며 심지어 스포츠 경기장에서도 자주 트는 등 언제나 우리의 생활 속에서 퀸의 음악이 자주 들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퀸의 음악이 귀에 익숙해지고 친근하게 정이 들게 된 점도 크다. 이 때문에 광고 BGM과 예능 프로그램, 각종 배경 음악 등에서 사용된 노래들을 퀸의 노래인 줄 모르고 있다가, 누가 퀸의 노래라며 들려주면 "아~ 이 노래?" 하며 놀라는 경우도 있다. 사실상 한국에서 퀸은 몰라도 퀸의 노래까지 모르는 사람은 드물다.

록 음악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퀸이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은 블루스 색채가 옅고 국내 정서에 잘 맞는 대중적이고 팝적인 멜로디 라인이었다.[59] 퀸과 동시기에 활동했던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에어로스미스 등의 밴드들은 전부 블루스 느낌이 물씬 나는 밴드였다. 그러나 블루스 음악은 국내 정서와 맞지 않았기에[60], 이러한 밴드들은 국내에서 인기가 높을 수가 없었다.[61] 반면에 퀸은 이러한 블루스의 색채가 옅었을 뿐만 아니라 멜로디 또한 대중적이고 퍼포먼스도 화려한 만큼 국내에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이었다.[62]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1984년 존 디콘로저 테일러내한을 한 적이 있다. 당시 잘 나가던 음악잡지인 <월간팝송>[63]이 비용을 댔다. 잠실 체육관을 둘러보기도 해서 내한 공연 준비가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결과가 없어 팬들이 아쉬워 했다.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금지곡 문제가 컸다. 'Bohemian Rhapsody', 'Killer Queen', 'Another one bites the dust' 등을 부를 수 없는 콘서트가 무슨 의미일지... 존과 로저 본인들도 자기들 대표곡들이 한국에서 방송금지되어 있다는 걸 알고 충격을 받았는지 "그럼, 클럽에서도 못 듣는 건가요?" 하고 재차 질문하기도 했다.[64]

여담으로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고전 록 밴드가 특정 국가 내에서 현재까지도 이렇게 인기 있는 경우는 꽤나 드물다. 한국의 퀸 사랑과 비슷한 경우로는 미국레드 제플린 사랑, 호주AC/DC 사랑[65], 아르헨티나롤링 스톤스 사랑이[66] 있다.

7. 기타[편집]


  • 다음은 멤버들이 1970년대 중반 작성한 프로필 표이다.
-프레디 머큐리브라이언 메이로저 테일러존 디콘
키/몸무게177cm, 53kg186cm, 66kg180cm, 60kg180cm, 61kg
머리색/눈색검은색, 갈색갈색, 주황색금색, 파란색갈색, 초록색
좋아하는 색검은색검은색회색갈색
좋아하는 음악가비틀즈비틀즈비틀즈, 더 후곤잘레스[67]
좋아하는 음식샴페인채소, 포도 주스일본 요리치즈,
좋아하는 배우라이자 미넬리제임스 메이슨, 나탈리 우드제인 폰다, 잭 니콜슨없음[68]
취미 활동화려한 옷 디자인하고 입기친구와 좋은 시간 보내기영화 보기, 음악 듣기베이스 연습

  • 1970년대를 활동했던 수많은 밴드들과 달리 퀸은 핑크 플로이드, 러시, 프랭크 자파 등과 더불어 마약 논란에서 매우 자유로운 밴드이다. 막장 사생활로 아주 유명한 롤링 스톤스존 폴 존스를 제외한 레드 제플린 외에도 비틀즈 , 로저 달트리를 제외한 더 후 , 크림 , 시드 바렛 등 1960-70년대의 록 음악가들은 대다수가 마약에 쩔어 살았다[69][70]. 그러나 퀸 멤버들은 마약을 일절 하지 않았다고 한다.[71] 다만 프론트맨인 프레디 머큐리는 여러 남성 및 여성 그루피들과 성관계를 맺으며 지냈는데, 이러한 여파로 에이즈에 걸려 단명하였다.[72]

  • 현대의 록 밴드 중에서 퀸과 유사한 평가를 받는 밴드로는 그레타 반 플릿이 있다. 이 밴드는 현재 미국 및 유럽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밴드이며, 퀸과 마찬가지로 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에게서 영향을 짙게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인기에도 불구하고 평론가들의 평이 매우 낮다는 점이 유사하다.[73]

8. 디스코그래피[편집]




정규 앨범 15장, 라이브 앨범 10장, 컴필레이션 앨범 10장으로 총 35장이다.

