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호(정치인)

덤프버전 : (♥ 0)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제19-20대
오신환
제21-22대
정태호
현직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4대
박선숙
초대
송경희
제2대
윤태영
제3대
김종민
제4대
김만수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제5대
정태호
제6대
윤태영
제7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박선규
김은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3대
김희정
제4대
박정하
초대
윤창중
제2대
김행
제3대
민경욱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4대
정연국
초대
박수현
제2대
김의겸
제3대
고민정
제4대
강민석
문재인 정부
제5대
박경미
초대
강인선
제2대
이도운
제3대
김수경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 상하대칭.svg 서울특별시당 지역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152484>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rowbgcolor=#152484><width=25%> 종로 ||<width=25%> 중·성동 갑 ||<width=25%> 중·성동 을 ||<width=25%> 용산 ||
||<bgcolor=#ffffa0,#2d2f34> 곽상언 ||<bgcolor=#ffffa0,#2d2f34> 전현희 ||<bgcolor=#ffffa0,#2d2f34> 박성준 || 강태웅 ||
||<rowbgcolor=#152484> 광진 갑 || 광진 을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이정헌 || 고민정 || 안규백 || 장경태 ||
||<rowbgcolor=#152484> 중랑 갑 || 중랑 을 || 성북 갑 || 성북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서영교 || 박홍근 || 김영배 || 김남근 ||
||<rowbgcolor=#152484> 강북 갑 || 강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bgcolor=#ffffa0,#2d2f34> 천준호 ||<bgcolor=#ffffa0,#2d2f34> 한민수 || 안귀령 ||<bgcolor=#ffffa0,#2d2f34> 오기형 ||
||<rowbgcolor=#152484> 노원 갑 || 노원 을 || 은평 갑 || 은평 을 ||
||<rowbgcolor=#ffffa0,#2d2f34> 공석 || 김성환 || 박주민 || 김우영 ||
||<rowbgcolor=#152484> 서대문 갑 || 서대문 을 || 마포 갑 || 마포 을 ||
||<bgcolor=#ffffa0,#2d2f34> 김동아 ||<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이지은 ||<bgcolor=#ffffa0,#2d2f34> 정청래 ||
||<rowbgcolor=#152484> 양천 갑 || 양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rowbgcolor=#ffffa0,#2d2f34> 황희 || 이용선 || 이인영 || 윤건영 ||
||<rowbgcolor=#152484> 강서 갑 || 강서 을 || 강서 병 || 금천 ||
||<rowbgcolor=#ffffa0,#2d2f34> 강선우 || 진성준 || 한정애 || 최기상 ||
||<rowbgcolor=#152484>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동작 갑 || 동작 을 ||
||<bgcolor=#ffffa0,#2d2f34> 채현일 ||<bgcolor=#ffffa0,#2d2f34> 김민석 ||<bgcolor=#ffffa0,#2d2f34> 김병기 || 류삼영 ||
||<rowbgcolor=#152484> 관악 갑 || 관악 을 || 서초 갑 || 서초 을 ||
||<bgcolor=#ffffa0,#2d2f34> 박민규 ||<bgcolor=#ffffa0,#2d2f34> 정태호 || 김한나 || 홍익표 ||
||<rowbgcolor=#152484> 강남 갑 || 강남 을 || 강남 병 || 송파 갑 ||
|| 김태형 || 강청희 || 박경미 || 조재희 ||
||<rowbgcolor=#152484> 송파 을 || 송파 병 || 강동 갑 || 강동 을 ||
|| 송기호 ||<bgcolor=#ffffa0,#2d2f34> 남인순 ||<bgcolor=#ffffa0,#2d2f34> 진선미 ||<bgcolor=#ffffa0,#2d2f34> 이해식 ||
||<-4> ||





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 대통령비서실 기획조정비서관
참여정부
초대
윤후덕
2대
정태호
3대
소문상


