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강서공업고등학교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경기상업고등학교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대동세무고등학교대일관광고등학교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서울동구고등학교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상일미디어고등학교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서울금융고등학교서울동산고등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서울매그넷고등학교서울문화고등학교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서울아이티고등학교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선린인터넷고등학교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성동공업고등학교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세명컴퓨터고등학교송곡관광고등학교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용산철도고등학교유한공업고등학교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예일디자인고등학교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한양공업고등학교휘경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경성전자고등학교계성여자고등학교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대양고등학교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동아공업고등학교동의공업고등학교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부산관광고등학교부산디지털고등학교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부산보건고등학교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부산정보고등학교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서부산공업고등학교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영산고등학교해운대공업고등학교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경상공업고등학교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대구관광고등학교대구하이텍고등학교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상서고등학교영남공업고등학교조일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계산공업고등학교산마을고등학교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부평공업고등학교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인천보건고등학교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문곡고등학교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동명고등학교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전남공업고등학교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울산애니원고등학교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세종여자고등학교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경기경영고등학교경기관광고등학교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경기물류고등학교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경기폴리텍고등학교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경민IT고등학교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곤지암고등학교광주중앙고등학교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근명고등학교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남양고등학교남양주고등학교다산고등학교
대부고등학교덕영고등학교동두천중앙고등학교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두원공업고등학교마장고등학교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문산제일고등학교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부천공업고등학교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비봉고등학교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성보경영고등학교성일정보고등학교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안산공업고등학교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안양문화고등학교안중고등학교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양영디지털고등학교양평고등학교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여주제일고등학교연천고등학교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용인바이오고등학교용문고등학교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이천세무고등학교이천제일고등학교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일산고등학교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전곡고등학교조종고등학교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진위고등학교창의경영고등학교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통진고등학교파주여자고등학교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평택여자고등학교포천일고등학교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한겨레고등학교한국관광고등학교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한봄고등학교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업고등학교강릉중앙고등학교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대진고등학교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석정여자고등학교상지대관령고등학교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춘천한샘고등학교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보은정보고등학교양업고등학교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제천산업고등학교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진천상업고등학교청주IT과학고등학교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청주상업정보고등학교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충주상업고등학교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공동체비전고등학교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공주정보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금산하이텍고등학교논산공업고등학교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병천고등학교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삽교고등학교서산중앙고등학교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천안공업고등학교천안상업고등학교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청양고등학교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태안여자고등학교한국K-POP고등학교한마음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고산고등학교군산상일고등학교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남원제일고등학교덕암정보고등학교만경여자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세인고등학교영선고등학교전북유니텍고등학교
전북하이텍고등학교전주공업고등학교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지평선고등학교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푸른꿈고등학교학산고등학교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광양하이텍고등학교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나주상업고등학교다향고등학교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목포성신고등학교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법성고등학교병영상업고등학교삼계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순천공업고등학교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안좌고등학교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영광공업고등학교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전남미용고등학교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진성여자고등학교한국말산업고등학교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해남공업고등학교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경북드론고등학교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고등학교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경북항공고등학교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경북하이텍고등학교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경주정보고등학교고령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명인고등학교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상산정보고등학교상주공업고등학교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안강전자고등학교영천전자고등학교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의성유니텍고등학교청송자동차고등학교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포항흥해고등학교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한국철도고등학교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거창승강기고등학교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경남관광고등학교경남로봇고등학교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경남전자고등학교경남정보고등학교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경남자영고등학교경남정보고등학교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마산공업고등학교밀성제일고등학교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삼천포공업고등학교신반정보고등학교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창녕슈퍼텍고등학교창녕여자고등학교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초계고등학교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합천평화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성산고등학교영주고등학교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제주중앙고등학교중문고등학교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각주]




||


파일:진주기계공고 전경.jpg
학교 전경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晋州機械工業高等學校
Jinju Mechanical Technology High School
파일:진주기계공고로고.png