8.1. 스튜디오 앨범[편집]


역대 스튜디오 앨범 15+1장의 빌보드 200, UK 차트 순위를 나타낸 자료이다.
영국에서 훨씬 많은 인기를 얻은 데다 1970~1980년대 영국 음악 시장이 미국 못지않게 컸음을 고려하여, UK 차트 순위도 같이 수록한다.
굵은 글씨는 각 차트에서 1위를 한 앨범 / 싱글이다.

발매일제목리드 싱글UK차트빌보드 200총 판매량
1973.07.13.QueenKeep Yourself Alive24위83위3,000,000장
1974.03.08.Queen IISeven Seas of Rhye5위49위3,000,000장
1974.11.08.Sheer Heart AttackKiller Queen2위12위4,500,000장
1975.11.21.A Night at the OperaBohemian Rhapsody1위4위10,500,000장
1976.12.10.A Day at the RacesSomebody to Love[74]1위5위4,800,000장
1977.10.28.News of the WorldWe Are the Champions / We Will Rock You[75]4위3위9,500,000장
1978.11.10.JazzBicycle Race / Fat Bottomed Girls2위6위5,500,000장
1980.06.27.The Game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1위1위9,200,000장
1980.11.08.Flash Gordon[76]Flash[77]10위23위3,100,000장
1982.05.21.Hot SpaceBody Language4위22위2,900,000장
1984.02.27.The WorksRadio Ga Ga[78]2위23위5,000,000장
1986.06.03.A Kind of MagicA Kind of Magic[79]1위46위6,100,000장
1989.05.22.The MiracleI Want It All[80]1위24위4,600,000장
1991.02.05.InnuendoInnuendo1위30위5,800,000장
1995.11.06.Made in HeavenHeaven For Everyone[81]1위58위9,600,000장

+ Paul Rodgers
발매일제목리드 싱글UK차트빌보드차트
2008.09.15.The Cosmos RocksSay It's Not True4위47위

8.2. 라이브 앨범[편집]


연도제목
1979Live Killers
1986Live Magic[82]
1992Live at Wembley '86
1995At the Beeb
2004Queen on Fire – Live at the Bowl
2007Queen Rock Montreal
2012Hungarian Rhapsody: Queen Live in Budapest
2014Live at the Rainbow '74
2015A Night at the Odeon
2016On Air

8.3. 컴필레이션 앨범[편집]


연도제목
1981Greatest Hits
1991Greatest Hits II
1992Classic Queen (미국 한정)
1992The 12" Collection
1997Queen Rocks
1999Greatest Hits III
2006Stone Cold Classics
2007The A-Z of Queen, Volume 1
2009Absolute Greatest[83]
2011Deep Cuts, Volume 1 (1973-1976)
2011Deep Cuts, Volume 2 (1977-1982)
2011Deep Cuts, Volume 3 (1984-1995)
2013Icon (미국/캐나다 한정)
2014Queen Forever
2020Greatest Hits in Japan (일본 한정)
2022The Miracle Collector's Edition

8.4. EP[편집]


연도제목
1977Queen's First E.P.

8.5. 싱글[편집]


빌보드 핫 100 30위권 안쪽, UK 차트 20위 안에 든 싱글만 추렸다.

영국에서 훨씬 많은 인기를 얻은 데다 1970~1980년대 영국 음악 시장이 미국 못지않게 컸음을 고려하여, UK 차트 순위도 같이 수록한다.

보통 영국에서는 UK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밴드로 반드시 꼽히며, 미국에서는 영국에서 비교적 부진했던 1980년의 '더 게임' 앨범 때가 전성기로 여겨진다.

8.5.1. UK 차트[편집]



8.5.1.1. UK 차트 1위[편집]


8.5.1.2. UK 차트 2위[편집]


8.5.1.3. UK 차트 3위~10위[편집]


8.5.1.4. UK 차트 11위~20위[편집]


8.5.2. 빌보드차트 성적[편집]


