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강서공업고등학교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경기상업고등학교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대동세무고등학교대일관광고등학교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서울동구고등학교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상일미디어고등학교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서울금융고등학교서울동산고등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서울매그넷고등학교서울문화고등학교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서울아이티고등학교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선린인터넷고등학교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성동공업고등학교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세명컴퓨터고등학교송곡관광고등학교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용산철도고등학교유한공업고등학교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예일디자인고등학교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한양공업고등학교휘경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경성전자고등학교계성여자고등학교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대양고등학교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동아공업고등학교동의공업고등학교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부산관광고등학교부산디지털고등학교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부산보건고등학교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부산정보고등학교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서부산공업고등학교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영산고등학교해운대공업고등학교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경상공업고등학교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대구관광고등학교대구하이텍고등학교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상서고등학교영남공업고등학교조일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계산공업고등학교산마을고등학교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부평공업고등학교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인천보건고등학교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문곡고등학교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동명고등학교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전남공업고등학교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울산애니원고등학교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세종여자고등학교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경기경영고등학교경기관광고등학교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경기물류고등학교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경기폴리텍고등학교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경민IT고등학교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곤지암고등학교광주중앙고등학교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근명고등학교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남양고등학교남양주고등학교다산고등학교
대부고등학교덕영고등학교동두천중앙고등학교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두원공업고등학교마장고등학교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문산제일고등학교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부천공업고등학교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비봉고등학교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성보경영고등학교성일정보고등학교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안산공업고등학교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안양문화고등학교안중고등학교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양영디지털고등학교양평고등학교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여주제일고등학교연천고등학교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용인바이오고등학교용문고등학교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이천세무고등학교이천제일고등학교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일산고등학교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전곡고등학교조종고등학교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진위고등학교창의경영고등학교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통진고등학교파주여자고등학교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평택여자고등학교포천일고등학교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한겨레고등학교한국관광고등학교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한봄고등학교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업고등학교강릉중앙고등학교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대진고등학교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석정여자고등학교상지대관령고등학교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춘천한샘고등학교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보은정보고등학교양업고등학교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제천산업고등학교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진천상업고등학교청주IT과학고등학교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청주상업정보고등학교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충주상업고등학교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공동체비전고등학교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공주정보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금산하이텍고등학교논산공업고등학교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병천고등학교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삽교고등학교서산중앙고등학교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천안공업고등학교천안상업고등학교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청양고등학교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태안여자고등학교한국K-POP고등학교한마음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고산고등학교군산상일고등학교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남원제일고등학교덕암정보고등학교만경여자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세인고등학교영선고등학교전북유니텍고등학교
전북하이텍고등학교전주공업고등학교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지평선고등학교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푸른꿈고등학교학산고등학교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광양하이텍고등학교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나주상업고등학교다향고등학교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목포성신고등학교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법성고등학교병영상업고등학교삼계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순천공업고등학교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안좌고등학교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영광공업고등학교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전남미용고등학교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진성여자고등학교한국말산업고등학교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해남공업고등학교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경북드론고등학교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고등학교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경북항공고등학교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경북하이텍고등학교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경주정보고등학교고령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명인고등학교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상산정보고등학교상주공업고등학교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안강전자고등학교영천전자고등학교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의성유니텍고등학교청송자동차고등학교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포항흥해고등학교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한국철도고등학교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거창승강기고등학교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경남관광고등학교경남로봇고등학교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경남전자고등학교경남정보고등학교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경남자영고등학교경남정보고등학교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마산공업고등학교밀성제일고등학교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삼천포공업고등학교신반정보고등학교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창녕슈퍼텍고등학교창녕여자고등학교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초계고등학교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합천평화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성산고등학교영주고등학교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제주중앙고등학교중문고등학교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각주]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仁川海洋科學高等學校
Incheon Marine Science High School
파일: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마크1.png

