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령사

덤프버전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ㄱ]

가디언가스타가제트강귀개구리갤럭시거대전함검투수게이트 가디언고고고고블린고블린라이더고스트릭고요우고티스공아단군관그레이돌그림자 여섯 무사극성금지된기괴기교기믹 퍼핏기아기아기차기황

[ㄴ]
[ㄷ]

다이너미스트다이놀피어대행자더스튼데몬데블리철데스완구데스티니 히어로데스피아도도도도레미코드드라이트론드래곤메이드드래그니티드래그마디아벨스타디지털 버그

[ㄹ]

라뷰린스라의 익신룡라이트로드레드 데몬레조네이터레프티레스령사령수령신로이드로즈 드래곤룡검사룡성루닉리브로맨서리추어

[ㅁ]

마계극단마굉신마그넷 워리어마기스토스마나둠마도서마돌체마리스보라스마린세스마술사마스크드 히어로마요괴마장전사마제스펙터마탄환매지션 걸매직비스트머메일머시너즈머티리어크톨메가리스메르피메멘토메타파이즈메탈포제명세계모케모케몽마경묘지기무사신무한기동문라이트문장수뮤트리아미계역미래황미캉코

[ㅂ]

바렐바렛바르모니카바르바로스바바리안바운서바이론방계방해꾼밸리언츠뱀파이어버스터 블레이더버제스토마베다베놈베어루크티벤데드벨즈보옥수볼캐닉봄화정봉인된 엑조디아분보그불꽃성기사붉은 눈블랙 매지션비서스=스타프로스트비스테드비전 히어로비틀트루퍼빙결계빙의장착

[ㅅ]

사이바넷사이버사이버 드래곤사이버 엔젤사이버 다크사이퍼사일런트 매지션사일런트 스워드맨삼라상검새크리파이스샐러맨그레이트생아발론샤크섀도르서브테러섬도희성각성기사성유물성잔세리온즈세븐스세이비어세이크리드세피라센츄리온소환수수호룡수호신관순성숲의 성령숲의 성수스네이크아이스마일스케어클로스크랩스타더스트스프라이트스프리건즈시계신시라누이시무르그심해십이수싱크론쌍천썬더 드래곤

[ㅇ]

아로마아르카나 포스아마조네스아머드 엑시즈아모르파지아쿠아액트리스아티팩트악마양안개 골짜기알버스의 낙윤암드 드래곤암흑 기사 가이아암흑계앤틱 기어어메이즈먼트언체인드얼루어 퀸얼터가이스트엄브럴에볼에스프릿에일리언에지임프엑소시스터엔디미온엘드리치엘리멘트세이버엘리멘틀 히어로여섯 무사염성염왕오노마토오드아이즈오르페골오파츠왈큐레요선수용기사 가이아용사운마물워크라이위치크래프트유벨유익환상수 키메라유토피아육화이그나이트이블 히어로이빌트윈인벨즈인잭터인조인간인페르노이드인페르니티일렉

[ㅈ]

재빠른잭나이츠저주받은 하인전뇌계전지맨전황점술공주점쟁이 마녀정크제너레이드제넥스제알제왕젬나이트주바바주안죽도쥬락지박지박신진룡

[ㅊ]
[ㅋ]
[ㅌ]
[ㅍ]

파괴수파라디온파샤스파이어월패왕권룡패왕룡 즈아크팬텀 나이츠퍼니멀퍼핏페어리테일펭귄포츈 레이디포탄포톤푸른 눈퓨어리프랭키즈프레데터 플랜츠프린세스 코롱플런드롤플레임벨피안

[ㅎ]

해황헤이즈비스트현세와 명계의 역전호루스호루스의 흑염룡홀리 라이트닝홀리나이츠화석화이트 아우라화합야수환마환상수환상수기환주환접의 자객환황룡후완다리즈히로익히어로히스이

[A~Z, 특수문자]

(이그니스터A(어드밴스드 보옥수ABCA·O·J[ruby(BF,ruby=블랙 페더)][ruby(BK,ruby=버닝나쿠라)][ruby(B·F,ruby=비 포스)][ruby(C,ruby=체인)][ruby(D,ruby=디포머)][ruby(DD,ruby=디디)][ruby(Em,ruby=엔터메이지)][ruby(EM,ruby=엔터메이트)][ruby(F.A.,ruby=포뮬러 애슬리트)]G골렘[ruby(GP,ruby=골드 프라이드)][ruby(Kozmo,ruby=코즈모)][ruby(LL,ruby=리리컬 루스키니아)]No.[ruby(P.U.N.K.,ruby=펑크)]PSY(싸이프레임[ruby(RR,ruby=레이드 랩터즈)][ruby(RUM,ruby=랭크 업 매직)][ruby(R-ACE,ruby=레스큐 에이스)]SD(슈퍼 디펜스 로보[ruby(Sin,ruby=신)][ruby(SPYRAL,ruby=스파이랄)][ruby(SR,ruby=스피드로이드)][ruby(S-Force,ruby=시큐리티 포스)][ruby(TG,ruby=테크지너스)]Tistina[ruby(U.A.,ruby=울트라 애슬리트)][ruby(VS,ruby=뱅키시 소울)]VWXYZ[ruby(WW,ruby=윈드 위치)]X-세이버[ruby(ZW,ruby=제알 웨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령사
한국어판 명칭령사
일어판 명칭霊使(れいつか
영어판 명칭Charmer
속성종족관련 카테고리
다양마법사족효과
링크

1. 개요
2. 설명
2.1. 설정
2.2. 령사 덱
2.2.1. 장점
2.2.2. 단점
3. 령사
3.1. 효과 몬스터
3.1.1. 레벨 3
3.1.1.1. 지령사 아우스
3.1.1.2. 수령사 에리아
3.1.1.3. 화령사 히타
3.1.1.4. 풍령사 윈
3.1.1.5. 암령사 달크
3.1.1.6. 광령사 라이너
3.1.2. 레벨 5
3.1.2.1. 풍령매사 윈
3.1.2.2. 지령매사 아우스
3.1.2.3. 화령매사 히타
4. 빙의장착
4.1. 효과 몬스터
4.1.1. 레벨 4
4.1.1.1. 빙의장착-아우스
4.1.1.2. 빙의장착-에리아
4.1.1.3. 빙의장착-히타
4.1.1.4. 빙의장착-윈
4.1.1.5. 빙의장착-달크
4.1.1.6. 빙의장착-라이너
5. 령사 × 빙의장착
5.1. 링크 몬스터
5.1.1. 링크 2
5.1.1.1. 작열의 화령사 히타
5.1.1.2. 창취의 풍령사 윈
5.1.1.3. 최외의 지령사 아우스
5.1.1.4. 청렬의 수령사 에리아
5.1.1.5. 조요의 광령사 라이너
5.1.1.6. 암영의 암령사 달크
6. 서포트 효과 몬스터
6.1. 레벨 5
6.1.1. 빙의각성-가기고바이트
6.1.2. 빙의각성-데몬 리퍼
6.1.3. 빙의각성-대이나리불
6.1.4. 빙의각성-라센류
7. 빙의
7.1. 마법 카드
7.1.1. 지속 마법
7.1.1.1. 빙의각성
7.2. 함정 카드
7.2.1. 일반 함정
7.2.1.1. 빙의 연계
7.2.2. 지속 함정
7.2.2.1. 빙의 해방
8. 서포트 마법/함정 카드
8.1. 마법 카드
8.1.1. 속공 마법
8.1.1.1. 정령술의 마스터
8.1.2. 필드 마법
8.1.2.1. 대령술-「일륜」
8.2. 함정 카드
8.2.1. 일반 함정
8.2.1.1. 지령술-「철」
8.2.1.2. 수령술-「규」
8.2.1.3. 화령술-「홍」
8.2.1.4. 풍령술-「아」
8.2.1.5. 암령술-"욕망"
8.2.1.6. 광령술-「성」
9. 관련 카드
9.1. 성장 버전 몬스터
9.1.1. 난폭한 아우스
9.1.2. 솟구치는 에리아
9.1.3. 타오르는 히타
9.1.4. 휘몰아치는 윈
10.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편집]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마법사족 카드군. 공식 설정상으로는 '정령사'를 줄여서 '령사'라고 표기하는 것이라고 한다.

달크를 제외한 전원이 미소녀 캐릭터로 디자인 된 일러스트가 특징으로, 덕분에 많은 인기를 얻어 픽시브 등에는 이 카드군을 갖고 만들어낸 팬픽이나 일러스트들도 상당히 많은 편. 이들이 들어간 카드 프로텍터 투표에선 쟁쟁한 카드들을 제치고 당당하게 1위를 했을 정도니 말 다한 셈.

초기에는 지수화풍 4속성만 존재했기에 사령사라 불렸으나, 듀얼리스트의 태동에서 암령사가, 빛나는 어둠에서 광령사가 추가되면서 이제 신속성을 뺀 모든 속성이 존재하게 되었다.

디자이너는 후지와라 아키나로, 나이트엔드 소서러, 폭풍 소승, 솟아오르는 화염의 정령, 충혹마 등의 일러스트도 이 사람이 담당한 것. 화풍의 변화로 인해서인지 현재 등장하는 관련 카드는 본인이 그리고있지 않는 상태다.

2014년 5월 21일 부터 프로텍터 디자인 투표를 했는데 중간 결산마다 1위를 하는 부동의 자세를 보여주었고 결국 2위인 빙결계 3룡 6355표를 27362표로 2만표 이상의 차이를 보여주며 당당히 1위를 했다. 가격은 450엔.

파일:external/www.tcgshop.co.kr/09988826b9ea1cdc9208825d9dd326d1_AqnG6MfyzCy.jpg파일:Charmersleeve.png
카드 세퍼레이터 이미지프로텍터 일러스트
참고로 프로텍터 인기가 대단해 국내 온라인카드샵에서는 판매하자마자 금방 품절이 되었고, 해외구매까지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다 국내카드샵들이 다시 구해서 재판매 했을 때는 가격이 기준의 2배. 거기다 개인당 하나씩만 구입 가능. 그래도 또 품절 됐다. 지금도 다시 또 판매 하는 샵이 있지만 가격이 처음 금액에서 3배 가까이 된다. 하지만 그래도 구입하는 사람들이 있다. 일러의 힘이란... 그리고 2017년 2월 국내 인터넷샵 가격은 35,000원에 판매를 시작했다. 그런데 이런 가격에도 사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2019년 10월 19일에 발매된 여섯 속성 컨셉의 듀얼리스트 카드 프로텍트가 판매되면서 육령사 전원이 시크릿 레어 사양으로 재록됐다.

그리고 결국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란 이름으로 령사 스트럭처 덱이 2020년 6월에 나올 것임이 발표되었다. 유저들은 2019년 6월 하순에 실시했던 스트럭처 덱 투표에서 최종 3위[1]에 들었던 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발매 후엔 메타비트로 구축된 빙의장착 덱이 간간히 입상하는 등 어느 정도 쉐어가 올라왔다. 10년 이상 로망에 가까웠던 테마가 입상을 하니 그저 감격스러울 정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제넥스 토너먼트에서 미사와 다이치가 상대했던 오벨리스크 블루 학생이 빙의장착-히타를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으며, 유희왕 ZEXAL 세컨드에서는 미즈키 코토리의 친구 두 명이 령사의 코스프레를 하는 것으로도 등장했다.


2. 설명[편집]



2.1. 설정[편집]


'밸류어블 북 8'에 의하면 '령사'는 '정령사(精霊使い)', '령술'은 '정령술(精霊術)'의 약칭이라고 한다.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에서 공개된 설정 자료에 따르면 평소에는 새로운 동료들과 함께 평온하게 지내고 있다는 모양. 정령술의 극치에 다다르기 위해 나날이 계속 단련해온 결과, 소녀들의 재능은 풍부한 개성을 꽃피우며 사역마와의 인연도 상승하고, 커다란 힘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초기 화풍이나 빙의에 관련된 컨셉은, 디자인을 담당한 후지와라 아키나코나미 재직 시절에 게임 아트웍 담당으로 참여했던 샤먼킹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추정된다.

에리아와 윈의 경우 각각 리추어가스타에 비슷하게 생긴 미소녀 카드들이 등장한다. 이는 해당 카드군의 디자인에 후지와라 아키나가 개입했기 때문에 생긴 외형상의 유사성이지만, 윈의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가스타의 무녀 윈다와 자매지간임이 확언되었으나 에리아에 대해서는 그 외의 언급은 없었다. 또한 히타나 아우스 등 다른 령사와 닮은 카드가 등장하기를 바라는 팬들도 많았지만, 불 속성이나 땅속성에서는 끝까지 괴악하게 생겼거나 어느새 멸망해버리거나 사람 얼굴 한 카드가 끝까지 안나오거나 타락하는 등 결국 끝까지 나오지 않았다.


2.2. 령사 덱[편집]


취향에 따라 4령사덱, 6령사덱 등등 구분을 하지만 크게 굴리는 스타일은 스트럭쳐 덱에 지원된 카드들로 순수 자체 효과로 돌리는 령사덱이랑 각종 견제카드들을 넣어서 굴리는 메타비트 령사덱으로 구분한다.
  • 순수 령사 덱 : 각종 령사, 빙의장착, 빙의각성 등 몬스터의 효과를 이용하여 굴리는 형식으로서 대회보단 친선으로 많이 사용한다. 그만큼 승률도 처참하다. 견제는 대령술-「일륜」이나 빙의 연계 등 2장밖에 없어서 빌드를 쌓아도 파괴수의 잠처럼 한방에 이쁜 령사들이 쓸려나가는 슬픈 현실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우라라나 무덤의 지명자에 의해서 전개가 막히는 상황도 비일비재. 덱으로서의 기능도 거의 딕 수준이라서 일러만 보고 굴리는 사람 외엔 찾기가 힘들 정도.

