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드 마키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네바다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뉴욕
뉴저지뉴햄프셔
델라웨어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매사추세츠
메릴랜드메인
몬태나미네소타
미시간미시시피
미주리버몬트
패트릭 레이히
상원 임시의장
버지니아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아이다호
아이오와아칸소
알래스카애리조나
앨라배마오리건
오클라호마오하이오
와이오밍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위스콘신
유타인디애나
일리노이조지아
캔자스캘리포니아
켄터키코네티컷
콜로라도테네시
텍사스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하와이



파일:미국 상원 문장.svg

||
[ 펼치기 · 접기 ]

네바다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뉴욕
뉴저지뉴햄프셔
델라웨어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매사추세츠
메릴랜드메인
몬태나미네소타
미시간미시시피
미주리버몬트
버지니아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아이다호
아이오와아칸소
알래스카애리조나
앨라배마오리건
오클라호마오하이오
와이오밍워싱턴
패티 머리
상원 임시의장
웨스트버지니아위스콘신
유타인디애나
일리노이조지아
캔자스캘리포니아
켄터키코네티컷
콜로라도테네시
텍사스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하와이




미합중국 제117대 연방 상원의원
에드워드 존 마키
Edward John Markey
파일:Markey, Ed.jpg
성명 에드워드 존 마키
Edward John Markey
출생1946년 7월 11일 (77세)
매사추세츠 주 멀든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정당

학력보스턴 칼리지 (B.A.)
보스턴 칼리지 (법학 / J.D.)
종교가톨릭
가족배우자 수잔 블루먼솔(1988년 결혼~현재)[1]
자녀 1명
경력매사추세츠 주 하원의원 (1973~1975 / 16 미들섹스구 )
연방하원의원 (1976~2013 / 매사추세츠 7구 )
연방하원의원 (2013 / 매사추세츠 5구 )
연방하원 지구온난화위원회 위원장 (2007~2011)
연방상원의원 (2013~ / 매사추세츠 )
서명
파일:Sen._Ed_Markey_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3. 정치
4. 선거 이력



1. 개요[편집]


미국의 정치인이다. 소속은 민주당.

현재 연방 상원의원이며, 동아태 소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때문에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 관련 외교정책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2. 생애[편집]


매사추세츠 주 출신으로 부모님은 우유 배달을 했다. 마키 역시 대학교를 다니면서 가족의 트럭을 몰고 다니며 아이스크림을 팔았다고 한다. 호객을 위해 트럭에 종을 달았다가 경찰에게 단속당했고 그걸 본 정치인이 의회에서 규정을 고쳐서 영업을 계속 할 수 있었다고 한다.

1968년 보스턴 칼리지를 졸업하고 1972년 로스쿨까지 마친 뒤 개업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68년 베트남 전쟁 징집령에 응해서 5년간 예비군으로 활동하였다.


3. 정치[편집]


1972년 매사추세츠 주 하원의원에 도전해서 1973년부터 3년동안 재임했고 연방 하원의원으로 37년간 활동했다. 하원에서 에너지독립 및 지구온난화위원회 의장도 맡았다. 2013년 재보선에 당선되어 상원의원이 되었고 2014년에도 당선되어 연임하였다.

2020년 9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소장파 오카시오코르테스(AOC) 등이 마키를 지지하면서 케네디 가문조 케네디 3세와의 경선에서 이겨 11월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게 되었고, 무난히 승리해 연방 상원의원 3선 고지를 밟았다.

갈수록 민주당 지지자들이 낸시 펠로시, 척 슈머, 다이앤 파인스타인, 딕 더빈, 스테니 호이어 , 짐 클라이번 처럼 인지도가 있는 고령의 민주당 정치인들에게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는데,[2] 마키 의원은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정말 몇 안 되는 고령의 민주당 유력 정치인이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2미국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 선거미들젝스 제16구

5,380 (53.04%)당선 (1위)초선
1974미들젝스 제26구5,810 (81.62%)재선
1976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매사추세츠 제7구162,126 (76.91%)초선
1978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45,615 (84.83%)재선
1980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55,759 (100.00%)3선
1982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51,305 (77.85%)4선
1984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67,211 (71.42%)5선
1986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24,183 (99.95%)6선
1988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88,647 (100.00%)7선
1990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55,380 (99.92%)8선
1992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74,837 (62.10%)9선
1994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46,246 (64.43%)10선
1996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77,053 (69.82%)11선
1998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37,178 (70.60%)12선
2000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211,543 (98.94%)13선
2002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70,968 (98.24%)14선
2004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202,399 (73.63%)15선
2006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71,902 (98.35%)16선
2008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212,304 (75.64%)17선
2010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145,696 (66.42%)18선
2012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매사추세츠 제5구257,490 (75.49%)19선
2013미국 연방상원의원 보궐선거매사추세츠645,429 (54.80%)초선
2014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1,289,944 (61.87%)재선
2020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1,633,371 (60.34%)3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34:45에 나무위키 에드 마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군의관 출신이다.[2] 민주당 지지자들은 공화당 지지자들에 비해 평균 연령이 훨씬 젊다보니 세대교체를 강력하게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인 같았으면 은퇴하고도 남을 나이인데 이제 그만 물러나라는 다소 과격한 반응까지 나올 정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