개교1926년 용호도공립수산보습학교
유형특성화고등학교
성별남학교
형태공립
교장이명구
교훈성실(誠實)
참된 정성은 미래를 연다
교화개나리
교목은행나무
학생 수404명[기준]
교직원 수66명[기준]
관할 교육청인천광역시교육청
주소인천광역시 연수구 능허대로 71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화
3.2. 교목
3.3. 교훈
3.4. 교육목표
3.5. 교가
4. 학과
4.1. 항해사관과
4.2. 해양생명과학과
4.3. 식품외식산업과
4.4. 기관시스템과
4.5. 스마트융합공조과
5. 학교 특징
5.1. 복장
6. 학교 시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
7.2. 학교 일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10. 기타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인천광역시 연수구 능허대로 71 (옥련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1926.04.01용호도공립수산보습학교 인가
1926.06.16용호도공립수산보습학교 개교
1951.09.01용호도공립수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53.06.20피난학교로 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4번지 임시교사에서 개교
1954.05.31인천시 남구 도화동 137번지에 교사 신축 이전
1954.10.11경기수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62.11.30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6번지에 교사 신축 이전
1979.10.30학칙 변경으로 어업, 기관과 1학급씩 증설, 4개과 18학급 인가 편성
1982.03.01인천수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88.10.15인천시 연수구 옥련동 194-86번지에 현교사 신축 이전
1990.11.06학칙 변경으로 수산양식, 수산가공과 1학급씩 증설, 4개과 24학급 인가 편성
1992.07.11학칙 변경으로 냉동공조과 6학급 증설, 5개과 30학급 인가
1994.05.19학과 변경(어업과-해양생산과, 수산양식과-양식경영과, 수산가공과-식품가공과, 기관과-동력기계과, 냉동공조과)으로 과명 변경
1995.02.28냉동공조과 실습동 18교실 중 12교실 증축
1995.03.011995학년도 30학급 편성
1996.08.02학칙 개정('97. 3. 3 시행) 해양생산과를 정보해양과로 양식경영과를 자원환경과로, 냉동공조과를 공조냉동과로 과명 변경
1997.03.01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9.03.01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험학교 』로 지정
2009.09.11제20대 김승환 교장 취임
2015.03.01제21대 박진홍 교장 취임
2016.03.01학칙 개정(2016.3.2. 시행), 자원환경과를 해양생명과학과 공조냉동과 냉동기계과 과명변경(2016학년 신입생부터 순차적 적용)
2017.02.09제85회 졸업식 졸업생(266명, 총 14,501명)
2017.03.02제88회 입학식(208명)
2017.09.01제22대 권점현 교장 취임
2018.02.13제86회 졸업식 졸업생(232명졸업, 졸업생 총14,783명)
2018.03.02제89회 입학식(136명)
2019.01.11제87회 졸업식(196명 졸업, 졸업생 총14,929명)
2019.03.01학칙개정(2019.3.1.시행) 정보해양과를 항해사관과로, 식품가공과를 식품외식산업과로,동력기계과를 기관시스템과로, 냉동기계과를 에너지시스템과로 과명변경 (2019학년 신입생부터 순차적으로 적용)
2019.03.04제90회 입학식(216명)
2020.01.10제88회 졸업식(158명 졸업, 졸업생 총15,087명)
2020.03.01제23대 손태기 교장 취임
2020.03.02제90회 입학식(214명)
2021.01.15제89회 졸업식(114명, 총15,201명)
2021.03.02제91회 입학식(191명)
2022.01.10제90회 졸업식(185명, 총15,386명)
2022.03.02제92회 입학식(193명)
2023.01.10제91회 졸업식(194명, 총15,580명)
2023.03.02제93회 입학식(121명), 제24대 이명구 교장 취임

일제 강점기 당시 1926년 4월 1일 용호도공립수산보습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26년 6월 16일 개교하였다. 처음은 북한 황해남도 옹진군 용호도(龍湖島)에서 설립되었다.

유능한 수산 기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용호도에서 1926년 6월 16일 용호도 공립수산보습학교라는 간판을 달고 개교했다. 이듬해 교사를 신축했으며 1928년 첫 졸업생 31명을 배출했다.

1951년 9월 1일 용호도공립수산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53년 6월 20일 피난학교로 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4번지에서 임시교사로 개교하였다. 1954년 5월 31일 인천시 남구 도화동 137번지로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으며 1954년 10월 11일 경기수산고등학교로 개명하였다. 1962년 11월 30일 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6번지에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고 1982년 3월 1일 인천수산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8년 10월 15일 인천시 연수구 옥련동 194-86번지에 현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으며 1997년 3월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로 개명하였다.