  • 메타비트 령사 덱 : 령사 덱을 승률형으로 굴리기 위한 덱. 빙의장착 몬스터만 투입하고 그외 페어리테일-카구야나 각종 항아리 카드로 패보충 및 서치를 하고 또 스킬 드레인, 매크로 코스모스, 신의 시리즈 등 각종 견재용 마법/함정 카드들을 넣어서 상대 전개를 방해하면서 야금야금 비트하면서 승률을 챙기는 방식이다. 실질적으로 우승한 전적이 있을만큼 령사랑 메타비트는 궁합이 상당히 좋으며 왠만큼 티어덱이랑 비빌 정도로 강력하다. 단 마법 / 함정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사이드전으로 가면 상대가 라이트닝 스톰, 해피의 깃털이나 길항승부에 의해서 마법 / 함정 카드가 한방에 쓸려나가면 복구하기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 사이드에 대혁명반전과 마궁의 뇌물을 투입하여 견재를 해도 패에 잡히지 않으면 그냥 쓸려나가는 상황이 온다. 또한, 후공으로 시작하게 되면 상대가 빌드를 세워버려서 돌파하기가 어렵다는 약점도 있다.

  • 광암 령사 덱 : 라이너와 달크를 사용하는 광암 령사로, 사실 이름만 령사지 빙의장착 비트덱이나 마찬가지인 메타비트 령사덱과는 스타일이 확연히 다르다. 이쪽은 항아리와 메타카드를 포기하는 대신 빠른 서치와 전개, 필드 구축을 노리는 형식으로, 빙의장착에 서치가 존재하고 빛&어둠 속성엔 고성능 용병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비교적 능동적으로 전개를 노릴 수 있다. 강력한 빛 속성 테마인 드래그마와 궁합이 좋으며[2], 마함 순환과 다르크의 빙의장착 제물로 쓸 수 있는 소울즈, 전개력이 뛰어난 Em과 마기스토스 등을 주로 채용한다. 속성이 메이저한 빛, 어둠 속성이기 때문에 령사의 컨트롤 탈취, 뺏어온 몬스터로 빙의장착 같은 령사의 근본 플레이가 보고 싶다면 이쪽을 추천한다. 단점은 다채로운 전개와 응용성을 얻은 대가로, 사역마의 부재를 감당해야 하고 높은 엑덱 사용률로 인한 항아리 사용의 어려움과 난잡해지는 덱구성으로 안정성을 잃는다. 필드가 잘 나오면 빙의 마함과 몬스터 전개를 같이 진행할 수 있어 전개와 견제를 동시에 노리는 강력한 순환 사이클을 구축할 수 있지만 빙의 마함 외에 다른 메타계열 카드들을 메타비트 령사덱만큼은 넣을 수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초반에 견제를 맞아 애매하게 필드가 나오면 락도 전개도 못하게 된다.


2.2.1. 장점[편집]


  • 조건부로 발휘되는 강력한 화력과, 파괴 내성
빙의각성이 발동된 상태에서 빙의장착 몬스터 한 종류이라도 소환하면 레벨 4에 공격력 2150이라는 공격력이 발휘되며, 빙의해방까지 발동된다면 전투시에는 2950이라는 레벨 4 몬스터라고 믿기 어려운 화력이 나온다. 이것도 속성이 하나에, 빙의각성이 한장만 발동된 상태일 때의 이야기이며, 속성이 두종류가 되면 전투시에는 공격력이 3150까지 올라간다. 빙의각성이 두장 이상 발동된 상태에서 2종류 이상의 속성만으로도 앵간한 고레벨 몬스터는 간단히 무너 뜨릴 수 있다. 또한 빙의각성과 빙의해방에 붙어있는 전투 파괴 내성과, 효과 파괴 내성은 수비력 1500의 령사몬스터를 쉽게 무너지지 않는 방벽으로 만들어주며, 빙의해방의 몬스터 파괴시 수비력 1500 마법사족 특수소환 필드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 다속성 견제 가능
유희왕에서 몇 안되게 속성과 관련된 카드군으로 메인 몬스터인 령사 몬스터는 상대의 필드를, 링크 몬스터들은 상대의 묘지에서 몬스터를 탈취해 올 수 있고, 링크, 령사 몬스터는 빙의해방의 효과로 인해 파괴에 대해 완전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외로 견제가 까다롭게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2.2.2. 단점[편집]


  • 지속마법, 함정에 대한 너무 높은 의존도, 그에 반비례하는 마법, 함정 보호 능력
령사 최대의 단점으로 상술된 강한 화력과, 파괴내성은 지속마법, 함정카드인 빙의각성과, 빙의해방이 발동된 상태여야만이 발휘되며, 상대가 마법 함정을 정리하는 카드를 사용한다면, 령사 덱의 몬스터들은 평균 이하의 능력치를 가진 하급 몬스터에 불과해진다. 이렇듯 지속마법, 함정에 대한 의존도는 높은데 비해, 령사는 자체적으로 마법함정을 지킬 수단이고 할 수 있는건 필드마법 대령술-「일륜」의 몬스터 효과 무효 정도 인데, 이조차도 몬스터만 견제하는데다, 강제효과라서 능동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후속 대처 역시 결국 빙의연계의 3번 효과를 제외하면 없다시피하다는 것이 큰단점이다.[3]

  • 파괴 이외의 효과에 대한 무력함
제거 쪽을 본다면 대표적으로 제외나, 바운스가 존재한다. 그나마 하급 몬스터이면서, 덱에서의 룰 소환을 가지고 있는 덱인 만큼 바운스는 어느정도 대처가 가능하지만, 하도 관련 몬스터가 많다보니, 풀투입이 어려운 령사 덱 특성상 제외에는 많이 약한 편이다. 제거 이외의 효과 중 령사에게 치명적인 효과로는 속성을 단일화 시키거나, 종족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치명적이다. 령사는 빙의 장착, 빙의 각성, 엑스트라 몬스터들이 전부 특정 속성과, 마법사족을 요구하고, 마법, 함정카드들도 대부분 공격력 1850의 마법사족, 혹은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을 지정하기 때문에 조건이 빡빡한 령사덱은 종족을 변환시키면, 특수소환 자체가 틀어 막혀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속성을 단일화시키는 효과는 자신 필드에 속성의 종류가 많을 수록 타점을 올려주는 빙의각성을 완전히 카운터치기 때문에, 령사의 타점에 강력한 제제를 걸어버릴 수 있다.

  • 너무 노후화된 령사, 빙의장착 몬스터들의 효과
령사라는 카드군이 하도 예전에 나온 테마인지라 생긴 문제. 령사 몬스터들의 효과인 컨트롤 탈취 효과는 해당 령사와 속성이 동일한 몬스터를 탈취하는 효과인데, 리버스 효과에 발동 이후 령사 몬스터들이 필드를 벗어나면 효과가 바로 사라진다. 그에 비해 령사 몬스터들의 수비력은 1500으로 굉장히 낮은 능력치라 결국 효과를 보려면 빙의해방을 무조건 깔아놔야만 한다. 게다가 탈취 자체도 굉장히 까다로운데 유희왕의 속성은 신속성을 제외하더라도, 속성의 종류만 6종류나 되고, 다속성인 카드군보다, 단일 속성의 카드군이 많은 만큼, 상대가 사용하는 속성과, 자신이 사용하는 령사의 속성이 다르면 령사 몬스터의 효과는 전혀 의미가 없어진다. 빙의장착 몬스터들의 경우에는 수비력 관통 효과로 령사 몬스터들보다 상황이 낫지만, 문제는 무조건 자체효과를 통한 특수소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다, 역시 공격력은 1850으로 높지 못한 탓에 효과의 의미를 보기 위해선 빙의각성과, 빙의해방의 효과가 뒷받침을 해야만이 효과가 빛을 볼 수 있다. 결국 령사의 지속마법, 함정의 의존도를 높히는 요인중 하나로 적용된다.

  • 부족한 견제력
령사덱에서 견제라고 해봤자 컨트롤 탈취가 있긴하지만, 령사들의 컨트롤 탈취는 조건을 맞추기 어렵다. 그외에는 대령술-「일륜」의 강제 효과와, 풍령사 계열의 바운스, 굳이 더하자면 수령사 계열의 패털이 정도가 고작일 정도로 견제능력이 부족한 편이다.

  • 광령사, 암령사에 대한 지원 부재, 이로 인한 상대적으로 약한 빛, 어둠 견제
최근 정령술의 마스터에서 지원된 건 사령사만을 위한 지원인 만큼 광령사와 암령사는 지원 대상에서 배제되어 버렸고,[4] 결국 이는 드물게 속성 견제 및 컨트롤 탈취 부분으로 이득을 챙길 수 있는 령사에게 빛, 어둠 속성에게는 취약해버리는 결과를 맞이했으며, 심지어 사역마 지원조차 없다.


3. 령사[편집]


령사 / 霊使(れいつかい / Charmer

3.1. 효과 몬스터[편집]


"령사" 효과 몬스터의 공통 효과
리버스 / 효과 몬스터
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자신과 일치하는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상대 필드 위의 동일 속성을 가진 몬스터의 컨트롤을 뺏는 리버스 효과를 가진 몬스터군. 부스터 팩 잃어버린 천년(THE LOST MILLENIUM)에서 처음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컨트롤을 탈취한다고 하면 그냥 바로 세뇌정신조작, 강제전이 같은걸 써버리는게 훨씬 빠르고 간편하며, 컨트롤 탈취를 할 일이 듀얼 중 그렇게 많이 찾아오는 것도 아니고 자기가 전투파괴 당하면 의미가 없기에 주로 관상용으로 모셔두는 정도이며 듀얼에서 잘 사용되는 카드들은 아니다.

그렇다고 아예 못써먹을 카드들은 아니고 속성덱을 맞출 경우 작정하고 쓰면 쓸 수는 있는 정도. 또 새로운 카드들의 등장과 함께 고유 효과인 컨트롤 탈취 이외의 사용 용도가 하나둘씩 발견되고 있다.

컨트롤을 탈취한다는 특성상 제왕과 나름대로 상성이 좋다. 컨트롤 탈취 → 릴리즈 → 제왕 소환의 콤보가 제대로 들어가주면 상당한 어드밴티지를 얻는 것이 가능. 또한 같은 컨트롤 탈취테마인 그레이돌과 섞어쓰는것도 나쁘지않다. 마침 령사 몬스터들의 레벨도 그레이돌 메인몬스터와 같은 3이라서 여차하면 싱크로할 수도 있고.

위급한 경우라든가, 피니쉬를 내려는데 상대가 전투파괴 내성을 지닌 벽 몬스터를 꺼냈다거나, 어떻게든 쓰고 싶은데 도저히 못쓰겠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아예 바로 공격표시로 소환해서 옆에 있던 몬스터를 잡아먹고 빙의장착을 시켜버리는 방법도 있긴 하다. 물론 속성덱에 넣고 쓰는 경우에나 가능.

영문판에서는 이 카드들 이름의 "~령사"가 "Charmer"라고 번역되었는데, 이 단어에는 '술사'라는 의미와 함께 '매력남/매력녀' 정도의 의미가 같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면 그 리버스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꼬시는 것 같은 뉘앙스를 풍겨버린다. 아마 효과를 보고 그렇게 정한듯 싶다.


3.1.1. 레벨 3[편집]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스트럭처 덱

[ SD25 ~ SD36 ]
[ SD37 ~ SD48 ]

스트럭처 덱 R


3.1.1.1. 지령사 아우스[편집]

파일:地霊使いアウ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지령사 아우스,
일어판명칭=<ruby>地霊使<rp>(</rp><rt>ちれいつか</rt><rp>)</rp></ruby>いアウス,
영어판명칭=Aussa the Earth Charmer,
속성=땅,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데몬 비버.

일단 땅 속성 몬스터가 워낙 많다보니 별다른 속성 조작 없이 뺏을 수 있는 몬스터가 가장 많다는 점이 장점.

게임 '듀얼 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에서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10회 이상 뺏는다.'가 목적인 테마 듀얼에서 사령사 중 사상 최초의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하지만, 애석하게도 이때는 속편들과 달리 듀얼 도중 캐릭터들이 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성격인지는 알 수가 없었다. 다행히(?) 대사가 나오는 속편인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에서 일단 동일한 주제의 테마 듀얼 담당으로 다시 등장한다. 문제는 가장 늦게 등장하기 때문에 가장 보기 힘들다는 점.

다른 령사들에 비해 머리카락이 짧고 보이시해서 남자로 오해하는 이들도 가끔 보이지만, 얘도 엄연히 여자다. 잘보면 거유인데다 상대해보면 의외로 대사들이 고압적인 아가씨 분위기이다. 듀얼 중 플레이어의 대사를 바꾸는 메뉴인 정형문 에딧 메뉴에서 '고압적 대사 세트'(高飛車セリフセット)를 고르면 나오는게 아우스의 대사 세트. 뭐, 지령술과 빙의장착 아우스를 보면 표정이 더럽긴 하다. 번호 때문에 장녀라는 우스개가 있는데 정말로 여섯 중 제일 연장자일지도.

듀얼 터미널 9 -바이론 강림!!-에서 난데없이 초대 사령사 중 최초로 재록되었고, 이후 다른 사령사들이 줄줄이 재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잃어버린 천년TLM-KR026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3HGP3-KR206노멀한국
THE LOST MILLENIUMTLM-JP026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3EE3-JP206노멀일본
듀얼 터미널 9 -바이론 강림!!-DT09-JP010DTP 노멀일본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9 Vol.419TP-JP403노멀일본
The Lost MilleniumTLM-EN026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on Vol.3DR3-EN206노멀미국
Duel Terminal 5DT05-EN010DTP 노멀미국


3.1.1.2. 수령사 에리아[편집]

파일:水霊使いエリ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수령사 에리아,
일어판명칭=<ruby>水霊使<rp>(</rp><rt>すいれいつか</rt><rp>)</rp></ruby>いエリア,
영어판명칭=Eria the Water Charmer,
속성=물,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기고바이트.