Queen Billboard HOT 100 차트인 목록
년도[84]곡명최고 순위수록앨범
1975년Killer Queen12위Sheer Heart Attack
1976년You're My Best Friend16위A Night at the Opera
1977년Somebody To Love16위A Day at the Races
Tie Your Mother Down49위
1978년We Are The Champions4위News of the World
It's Late74위
1979년Bicycle Race/Fat Bottomed Girls24위Jazz
Don't Stop Me Now86위
1980년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4주연속 1위The Game
Play The Game42위
Another One Bites the Dust3주연속 1위
Need Your Loving Tonight44위
1981년Flash's Theme Aka Flash42위
1982년Under Pressure[85]29위Hot Space
Body Language11위
Calling All Girls60위
1984년Radio Ga Ga16위The Works
I Want to Break Free45위
It's A Hard Life72위
1986년One Vision61위A Kind of Magic
A Kind Of Magic42위
1989년I Want It All50위The Miracle
1992년Bohemian Rhapsody2위A Night at the Opera
1993년Somebody To Love30위George Michael과 합작

8.6. 별도 문서가 있는 퀸의 음악[편집]


분류:퀸/노래 목록 참조.

9. 공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공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1980년의 퀸의 모습이다.[2] 처음으로 이라는 이름으로 공연한 날이다. 하지만 이 때 광고를 이미 스마일로 실어서 광고에는 스마일이라 나왔었다고.[3] 존 디콘이 합류한 1971년을 결성년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퀸 오피셜도 결성년도를 1971년으로 본다.[4] 1970년 – 1991년, 1991년 에이즈로 인해 사망[5] 1971년 – 1997년, 1997년 은퇴. 2014년 이후로는 다른 멤버들과도 사실상 연락이 끊겨 잠적 상태다.[6] 시도했던 장르가 꽤 많아서 일일이 기재하기 힘들지만, 주로 추구하는 장르는 하드 록과 글램 록, 그리고 팝 록이었다.[7] 잘 알려지진 않았으나 A Night at the Opera 발매 이전, 즉 트라이던트를 나와 EMI와 계약하기 전까지 잠시 동안 스완 송 레코드 소속으로 활동했었다.[8] 이 중에서 글램 록은 2, 3집 한정이지만, 하드 록은 커리어 말기까지 퀸이 추구하던 음악이었다.[9] 장르 불문하고 전체로 치면 12위이다.[10] 이는 AC/DC도 마찬가지로, 퀸과 음반 판매량이 거의 비슷하다.[11] 후술하겠지만 이 실패라는 용어는 동시대의 거대 밴드였던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와 비교했을 때의 실패라는 것이다. 퀸은 영국만큼은 아니어도 미국에서도 상당히 성공했던 밴드였다.[12] 다만 극히 희귀한 확률로 노래를 불렀다.[13] 이 중에서도 가창력만 보았을 때 로버트 플랜트, 로니 제임스 디오와 함께 록 보컬계의 대명사로 꼽힌다.[14] 당장 남성 록 보컬리스트 중에서 프레디 머큐리보다 음역대가 넓다고 확인된 보컬은 액슬 로즈로버트 플랜트 정도밖에 없다.[15] 프레디 머큐리와 Barcelona 앨범을 같이 만든 오페라 가수 몽셰라 카바예 역시 이를 간파하여 “당신의 음역대는 바리톤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니 고음은 제가 할테니 당신은 편하게 저음을 불러주세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프레디 머큐리는 "대중들이 내 고음 목소리에 익숙해서 낯설어할까 봐 걱정된다"라는 고민을 털어놓기도 하였다고.[16] 실제로 공연을 보면 제시된 기타리스트들은 말 그대로 날뛰거나 악기를 부수는 등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으나, 브라이언 메이는 솔로 때에도 앞으로 나와서 얌전히 연주하였다.[17] 물론 이런 레전드급 기타리스트들의 사운드 톤은 전부 개성적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브라이언 메이는 전 세계에서 딱 하나밖에 없는 기타를 사용하다보니 사운드가 매우 독특한 축에 속한다.[18] 실제로 호킨스는 퀸의 엄청난 팬이었다.[19] 이 때문에 퀸은 멤버들의 나이에 비해 꽤나 늦게 데뷔한 편이다. 