3. 교훈 및 상징[편집]


파일: 0103.png


3.1. 교화[편집]


개나리

용담목 물푸레나무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2m 내외.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가지는 사각에 가까운데 약간 동그스름하며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으로, 양끝이 뽀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상부 가까이의 잎은 톱니가 있으며 길이는 5~10m이다.

인천해양과학고, 학교소개; 학교상징



3.2. 교목[편집]


은행나무

은행나무목 은행나뭇과의 낙엽교목. 큰 것은 높이 45m, 지름 5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두꺼우며, 세로로 균열이 생긴다. 원줄기의 가지로부터

공기뿌리가 밑으로 늘어지기도 한다. 가지에는 긴가지와 짧은가지가 있는데,

긴가지에는 잎이 드문드문 어긋나고, 짦은가지에는 여러 개가 촘촘이 다발로 난다.

인천해양과학고, 학교소개; 학교상징



3.3. 교훈[편집]


성실(誠實). 참된 정성은 미래를 연다

인천해양과학고, 학교소개; 학교상징



3.4. 교육목표[편집]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전문 해양 인재 육성

인천해양과학고, 학교소개; 교육목표 및 특색사업



3.5. 교가[편집]


파일: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교가.png

황해의 창파를 무대로 삼고서, 미래를 이상하는 우리의 학원, 학술로 무장하고 지덕을 닦아, 그이름 빛내자 인천해양과학고, 보아라 젊은건아 대한의 아들, 뻗어가자 세계로 번영의 길로, 우리는 해양학도 나라의 주인공

인천해양과학고, 학교소개; 학교상징



4. 학과[편집]


항해사관과
해양생명과학과
식품외식산업과
기관시스템과
스마트융합공조과


4.1. 항해사관과[편집]


  • 학과의 교육목표: 위성 통신 기술과 선박 운항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해양 생산 기술 및 항해 기술을 익히고, 해양 사업에 종사할 기술인으로 능력과 자질을 함양하여 21세기 신 해양 시대에 진출할 수 있는 전문 인력(항해사)을 양성한다.
  • 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
    • 항해기초: 선박 항해와 관련된 기초 지식 및 필수적인 항해술을 익힘.
    • 선박운용: 선체 구조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선박내의 다양한 설비의 운용 방법을 익힘.
    • 해사영어: 갑판부 관련 용어, 항해실무 회화 등 선박 항해 영어에 대한 내용을 익힘.
    • 해사법규: 선박 운항에 관련된 선박법, 국제법, 선박직원법, 해사안전법 등을 익힘.
    • 해양생산일반: 우리나라 어업의 개요, 어장, 다양한 어구와 어법에 관한 내용을 익힘.
    • 해양레저관광: 다양한 수상레저기구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해양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익힘.
    • 선박통신(실무과목): 위성통신, DSC 통신, 조난 통신 등의 운용을 통해 선박에서의 통신 방법 및 기술에 대해 익힘.
    • 원양어업(실무과목): 레이더 및 선박 운용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운항, 적재 및 하역 등에 관한 방법 및 기술을 익힘.
  • 취득 자격증
    • 해기사(항해사) 4급 · 5급 면허
    • 전파전자통신기능사(GOC)
    • 소형선박조종사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 의료관리자
    • 워드프로세서 자격 등
  • 진로(취업 및 진학)
    • 선박 운항 관련 업체: 원양어선, 연근해어선, 여객선 및 각종 선박의 항해사(병역특례가능)
    • 공공기관: 수협중앙회, 해양경찰, 해군부사관, 해양수산직 공무원
    • 해양산업 관련업체: 수산물 유통화사, 조선 및 선박 수리, 항만 물류 관리 회사 등
    • 4년제 종합대학교
    • 2 · 3년제 전문대학


4.2. 해양생명과학과[편집]