N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에서 대전상대로 나올때의 대사를 보면 성격은 꽤나 성실하고 예의바른 편이지만 가끔 얼빠진 면을 보이기도 한다.

처음 나온 2007에서는 이게 정확히 어떤 성격의 대사인건지 알 수 없었으나, 대사를 세트 단위로 통째로 고를 수 있게 된 2009부터는 에리아의 대사 세트에 '덜렁이 소녀 대사 세트'(おっちょこちょい娘セリフセット)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에서 등장할 때 덱에 일반 몬스터가 없는데 고등의식술을 넣어둔 걸 보면 확실히 약간 덜렁대는 면이 있는 것 같다(…) 2007에서는 덱에 DNA 이식수술을 투입하여 사령사들 중 유일하게 자신의 효과를 활용해보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CPU 수준이 워낙 거지같아서 잘 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대로 2009에서는 의식 소환 관련 카드들을 투입했는데, 이것은 자기 덱에 자신들과 비슷한 점이 많은 엘리멘틀 마스터 드리야드를 투입했기 때문이다.

리추어 에리얼과 에리아의 관계는 불명. 에리아가 에리얼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지만 저 위의 고등의식술이나 사역마 기고바이트가 가가기고보다 늦게 나왔다는 점, 다이 그레퍼가 정의를 되찾고 DT 행성에 들렀다는 점[5] 등으로 인해 그 반대로 에리얼이 에리아가 되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전화의 잔재네크로즈에서 어릴적과 리추어 이후의 에리얼이 공개되었으므로 에리얼과 에리아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은 사라졌다.

번호가 아우스 바로 다음인지라 듀얼 터미널 10탄에 아우스에 이어 수록될 거라 생각됐지만 왠지 맨 마지막 번호인 풍령사 윈쪽이 먼저 수록되었으며, 이쪽은 11탄에서 수록되었다. 참고로 이 카드를 스캔하면 리추어 카드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에서 소환 모션은 사역마인 기고바이트와 손을 잡으며 등장한다. 그래서인지 정령사들 중에서는 자신의 사역마와 제일 친해보인다. 가가기고랑 커플링도 있다. 다만 손을 잡는건 소환할때만이고, 이후에는 기고바이트는 건방지게 옆에서 팔짱을 끼고 있다.

이름인 "에리아"의 일본어 표기는 "에어리어(Area)"와 같다. 덕분에 스크랩 에어리어암석 투척 에어리어와 엮여 말장난의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

2차 창작계에선 어째 색기담당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잃어버린 천년TLM-KR027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3HGP3-KR207노멀한국
THE LOST MILLENIUMTLM-JP027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3EE3-JP207노멀일본
듀얼 터미널 11 -오메가의 심판!!-DT11-JP011DTP 노멀일본
The Lost MilleniumTLM-EN027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on Vol.3DR3-EN207노멀미국
Duel Terminal 6DT06-EN011DTP 노멀미국


3.1.1.3. 화령사 히타[편집]

파일:火霊使いヒー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화령사 히타,
일어판명칭=<ruby>火霊使<rp>(</rp><rt>かれいつか</rt><rp>)</rp></ruby>いヒータ,
영어판명칭=Hiita the Fire Charmer,
속성=화염,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여우불.

N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에서 레벨2 듀얼리스트로 등장한다. 그녀와 대전을 해보면 사실 보쿠 소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쿠 소녀 대사 세트'(ボクっ娘セリフセット)가 그녀의 대사 세트.

화염속성이라 그런지 대조되는 물속성인 에리아와 함께 팬아트에서 백합커플을 이루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사이 하이 삭스를 신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카드 전신 일러스트를 보면 가터 링이다. # 하지만 정작 듀얼 터미널에서는 진짜 허벅지 스타킹을 신은 절대영역 보유자로 나왔으며, 아래에서도 설명할 화령술-홍에서도 분명히 허벅지 스타킹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새비지 스트라이크에서 공개된 작열의 화령사 히타 역시 스타킹을 신고 있다.

듀얼 터미널 12 -엑시즈 시동!!-에서 초대 사령사 중 마지막으로 재록되었고, 토너먼트 팩 2018 Vol.4에서 초대 사령사 중 처음으로 재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잃어버린 천년TLM-KR028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3HGP3-KR208노멀한국
THE LOST MILLENIUMTLM-JP028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3EE3-JP208노멀일본
듀얼 터미널 12 -엑시즈 시동!!-DT12-JP013DTP 노멀일본
토너먼트 팩 2018 Vol.418TP-JP404노멀일본
The Lost MilleniumTLM-EN028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on Vol.3DR3-EN208노멀미국
Duel Terminal 6DT06-EN063DTP 노멀미국


3.1.1.4. 풍령사 윈[편집]

파일:風霊使いウ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풍령사 윈,
일어판명칭=<ruby>風霊使<rp>(</rp><rt>ふうれいつか</rt><rp>)</rp></ruby>いウィン,
영어판명칭=Wynn the Wind Charmer,
속성=바람,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꼬마용.

N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에서 LV1 테마 듀얼(LP 1000 이하에서 승리)의 상대로 등장해서 그녀와 대전을 해볼 수 있다. 대사들을 보면 넷 중에서 정신연령이 제일 어린 듯 하다. 이후 게임의 '정형문 에딧' 모드에서 '천연계 대사 세트'(天然セリフセット)를 고르면 나오는게 그녀의 대사들. 성격이 저래서인지 관련 카드들에서는 모두 멍한 표정이다.

WCS2007과 그래픽을 그대로 쓴 속편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 수비표시로 놔두면 다른 사령사들과는 달리 방어자세는커녕 지팡이를 버리고 꿇어앉아 꼬마용을 꼭 껴안는다. 어째 때리면 나쁜놈 될 것 같은 분위기.

듀얼 터미널 10 -인벨즈의 침략!!-에서 재록. 듀얼 터미널에서의 공격모션은 그녀의 사역마인 꼬마룡에게 몸통박치기 공격을 시키는 것. 또 여기서는 대체 어떻게 저게 수비가 되는건지 의심이 가던 월드 챔피언십과는 달리 나름대로 수비 자세를 취한다. 소환모션은 사역마인 꼬마룡이 먼저 등장한 후 눈을 감은채 천천히 등장한다.

또한 이 카드를 스캔하면 가스타 카드의 일종으로 취급되어서 설마 했는데, 결국 유희왕 마스터 가이드에서 가스타의 무녀 윈다가 윈의 언니라는 설정이 나왔다.[6] 그래서 지팡이의 형태가 윈다랑 똑같고 주머니에 색이 다르지만 똑같은 형태의 토끼인형이 있으며 잘 보면 꼬마용 밑쪽에 윈의 옷에 윈다와 일부 가스타들도 매달고있는 털장식이 있다. 사실상 령사 중 유일하게 DT 설정과 직접적인 관계가 드러난 사례라 할 수 있다.[7]

설정에 따르면 당대 장로였던 가스타의 현자 윈다르, 가스타의 무녀 윈다와 함께 가스타 장로의 일족이며, 희대의 재능을 발휘했지만 집안에 묶여있기를 싫어하여 바깥 세계로 여행을 떠났다고 설명되어있다. 다만 본인은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후에 듀얼 터미널에 일어난 으로 몇몇 일원을 제외하고는 일족이 아예 박살난데다, 언니 또한 곱게 죽지 못하고 인형이 된 채 계속 구르다가 가까스로 정령수사 윈다로 부활한 것을 보면 굉장히 현명한 선택을 한 셈이다.

히타에 이어 초대 사령사 중 2번째로 10기 사양으로 재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잃어버린 천년TLM-KR029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3HGP3-KR209노멀한국
THE LOST MILLENIUMTLM-JP029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3EE3-JP209노멀일본
듀얼 터미널 10 -인벨즈의 침략!!-DT10-JP007DTP 노멀일본
TOURNAMENT PACK 2019 Vol.219TP-JP203노멀일본
The Lost MilleniumTLM-EN029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on Vol.3DR3-EN209노멀미국
Duel Terminal 5DT05-EN057DTP 노멀미국


3.1.1.5. 암령사 달크[편집]

파일:闇霊使いダル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암령사 달크,
일어판명칭=<ruby>闇霊使<rp>(</rp><rt>やみれいつか</rt><rp>)</rp></ruby>いダルク,
영어판명칭=Dharc the Dark Charmer,
속성=어둠,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다크 나폴레옹.

생긴게 다소 중성적인데다가 캐릭터에 대한 실마리를 잡을만한 자료가 나오지 않아 성별을 알 수가 없는 상태가 계속되었으나, 결국 PSP용 게임 유희왕 태그 포스 4에서 남자로 밝혀지며 청일점으로 확정됐다. 그런지라 2차 창작에서는 라이너나 에리아[8]와 자주 엮이는 편이고 여성 5령사들에게 연애하는 경우가 흔하다.

여담으로, 달크가 나오는 일러스트는 어떠한 경우도 오른쪽 팔을 명확히 보여주지 않기에 오른팔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간간히 나온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듀얼리스트의 태동TDGS-KR026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THE DUELIST GENESISTDGS-JP026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The Duelist GenesisTDGS-EN026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3.1.1.6. 광령사 라이너[편집]

파일:光霊使いライ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몬스터=,효과=,
한글판명칭=광령사 라이너,
일어판명칭=<ruby>光霊使<rp>(</rp><rt>こうれいつか</rt><rp>)</rp></ruby>いライナ,
영어판명칭=Lyna the Light Charmer,
속성=빛,레벨=3,공격력=50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리버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
빛속성의 영술을 조종할 수 있는 소녀. 파트너인 빛의 정령과 힘을 합쳐 고도의 광령술 탐구에 밤낮으로 힘쓰고 있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플레이버 텍스트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해피 러버.

빛나는 어둠에서 나온 카드. 정발명은 라이너이지만, 정발이 되기 전까지는 라이나라고 불렸으며, 외형이 구원의 마술사 거울이랑 많이 닮았다. 또한 달크처럼 왼쪽 손목에 족쇄가 달려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24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24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The Shining DarknessTHSD-EN024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3.1.2. 레벨 5[편집]



3.1.2.1. 풍령매사 윈[편집]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0년)
||
[ 펼치기 · 접기 ]

파일:風霊媒師ウィン.jpg
파일:焔聖騎士-リナルド.jpg
파일:アーマード・ビットロン.jpg
파일:マシンナーズ・メタルクランチ.jpg
1월호2월호3월호4월호
VJMP-JP173
풍령매사 윈
VJMP-JP174
불꽃성기사-리나르도
VJMP-JP175
아머드 비트론
VJMP-JP176
머시너즈 메탈크런치
파일:電脳堺姫-娘々.jpg
파일:暗黒騎士ガイアオリジン.jpg
파일:百年竜.jpg
파일:太陽の魔術師エダ.jpg
5월호6월호7월호8월호
VJMP-JP180
전뇌계희-냥냥
VJMP-JP181
암흑 기사 가이아오리진
VJMP-JP182
백년룡
VJMP-JP183
태양의 마술사 에다
파일:超重禽属コカトリウム.jpg
파일:ドラグニティ-ギザーム.jpg
파일:カオス・グレファー.jpg
파일:迅雷の暴君 グローザー.jpg
9월호10월호11월호12월호
VJMP-JP187
초중금속 코카트륨
VJMP-JP188
드래그니티-기잠
VJMP-JP189
카오스 그레퍼
VJMP-JP190
신뢰의 폭군 그로자
정기구독 특전
VJMP-JP177SR 블록큰롤
VJMP-JP178SR 카르터보
VJMP-JP179DD 도그
VJMP-JP184레프티아 에그
VJMP-JP185다크 앨리게이터
VJMP-JP186윤회룡 삼사라

← 2019년2021년 →


파일:風霊媒師ウ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풍령매사 윈,
일어판명칭=<ruby>風霊媒師<rp>(</rp><rt>ふうれいばいし</rt><rp>)</rp></ruby>ウィン,
영어판명칭=Wynn the Wind Channeler,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1850,
수비력=15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령사"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이 카드와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풍령매사 윈" 이외의 수비력 1500 이하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바람 속성 이외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바람 속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V점프 부록 카드로 공개된 새로운 령사 카테고리의 몬스터.

①의 효과는 남정룡-템피스트를 연상케 하는 서치 기동효과로, 바람 속성 덱이라면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덱에서의 악용을 막기 위해서인지 디메리트로 효과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바람 속성 몬스터의 효과만 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 속성 이외의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패 코스트 2장으로 1장을 서치하니 단순히 수치상으로는 손해가 되지만, 서치하는 몬스터에 따라 이를 손쉽게 만회할 수 있다. 특히 SR 베이고맥스WW-아이스 벨은 소환권까지 온존할 수 있어 대량 전개 / 대형 전개도 노릴 수 있다. 그 외에도 B·F 덱에서는 B·F 독침의 니들, 해피 덱에서는 해피 채널러, 령수 덱에서는 령수사의 장로 등, 첫 전개를 위해 서치해올 만한 몬스터는 많다.

하루 우라라 등에 의한 효과 무효화에 걸리면 패 2장만 날리는 뼈아픈 결과가 되니 주의할 것.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바람 속성 몬스터의 전투 파괴를 트리거로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 하지만 발동 조건이 수동적인데다 상급 몬스터치곤 스탯이 빈약하고 이 카드의 효과 특성 상 필드에 있다고 이득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보험용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일단 바람 속성 축 령사 덱이라면 빙의각성, 빙의해방으로 파괴 내성을 얻을 수 있으니 긴급한 상황에서 벽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빙의장착 몬스터처럼 공격력 1850이니 페어리테일-카구야로 서치할 수 있긴 하지만, 해당 카드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특히 소환권을 써서 꺼냈을 경우에는 서치한 몬스터의 전개에 지장이 생기는 점은 주의할 것.