제10대 민주연구원장
대한민국 제21·22대 국회의원
정태호
鄭泰浩 | Chung Tae-ho
파일:21대 서울 관악을 국회의원 정태호.jpg
출생1963년 3월 20일 (61세)
경상남도 사천시
거주지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현대아파트
현직제22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관악구 을 지역위원장
재임기간참여정부 제5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2006년 4월 24일 ~ 2006년 8월 28일
문재인 정부 제2대 일자리수석비서관
2018년 6월 27일 ~ 2019년 7월 26일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종교개신교
학력서울경동국민학교 (졸업)
건국중학교 (졸업)
인창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 / 학사)
뉴욕주립대학교 올버니 대학원 (행정학 / 석사)
병역병역면제[1] (수형)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서울 관악구 을
의원 선수2
의원 대수21, 22
소속 위원회기획재정위원회 (간사)
경력이해찬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비서관
김대중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분과 총괄행정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대통령비서실 비서실장실 정무기획비서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비서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기획조정비서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참여정부)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정책특보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문재인 국회의원 정무특보
SOS기금회 이사
새정치민주연합 다문화위원회 부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관악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비서관실 정책기획비서관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 국난극복위원회 일자리고용TF 단장
제21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
제10대 민주연구원장
민주연구원 이사
제22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 더불어민주당)

[1] 1986년 12월 26일 보충역 및 소집면제 처분을 받았다.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21-22대 국회의원이다.


2. 생애[편집]


1963년 3월 20일,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서울특별시로 이주하여 서울경동국민학교, 건국중학교, 서울 인창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했다. 재학 당시 운동권으로 활약하며 1985년 서울대 삼민투쟁위원회 사건으로 구속된 이력이 있다.

1991년 평화민주당에 입당하며 정치에 입문해 이해찬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비서관을 거쳤고,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관악구청장 경선에 나갔으나, 김희철 후보에게 밀려 탈락하였다.#[1] 이후 참여정부 청와대 정무비서관과 대변인, 정책조정관, 기획조정비서관을 거쳐 민주통합당 정책위 부의장을 지냈다.

이상규의 국회의원직 상실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치러진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정동영의 무소속 출마로 야권표가 분산되면서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다시 한번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는 국민의당 이행자 후보가 야권표를 갈라먹어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에 또 밀려 낙선하게 되었다.

이후 2018년 6월 26일 문재인 정부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에 임명되어 한동안 청와대에서 일하기도 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관악구 을에 예비후보로 등록하였고, 당내 경선에서 유종필 전 관악구청장을 누르고 공천권을 받아 세 번째 도전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역시 본선에서 세 번째로 만난 미래통합당오신환 의원을 누르고 마침내 당선되는 기쁨을 누렸다.

2022년 12월 26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의해 민주연구원장에 임명되었고 12월 30일 민주연구원 이사회의 승인을 받고 임기를 시작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국민의힘이성심 후보를 상대로 57.97%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5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2]
서울 관악 을
ta-hash-start=w-823f1eb01fb652a660e7c73b33932495[[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6,417 (34.20%)낙선 (2위)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593 (36.35%)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72,531 (53.90%)당선 (1위)초선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3,771 (57.97%)재선

  • 선거를 4번 치루면서 기호 2번(2015년 상반기 재보궐, 20대 총선) 달고 나왔을때는 모두 낙선했지만, 기호 1번(21, 22대 총선)을 달고 나왔을 때는 모두 당선되었다.[3]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373d6a625de66a8311d4d7e059f69261[[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91정계 입문


1991당명 변경

무소속

1991탈당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1 - 1995입당

무소속

1995탈당[4]

ta-hash-start=w-42c39e7bde331109255c51f1fd37c3b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0창당

ta-hash-start=w-403560ec9bb05318cee613a6650c70c9[[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3합당[5]

무소속

2003탈당[6]

ta-hash-start=w-0fd7e4f42a8b4b4ef33394d35212b13e[[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3 - 2004창당

무소속

2004 - 2007탈당[7]

ta-hash-start=w-a574a2028333ded197718edb8e7ac742[[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복당

ta-hash-start=w-45d0bb417c9fab94dae50e5974f30ec7[[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8]

ta-hash-start=w-1217dfac1107f5d9fd05410319a1554a[[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5e920dca2fbeb852c6ec52cb2f27af02[[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9]

ta-hash-start=w-258751af1eef4a2f85c22416c3d3ab36[[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e75aca164173c7eaaad4ebc7b88b6508[[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10]
2015 - 2018당명 변경
2018 - 2019탈당[11]
2019 - 현재복당


5. 둘러보기[편집]









[1] 여담으로 본인은 당시 현 관악구 을 국회의원이고 본인이 모시던 이해찬 측근이었고, 김희철은 관악구 갑 전 국회의원이었던 한광옥 측근이었다.[2] 전임자 이상규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으로 인해 의원직 상실[3] 유사한 사례가 같은당이자 양천구 을 현 국회의원인 이용선이 있다. 다만 이용선은 첫 선거 출마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였다는 건 차이점이다.[4]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5]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6]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7]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8] 민주당과 신설 합당.[9]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0]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1]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