  • 학과의 교육목표
    • 수산·해양 자원의 조성을 위한 종묘 생산 기술과 수산 생물 사육 기술을 습득하여 미래 수산 발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는 수산 양식 전문인을 양성한다.
    • 관상어 관리, 해양 수족관의 구성, 설비 관리기술을 습득하여 아쿠아리움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인력을 육성함과 동시에 산업 잠수 분야에 활약할 수 있는 전문 잠수 인력을 양성한다.
  • 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
    • 해수어, 담수어의 양식기술 및 종묘생산방법
    • 전문적 관상어 기르기, 관상어 수조 인테리어
    • 유용 수산 자원 생물의 관리
    • 아쿠아리움 시스템 설비 및 관리 기술
    • 수쿠버다이빙, 수상인명구조, 응급처치, 래프팅, 프리다이빙 등 해양레저실무
    • 산업잠수(잠수기능사), 수중용접, 수중촬영, 수중드론
    • 수산물 유통 및 판매관리, 수산업 경영관리, 활어 유통 실무
    • 식용으로의 활어처리를 위한 생선회 실무과정
  • 취득 자격증
    • 수산양식기능사
    • 잠수기능사
    • 수상구조사
    • 스쿠버다이빙 자격증
    • 관상어 관리사
    • 수상인명구조 자격증
    • 동력수상레저 조종면허
    • 응급처치 자격증
    • 수중드론 자격증
    • 수중촬영 자격증
    • 수중용접 자격증
    • 소형지게차 면허
    • 컴퓨터 활용능력
    • 워드프로세서 등
  • 진로(취업 및 진학)
    • 양식업 관련업체: 종묘생산장, 수산양식업체, 미세조류 생산업장
    • 관상어(수족관) 관련 업체: 관상어 판매업체, 관상어 종묘생산장, 관상어 유통업체
    • 아쿠아리움 관련 업체: 스쿠버다이빙 관련 업체, 수상레포츠 관련 업체
    • 공공기관: 수산연구소, 해양 · 수산직 공무원, 국립수산과학원, 수협중앙회
    • 산업잠수 관련 업체: 조선, 선박검사, 수중시설, 인양구조
    • 4년제 종합대학교
    • 2 · 3년제 전문대학


4.3. 식품외식산업과[편집]


  • 학과의 교육목표
    • 식품 원료의 처리와 가공, 제품의 저장과 유통과정에 대한 기초 및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식품가공재료의 특성과 가공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방법을 익히고, 식품가공 산업에 종사할 기술인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기르며, 식품제조 및 가공, 제과제빵사, 식품 유통업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
    • 식품조리 기능 학습을 통하여 유능한 업무에 종사할 기술인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기르고 식품조리사, 커피 바리스타 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
  • 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
    • 식품과학
    • 식품위생
    • 정보처리와 관리
    • 제과
    • 제빵
    • 식품가공기술
    • 수산식품가공
    • 김치반찬가공
  • 취득 자격증
    • 식품가공기능사
    • 제과기능사
    • 제빵기능사
    • 한식조리기능사
    • 양식조리기능사
    • 일식조리기능사
    • 중식조리기능사
    • 커피바리스타 등
  • 진로(취업 및 진학)
    • 식품제조업체(농·수·축산물): 빵 · 과자류, 면류 등 가공식품 제조업(병역특례가능)
    • 외식산업체: 한식, 일식, 양식 패밀리레스토랑 등 식품 외식업체
    • 제과제빵업체: 제과제빵 회사 및 체인점, 제과점
    • 공공기관, 대기업: 수협, 공무원(수산직 및 위생직) 등
    • 4년제 종합대학교
    • 2 · 3년제 전문대학


4.4. 기관시스템과[편집]