개교1962년 03월 27일
유형단설 특성화고등학교
성별남학교
형태공립
교장박정희
교훈믿고 일하는 民主生活人
교화연산홍
교목은행나무
학생 수522명[기준]
교직원 수75명[기준]
관할 교육청경상남도교육청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공단로43번길 25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4. 교훈
3.5. 교육목표
3.6. 교가
4. 학과
4.1. 전자기계과
4.2. 전기과
4.3. 기계과
4.4. 건설과
4.5. 항공기계과
5. 학교 특징
6. 학교 시설
7. 학교 생활
7.1. 학교 일과
8. 운동부
9. 출신 인물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0.1. 버스
11. 기타



1. 개요[편집]


경상남도 진주시 상평동에 위치한 중등교육기관.[1]


2. 학교 연혁[편집]


1962년03.27 경남 실업고등학교 설립인가
1963년11.03 진주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1년02.28 봉곡동에서 현 교사로 이전
1977년11.30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8년09.14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1979년10.17 구 중앙중학교 건물인수
1980년11.01 기숙사 개관
1994년08.22 공동실습소 설치(기계금속)
2001년07.31 강당 개관
2002년08.05 학칙변경(정밀기계과5, 전자기계과2, 전기과2, 섬유디자인과1)남녀공학
2005년07.13 학칙변경(컴퓨터응용기계과5, 전자기계과2, 컴퓨터제어전기과2, 섬유디자인과1)
2009년05.08 본교개축(BTL사업)
10.09 학칙변경(컴퓨터응용기계과5, 전자기계과2, 컴퓨터제어전기과2)
2012년03.01 공동실습소 추가 설치(전기전자)
2013년03.01 거점 특성화고 지정(기계과4, 전자기계과2, 전기과2, 건설과1)
11.15 기숙사 증축
2015년10.19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선정
2017년04.06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 프로그램 지원 사업 운영학교 선정 및 운영
12.20 직업계고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학교 선정(2년)
2018년08.30 제19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기술인재육성 대통령 표창 수상
2019년01.11 제56회 졸업식(졸업생177명) 총 21,432명
03.04 2019학년도 입학식(신입생 181명)
2020년03.01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운영
07.14 학칙변경(항공기계과2, 기계과2, 건설과1, 전자기계과2, 전기과2)
2023년02.10 제60회 졸업식(졸업생167명) 총22,134명
03.02 제23대 박정희교장 취임, 2023학년도 입학(신입생181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표[편집]


파일: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교표.jpg


3.2. 교화[편집]


파일:영산홍.jpg

영산홍을 교화로 삼고 있다. 원색의 아름다움은 진주기공인의 마음과 같으며 추운 겨울을 보내고, 봄이면 다시 우아하게 모습을 나타내는 것은 명예를 존중하는 청렴하고 곧은 의지를 나타낸다.


3.3. 교목[편집]


파일:은행나무.jpg

은행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빛을 좋아해 항상 양지를 지향하며 주위환경에 뛰어난 적응력을 갖고 있는 나무로 진주기공인의 인간됨을 대변한다.


3.4. 교훈[편집]


믿고 일하는 民主生活人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교훈[2]



3.5. 교육목표[편집]


미래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인 기술인 육성

1. 비전
  • 미래의 CEO 육성

2. 경영 방침
  • 소통과 배려로 감동을 주는 교육
    • 기초·기본에 충실한 전문기술교육
    •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인재 교육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 교육
    • 학생의 안전과 진로 적성에 맞는 직업교육

3. 중점 사업
  •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운영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운영
  • 항공분야 직업교육 혁신지구사업 운영
  • 과정형 자격평가반(산업기사) 운영

4. 특색 교육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올바른 리더쉽 교육
  • 학생활동의 배움 중심 교육
  • 현장 실무역량 강화교육
  • 기본생활 실천운동(3Do, 3No)


3.6. 교가[편집]


파일:진주기계공고 교가.jpg


4. 학과[편집]



4.1. 전자기계과[편집]


전자기계(Mechatronics)란 기계기술(Mechanics)와 전자기술(Electronics)의 합성어이다.전자기계과는 미래 산업사회의 자동화를 주도할 첨단기술인 기계기술, 전기전자기술, 컴퓨터기술 등과 관련된 교육을 하는 학과이다.