프레디 머큐리와 브라이언 메이는 퀸의 선배 밴드인 레드 제플린의 멤버들인 로버트 플랜트, 존 본햄보다도 나이가 많으며, 프레디 머큐리는 레드 제플린의 존 폴 존스, 핑크 플로이드의 데이비드 길모어와 동갑이며 그보다 더 올라가면 1965년에 데뷔한 더 후의 드러머인 키스 문과 동갑이다.[20] 영국 최초의 의대이며, 그 중에서도 치과대학은 영국 2위인 동시에 세계 TOP 10 안에 든다. 개교한 이래 총 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21] 골든 트라이앵글에 속한 대학 중 하나이다. 개교한 이래 총 1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22] 킹스 칼리지 런던과 마찬가지로 골든 트라이앵글에 속하며, 유럽 최고의 이공계 대학 중 하나로 꼽힌다. 개교한 이래 총 1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23] 국내에서 명문대생 5명이 결합한 밴드로 화제가 됐던 무한궤도와 유사한 면이 있다.[24] 다만 팀 스타펠은 퀸의 정식 멤버는 아니고 그의 전신 밴드인 스마일의 멤버였다.[25] 오른쪽의 인물, 왼쪽은 로저 테일러이다.[26] 다만 현재 생존 중인 것으로 추정[27] 인터뷰에 따르면 퀸의 오디션을 보았을 당시 17살 정도였다고 기억한다.[28] I Want to Break Free의 그 유명한 신디사이저 솔로를 연주하였다.[29] 1984년 The Works 투어와 1986년 A Kind of Magic 투어에서의Hammer to Fall 공연 한정. 현재는 키보드만 전담한다.[30] 멤버 소개를 할 때 브라이언 메이가 맨체스터 출신이라고 소개한다.[31] 드러머 로저 테일러의 아들이다.[32] 비틀즈와 레드 제플린은 역사상 모든 아티스트를 통틀어도 음반 판매량이 각각 1위와 6위이며, 그만큼 전 세계적인 인지도와 위상도 높다. 그나마 핑크 플로이드가 역대 음반 판매량 8위로 퀸보다 음반 판매량이 높긴 하지만, 후술할 월스트리트 저널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인기는 핑크 플로이드보다도 퀸이 더 높다.[33]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다음. AC/DC이글스, 롤링 스톤스는 퀸과 마찬가지로 2억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퀸이 살짝 앞선다는 주장이 주류이며, 통계에 따라 네 밴드의 순위가 달라지기도 한다.[34] 1위는 보통 비틀즈가 차지하며 2위 경쟁이 심한데, 대체로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퀸 이 세 밴드가 경쟁하는 구조이다.[35] 이러한 영국에서의 어마어마한 인기에도 불구하고 퀸은 미국에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던 비틀즈레드 제플린보다 각각 4억 장, 1억 장 이상이나 적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 시장이 얼마나 거대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36] 1위와 2위는 각각 비틀즈, 레드 제플린이 차지하였다. 참고로 4위는 핑크 플로이드, 5위는 롤링 스톤스.[37] 지역별 인기 격차가 있는 것은 비틀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밴드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는 퀸의 인기가 높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기가 다소 떨어지는 면이 있다.[38] 당시는 3위였다. 2위는 영국. 일본 음악 시장이 2위가 된 것은 의외로 오래되지 않았다. 심지어 2010년대 초반에도 영국은 록 시장에서만큼은 일본보다 규모가 컸다.[39] 3집 이전, 퀸 초기때부터 일본에서만큼은 높은 인기를 자랑했다. 자국에서도 성공하지 못한 1집이 일본에선 꽤나 히트했을 정도. 일본인들의 퀸 사랑은 아르헨티나인들의 롤링 스톤스 사랑, 한국인들의 오아시스 사랑과 비슷한 수준이다.[40] 역사상 딱 다섯 아티스트만이 1억 장 이상의 미국 내 인증 판매량을 기록했는데, 그 중에서 비틀즈와 레드 제플린만이 영국 출신 아티스트이다. 나머지 세 아티스트는 엘비스 프레슬리, 가스 브룩스, 이글스로, 전부 다 미국 아티스트이다.[41] 여기서 ‘넘사벽’이라는 표현은 한국을 제외한 것이며, 이는 현재진행형이다. 레드 제플린의 여전한 세계적인 인기는 그레타 반 플릿 등의 음악가들이 현재에도 인기를 끌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42] 3집을 제외한 1,2,4,5,6집 모두 인증 판매고만 1,000만 장을 훌쩍 넘긴다. 3집 또한 추정 판매고는 1,000만 장을 넘긴다.[43] 이 세 앨범의 추정 판매고만 합쳐도 약 1억 장 가까이 된다. 