  • 학과의 교육목표
    • 해양수산부 지정 해기사 양성 교육기관으로 해기사 면허 취득이 가능하며, 선박을 움직이는 엔진과 보일러, 각종 보조 기기 및 전기 장치 등을 운전하고, 유지 보수하는 선박기관사를 양성한다.
    • 국방부 지정 해군 특성화학교로 무시험 전형으로 해군 부사관이 가능하며, 함정의 수리 및 정비 업무 및 화재, 침수, 선체 파손 시 손상을 복구하여 안전과 전투력을 유지시키는 해군부사관을 양성한다.
  • 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
    • 기관시스템과 공통과목
      • 기관실무기초: 선박구조, 용접 및 배관 등 선박의 건조와 운용에 대한 기관 실무 기본 사항
      • 열기관: 동력발생 장치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운전 · 관리하는 기술
      • 해사영어: 기관부 관련 용어 및 취급 설명서, 기관실무회화 등 선박기관 영어
      • 선박전기·전자: 선박의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을 이해하고, 운전 · 관리하는 기술
      • 선박보조기계: 선박 보조기계들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운전 · 관리하는 기술
      • 선박기관운전(NCS실무): 선박의 주기관 및 보조기기 운전, 추진, 제어 및 전기장치 운용에 대한 지식과 기술
    • 해군 특성화 코스 주요 과목
      • 선박보수I·II: 소화, 방수, 화생방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해당 장비, 물자 운용법
      • 군 리더십: 군 리더십의 특성을 이해하고, 초급간부에게 요구되는 리더십 습득
    • 선박기관사 코스 주요 과목
      • 기계기초공작: 기계 관련 산업현장에 필요한 측정과 절삭가곤, 용접, 배과 등의 기술
      • 기계 제도: 제도의 규칙, 기호에 따라 도면을 이해하고, 컴퓨터로 제도하는 기술
  • 취득 자격증
    • 해기사(기관사) 4·5급
    • 동력기계정비기능사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2급
    • 수상선박 조종사 면허
    • 용접기능사 및 특수용접기느으사
    • 소형지게차 · 굴착기 면허
    • Auto CAD(ATC 2급)
    • ITQ 자격증 등
  • 진로(취업 및 진학)
    • 해운업: 어선(원양 및 연근해 어업), 상선(여객선, 카패리, LNG선, 화학운반선, 컨테이너) 선박정비사, 선박감시원, 선박감독관 등
    • 조선공업: 선박 정비 및 선박 관련 제조
    • 기계공업: 각종 제조(CNC, CAE, CAM, CAD), 금속공학 관련 제조
    • 공공기관: 수협, 해양경찰, 수산직 공무원, 해군부사관, 선박안전공단, 수산업협동조합 등
    • 4년제 종합대학교
    • 2 · 3년제 전문대학


4.5. 스마트융합공조과[편집]


  • 학과의 교육목표
    • 냉동장치의 원리와 구조, 운전, 설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냉동장치 제작, 운전 및 설비에 종사할 기술인을 육성한다.
    • 전기설비 분야의 원리와 구조, 기본적인 소양 기술을 습득하여 제어회로 설계, 응용 분야의 기술인을 육성한다.
    • 기계 산업에 관련된 기초 이론 및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시스템의 기획, 설계 및 도묜작성과 3차원 모델링에 의한 기계가공 기술릏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인을 육성한다.
  • 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
    • 에너지시스템과 공통 과목
      • 냉동공조일반: 냉동공조와 관련된 냉동(낸방) 및 공기조화장치, 기계 및 제반 설비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익힘.
      • 기계기초공작: 기계 관련 제조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측정과 검사, 기계와 기구를 이용한 절삭 가공, 주조, 용접, 판금, 배관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힘.
      • 자동화설비: 산업 현장에서 직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좌동화 기기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관련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
      • 기초제도: 공업제풉의 설계 제작에 필요한 도면을 폭넓게 이해하고, 설계에 필요한 표현 기법과 제도 규격에 따른 기본 도면 작성법을 습득.
      • 산업설비: 산업설비 관리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료한 용접, 판금, 배관에 대한 기초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학습.
      • 유체기기: 공압 및 유압 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자동화생산 현장의 관련 실무를 익힘.
      • 냉동공조유지보수관리(NCS 실무): 공기조화기 및 냉동장치 부속장이의 기능을 익히고 냉동공조 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힘.
      • 냉동공조장치설치(NCS 실무): 공조 및 냉동 설비 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고 효울적이며 경제적인 운전을 위하여 제어시스템을 구성 및 냉동장치 제작 실무 기술을 익힘.
  • 냉동공조걸비전문가반 코스 주요 과목
    • 냉동공조설계(NCS 실무)
      • 냉동 냉장 구조체의 열전달, 실내외 온도 및 습도의 조건등을 고려하여 취득 열량을 계산라는 능력을 익힘.
    • 냉동공조제어전문가반 코스 주요 과목
      • 내선공사(NCS 실무): 건축물 내 기계설비용 전동기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제어반을 설치하고, 전동기 기동을 위한 전원공급 살계도서에 따라 공사를 수행하는 능력을 익힘.
      • 기계제도: 제도의 규칙, 기호에 따라 도면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컴퓨터로 제도하는 기술을 익힘.
  • 취득 자격증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전기기능사
    • 온술온돌기능사
    • 지게차운전기능사
    • 에너지관리기능사
    • 가스기능사
    • 배관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 ITQ 작격증 등
  • 진로(취업 및 진학)
    • 취업분야: 냉동·공조 및 고압가스 관련 계열회사, 전기에너지 및 시스템 제어 관련회사, 설비관련업체, 냉난방관리업체, 식품냉동업 기업체 품질관리 및 낸난방, 수산해양 관련 시설 공무원, 전기·기계·기술직 공무원, 시설직 군무원 등
    • 4년제 종합대학교
    • 2 · 3년제 전문대학