일러스트에서는 기존 파트너인 꼬마용과 창취의 풍령사의 파트너로 나온 생물을 함께 사역마로 데리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V점프 2020년 1월 특대호 부록 카드VJMP-JP173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프리미엄 팩 Vol.15PP15-KR034패러렐 레어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Rise of the DuelistROTD-EN086울트라 레어
스타라이트 레어
미국미국 최초 수록


3.1.2.2. 지령매사 아우스[편집]

파일:地霊媒師アウ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령매사 아우스,
일어판명칭=<ruby>地霊媒師<rp>(</rp><rt>ちれいばいし</rt><rp>)</rp></ruby>アウス,
영어판명칭=Aussa the Earth Channeler,
속성=땅,
레벨=5,
공격력=1850,
수비력=15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령사"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이 카드와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원래의 종족이 버린 몬스터 중 어느 것과 같고\, 공격력이 1850 이하인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땅 속성 이외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땅 속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등장한 아우스의 령매사 버전. 풍령매사 이후 매우 오랜만에 나온 두 번째 령매사이다.

①의 효과는 풍령매사 윈과 비슷한 방식의 서치 기동효과인데, 서치 범위가 공격력 1850 이하로 변경되었으며 서치 대상의 종족이 버린 몬스터 중 한쪽과 같아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이 카드가 마법사족 몬스터이므로 기본적으로 마법사족은 확정적으로 서치 범위에 들어간다. 땅 속성이 바람 속성에 비해 범용성 높은 몬스터가 많음을 감안한 것인지 풍령매사에 비해 제약이 늘어 체감 성능은 더 떨어지는 편.

서브테러 등 종족이 분산된 테마에서는 비교적 활용이 어렵다. 마돌체의 경우 종족이 분산되어 있긴 하나, 서치 효과가 달린 마죠레느가 마법사족이라 확정 서치가 가능하므로 원하는 카드로 연결하기는 쉽다. 충혹마의 경우엔 곤충족 충혹마를 버리는 것으로 증식의 G를 확정 서치 할 수 있어 후속 견제에 큰 힘이 된다. 무한기동머시너즈의 경우에도 땅 속성 / 기계족으로 통일되어 있기에 이 카드의 효과를 사용하기 매우 좋다. 특히 피니셔인 열차 카드 또한 땅 속성임으로 그 조합이 발군. 땅 속성 굿 스터프의 경우 이시즈 파츠봄화정 모두 공격력 1500 밑의 천사족인데다 패에서 버려져도 덤핑을 하기 때문에 시너지가 좋다.

②의 효과는 땅 속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패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공개된 시기를 고려하면 같은 팩에 수록된 봄화정, 비슷한 시기에 발매되는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등 땅 속성 테마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POWER OF THE ELEMENTSPOTE-JP032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시크릿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3.1.2.3. 화령매사 히타[편집]

파일:火霊媒師ヒー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화령매사 히타,
일어판명칭=<ruby>火霊媒師<rp>(</rp><rt>かれいばいし</rt><rp>)</rp></ruby>ヒータ,
영어판명칭=Hiita the Fire Channeler,
속성=화염,레벨=5,공격력=1850,수비력=1500,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령사"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이 카드와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버린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높은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화염 속성 이외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화염 속성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등장한 히타의 령매사이자, 세번째 령매사. 휘석의 듀얼리스트를 지원하던 아우스처럼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이나 같은 팩의 불꽃성기사 등, 불 속성 테마 지원을 위해 출시되었다.

아우스, 윈과는 다른 서치 범위를 지정한 것은 패 트랩 계의 스터디셀러인 하루 우라라를 서치하는 것을 막기 위함으로 보인다.[9]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서치 범위는 매우 크며, 우라라를 같이 버리면 공격력이 0이나 ?가 아닌 모든 화염 속성 몬스터, 예를 들어 노염파괴수 도고란이나 쿠리카라천동 등을 서치할 수 있다.



4. 빙의장착[편집]


빙의장착 / 憑依装着(ひょういそうちゃく / Familiar-Possessed

4.1. 효과 몬스터[편집]



4.1.1. 레벨 4[편집]



4.1.1.1. 빙의장착-아우스[편집]

파일:憑依装着-アウス2.jpg파일:憑依装着-アウス(イラスト違い).jpg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절대원소의 힘
2nd 일러스트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아우스,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アウス,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Auss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지령사 아우스" 1장과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데몬 이터. 다만 이후 실물로 등장한 데몬 이터와는 디자인이 조금 다르다.

신규 일러스트에서는 데몬 이터가 지팡이 머리 부분에 매달려 낫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절대원소의 힘EEN-KR026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4HGP4-KR086노멀한국
ELEMENTAL ENERGYEEN-JP026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EXPERT EDITION Volume 4EE04-JP086노멀일본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P01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2nd 일러스트
Elemental EnergyEEN-EN026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ion Volume 4DR04-EN086노멀미국


4.1.1.2. 빙의장착-에리아[편집]

파일:憑依装着-エリア2.jpg파일:憑依装着-エリア(イラスト違い).jpg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절대원소의 힘
2nd 일러스트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에리아,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エリア,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Eri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수령사 에리아" 1장과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지고바이트. 공격력은 가가기고, 수비력은 에리아의 것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정령술의 사용자에서 공개된 신규 일러스트에서는 에리아가 지팡이를 앞으로 뻗는 것과 동시에 지고바이트도 스탠드처럼 주먹을 앞으로 지르고 있다. 다른 4령사들의 빙의장착 신규 일러스트는 자신이 데리고 있던 사역마를 장착한 형태인데, 지고바이트의 디자인상 합체 파츠로 사용하기가 난감했는지 혼자만 사역마와 함께 행동을 취하는 모습의 일러스트로 나왔다.

등장과 함께 당시 수덱의 저레벨 몬스터 에이스였던 가가기고를 사실상 밀어냈는데, 공격력은 같은데 수비력이 500높아 일러도 이뻐서 수덱에서는 우선채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절대원소의 힘EEN-KR027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4HGP4-KR087노멀한국
ELEMENTAL ENERGYEEN-JP027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EXPERT EDITION Volume 4EE04-JP087노멀일본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P02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2nd 일러스트
Elemental EnergyEEN-EN027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ion Volume 4DR04-EN087노멀미국


4.1.1.3. 빙의장착-히타[편집]

파일:憑依装着-ヒータ2.jpg파일:憑依装着-ヒータ(イラスト違い).jpg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절대원소의 힘
2nd 일러스트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히타,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ヒータ,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Hiit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화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화령사 히타" 1장과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이나리불.

등장 당시엔 화염 속성 자체에 어태커가 부족했기에, 디메리트 없는 하급 화염 속성 중 최고 공격력이었던 이 카드가 우수한 어태커로 취급됐다.

신규 일러스트에서는 이나리불을 후드처럼 두르고 있다.

유희왕 GX 빛의 결사 편 84화에서는 제넥스 대회 중 빛의 결사에 들어간 미사와 다이치를 상대한 오벨리스크 블루의 남학생이 사용. 리틀 키메라버닝 블러드의 효과로 공격력이 2850이 됐으며, 미사와의 LP가 500 남았던 걸 보면 꽤 활약했던 걸로 보인다. 미사와는 패의 워터 드래곤을 소재로 리트머스 죽음의 검사를 의식 소환했지만, 상대 필드의 백파이어 때문에 히타를 공격하지 않고 도로 제물로 바쳐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을 특수 소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직접 공격해 상대 LP를 딱 0으로 만들며 마무리했다. 히타를 보고 얼굴이 빨개진 미사와는 덤.

작중에서는 령사 시리즈 중 유일하게 제대로 출현한 카드지만, 원본 카드 일러스트와 디자인을 비교하면 빙의장착 령사들이 공통적으로 차고 있던 리본이 없으며, 그림체 또한 원본 일러스트의 화풍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10] 그래도 미사와의 얼굴이 빨개진 것을 보면 작중에서도 미소녀로 디자인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국내 방영판에선 카드 번역과 달리 '히터'라고 불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절대원소의 힘EEN-KR028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4HGP4-KR088노멀한국
ELEMENTAL ENERGYEEN-JP028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EXPERT EDITION Volume 4EE04-JP088노멀일본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P03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2nd 일러스트
Elemental EnergyEEN-EN028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ion Volume 4DR04-EN088노멀미국


4.1.1.4. 빙의장착-윈[편집]

파일:憑依装着-ウィン2.jpg파일:憑依装着-ウィン(イラスト違い).jpg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절대원소의 힘
2nd 일러스트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윈,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ウィン,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Wynn,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풍령사 윈" 1장과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데리고 있는 사역마는 란류.

신규 일러스트에서는 란류를 몸에 두르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절대원소의 힘EEN-KR029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4HGP4-KR089노멀한국
ELEMENTAL ENERGYEEN-JP029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EXPERT EDITION Volume 4EE04-JP089노멀일본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P04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2nd 일러스트
Elemental EnergyEEN-EN029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ion Volume 4DR04-EN089노멀미국


4.1.1.5. 빙의장착-달크[편집]

파일:憑依装着-ダル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달크,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ダルク,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Dharc,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의 "암령사 달크" 1장과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덱에서 레벨 3 또는 레벨 4의 마법사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

7기 부스터 팩인 오더 오브 카오스에 이르러서야 등장한 빙의장착 버전.

이전의 빙의장착과 달리 관통 효과 외에도 레벨 3/4의 빛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가 추가됐는데, 저 서치 범위에 라이너가 포함된다.

일러스트를 보면 달크의 끊어진 사슬에 빛이 오른쪽의 누군가와 연결돼 있는데, 이는 라이너의 일러스트와 연결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ORCS-KR033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ORDER OF CHAOSORCS-JP033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Order of ChaosORCS-EN033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4.1.1.6. 빙의장착-라이너[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37_1.jpg파일:lyna 2nd.png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맥시멈 크라이시스
2nd 일러스트
PRISMATIC ART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장착-라이너,
일어판명칭=<ruby>憑依装着<rp>(</rp><rt>ひょういそうちゃく</rt><rp>)</rp></ruby>-ライナ,
영어판명칭=Familiar-Possessed - Lyn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500,
효과1=①: 이 카드는\, "광령사 라이너" 1장과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빙의장착-라이너" 이외의 수비력 1500 인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

9기 마지막 팩인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발매된 라이너의 빙의장착 몬스터.

①③의 효과는 빙의장착 공통 효과이며, 달크처럼 ②의 효과가 추가됐다. 다만 달크와 달리, 서치 대상은 빙의해방과 같은 범위다.

위의 빙의장착-달크 문단에서 서술했듯이 둘의 일러스트가 이어진다. 일러스트 구도는 달크와 정반대이며, 다른 빙의장착 시리즈들과 달리 푸른 리본을 착용하지 않았다.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에서 새로운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는데, 정령술의 마스터에서 공개된 다른 빙의장착 령사들의 새 일러가 몸에 사역마를 부착하는 식으로 그쳤다면 이쪽은 빙의장착이라는 카테고리에 걸맞게 정말로 몸에 사역마를 빙의시켰다는 인상이 훨씬 강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MACR-KR037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MAXIMUM CRISISMACR-JP037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Maximum CrisisMACR-EN037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2018 Mega-Tin Mega PackMP18-EN010노멀미국


5. 령사 × 빙의장착[편집]



5.1. 링크 몬스터[편집]


"령사" 링크 몬스터의 공통 효과
링크 / 효과 몬스터
(자신과 일치하는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상대 묘지의 (자신과 일치하는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자신과 일치하는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새비지 스트라이크부터 등장한 령사의 링크 몬스터 리메이크 버전. 공통적으로 공격력 1850의 링크 2 몬스터이며, 링크 소재는 자신의 속성을 포함하는 몬스터 2장으로 느슨하다. 이름은 "○○의 ○령사"로 령사 카드군에 속하며, "빙의장착" 몬스터로도 취급하므로 빙의각성 및 빙의해방의 서포트를 받는다.

①의 효과로 상대 묘지의 같은 속성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할 수 있고, ②의 효과로 파괴되면 덱에서 같은 속성의 수비력 1500 이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속성 통일 덱에서 쓰기 쉬운 링크 2 몬스터란 점은 같은 속성 파워 업 몬스터들과 경쟁 관계가 되기 쉽다. 링크 마커 모양이 같고, 원래 공격력은 더 높지만 저쪽은 자신 효과로 실질 공격력 1900이라 타점에선 우위를 점하기 힘들다. 대신 령사는 링크 소재 제약이 널널하고 ①의 효과로 추가 링크 소환 보조가 가능하며, 파괴됐을 때의 효과도 묘지와 덱으로 범위가 달라 다른 역할로 나눠 쓸 수 있다.

이 몬스터들로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빼앗아 신성마황후 셀레네를 뽑고, 셀레네로 다른 마법사족을 소생시켜 액세스코드 토커로 잇는 콤보가 여러 덱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일러스트상으론 령사 시절부터 데리고 다니던 정령이 아닌 다른 정령을 데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바뀐 정령은 모두 달크와 라이너같이 족쇄를 찼다.


5.1.1. 링크 2[편집]



5.1.1.1. 작열의 화령사 히타[편집]

파일:灼熱の火霊使いヒータ.jpg파일:HiitatheFireCharmerAblaze-SAST-KR-SR-U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작열의 화령사 히타,
일어판명칭=<ruby>灼熱<rp>(</rp><rt>しゃくねつ</rt><rp>)</rp></ruby>の<ruby>火<rp>(</rp><rt>か</rt><rp>)</rp>霊<rp>(</rp><rt>れい</rt><rp>)</rp>使<rp>(</rp><rt>つか</rt><rp>)</rp></ruby>いヒータ,
영어판명칭=Hiita the Fire Charmer\, Ablaze,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화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히타의 링크 버전. 최초의 빙의장착 링크 몬스터이다.