학년마다 한반에 20명씩 2학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옛날과 달리 커트라인이 많이 낮아져서 65퍼정도면 수월하게 합격 가능하다.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는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기기능사, 공유압기능사, 생산자동화 기능사, CAD 등이 있으며, 주로 1학년~2학년에 선반이나 밀링을 취득하고, 2학년에 기타 자격증을 따며 3학년때 의무검정으로 전기기능사를 취득한다

전자기계과지만 기계가 메인이고 전기가 서브인지라 잘 생각하고 들어와야 한다 열심히 하면 기계와 전기를 모두 다루는 인재가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흔히 말하는 잡탕이 되어버리기에 열심히 하여야 한다.

전가기계과를 졸업한다면 공장자동화 설계와 생산라인 분야, 첨단기계 및 기구 생산분야, 컴퓨터 설계분야, 컴퓨터이용가공분야, CNC선반 및 머시닝센터 가공 분야, 전자제품 생산분야, 제어계측분야 등에 기술자로써 기여할 수 있게 된다.


4.2. 전기과[편집]


전자기계과와 마찬가지로 한반에 20명씩 2학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1학년때 빠르면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며 주로 승강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다 2학년때는 기초적인 전기지식이 있으니 전기기능사를 취득하는 경우가 있으며 3학년때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거나 의무검정으로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전기공사 뿐만 아니라 PLC와 공기압을 사용한 공장자동화에 대한 수업과 납땜과 브래드보드를 사용한 전자실습도있으며 3학년 의무검정 시험때는 전기기능사를 취득한 사람이라면 항공전자정비 기능사가 응시가능하다.

전기과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은 다른과에 비해 적은 편이라 승강기,전기,항공전자정비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다른과 자격증도 알아보고 응시를 하는 편이다.


4.3. 기계과[편집]


기계과는 기계부품을 직접 가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기본기능을 배운다. 다른 가공전공과는 달리 기계공업에서 밀링/선반기계는 일반회사에 꼭 필요한 장비이므로 취업 시 진로 선택 기회가 다양한 이점이 있다.

더욱 전문적인 절삭이론 학습과 가공 기능습득을 바탕으로 다른 공작 기계에 대한 적응력 향상을 기할 수 있고, CNC선반, CAD/CAM 등의 학습을 통해 컴퓨터를 이용한 기계가공의 고급 기능을 터득함으로써 정밀화 자동화를 지양하는 기능인이 되도록 한다.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는 선반기능사, 수치제어선반 기능사, 밀링기능사, 수치제어밀링 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기계조립기능사, 프레스금형기능사, 기계제도/CAD기능사 등이 있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운영하며, 1학년 학생 중 희망자를 선발하여, 2학년때부터 일주일에 두세번 실습을 나가 기술교육을 받을 수 있다. 도제반 학생들은 졸업 후 해당 회사에 들어가게 된다.


4.4. 건설과[편집]


건설(토목, 건축)분야 측량, 건설재료, 건축계획, 건축구조 및 시공 등의 실습을 바탕으로 다양한 건설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기술의 교육 및 GPS, 토털스테이션, CAD 등 첨단 시스템을 활용한 체계적 교육으로 전문 건설기술인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취득 자격증으로는 측량기능사,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콘크리트기능사, 지적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 기능사, 건축제도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 조적기능사, 도장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포크레인운전기능사 등이 있다.


4.5. 항공기계과[편집]


항공기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강화된 실기교육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산업체 현장에서의 첨단소재 가공시스템을 활용한 항공기기체제작 및 정비, 기체구조 단품 제작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항공기 정비,기체제작 기술인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취득 자격증으로는 컴퓨터활용선반, 밀링기능사, 기계조립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등이 있다.

2021학년도부터 5개 학과체제로 운영되었으며 기존의 기계과, 건설과, 전자기계과, 전기과에서 새롭게 항공기계과가 신설됐다. 20명씩 2학급으로 구성되어있다.


5. 학교 특징[편집]


학교에 입학하여 1~2개월정도가 지나면, 지리산으로 극기 체험을 한다.

2학년 때는 각종 자격증이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신의 스펙을 가질 수 있다.

3학년 때는 필기면제검정을 준비하게 되며, 인문과목이 사라지고 자신의 진로가 대학인지 취업인지 결정되는 시기이다.