5. 학교 특징[편집]





5.1. 복장[편집]


제12조(복장)

① 이 규정은 학생 교복 착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② 이 규정은 본교 재학생 전원에 대하여 적용한다.

③ 교복은 하복과 동복으로 구분하며 교복의 지질, 색깔, 무늬 및 형식은 별표 1과 같다.

④ 하복 착용 기간은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동복은 10월 1일부터 익년 5월 31일까지로 한다. (단, 날씨, 기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착용할 수 있도록 안내함)

⑤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는 동복 상의 윗도리를 벗는다.

⑥ 교복은 이 규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항상 단정하고, 청결하게 착용한다.

⑦ 허리띠는 검정색 혹은 어두운 계열의 색깔, 신발은 운동화 또는 렌드로바형으로 한다.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학교생활규정(2023 개정)


동복
자켓색상짙은 남색
소재모 80%, 나이론 20%
디자인○ 신사복형단추3개
○ 무늬 없음
○ ±5이내
와이셔츠색상흰색
소재레이온 30%, 폴리에스테르 70%
디자인○ 일반형
○ 무늬 없음
○ ±5이내
○ 동절기는 검정폴라티 허용
바지색상진회색
소재모 60%, 폴리에스테르 40%
디자인○ 신사복 바지
○ 무늬 없음
○ ±5이내
넥타이색상진회색
소재모 60%, 폴리에스테르 40%
디자인○ 일반형
○ 무늬 없음
○ ±5이내
하복
반소매 T셔츠색상검은색
소재폴리에스터 100%(기능성)
디자인○ 스판 및 구김없는 시원한 소재
○ 무늬 없음
○ ±5이내
반바지(5부)색상검은색
소재폴리에스테르 92%, 폴리우레탄 8%
디자인○ 스판 및 구김없는 시원한 소재
○ 무늬 없음
○ ±5이내
안감(자켓, 바지)
폴리에스터 100%, 민무늬단색, ±5이내


6. 학교 시설[편집]


2023년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교육여건(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지28,244㎡
  º 교사대지 22,468㎡
  º 체육장 5,776㎡
교수학습공간일반교실 27실
교과교실 1실
특별교실 38실
기타 1실
학습지원공간시청각실 1실
멀티미디어실 2실
기타 13실
교원지원공간5실
관리행정공간39실
체육집회공간2실
보건위생공간보건실 1실
학생탈의실 4실
학생샤워실 4실
화장실 27실
학생식당 1실
기타공간 7실
학생교육활동 지원시설체육관 1실
수영장 1실
진로상담실 1실
장애인 편의시설○ 적정설치
  º 주 출입구 접근로
  º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º 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º 출입구(문)
  º 복도
  º 계단,승강기,경사로, 휠체어리프트
  º 위생시설(대변기)
  º 유도 및 안내설비
○ 단순설치
  º 경보 및 피난설비
○ 미설치
  º 위생시설(소변기)
  º 점자블록
학교도서관도서자료 19,465권
비도서자료 (DVDㆍCD,비디오 등) 523개