령사 링크 몬스터 중 가장 소환도 쉽고, 효과를 이용하기도 쉽다. 소재 두 장 중 일반 소환한 몬스터 1장으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만 소환해도 소재의 최소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 ①의 효과의 경우, 범용성 높은 걸출한 몬스터인 하루 우라라가 있어 효과 발동 기회는 많다. 다만 하필 그 우라라 본인은 수비력이 1800이라 ② 효과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이 단점. 화염 속성 덱인 샐러맨그레이트는 몬스터를 빼앗기 완벽한 상대인데, 샐러맨그레이트 역시 이 카드를 소환하기 쉬워 서로 몬스터를 빼앗는 풍경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수출판은 국내판의 헐렁한 상의와 달리 옷이 몸에 딱 붙으며 미묘하게 치마가 길어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SAST-KR056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SAST-JP056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SAST-EN056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10OP10-EN010슈퍼 레어미국


5.1.1.2. 창취의 풍령사 윈[편집]

파일:蒼翠の風霊使いウ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창취의 풍령사 윈,
일어판명칭=<ruby>蒼<rp>(</rp><rt>そう</rt><rp>)</rp></ruby><ruby>翠<rp>(</rp><rt>すい</rt><rp>)</rp></ruby>の<ruby>風<rp>(</rp><rt>ふう</rt><rp>)</rp></ruby><ruby>霊<rp>(</rp><rt>れい</rt><rp>)</rp></ruby><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ウィン,
영어판명칭=Wynn the Wind Charmer\, Verdant,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바람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윈의 링크 버전.

바람 속성 몬스터는 클락 와이반, 데브리 드래곤, 환상수기 토큰, SR 베이고맥스, 조급한 토마, 준족의 카바 바리키테리움 등 특수 소환이 쉽거나 다른 몬스터를 늘려주는 효과를 가진 카드가 많아 소환 자체는 쉽다.

다만 바람 속성 위주의 덱 자체가 많이 안 쓰여서 이 카드를 소환할 만한 덱도 적은 데다, 소환해도 묘지에서 빼앗을 몬스터가 별로 없는 게 아쉽다. SR 베이고맥스는 채용률이 높지만 제한 카드라 자주 보기 어렵다. 굳이 찾자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플뢰르 드 바로네스 정도.

창취(蒼翠)는 '(나무나 풀 따위가) 싱싱하게 푸름'을 뜻한다. 어깨 위의 사역마는 꼬마용의 팔레트 스왑인 페어리 드래곤과 같은 색조합이다.

여담으로 발매 당시 이 카드의 20th 시크릿 레어가 공정 오류로 프리즈매틱 시크릿 레어와 비슷한 형태로 나왔는데, 상당한 고가로 거래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라이징 램페이지RIRA-KR046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RISING RAMPAGERIRA-JP046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Rising RampageRIRA-EN046레어
스타라이트 레어
미국미국 최초 수록


5.1.1.3. 최외의 지령사 아우스[편집]

파일:崔嵬の地霊使いアウ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최외의 지령사 아우스,
일어판명칭=<ruby>崔<rp>(</rp><rt>さい</rt><rp>)</rp></ruby><ruby>嵬<rp>(</rp><rt>かい</rt><rp>)</rp></ruby>の<ruby>地<rp>(</rp><rt>ち</rt><rp>)</rp></ruby><ruby>霊<rp>(</rp><rt>れい</rt><rp>)</rp></ruby><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アウス,
영어판명칭=Aussa the Earth Charmer\, Immovable,
속성=땅,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땅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아우스의 링크 버전.

땅 속성은 특출나게 눈에 띄는 테마도 은근 많고 그만큼 범용성이 뛰어난 몬스터가 많아 소환할 수 있는 덱은 많다.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크샤트리라 펜리르는 어느 덱이든 쓸 수 있는 강력한 몬스터이며, 소환도 쉬워 링크 소재 용도로나 빼앗아 올 카드로도 적합하다. 일반 몬스터나 토큰을 쓰는 덱은 링크 스파이더를 채용하므로 엑스트라 덱에 여유가 있다면 투입해볼 여지가 있다.

소생할 상대 몬스터론 역시 대부분의 덱이 채용하는 증식의 G가 가장 좋은 타겟일 것이다. 판크라톱스를 쓰는 덱이 상대라면 빼앗아 어태커 겸 제거 요원으로 쓸 수도 있다. 또한 두 몬스터 다 수비력 1500 이하로, ②의 효과로 파괴됐을 때 해당 몬스터들을 서치할 수도 있다. 이시즈 파츠를 쓴다면 고위병 아기도 또한 대상이 된다.

희생양을 통한 4링크 전개시에 아래로 링크 마커를 열어주는 용도로 미세스 레디언트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는데, 비슷한 용도로 이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세스 레디언트가 타점이 좀 더 높긴 하지만, 아우스는 소재 제약이 널널해 전개 루트의 다양성을 늘릴 수 있고 증식의 G 등의 몬스터를 빼앗아 링크 소재를 늘리기도 쉬우며, 파괴됐을 때의 보험 효과도 비교적 강력하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선 새틀라이트 숍 점장 고부 린타로가 유사 아게하와의 듀얼에서 사용. 고블린드버그떼쟁이 고블린을 링크 소재로 링크 소환됐으나, 아게하가 발동한 절연의 함정 속으로의 효과로 등장 한 컷 만에 파괴되었다. 그 후 ②의 효과로 증식의 G를 서치했다.

최외(崔嵬)는 '산이 높고 험함'을 뜻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이그니션 어썰트IGAS-KR048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IGNITION ASSAULTIGAS-JP048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Ignition AssaultIGAS-EN048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5.1.1.4. 청렬의 수령사 에리아[편집]

파일:清冽の水霊使いエリ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청렬의 수령사 에리아,
일어판명칭=<ruby>清<rp>(</rp><rt>せい</rt><rp>)</rp></ruby><ruby>冽<rp>(</rp><rt>れつ</rt><rp>)</rp></ruby>の<ruby>水<rp>(</rp><rt>すい</rt><rp>)</rp></ruby><ruby>霊<rp>(</rp><rt>れい</rt><rp>)</rp></ruby><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エリア,
영어판명칭=Eria the Water Charmer\, Gentle,
속성=물,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에리아의 링크 버전.

물 속성은 범용성 높은 용병 카드가 거의 없어서 보통 물 속성 특화 덱에서나 소환할 수 있다. 그나마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이용하여 소환하거나, 상대 묘지의 하리파이버를 빼앗는 데 써먹을 수 있지만, 금지 카드가 된 이후로는 전부 옛날 이야기이다. 소환하기 쉬운 덱도, 저격하기 좋은 카드도 마땅치 않아 링크 령사 중에서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몬스터. 그나마 최근에는 스프라이트의 풍류 개구리나 티아라멘츠의 레이노하트, 루루칼로스 등을 소생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투입되기도 하였다.

청렬(清冽)은 '물이 맑고 차다'란 뜻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이터니티 코드ETCO-KR055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ETERNITY CODEETCO-JP055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Eternity CodeETCO-EN055슈퍼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미국미국 최초 수록


5.1.1.5. 조요의 광령사 라이너[편집]

파일:照耀の光霊使いライ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조요의 광령사 라이너,
일어판명칭=<ruby>照<rp>(</rp><rt>しょう</rt><rp>)</rp></ruby><ruby>耀<rp>(</rp><rt>よう</rt><rp>)</rp></ruby>の<ruby>光<rp>(</rp><rt>こう</rt><rp>)</rp></ruby><ruby>霊<rp>(</rp><rt>れい</rt><rp>)</rp></ruby><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ライナ,
영어판명칭=Lyna the Light Charmer\, Lustrous,
속성=빛,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빛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인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라이너의 링크 버전. 라이너, 달크는 원조 4인방에 비해 출시도 늦고, 지원 또한 늦게 나오는데, 링크 역시 4령사의 링크 버전 중 청렬의 수령사 에리아가 마지막으로 등장한지 1년 뒤에 등장했다. 빙의장착의 경우 달크가 라이너보다 먼저 나왔는데, 이번에는 라이너가 먼저 나왔다.

다른 링크 버전 령사들과 효과는 같지만, 단짝인 달크와 마찬가지로 소환 소재나 지정 대상이 범용성 높은 빛 속성인지라 체감상 활용도가 타 령사들에 비해 더 높은 편이다.

①의 기동 효과를 통해 유용한 패 트랩 몬스터인 이펙트 뵐러유령토끼 등을 빼앗아올 수 있는 덕분에 활용 기회는 많다. 소생시킨 몬스터를 소재로 삼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유용하지만, 범용성 높은 카드로 한정해도 어태커로도 쓸 수 있는 원시생명체 니비루아티팩트-롱기누스 등을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조요(照耀)는 '비추어 빛나는 것'을 뜻한다.

일러스트상의 특징으로는, 다른 링크 령사들과 다르게 여전히 사역마가 아닌 라이너 자신이 족쇄를 차고 있다는 점이 있다. 이게 대체 어떤 떡밥인지에 대해서는 스토리나 설정이 밝혀진 바가 없으므로 추측할 수가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LIGHTNING OVERDRIVELIOV-JP049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OV-KR049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5.1.1.6. 암영의 암령사 달크[편집]

파일:暗影の闇霊使いダル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암영의 암령사 달크,
일어판명칭=<ruby>暗<rp>(</rp><rt>あん</rt><rp>)</rp></ruby><ruby>影<rp>(</rp><rt>えい</rt><rp>)</rp></ruby>の<ruby>闇<rp>(</rp><rt>やみ</rt><rp>)</rp></ruby><ruby>霊<rp>(</rp><rt>れい</rt><rp>)</rp></ruby><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ダルク,
영어판명칭=Dharc the Dark Charmer\, Gloomy,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link1=, link3=,
소재=어둠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빙의장착"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묘지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비력 1500 이하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달크의 링크 버전. 이걸로 3년만에 모든 령사들의 링크 버전이 모이게 되었다.

다른 링크 버전 령사들과 효과는 같지만, 단짝인 라이너와 마찬가지로 소환 소재나 지정 대상이 범용성 높은 어둠 속성인지라 체감상 활용도가 다른 령사들보다 더 높은 편이다.

발매 시기에는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가 용병으로 흔히 사용되었기에, 효과를 사용하여 묘지로 간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를 빼앗아 소생을 방해하는 것이 주된 사용법이었다.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를 빼앗기 어려워도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는 물론 묘지로 간 융합 소재들도 빼앗아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은 거의 없다. 이후로도 빙검룡 미라제이드를 비롯한 강력한 어둠 속성 몬스터들이 티어권에서 꾸준히 사용되고 있어, 소환 가능한 덱도 효과를 발동할 기회도 많은 이 카드는 상대 묘지 견제 + 신성마황후 셀레네를 거친 액세스코드 토커 소환용으로 자주 채용되고 있다. 사실상 링크 령사 6인방 중 가장 유능한 카드인 셈.

암영(暗影)은 "어둠의 그림자"를 뜻한다.

일러스트상의 특징으로는 여전히 오른팔을 드러내고 있지 않으며, 라이너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직접 족쇄를 차고 있다. 덤으로 어둡게 느껴지는 표정과 생기없는 눈, 다른 령사들에 비해서 피폐한 듯이 느껴지는 것도 큰 특징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BATTLE OF CHAOSBACH-JP049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배틀 오브 카오스BACH-KR049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6. 서포트 효과 몬스터[편집]



6.1. 레벨 5[편집]


"빙의각성" 몬스터. 비공식 카드군.

6.1.1. 빙의각성-가기고바이트[편집]


파일:憑依覚醒-ガギゴバイ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각성-가기고바이트,
일어판명칭=<ruby>憑依覚醒<rp>(</rp><rt>ひょういかくせい</rt><rp>)</rp></ruby>-ガギゴバイト,
영어판명칭=Awakening of the Possessed – Gagigobyte,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과 레벨 4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무작위로 1장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서로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수령술" 카드 또는 "빙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다른 사역마들과 마찬가지로 등장한 사역마판의 가가기고. 능력치는 물론이고 1번과 3번 효과도 공통적으로 갖고 있으나 적정선에서 효과가 조절된 다른 사역마들과 달리 2번 효과가 너무 많이 바뀌어서 수령술과 비슷한 운용은 힘들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PHANTOM RAGEPHRA-JP020일본세계 최초 수록


6.1.2. 빙의각성-데몬 리퍼[편집]


파일:憑依覚醒-デーモン・リーパ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각성-데몬 리퍼,
일어판명칭=<ruby>憑依覚醒<rp>(</rp><rt>ひょういかくせい</rt><rp>)</rp></ruby>-デーモン・リーパー,
영어판명칭=Awakening of the Possessed - Nefariouser Archfiend,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과 레벨 4 이하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골라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지령술" 카드 또는 "빙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빙의각성 몬스터의 에이스. 마법사족 몬스터와 데몬 이터로 쉽게 바꿔먹을 수 있고, 자체 특수 소환하면 효과로 아드 손실이 없다. 효과 발동이 성공했다면 보통 링크 2 몬스터로 바꿔먹은 다음 빙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한다.

60장 땅 속성 굿 스터프에서도 아다마시아 애널라이저와 함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뽑는 데에 사용한다. 즉 핸드 데스 빌드의 주요 파츠라는 것이다. 소재로 할 마법사족 몬스터는 보통 최외의 지령사 아우스를 사용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SD39-KR005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SD39-JP005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SDCH-EN005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6.1.3. 빙의각성-대이나리불[편집]


파일:憑依覚醒-大稲荷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각성-대이나리불,
일어판명칭=<ruby>憑依覚醒<rp>(</rp><rt>ひょういかくせい</rt><rp>)</rp></ruby>-<ruby>大<rp>(</rp><rt>おお</rt><rp>)</rp></ruby><ruby>稲荷火<rp>(</rp><rt>いなりび</rt><rp>)</rp></ruby>,
영어판명칭=Awakening of the Possessed - Greater Inari Fire,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과 레벨 4 이하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화령술" 카드 또는 "빙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이나리불의 성장 버전. 화령술-「홍」에서 따온 번 데미지 효과가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SD39-KR006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SD39-JP006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SDCH-EN006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6.1.4. 빙의각성-라센류[편집]


파일:憑依覚醒-ラセンリュウ.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각성-라센류,
일어판명칭=<ruby>憑依覚醒<rp>(</rp><rt>ひょういかくせい</rt><rp>)</rp></ruby>-ラセンリュウ,
영어판명칭=Awakening of the Possessed - Rasenryu,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바람,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과 레벨 4 이하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풍령술" 카드 또는 "빙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란류처럼 이름이 일본식 한자 발음의 가타카나 표기인데, 나선형인 뿔의 형태랑 몸을 배배 꼰 걸 고려하면 나선룡(螺旋龍)이란 뜻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팬텀 레이지PHRA-KR021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PHANTOM RAGEPHRA-JP021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DLCS-EN144시크릿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Phantom RagePHRA-EN021노멀미국


7. 빙의[편집]


빙의 / 憑依(ひょうい / Possessed
"빙의" 마법/함정 카드군.