특히나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경우 전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며 이 앨범들은 전부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했다.[44] 다만 월스트리트 저널의 통계 산출에 의하면 대중음악사에서 인기로만 따지자면 퀸 이상인 밴드는 비틀즈레드 제플린밖에 없다. 즉 전 세계적으로가 아닌 미국에서는 핑크 플로이드와 롤링 스톤스의 인기가 퀸보다 더 높았다는 의미이다.[45] 물론 밥 딜런이나 재니스 조플린, 지미 헨드릭스, 도어즈 등의 예외는 있었다.[46] 그렇기에 ‘2차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는 사건을 주장하는 학자는 없다.[47] 여담으로 이 남아공 공연은 당대에 어마어마하게 욕먹었는데, 이유인 즉슨 당시 남아공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백인 우월주의 정책을 마구 펼치던 때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당시 음악가들은 다른 곳들은 전부 투어를 가도 남아공만은 가지 말자는 불문율이 있었으나, 퀸은 그냥 남아공까지 투어를 간 것. 물론 퀸이 인종차별 지지 차원에서 공연을 간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 곳에서 음악을 통한 인종 화합을 시도하고자 했다고 한다. 애초에 리더 격인 프레디 머큐리부터가 흑인 음악의 대표적인 아티스트 중 한 명인 마이클 잭슨과 친분이 있었고, 심지어 이란계 영국인이라 본국인 영국에서 소수 민족에 속했는데, 인종 차별을 지지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48] 심지어 마이클 잭슨도 최근 세대는 그의 대표적인 춤인 문워크와 이 춤이 포함된 곡인 Billie Jean, 그리고 학교 영어 시간에 자주 등장하는 곡인 Heal the World 정도만 알지, Beat ItSmooth Criminal, We Are the World, You Are Not Alone 등 다른 히트곡들을 아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퀸 같은 경우는 고전 아티스트에다 국내에서 입지가 굉장히 좁은 록 음악가임에도 히트곡들까지 아주 잘 알려져 있는 매우 드문 케이스이다.[49] 현재의 Z세대들이 ‘서태지와 아이들’이라는 그룹 이름은 알지만, 이 그룹에 누가 있었는지나 이 그룹의 곡이 무엇이 있는지는 모르는 것과 비슷하다.[50] 록 음악의 극한지라 불리는 한국 특성상 록 음악=메탈이라는 고정 관념또한 있기 때문에 비틀즈의 노래를 듣고 이게 무슨 록이냐는 반응도 많다. 심지어 한국에서도 히트한 후술할 곡들 또한 록 음악의 하위 장르인 소프트 록으로 분류되는데도 저러한 인식이 있다.[51] 물론 Ob-La-Di, Ob-La-DaYellow Submarine같이 제목을 모를뿐 들려주면 아는 노래도 몇몇 있다.[52] 거기다 불과 몇 년전까지만 하더라도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음원 사이트에서 조차 제대로 들을 수 있는 노래가 많이 없었다.[53] 다만 본격적으로 인터넷 시대가 도래한 2000년대 이후로는 해외 음악 정보가 풍부해져서 적극적인 음악 리스너들을 중심으로 이전보다는 실질적인 팬들이 오히려 좀 늘어난 면이 있다.[54] 그렇기에 록 팬들은 만약 AC/DC의 전기 영화가 나온다면, 한국에서 퀸 정도의 인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55] 이를테면 존 폴 존스의 내한 공연 당시에는 올드 팬들뿐 아니라 젊은 팬들도 매우 많이 몰렸다고 한다.[56] 994만 명으로, 1,000만 관객 이하 영화 중에선 가장 많으며 한국 개봉 역대 전기영화 흥행 1위이다[57] 참고로 퀸의 멤버인 브라이언 메이가 제주도 동상 건립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58] 이 세대에게는 현재진행형인데,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 나이가 지긋한 레젭 팬과 딥 퍼플 팬이 키배를 뜨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59] 아이러니하게도 평가와 영향력 문서에 서술되어 있듯이, 이러한 블루스 정서가 거의 없다는 점이 평론가들에게 대차게 까였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는데, 당시 음악계는 “블루스를 모르면 음악을 모르는 것이다”라는 말도 있을 정도였다. 블루스를 탈피한 현대적인 하드 록을 완성해 낸 더 후의 초창기 음악도 기존의 블루스 음악에서 음압을 빡세게 올린 하드 록이었고, 블루스를 탈피한 하드 록은 커리어 중반에 발매된 Who's Next에서 자신들의 음악적 실험으로 만들어낸 것이었다.