  • 인천 최대 규모의 학생체육관이 있다.
  • 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총면적 10,640㎡
파일: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체육관전경.png


7. 학교 생활[편집]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수업일수1학년191
2학년191
3학년191
주당 수업시수959
수업교원수59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16.3


7.1. 주요 행사[편집]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행사일정(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알림마당; 연간학사일정)
개학식,입학식3월학사 일정
1학기 1회고사4월학사 일정
개교기념일5월학교 기념일
직업기초능력본평가(1, 2)6월학사 일정
1학기 2회고사7월학사 일정
방학7월자가 학습
개학8월학사 일정
2학기 1회고사10월학사 일정
2학기 2회고사12월학사 일정
척양제12월학교 축제
졸업식,종업식1월학사 일정


7.2. 학교 일과[편집]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구분교과특기적성
프로그램 수29231
수강학생 수22533288
참여학생 수204


8.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9.1. 버스[편집]


  • 인천해양과학고 정류장 : 65-1, 521[1]
  • 원흥아파트/현대3차아파트 정류장 : 8, 9, 111-2, 523, 3001, 9200


10. 기타[편집]


  • 월미도에 있던 공립 고등학교로 1926년 개교하였다
  • 월미도에 있는 학교’라는 말은 어느 정도 인천해양과학고의 ‘과거’를 알고 있다는 의미다. 인천해양과학고의 전신인 경기수산고등학교는 월미도에 있었다.
해방 후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가 들어서게 되었고 1999년까지 사령부가 월미도에 있었다. 이 중 월미산 일대 해군 주둔지는 평택시로 이전하며 인천시에 부지를 반환했고 인천시는 부대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는데 이 공원이 현재의 월미공원이다. 공원 내 2함대 주둔지였음을 뜻하는 기념구조물이 있다. 지금의 월미전통 공원 정문을 바라보고 오른쪽에 학교가 있었다.
  • 이 학교는 2023년도에 97주년을 맞았다 인천에서 이만한 연륜을 가진 학교는 몇 되지 않는다. 인천에서는 인천고등학교(1895)와 송도고등학교(1906) 인천여자고등학교(1908) 다음으로 4번째 연륜을 가진 학교이다
  • 전국의 100년이 넘는 전국 고등학교 순위 96위
  • 처음 둥지를 튼 곳은 북한으로 용호도(龍湖島)는 황해도 옹진군 동남면에 속하는 섬으로 주변 바다에서는 김과 다시마를 양식했고 조기전어·민어·갈치 등이 많이 잡혔다.
  • 연평도 조기잡이 어장과 이웃해 어업 기지로도 알려졌다. 면적은 2㎢가량 된다. 비록 작은 섬이지만 수산학교가 들어서기에는 최적의 장소였다.
  • 6·25 전쟁 중이던 1951년 9월 1일 ‘용호도공립수산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1953년 휴전선이 그어지자 그해 6월 피란 보따리를 급히 싸고 인천으로 건너와 피난 학교로 재개교 승인을 받아 북성동 1가 4번지에 임시교사를 설치하고 개교했다.
  • 1954년 5월 도화오거리 인근에 교사를 신축해 이전했고, 같은 해10월 경기수산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 1962년 11월 바다와 인접한 북성동(월미도)으로 교사를 이전했다. 당시 월미도는 다리로 건너야만 갈 수 있었던 곳이다. 월미교 양안을 공장 부지로 만들기 위해 대규모로 매립되었다.
  • 이 시기 인천앞바다의 영종도, 덕적도, 대부도, 강화도를 비롯해 먼 섬 백령도, 연평도는 물론이고 충청도의 섬, 심지어 제주도에서도 학생들이 모여들었다. 인천시가 경기도에서 분리되면서 1982년 학교 이름을 인천수산고등학교로 변경했다.
  •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에 이전 하기 전에 있었던 인천수산고등학교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116"는 현재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로 쓰이고 있다.


11.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17:27에 나무위키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1] 동인천역 방향만 정차, 역방향은 럭키아파트 승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