'정령술의 마스터'로 서치가 가능하며, '빙의연계', '빙의각성' 몬스터 등의 서포트를 받는다.


7.1. 마법 카드[편집]



7.1.1. 지속 마법[편집]



7.1.1.1. 빙의각성[편집]

파일:card1001383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각성,
일어판명칭=<ruby>憑依覚醒<rp>(</rp><rt>ひょういかくせい</rt><rp>)</rp></ruby>,
영어판명칭=Awakening of the Possessed,
마법=, 지속=,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속성의 종류 × 3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령사" 몬스터 또는 "빙의장착"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효과3=③: 자신 필드에 원래 공격력이 1850인 마법사족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

①의 효과는 필드 몬스터의 속성 종류에 따라 공격력이 오르는 단순한 효과이다. 필드 위 몬스터 속성의 종류이기 때문에, 이론상의 최대 공격력 상승은 엑스트라 링크(몬스터 존 7칸) 상태에서 신(神) 속성을 포함해 2100(300×7)이므로, 령사가 아니라도 다속성 덱이라면 채용해 볼 만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수치는 300~600 정도일 것이다.

②는 령사들을 효과 파괴로부터 보호해 주며, 빙의 해방과 연계하면 령사들은 전투/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든든한 방벽이 된다. 단 파괴 이외의 제거 방법에는 무력.

③은 원래 공격력이 1850인 마법사족 몬스터가 소환되었을 시 1장을 드로우하는 효과. 부족한 어드밴티지를 보충해 주는 소중한 효과로, 턴 제한이 붙어있고 강제 효과지만 꼭 필요했던 효과이다.

③의 대상이 되는 몬스터 모음


일러스트는 사령사가 빙의장착으로 각성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사역마만 모여있는 빙의 해방의 일러스트와 대비된다. 덤으로 이 일러스트는 후지와라 아키나가 아닌 링크 버젼 령사를 그린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렸다.

특이하게 다른 빙의 마함과 달리 이 카드만 이름에 띄어쓰기가 안 되어있다. 일판 원본은 전부 붙여쓰기인데, 먼저 출시된 빙의 해방에는 띄어쓰기를 해놓고선 이쪽은 띄어쓰기를 안 하고 후에 출시된 빙의 연계에는 또 띄어쓰기를 해놔 번역에 일관성이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점프 페스타 2019 프로모션 팩JF19-JP004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022노멀 패러렐 레어일본


7.2. 함정 카드[편집]



7.2.1. 일반 함정[편집]



7.2.1.1. 빙의 연계[편집]

파일:憑依連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 연계,
일어판명칭=<ruby>憑依連携<rp>(</rp><rt>ひょういれんけい</rt><rp>)</rp></ruby>,
영어판명칭=Possessed Partnerships,
함정=, 일반=,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앞면 공격 표시 또는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속성이 2종류 이상일 경우\, 추가로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의 묘지의 "빙의" 지속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둔다.,
)]

대령술-일륜과 함께 령사 덱에서 유이하게 상대를 직접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카드, 다만 자체적인 성능은 비슷한 컨셉의 함정 카드인 령수의 연계에 비하면 굉장히 뒤떨어지는 효과다.[11] 다만 속공 마법인 정령술의 마스터로 인해 서치 자체는 쉽고, 이거라도 없으면 상대 견제가 안 되는 령사 덱의 특성상(...) 울며 겨자 먹기로 써야만 하는 카드이다. 그래도 ②번 효과는 나름 쓸만하기도 하고.

참고로 저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에는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도 포함된다. 이외 자세한 항목은 하단의 대령술-「일륜」의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 일람 참조.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031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7.2.2. 지속 함정[편집]



7.2.2.1. 빙의 해방[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4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빙의 해방,
일어판명칭=<ruby>憑依解放<rp>(</rp><rt>ひょういかいほう</rt><rp>)</rp></ruby>,
영어판명칭=Unpossessed,
함정=, 지속=,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령사"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의 "빙의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시에만 8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이미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1장과는 원래의 속성이 다른 수비력 1500 인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앞면 공격 표시 또는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령사 & 빙의장착 서포트 카드.

①의 효과는 리버스 효과 몬스터인 령사 몬스터들이 공격받아도 안전하게 효과를 발휘하게 해 주며, 이후로도 낮은 스탯 때문에 맞아 죽는 걸 방지해 준다. 각 령사 몬스터는 리버스한 후에도 필드에 유지하지 않으면 컨트롤 탈취를 적용할 수 없어서, 전투에 의해 리버스했을 때의 효과 적용을 보조할 수 있다. DNA 이식 수술과 같이 쓰면 어떤 령사를 쓰든 그 자리에서 원하는 몬스터의 컨트롤을 뺏을 수 있다. 또한 능력치가 낮은 령사를 전투 파괴시켜 컨트롤을 되찾아오는 것도 막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관통 어태커들인 빙의장착 몬스터들의 공격력을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 시에만 800 올리는 효과. 최소 2650까지 끌어올려 주지만, 자신이 공격할 때만, 그것도 몬스터를 상대로만 해당되며 더 이상 '령사'는 아니라 전투 파괴 내성도 못 받기에 미묘하다. 따라서 "령사" 링크 몬스터는 '령사'와 '빙의장착' 모두 취급하기 때문에 ①, ②의 효과를 모두 받을 수 있어 궁합이 좋다.

이 카드의 진가는 ③의 효과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어떻게든 파괴될 경우 바로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덱에서 소환해 준다.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엔 모든 령사 / 빙의장착 / 성장형들이 포함되며, 뒷면 수비 표시로 소환도 가능하니 령사들의 리버스 효과를 쓰기 편해진다. 다만 령사 중엔 자체적으로 자신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는 없기에, 능동적으로 쓰려면 제너레이션 체인지데몬 이터 같은 다른 카드들을 사용해 서포트해야 할 것이다. 파괴할 몬스터는 마법사족과 관련되고 파괴되면 효과가 발동하는 지고바이트이나리불이 적합하다.

주의할 건 파괴된 몬스터와 다른 속성의 몬스터를 소환해야 한다는 것. 아마 묘지기 등 다른 덱에서 쓰이는 걸 막기 위한 제약으로 보인다. 그 이외의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엔 딱히 눈여겨볼 몬스터는 없다. 그나마 주사천사 리리D·D·M 정도. 뒷면 수비로 특수 소환할 수 있어서 현무의 소환사도 같이 써볼만한 범위에 들어간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파괴된 직후에 이 카드를 발동해도 ③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③의 효과를 발동하려면 '이 카드가 이미 마법 & 함정 존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파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카드 하나로 령사가 주축이 되는 덱들의 숨통이 트였다. ①의 효과로 적 몬스터를 효과적으로 탈취한 뒤 각종 소재로 써서 없애버리거나, ③의 효과로 카드를 전개해 다른 특수 소환을 할 수 있게 됐다.

한글판 텍스트에선 령사를 령수오타를 냈다. 이후 정령술의 마스터에서 재록되며 수정됐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E-KR076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SD39-KR032노멀 패러렐 레어한국
THE SECRET OF EVOLUTIONSECE-JP076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SD39-JP032노멀 패러렐 레어일본
Secrets of EternitySECE-EN076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Astral Pack EightAP08-EN027노멀미국
OTS Tournament Pack 14OP14-EN012슈퍼 레어미국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SDCH-EN029노멀미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서포트 마법/함정 카드[편집]


"령술" 카드. 비공식 카드군.

"빙의각성" 몬스터에 의해 화령술, 수령술, 풍령술, 지령술 카드군만이 각각 지정되어 있다.


8.1. 마법 카드[편집]



8.1.1. 속공 마법[편집]



8.1.1.1. 정령술의 마스터[편집]

파일:精霊術の使い手.jpg파일:SpiritCharmers-SDCH-EN-UR-1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정령술의 마스터,
일어판명칭=<ruby>精霊術<rp>(</rp><rt>せいれいじゅつ</rt><rp>)</rp></ruby>の<ruby>使<rp>(</rp><rt>つか</rt><rp>)</rp></ruby>い<ruby>手<rp>(</rp><rt>て</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 Charmer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령사" 몬스터\, "빙의장착" 몬스터\, "빙의" 마법 / 함정 카드 중\, 2장을 고른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그 중 1장을 패에 넣고\, 다른 1장은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정령술의 최고를 노리는 네명의 소녀들의 모습이 디자인된 프로텍터.

동료들과 함께 걸어간, 쌓아 올린 날들을 소중히 하는 당신에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 프로텍터 플레이버 텍스트

괜찮은 서치 카드. 2 대 2 교환이긴 해도 패에 못 잡은 령사 파츠를 서치해 빌드를 지을 수 있다. 문제는 패 코스트는 언제나 부담되는 데다가 우라라를 맞을 위험도 있고 카드명 제약까지 걸려있어서 한번 막히면 그 턴엔 다시 못 쓴다. 그나마 속공 마법이라 상대 턴에도 쓸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은 있다.[12]

최초로 수록된 스트럭처 덱과 같은 이름의 카드. 한글판에서는 용염검 마스터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의 전례에 따라 '使い手'를 '마스터'로 번역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精霊術の使い手SD39-JPP05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8.1.2. 필드 마법[편집]



8.1.2.1. 대령술-「일륜」[편집]

파일:大霊術-「一輪」.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대령술-「일륜」,
일어판명칭=<ruby>大霊術<rp>(</rp><rt>だいれいじゅつ</rt><rp>)</rp></ruby>-「<ruby>一輪<rp>(</rp><rt>いちりん</rt><rp>)</rp></ruby>」,
영어판명칭=Grand Spiritual Art - Ichirin,
마법=, 필드=,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가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그 몬스터와 같은 속성이고 공격력 1500 / 수비력 200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고\, 보여준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①의 효과는 상대가 발동한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는 효과. 마술사의 왼손/오른손의 효과를 몬스터 효과 퍼미션으로 바꾼 버전이다. 다만 발동 조건은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로 더 엄격한데, 이는 "령사", "빙의장착" 몬스터들의 수비력에 맞춘 것. 그렇다고 해도 진짜로 "령사"나 "빙의장착"을 지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일단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이 있기만 하면 발동할 수 있다.

다만 이 ①의 효과는 발동하는 효과가 아닌, 조건이 충족되면 반드시 적용되는 강제 효과이기 때문에 원하는 타이밍에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기란 어려움이 따른다. 아예 대놓고 상대 쪽에서 엉뚱한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시켜 ①의 효과를 쓰게 만들면 말짱 도루묵. 그나마 이 효과를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필드에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없는 상태에서, 상대 몬스터의 효과(체인 1)에 체인해 특수 소환계 함정(체인 2) 등으로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소환시키는 수밖에 없다. 이렇게 하면 체인 2의 효과 처리가 끝나고 체인 1의 효과 처리가 들어갈 시점에서 대령술의 ①의 효과 트리거가 충족되어 체인 1의 효과가 무효화된다. 이하는 해당 효과가 적용되는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 일람

< 수비력 1500의 마법사족 몬스터 일람 >
일반 몬스터* 레벨 3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 레벨 5
세이렌
효과 몬스터* 레벨 2
얼터가이스트 실키타스
* 레벨 3
묘지기의 신직, 묘지기의 소환사, 묘지기의 무녀, 위치크래프트 피또레, 주사천사 리리
* 레벨 4
"빙의장착" 몬스터, 난폭한 아우스,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드래그마의 철퇴 테오, 순백의 성녀 에클레시아, 마법의 어릿광대, 묘지기의 사령관, 묘지기의 암살자, 묘지기의 영술사, 묘지기의 이단자, 솟구치는 에리아, 타오르는 히타, 태양의 마술사 에다, 토이 매지션, 휘몰아치는 윈
* 레벨 5
"령매사" 몬스터, D·D·M, 사역의 신관-아스카톨
* 레벨 6
묘지기의 기도사
* 레벨 7
얼루어 퀸 LV7
* 레벨 8
핫샤신 드래그마
* 레벨 10
묘지기의 심신자
리버스 몬스터* 레벨 2
견습 마적사
* 레벨 3
"령사" 몬스터, 현무의 소환사
* 레벨 4
화염의 마녀
튜너 몬스터* 레벨 1
파란 눈의 현사
* 레벨 3
상애의 언브레캄
* 레벨 4
WW-글라스 벨, 마기스토스 플레임 조로아
융합 몬스터* 레벨 5
음악의 제왕
엑시즈 몬스터* 랭크 4
알케믹 매지션
* 랭크 5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
펜듈럼 몬스터* 레벨 3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
* 레벨 4
레벨마제스펙터 크로우, 매직비스트 메두사, 상생의 마술사, 혜안의 마술사

②의 효과는 패의 마법사족 몬스터와 덱에서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교체하는 효과. 이하는 해당 효과로 서치할 수 있는 몬스터 일람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精霊術の使い手SD39-JP021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8.2. 함정 카드[편집]



8.2.1. 일반 함정[편집]



8.2.1.1. 지령술-「철」[편집]

파일:地霊術-「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지령술-「철」,
일어판명칭=<ruby>地霊術<rp>(</rp><rt>ちれいじゅつ</rt><rp>)</rp></ruby>-「<ruby>鉄<rp>(</rp><rt>くろがね</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ual Earth Art - Kurogane,
함정=, 일반=,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몬스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땅 속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

지령사 아우스가 그려진 일반 함정. 땅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묘지의 하급 땅 속성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릴리스가 필요하며, 소생 가능한 몬스터의 폭도 좁아 사실상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등의 소생 함정 카드의 하위호환이다. 몬스터를 릴리스한다는 점 등 차별화할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정말 특수한 덱이 아니고서야 굳이 사용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다만 리빙 데드 등 다른 소생 함정 카드와는 달리 자기가 덱에서 튀어나올 수 있는 빙의각성-데몬 리퍼의 효과로 서치가 가능하단 점을 살려서 별별 예능콤보를 확정으로 성공시키는 등의 짓거리는 가능하다.