6. 학교 시설[편집]


교수학습공간일반교실 27실
특별교실 40실
기타 6실
학습지원공간시청각실 1실
멀티미디어실 1실
기타 2실
교원지원공간7실
관리행정공간9실
체육집회공간2실
보건위생공간보건실 1실
학생탈의실 6실
남자화장실 15실
여자화장실 15실
학생식당1실
기숙사실수33실
기타공간34실


7. 학교 생활[편집]



7.1. 학교 일과[편집]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수업일수1학년191
2학년191
3학년191
주당 수업시수1,006
수업교원수62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16.2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구분교과특기적성
프로그램 수10414
수강학생 수16980249
참여학생 수249


8. 운동부[편집]


  • 펜싱부: 1972년 창단


9. 출신 인물[편집]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10.1. 버스[편집]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주시청 방향)

구.법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방향)
120진양호공원↔공영차고지
12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봉전
12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소곡
123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죽봉
124진양호공원↔신촌
125진양호공원↔진주역
126신풍종점↔공영차고지
250진양호공원↔로컬푸드직매장
25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로컬푸드직매장
252상촌↔중촌
253공영차고지↔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26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속사종점
27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진주교도소입구
27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냉정종점
280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한국국제대
28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이반성교차로
290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진주노인요양병원
29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금곡종점
293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금곡종점
294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덕계
295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송정회관
300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0-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1-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50공영차고지↔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353판문동차고지↔송백
361판문동차고지↔공군교육사령부후문
362판문동차고지↔덕의
363판문동차고지↔관방
370판문동차고지↔절골
371판문동차고지↔유동회관
372판문동차고지↔덕곡
373판문동차고지↔한실
374판문동차고지↔미천면사무소
375판문동차고지↔상미
376판문동차고지↔추계
377판문동차고지↔응석사
470공영차고지↔원동삼거리
471공영차고지↔원동삼거리
551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구.법원 방향)

구.법원
(남강카누빌 방향)
120진양호공원↔공영차고지
12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봉전
12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소곡
123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죽봉
124진양호공원↔신촌
125진양호공원↔진주역
126신풍종점↔공영차고지
250진양호공원↔로컬푸드직매장
25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로컬푸드직매장
252상촌↔중촌
253공영차고지↔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26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속사종점
27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진주교도소입구
27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냉정종점
280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한국국제대
281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이반성교차로
290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진주노인요양병원
292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금곡종점
293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금곡종점
294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덕계
295진양호차고지/경해여고↔송정회관
300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0-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01-1판문동차고지↔판문동차고지
350공영차고지↔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353판문동차고지↔송백
361판문동차고지↔공군교육사령부후문
362판문동차고지↔덕의
363판문동차고지↔관방
370판문동차고지↔절골
371판문동차고지↔유동회관
372판문동차고지↔덕곡
373판문동차고지↔한실
374판문동차고지↔미천면사무소
375판문동차고지↔상미
376판문동차고지↔추계
377판문동차고지↔응석사
470공영차고지↔원동삼거리
471공영차고지↔원동삼거리
550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동일스위트아파트
(가람초교/대림아파트 방향)
352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공영차고지
551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동일스위트아파트
(생활체육관 방향)
352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공영차고지
550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농수산물도매시장/산업인력공단

구.법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방향)도보 2분193m횡단보도 1회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주시청 방향)도보 3분225m횡단보도 1회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구.법원 방향)도보 5분230m횡단보도 2회
구.법원 (남강카누빌 방향)도보 4분302m횡단보도 2회
동일스위트아파트 (가람초교/대림아파트 방향)도보 4분316m
동일스위트아파트 (생활체육관 방향)도보 4분328m횡단보도 1회


11. 기타[편집]


  • 2009년 이전 구교사는 본래 진주중앙중학교가 쓰던 학사(學舍)였으나, 학교가 도동으로 이전하면서 진주기계공고가 땅을 사들였다. 2011년 진주고등학교가 교사를 신축할 당시 잠시 이 건물을 빌려쓰기도 하였다. 구교사는 철거하지 않고 존속 중이며, 운동장이 흙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기적으로 제초작업을 한다.

파일:구 진주중앙중, 진주기계공고.jpg

  • 원래는 남녀공학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여학생을 받지 않게 되었다. 이는 학교에 남아있은 여자 화장실, 탈의실만 봐도 알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3:51:58에 나무위키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1]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2]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학교안내; 학교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