[60] 영미권과 라틴 지역은 춤추는 문화가 발달되었고, 5, 60년대부터 대중음악을 접해 블루스와 로큰롤이 익숙하지만, 한국의 5, 60년대는 6.25 전쟁으로 모든게 박살난 상태라 잊혀진 시기이기 때문이다. 전쟁으로 나라가 박살난 상태고 정부는 경제만을 살리기 위해 급급한데 이 상태에서 록 음악이 발달하고 로큰롤 음악과 블루스 음악을 즐기는 일은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더 깊이 파고 들자면 수많은 흑인 블루스 음악가들이 활동했던 20세기 초반의 한국은 일제강점기로 인하여 나라가 망한 상태였다. 수많은 사람들은 독립운동가가 되어 국가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고,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쾌락적이고 퇴폐적인 블루스 음악은 절대 유행할 수 없었다. 물론 이렇게 아픈 역사가 아니더라도 블루스 음악의 끈적끈적한 리듬과 쾌락적이고 퇴폐적인 감성이 한국인의 성향과 맞았을지는 의문이며, 정교한 연주와 신비주의적인 이미지가 아닌 블루스의 그루브한 연주와 가벼운 이미지는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느낌은 아니다.[61] 다만 제시된 밴드들 중에서 레드 제플린은 퀸 이상의 화려한 기교와 퍼포먼스로 인해 국내에선 보컬이나 악기 좀 한다는 사람들에게는 큰 인기를 끌었다. 당장 김태원의 경우처럼 레드 제플린의 화려한 곡들을 연주하면서 여자를 꼬시려고 한 경우도 매우 많았으며(…), 현재까지도 악기 연주자들이나 록 보컬계에서 레드 제플린의 곡들은 꼭 연주해 보아야 할 목표나 과제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62] 이를 증명하듯 1집인 Queen에는 The Night Comes Down, Son and Daughter 등 블루스의 색채가 짙게 나는 하드 록 넘버들도 꽤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역시나 이러한 곡들의 국내 인지도는 제로에 가깝다. 심지어 로큰롤, 블루스 성향이지만 역대 퀸 라이브에서 가장 많이 연주된 곡 중 하나인 Now I'm Here의 국내 인지도도 제로에 가깝다.[63] # 이 게시물에서 1981년 2월호를 구경해볼 수 있다. 퀸 관련 내용이 있는 페이지도 업로드되어 있는데, 특이하게도 금지곡을 포함하여 어떤 곡이 히트했는지를 소개했다.[64] 비슷한 경우로 1975년 경에 레드 제플린의 내한 공연도 추진되었으나, 박정희 전 대통령이 청년들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이들이 머리를 밀고 와야 내한 공연을 허용해 주겠다고 엄포를 놓았으며, 당연히 내한 공연은 물거품이 되었다.[65] 다만 AC/DC는 호주의 록 밴드이므로 이 점은 감안해야 한다.[66] 심지어 아르헨티나에는 롤링 스톤스를 신으로서 숭배하는 ‘롤링가’라는 부족도 있다고 한다.[67] 1970년대에서 80년대까지 활동했던 영국의 Funk, R&B 밴드이다.[68] 대신 시계태엽 오렌지라는 영화를 재밌게 봤다고 답했다.[69] 특히 키스 리처즈, 지미 페이지, 에릭 클랩튼은 아직까지 살아있는게 신기하다 할 정도다.[70] 만약 경찰이 제대로 단속했다면 위에서 언급한 음악가들이 전부 잡혀가야 하는데, 그랬다간 영국 음악계는 그날로 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 영국 경찰도 알았기에 대놓고 걸리는게 아니면 조용히 넘어가줬다.[71] 로저 테일러가 우리는 약 같은 거 안 빤다고 인터뷰에서 직접 말했다.[72] 마찬가지로 수많은 남성 및 여성 그루피들과 성관계를 맺었지만 여전히 정정한 믹 재거와는 대조적이다.[73] 받는 평가도 매우 유사한데, 짝퉁 레드 제플린이라거나, 듣긴 좋지만 딱히 영향력은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74] 네덜란드 차트 1위[75] 프랑스 차트 1위[76] 동명의 영화 OST 앨범으로, 한국 기준으로는 비정규앨범에 해당한다.[77] 동명의 영화 OST 메인곡[78] 19개국 1위[79] 스페인 차트 1위[80] 앨범은 차트 1위를 했지만, 싱글은 네덜란드에서 2위를 차지한 게 최고 순위이다. 영국 차트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81] 폴란드 차트 1위[82] 미국에선 1992년에 발매[83]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가 수록곡들의 코멘트를 들려준다.[84] 최고 순위 시점 기준.[85] 데이빗 보위와 합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