카드명의 '철'은 '鉄(쇠 철)'을 나타내며, 일어판과 영어판에서는 '쿠로가네'로 읽는다.


8.2.1.2. 수령술-「규」[편집]

파일:水霊術-「葵」.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수령술-「규」,
일어판명칭=<ruby>水霊術<rp>(</rp><rt>すいれいじゅつ</rt><rp>)</rp></ruby>-「<ruby>葵<rp>(</rp><rt>あおい</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ual Water Art - Aoi,
함정=, 일반=,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확인하여\, 그 중에서 카드를 1장 골라 묘지로 보낸다.,
)]

수령사 에리아가 그려진 일반 함정. 필드의 물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패 공개+핸드 데스 효과를 가졌다.

무정한 말살과 비슷한 패 털이 카드. 핸드 데스 능력 하나는 최강으로, 패를 확인하고 그중 하나를 묘지에 보낸다. 버리는 것이 아닌 묘지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가 암흑계 덱이라고 해도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사용 가능한 패 털이 카드 중 랜덤이 아니라 패를 다 보고 선택해서 털어버리는 카드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매우 강력. 마인드 크러시로 추가타도 가능하고, 효과만 따지자면 압수급이다. 피시보그 거너, 풍류 깨구리, 황천 개구리, 초고심해왕 실러캔스 등으로 어떻게든 코스트를 조달해 보자.

스프라이트 엘프 금지 전의 리추어 스프라이트 덱에선 종종 사이드에 채용하기도 했다. 보통은 홍연의 지명자에게 밀리지만 리추어는 전개 뒤 필요 없는 물 속성 몬스터가 남는 경우도 있고, 둘 다 삼전의 호의 서치 범위에 들기에 충분히 고려 가능했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에서 먼저 복각된 풍령술-「아」처럼 에라타되어 8기부터 적용되는 대상을 지정하는 '선택하고'와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고르고'라는 표현이 적용되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7에서는 함정 카드 주제에 챌린지 듀얼의 듀얼리스트로 등장한다. 하지만 수령술 자체는 몬스터 카드가 아니다 보니 실제 대전은 그냥 에리아가 나와서 한다. 참고로 수령사 에리아가 프리 듀얼 모드에서, 빙의장착-에리아가 다른 챌린지 듀얼에서 또 나오기 때문에 이 게임에선 에리아가 세 번이나 등장한다.

카드명의 '규(葵)'는 일본어로 '아오이(あおい)'라고 읽으며, '푸른(青い)'를 뜻하는 아오이(あおい)와 발음이 같다. 또한 '아욱', '해바라기'라는 뜻도 있는데, 에리아의 지팡이에 감겨 있는 식물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에리아의 밝은 성격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8.2.1.3. 화령술-「홍」[편집]

파일:火霊術-「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화령술-「홍」,
일어판명칭=<ruby>火霊術<rp>(</rp><rt>かれいじゅつ</rt><rp>)</rp></ruby>-「<ruby>紅<rp>(</rp><rt>くれない</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ual Fire Art - Kurenai,
함정=, 일반=,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화령사 히타가 그려진 일반 함정. 화염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졌다.

령술 중 가장 화끈한 성능의 카드. 상대의 필드에 용암 마신 라바 골렘을 소환시켜 주고, 컨트롤을 뺏어 온 다음 라바 골렘을 소환하느라 필드에 몬스터가 사라진 적에게 직접 공격을 먹인 후 메인 페이즈 2나 배틀 페이즈 중에 이 카드를 사용한다...는 어찌 보면 악랄한 테마의 참신한 덱이 등장해 입상한 기록이 있다.

그 당시 강력했던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을 주로 하는 덱들에게 특히 강했는데, 빛과 어둠의 용을 라바 골렘의 먹잇감으로 삼아버리면 빛과 어둠의 용의 어느 쪽 효과도 발동하지 않으므로. 세뇌가 금지를 먹었지만 세뇌 해제가 있으므로 비슷한 형식의 덱은 지금도 만들 수 있다. 세뇌 해제로 만든 덱도 입상한 적이 있다는 듯.

그 밖에 인페르노이드 같은 화염 속성 고타점 덱들이 피니시 용도로 써먹을 여지도 있다. 그 외에도 볼캐닉의 피니시로 활용하기도.

카드명의 '홍'은 '붉을 홍(紅)'을 나타내며, 일어판과 영어판에서는 '쿠레나이'로 읽는다.

8.2.1.4. 풍령술-「아」[편집]

파일:風霊術-「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풍령술-「아」,
일어판명칭=<ruby>風霊術<rp>(</rp><rt>ふうれいじゅつ</rt><rp>)</rp></ruby>-「<ruby>雅<rp>(</rp><rt>みやび</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ual Wind Art - Miyabi,
함정=, 일반=,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카드를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

풍령사 윈이 그려진 일반 함정. 바람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 지정 덱 바운스 하는 효과를 가졌다.

환상수기 카드군이 나오고 빛을 보기 시작했다. 이 카드군이 뱉어내는 토큰들이 죄다 바람 속성이고 어떤 짓이든 하면 툭툭 튀어나올 만큼 자주 나오는데, 이 카드로 토큰을 릴리스하면 사실상 노 코스트가 되어 이 카드가 강제 탈출 장치의 상위 호환이 되어버리는 것. 또한 이 카드로 레벨 조정 효과를 훨씬 잘 이용할 수 있고, 옆에 해리어드가 있을 경우엔 진짜 노 코스트 카드가 되어버린다.

SR 카드군에서도 어찌어찌 써먹을 수 있다. 저레벨 몬스터들을 쑥쑥 뱉어내고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도 몇몇 있는 스피드로이드 특성상 활용하기에 따라 강제 탈출 장치보다도 요긴하게 써먹을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와서는 듀얼의 스피드가 너무 빨라진 상황이라 쓰이는 일은 없다.

혼자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에서 복각된 적이 있어서 마스터 룰에 맞는 용어로 에라타된 카드가 있다. 다음 타자는 해황의 포효에서의 수령술-규가 되었다.

카드명의 '아'는 한자로 '雅'로 표기하며, '우아함' 정도의 뜻을 갖고 있다. 일어판과 영어판에서는 '미야비'로 읽는다.


8.2.1.5. 암령술-"욕망"[편집]

파일:attachment/령사/Example.Exampl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암령술-"욕망",
일어판명칭=<ruby>闇霊術<rp>(</rp><rt>やみれいじゅつ</rt><rp>)</rp></ruby>-「<ruby>欲<rp>(</rp><rt>よく</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Spirit Art - Greed,
함정=, 일반=,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친다. 상대는 패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보여주지 않았을 경우\, 자신은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
암령사-달크...가 아닌 욕망의 항아리가 그려진 일반 함정. 어둠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덱에서 2장을 드로우하는 효과를 가졌다.

하지만 상대가 마법 카드 1장만 공개하면 무효화되니 발동 무효화 조건이 너무 쉽다는 것이 문제. 매직 드레인이 마법 카드를 버리게 하는 것임에도 무효화 조건이 있다는 이유로 투입이 잘 안 되는 판에 이러한 조건이 붙은 것은 너무나 치명적이다. 때문에 열세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승세 굳히기에 조금 쓰일까 말까지만, 승세인 상황에서 이 카드를 쓰기엔 코스트가 아깝다. 명백히 어둠의 유혹의 하위 호환.

다른 사령술은 해당 사령사가 일러스트에 들어가 있는데 암령술만 없다. 대신 뜬금없는 욕망의 항아리나 구석에 처박혀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사실 이 카드가 암령사 달크보다 먼저 환영의 어둠에서 등장했기 때문. 다만 달크가 암령술을 사용하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달크가 암령술을 시도하다가 욕망의 항아리의 정령이 폭주하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 패닉 셔플 항목 참조. 구석에 욕망의 항아리가 짱박혀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인 모양이다.

그때문에 혼자만 카드 이름이 따로 논다. 영어판의 번역 방식도 다르고, 한글판에서도 이 카드만 뒤의 단어가 '욕망'으로 풀어서 번역되어 「」가 아닌 ""로 묶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판에서도 표기 방식은 비슷해 보여도 다른 령술은 「」 안의 한자가 훈독[13]으로 읽히는 데 비해 이 카드의 '欲'만은 음독인 요쿠(よく)로 읽힌다는 차이가 있다.

8.2.1.6. 광령술-「성」[편집]

파일:光霊術-「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광령술-「성」,
일어판명칭=<ruby>光霊術<rp>(</rp><rt>こうれいじゅつ</rt><rp>)</rp></ruby>-「<ruby>聖<rp>(</rp><rt>ひじり</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ual Light Art - Hijiri,
함정=, 일반=,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제외되어 있는 자신 또는 상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패에서 함정 카드 1장을 보여주고 이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보여주지 않았을 경우\, 대상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

광령사-라이너가 그려진 일반 함정. 빛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제외된 몬스터를 귀환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암령술의 비극이 재현되어 릴리스 코스트를 요구하면서 패 1장 공개만으로 불발된다는 취약성을 갖게 되었다. 패에 쌓아놓을 가능성이 마법 카드보다는 적은 함정 카드라 적어도 암령술보다는 양호해 보이지만, 역시 상대 패에 함정 카드가 하나라도 있다면 무효화되어 버린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여전하다.

거기다 암령술과는 달리 성공해 봤자 기본적으로는 손실이 더 커지니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나 컨트롤 탈취를 구사하는 식으로 만회해 보자. 발동 조건의 관계상 덱 구성은 빛 속성 위주로 포커스가 맞춰질 테니, 암령술과는 달리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처럼 커버 쳐줄 카드가 부족하다는 점도 뼈아프다. 다행이랄지 발동 코스트가 빛 속성이라는 점에서 성각 카드군과 상성이 좋아 해당 덱의 채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빠른 전개를 위해 함정 카드를 거의 채용하지 않는 덱도 있으니 사이드 덱에 투입해 뒀다가 함정 카드 비율이 적다 싶을 때 메인으로 투입하는 방법도 있다. 빛 속성인 The splendid VENUS라면 무효화되지 않으니 확실한 귀환이 가능하다.

복귀시킬 수 있는 몬스터 자체에는 속성 / 종족 제한이 없으며, 상대 것이든 자기 것이든 상관이 없으므로 제외되기만 하면 대체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빛 속성이 많은 천사족 덱이라면 기적의 광림이 존재하며, D·D·R 등 즉효성 있는 카드도 많아 채용할 필요성이 줄어든다. 굳이 사용할 경우라면 상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이나 완전 소생이라는 점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사전에 봉인의 황금궤 등으로 핀 포인트로 특수 소환할 몬스터를 제외시켜 두면 상당한 리턴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해놓고 이 카드의 효과 자체가 무효화되었다간 말짱 도루묵이니 피핑을 해서라도 사전 확인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물론, 이는 파괴 리스크를 빼면 D·D·R로 더 간단히 해낼 수 있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제외되어 있는 몬스터가 없으면 그대로 잉여가 되어버리니 자기 몬스터를 능동적으로 제외할 수단도 따로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카오스 덱이라면 적어도 제외 존이 빌 일은 없으리라.

그 밖에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라면 자신도 릴리스할 수 있으며, 효과로 전투하는 몬스터를 자유롭게 제외할 수 있으니 상성은 좋다. 상대 입장에서는 일시적으로 제외된 몬스터가 못 돌아오는 건 물론 컨트롤까지 빼앗겨 버리니 덤으로 엿을 먹일 수 있다. 안정성은 떨어져도 큰 폭발력을 갖춘 카드라 할 수 있다.

카드명의 '성'은 '성스러울 성(聖)'을 나타내며, 일어판과 영어판에서는 '히지리'로 읽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갤럭틱 오버로드GAOV-KR077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GALACTIC OVERLORDGAOV-JP077슈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Galactic OverlordGAOV-EN077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9. 관련 카드[편집]



9.1. 성장 버전 몬스터[편집]


4종 모두 부스터 팩 정의의 적(ENEMY OF JUSTICE)에서 등장.

일러스트레이터가 바뀌었는지 화풍이 확 달라졌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다른 유희왕 카드들의 일러스트와 흡사한 극화풍인데, 귀엽고 아기자기한 만화풍인 다른 령사 일러스트들과 괴리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그런지 남자라느니 아줌마라느니 하는 소리도 들었다. 게다가 해외판에선 스커트가 길어지거나 하는 등의 일러스트 변경까지 당했다. 이후 'The Lost Art Promotion 2021'에서 일본판 사양의 카드가 공개되었다.

위의 사령사들이 천천히 버티면서 어드밴티지를 만들어내는 스타일이라면 이쪽은 속공성을 중시한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소환효과 자체로만 보자면 필드 위의 저렙과 패의 고렙을 빨리 바꿔먹을 수 있어 쓸만하지만, 암담한 공/수로 인해 필드에서 버티기 힘든데다가 필드에서 벗어나면 기껏 소환한 몬스터들이 다 날아가기에 쓰이지 않는다.

일러스트도 성능도 워낙 난감해서 팬들에겐 그야말로 흑역사 취급. 게임에서도 '거의 전 카드 수록' 정도의 게임이 아니면 위의 빙의장착까지는 다 나와도 이쪽은 잘리는 경우가 많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2007부터 계속 빠지다가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야 겨우 수록되었다. 여기서는 전투시에 얼굴이 크게 클로즈업되어 나오는데, 카드 일러스트에서 작게 보던 것보다 훨씬 충격적이므로 각오하는 것이 좋다. 듀얼 링크스에서는 반대로 빙의장착이 이쪽보다 늦게 등장했다.

참고로 이 카드들의 효과로 특수소환했을 때 이 카드들이 이미 필드에 없는 경우, 특수소환된 몬스터는 그냥 완전히 특수소환된 상태가 되고 파괴되지 않으므로 ('이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괴한다.'가 아닌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파괴한다.'이므로 이미 필드에서 벗어난 후에 올라왔다면 상관없다.) 특수소환 효과에 체인해서 위의 사령술로 사령사들을 제물로 바치면 디메리트 없이 쓸 수 있다.

달의 서로 이 카드들을 엎어놔도 특수소환한 몬스터와의 연결관계가 사라진다. 단 아무래도 내기 쉬운 콤보는 아닌 만큼 기본적으로는 그냥 피니셔를 특소해서 최후의 일격을 먹이는 역할 정도를 노리는 게 적당하다.

텍스트가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파괴한다.'가 아니라 '○○○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파괴한다.'인지라 소환할때 쓴 카드 이외의 다른 동명 카드가 파괴되어도 특수소환된 몬스터가 날아간다.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로 발매된 령사 지원 마법 / 함정 대다수가 수비력 1500을 지정하고 있기에 성장버전 카드들도 지원카드의 혜택을 볼 수 있긴 하다.


9.1.1. 난폭한 아우스[편집]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valanchingAussa-EE04-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난폭한 아우스,
일어판명칭=荒ぶるアウス,
영어판명칭=Avalanching Auss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패에서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효과에 의해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난폭한 아우스"가 자신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파괴한다.,
)]


9.1.2. 솟구치는 에리아[편집]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agingEria-EE04-JP-C.jpg파일:RagingEria-DR04-NA-C-U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솟구치는 에리아,
일어판명칭=逆巻くエリア,
영어판명칭=Raging Eri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패에서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효과에 의해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솟구치는 에리아"가 자신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파괴한다.,
)]
물 속성에는 황천 개구리라는 우수한 제물용 몬스터가 있으므로 효과를 쓰는 것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다.

해외판에서는 미니스커트 대신 허벅지까지 덮는 치마를 입었다.


9.1.3. 타오르는 히타[편집]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lazingHiita-EE04-JP-C.jpg파일:BlazingHiita-DR04-NA-C-U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타오르는 히타,
일어판명칭=燃え盛るヒータ,
영어판명칭=Blazing Hiita,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화염,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패에서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효과에 의해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타오르는 히타"가 자신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파괴한다.,
)]
네프티스의 봉황신을 불러내면 다음 턴에 파괴되더라도 상대를 난감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화령술 - 홍이 대미지를 주는 카드인 만큼 상대를 끝장내는 능력은 넷 중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단 일러스트면에서는 팬들의 마음까지 그대로 끝장내버린 장본인으로, 그 삭은 정도가 넷 중 가장 심각하여 남자니 아줌마니 하는 영역을 뛰어넘어 악당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이 카드의 일러스트를 보고 나서 다른 셋의 일러스트를 보면 그나마 다른 애들은 잘 자랐구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

잘 보면 성장 전과 마찬가지로 사이 하이 삭스를 착용해 절대영역이 존재하며, 수정된 버전에선 아예 스타킹처럼 보인다.


9.1.4. 휘몰아치는 윈[편집]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tormingWynn-EE04-JP-C.jpg파일:StormingWynn-DR04-NA-C-U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휘몰아치는 윈,
일어판명칭=吹き荒れるウィン,
영어판명칭=Storming Wynn,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패에서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효과에 의해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휘몰아치는 윈"이 자신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파괴한다.,
)]
해외판에서는 역시 치마 길이가 수정되었다.


9.2. 토큰[편집]


파일:霊使いトークンアウス&ウィン.jpg파일:霊使いトークンヒータ&エリア.jpg
파일:霊使いトークンヒータ&アウス.jpg파일:霊使いトークンエリア&ウィン.jpg
파일:霊使いトークン四霊使い&使い魔.jpg
령사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일러스트를 가진 토큰이다. 수록된 스트럭처에서 본 5종중 1종만 수록된다. 정작 령사 관련 카드 중에는 토큰을 사용하는 카드가 없다. 아예 령사 구린거 알고 있으니 다른 덱에 같이 쓰면서 령사 기분만이라도 내라고 준 거 아니냔 말도 있다.

일러스트에 나온 사역마는 령사와 링크버전 령사가 데리는 사역마들인데, 링크버전 령사의 사역마가 원래 령사의 사역마랑 다른건 그냥 두마리 다 키워서 그런것임이 이 일러스트로 알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SD39-JPT01~04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10. 같이 쓰면 좋은 카드[편집]


빙의장착 몬스터들의 일러스트에 선등장했던 기존 사역마 몬스터들의 진화체 몬스터. 모두 "레벨 4 / 공격력 1500 / 수비력 200"이란 스탯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으며, 필드 위에 마법사족이 존재할 경우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어, 각 속성에 맞는 "령사" 몬스터와 빙의장착 사역마 몬스터를 소환해 곧바로 "빙의장착" 몬스터로 연계하는 로망을 재현할 수도 있다. 정령술의 마스터에서 새롭게 등장한 "빙의각성" 몬스터들도 이 몬스터들을 이용해 손쉽게 소환이 가능하다.

페어리테일 중에 카구야, 라치카 등을 주로 사용한다. 카구야를 일반소환하여 빙의장착 몬스터도 서치해 올 수 있고 위급하면 패로 되돌리는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에 거의 필카 취급으로 투입한다. 라치카는 취향이나 령사덱은 마법/함정카드의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1개라도 더 서치할 수 있으면 무조건 이득이기 때문에 투입을 권장하는 편이다. 마지막으로 페어리테일로 빙의장착 몬스터도 일반소환을 할 수 있어 호궁합을 보여준다.

수비력 1500의 조로아가 상당한 고성능이다. 효과가 무효화되긴 하지만 소생 효과를 갖고 있으면서, 장착한 몬스터에 따라 추가적인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 더불어 튜너이기까지 해서 싱크로 소환도 노릴 수 있다. 오메가 같은 녀석을 소환하면 제외된 빙의연계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엑덱에 아르테미스 한장 정도는 투입을 추천하는데, 드래그마의 특소 조건 충족과 속성 바꾸기 용도[14]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 그리모어 크로울리도 강력한데, 간단한 소환 조건은 물론이요 희귀하게도 속성을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 단순하게 생각해도 모든 빙의장착, 빙의각성, 링크령사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어 령사와 궁합이 뛰어나다.

데미지 저글러, 햇트리커, 트릭 크라운 3총사가 성능이 뛰어나다. 전개력이 부족한 령사 덱에 윤활유 역할을 해주며, 마기스토스와 함께 투입하면 8싱크로나 4엑시즈 소환도 쉽게 노릴 수 있다. 다르크로 서치가 가능하니[15] 광암 레시피라면 투입을 추천한다. 저글러와 크라운은 정령술 마스터의 패코스트로 사용하기에도 아주 좋다.

견제력이 좋고,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가 수비력 1500의 서포트를 공유한다. 광암이라면 무조건 투입하는걸 추천한다. 엑스트라 덱 사용률이 높아지므로 항아리와 충돌하는것이 단점.

  • 매지션즈 소울즈
패순환과 다르크 빙의장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드에 남는 빙의 마함을 치우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소환 조건에는 주로 광암으로 같이 투입하는 드래그마 몬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령사는 기본적으로 정령술 마스터의 패코스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마함[16]을 투입하면 소울즈와도 궁합이 좋다.

공격력 1850의 마법사이며, 소생 효과를 통해 4링크 몬스터를 쉽게 소환할 수 있다. 특히나 령사 링크 몬스터의 소생 효과 > 셀레네 소환 > 셀레네의 소생 효과 > 링크 4 소환은 다른 덱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국민콤보.

메타비트로 구축한다면 반드시 넣어야할 항아리 3종 세트이다. 엑트 의존도가 높지 않고 마법.함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반에 중요 파츠가 잡히느냐 안잡히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난다. 단 빙의각성과 빙의연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니 조절하면서 투입해야한다.

메타비트로 구축한다면 반드시 넣어야할 신의 3종 세트이다. 령사 관련 몬스터 효과는 현환경에 뒤떨어지는 애매한 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초반에 집지어도 금방 무너진다.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액세스코드 토커 등 범용 몬스터의 소환/효과를 견제하고 또 마법/함정 의존도가 높아 첫턴에 세트했는데 해피의 깃털, 라이트닝 스톰같은 카드에 한번에 쓸려나가면 역전하기 힘들기 때문에 신의 심판 등 무조건 투입해야한다.

역시 위에 언급한 것 처럼 령사관련 몬스터 효과는 현환경에 뒤떨어지기 때문에 위 카드들로 상대 몬스터 소환/효과를 견제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령사 덱은 효과가 막혀도 상대 플레이를 견제/방해를 하고 천천히 비트로 나가는 덱이기 때문에 상관없으며 실제 우승덱 레시피에서도 투입되고 있는 카드들이다.

사이드 덱으로 채용하면 나쁘지 않은 카드. 상대가 인페르노이드와 같이 주로 묘지에서 플레이 하는 덱이면 위 스킬드레인이나 무한포영으로는 견제가 어렵기 때문에 네크로밸리를 하나 깔아버리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만다. 또한 령사들도 마법사족이기 때문에 마법족의 마을은 호궁합을 보여주며 섬도희같은 마법카드 위주로 사용하는 덱에 카운터를 날리 수 있다.

령사는 후공으로 시작하는 경우 상대가 전개덱이면 첫턴에 집짓기를 시작하면 돌파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위 카드들을 투입하여 견제 및 후공 돌파를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운영덱을 상대하면 패에 썪힐 수 있으니 보통 사이드에 투입하는 편.

역시 사이드로 채용하면 괜찮은 카드이다. 령사 덱은 마법/함정 카드로 의존하는 덱이다 보니 상대가 사이드 덱으로 교체하면 100%로 라이트닝 스톰이나 트윈 트위스터를 꺼내든다. 스타라이트 로드를 발동하면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따라온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 함정이기 때문에 체인이 걸릴 수 있으며 특히 효과 무효계 카드에 걸리면 말짱 꽝이라서 요즘 메타엔 대혁명 반전을 투입하는 추세다. 하지만 길항승부처럼 파괴가 아닌 제외효과 카드엔 한 없이 쥐약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궁의 뇌물을 투입하는 것도 권할만 하다. 비교 카드로 대역의 암흑이 있으나 하루 우라라에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채용하지 않는다.

[1] 섀도르가 1위로 뽑혀 12월에 리버스 오브 섀도르를 받았고, 2위에 오른 삼환마도 2020년 3월에 혼돈의 삼환마 스트럭처 덱을 받는다.[2] 에클레시아를 서치할 수 있을 뿐더러 빙의해방으로 덱 특소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용병이다.[3] 지속 마법과 함정의 의존도가 높은 마법사족 테마란 점에서 가장 큰 예시인 블랙 매지션 덱의 경우 자신의 마법/함정에 대상 내성,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 있지만, 령사의 경우 그러한 효과가 전무하다.[4] 그래도 카드명에 령사, 빙의장착이 들어가고 공격력 1850에 수비력은 1500의 마법사족이기 때문에 마법, 합정지원들은 사용할 수 있긴하다.[5] 다이 그레퍼는 가가기고의 라이벌 프리드가 나이먹고 부대장이 되었을 때의 부하다. 기고바이트 시절의 가가기고와는 같이 존재할 수가 없는 인물.[6] 다만 눈에 가스타의 특징인 표창 모양이 안 보이며 동그랗다.[7] 하지만 마스터가이드 2 등에서는 원래부터 듀얼 월드에 있었다고 설명되어있으며, 다른 가스타하고는 달리 드래곤족 몬스터를 파트너로 데리고 있는 등 의문점이 많다. 터미널 월드는 가상 세계라는 듯한 묘사가 있으나, 이것이 관계되어 있는지는 불명.[8] 이게 영향이 된건지 간간히 에리얼과도 엮이는게 보인다, 대부분이 네크로즈로 환생한 버전이다, 리추어는 안 보이는 수준.[9] 이러한 서치 범위 제한으로 인해 레스큐 에이스가 애꿏게 피해를 보게 됐는데, 몬스터 서치와 운영의 핵심 역할인 하이드런트의 공격력이 0이라 서치가 불가능하기 때문.[10] 참고로 이후에 마찬가지로 후지와라 아키나가 디자인한 폭풍 소승작화 퀄리티 상태와는 별개로 원본 그림체를 재현한 작화로 등장한다.[11] 제외나 바운스도 아닌 파괴 1장, 거기다 앞면 표시만 파괴가 가능해서 몬스터 외에는 능동적으로 견제가 불가능하다. 거기다 파괴 내성은 각 티어 덱의 에이스들 정도면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시대이다.[12] 별거 아닌 거 같아도 은근 도움이 된다. 필드에 빙의 연계가 덮여있을 때 패나 묘지에 령사가 없으면 애로 사항이 꽃피지만 이걸로 령사나 빙의장착 하나만 끌어 와도 빙의 연계를 써먹을 수 있다.[13] 지-수-화-풍-광의 순서대로 쿠로가네(くろがね), 아오이(あおい), 쿠레나이(くれない), 미야비(みやび), 히지리(ひじり).[14] 라이너의 빙의장착이나 조요의 라이너소환을 노리는 등.[15] 햇트리커는 안되지만 저글러로 서치하면 그만이다.[16] 빙의연계나 메탈포제 퓨전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7:22:31에 나무위키 령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