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장왕

덤프버전 : (♥ 0)




애장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의 왕자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펼치기 · 접기 ]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인문
추존
흥무왕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추존
개성왕
추존
현성왕
신영왕(김의관)
추존
신영왕
흥평왕(김위문)
추존
흥평왕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왕자 · 심지
추존
혜강왕
태자
추존
흥렴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
박남해박유리박일성김알지
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
박파사박지마석골정석날음
태손

석조분
내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진흥왕무열왕
석우로김눌지김동륜김법민
문무왕신문왕성덕왕성덕왕
김정명김이홍김중경김승경
효성왕경덕왕원성왕원성왕
김헌영김건운김인겸김의영
원성왕소성왕헌덕왕
김준옹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흥덕왕신무왕문성왕경문왕
김충공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진성여왕신덕왕경순왕
김요박승영김일






신라 제40대 국왕
애장왕 | 哀莊王
출생
(음력)
788년
신라 금성
사망
(음력)
809년 7월 (향년 21세)
신라 금성
능묘미상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태자
800년 6월 ~ 800년 6월 (1개월)
제40대 국왕
800년 6월 ~ 809년 7월 (9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청명(淸明) / 중희(重熙)[1]
부모부왕 소성왕
모후 계화부인 김씨
형제자매형제 김체명
자매 장화부인
왕후왕후 박씨
종교불교
시호애장대왕(哀莊大王)
골품진골(真骨)

[1] "거듭 빛나는 이"라는 뜻이며 원래 이름은 청명이었으나 800년 7월에 이름을 중희로 바꾸었다고 한다.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삼국사기》 기록
5. 같이보기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의 제40대 군주. 제39대 소성왕의 장남으로 신라 하대에서 얼마 안 되는 적장자 출신 군주 중 한 명이다. 13세라는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므로 재위 초부터 숙부인 병부령 김언승섭정을 받게 되었다. 폐단들을 정리하고 개혁을 실시했으나 왕위를 노리고 반란을 일으킨 김언승 등에게 잡혀 처형당하며 빛을 보지 못했다.[1]


2. 생애[편집]


귀족 세력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펼쳤으며 5묘제를 개편하여 원성왕계의 왕위 계승을 확립하였다. 기존의 5묘제는 제31대 신문왕 대에 태조 성한왕 - 진지왕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문무왕으로 확립되었고, 제36대 혜공왕 이후 왕들은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을 불천위[2]로 모시고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제40대 애장왕 대에 이르러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은 5묘 밖에 별묘를 만들어 신위를 따로 모시고, 태조 성한왕 다음에 애장왕의 고조할아버지까지 모시는 새로운 5묘제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정책은 모두 숙부인 김언승과 김수종의 영향력 하에서 행해진 정책들이었다.

그러나 애장왕이 계속 숙부들에게 이용만 당했냐 하면 그것은 아니었다. 애장왕은 10대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의욕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805년 8월, 애장왕은 <율령세칙> 20여 조를 반포하여 율령 체제를 확고히 하는 것을 대내외에 천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지만 《삼국사기》 <직관지>를 보면

"혜공왕 대에 원래대로 복구되었던 관제가 애장왕 대에 이르러 경덕왕 시절의 체제로 회귀했다"

는 식의 기사가 있다. 이로 미루어보면 당시 애장왕이 내린 세칙에는 관제 개혁과 관련한 내용이 상당수 있었을 것이며, 혜공왕 시해 이후로 비대해진 진골 귀족들의 힘을 누르고, 경덕왕이 지향했던 유교 이념 중심의 전제군주제를 목표로 삼았다는 것을 추정해볼 수 있다.

나름대로 숙부들을 견제할 생각이었는지 태종 무열왕 방계 왕족김헌창시중에 임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김헌창은 열조 원성왕에게 밀려 왕위 계승에서 탈락한 김주원의 아들이었는데 김헌창을 시중에 앉힌 것은 김헌창을 대표로 하는 무열왕 방계 왕족들의 힘을 키워서 숙부들을 견제하고, 자기 세력을 키우려는 행동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김헌창은 시중의 직무는 별 탈 없이 잘 수행했던 것 같다.

당시 규모가 커짐에 따라 폐단이 심화된 불교계에도 제동을 거는데 806년

"사원의 창건은 금지하고 수리만 허락하며 불교 행사에 화려한 사치품 사용을 금한다"

는 교서를 내린다. 이는 당대에 폐단이 심각해지던 불교계에 대해 제동 조치를 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방 행정에도 손을 대서 808년 12방면으로 사자를 파견해 여러 군읍의 경계를 획정했다. 행정 구역 획정을 어떻게 했는지 자세한 사항은 전해지지 않지만 행정 구역 개편을 위한 조치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신문왕 이후 확정되었던 지방 행정 구역이 신라 하대의 정치적 혼란으로 붕괴되자 이에 대한 개선으로 시행한 것이다. 이렇듯 성장해 가면서 당대 사회의 문제를 직시하는 등 패기있고 의욕넘치는 청년 군주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애장왕(哀莊王) 5년 여름 5월에 일본국이 사신을 보내와 황금 300량을 바쳤다.

(五年夏五月, 日本國遣使, 進黃金三百兩.)

삼국사기》 <애장왕 본기>

일본과의 관계도 이전보다 많이 회복되었는지 서기 804년에는 일본에서 사신을 보내와 황금 300량을 신라에 바쳤고, 꾸준히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 왕위 계승의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여러모로 왕권 강화를 위해 애쓴 흔적이 많이 엿보인다.

애장왕의 왕권 강화책은 애장왕 즉위시 섭정을 했던 숙부 김언승과 김제옹의 입장에서 보면 불편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숙부 김언승이 809년 김제옹[3]과 함께 일으킨 반란에 휘말려 처형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이때 동생인 김체명도 애장왕을 지키다가 권력에 눈이 돌아간 숙부들에게 같이 처형당했다는 점. 결국 애장왕의 형제 중 살아남은 건 김수종과 혼인한 딸[4] 1명 뿐이었다.


3. 기타[편집]


  •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서 숙부들의 섭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뒷날 고려의 제14대 헌종이나 조선의 제6대 단종과 비슷한 유형의 왕으로 볼 수 있겠지만[5]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성년때까지도 보위에 있었고, 성년이 되어서 뚜렷한 정치적 목표를 가지고 과감한 개혁 정책을 펼치다가 결국 숙부에게 목숨을 잃어버린 비운의 청년 군주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미완의 명군. 애장왕을 죽이고 집권한 헌덕왕 때는 김헌창의 난과 같은 대규모의 내란을 겪었고, 연이은 천재지변도적떼까지 창궐하며 민심이 흉흉해진다. 더군다나 이를 극복해야 하는 헌덕왕은 불혹의 나이를 지난 노신과 거문고를 타고 놀거나 연회를 벌이는 등 암군으로서의 행보를 보인 탓에 신라의 혼란과 쇠락은 이후 제45대 신무왕 김우징이 정리하기 이전까지는 더욱 가속화되어 간다.

  • 최치원의 《석순응전》과 《석이정전》에 의하면 애장왕 3년인 802년 10월 16일에 옛 대가야 왕실의 후예인 승려 순응과 이정을 지원해 해인사를 창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왕비(당시에는 후궁) 박씨가 등창으로 고생하고 있을 때 순응과 이정이 낫게 해준 것에 대한 답례로 애장왕이 절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해인사가 위치한 가야산은 옛 대가야의 영역으로 대가야 왕족을 통해 해인사를 창건하도록 한 건 대가야계 유민에 대한 유화책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만 기록 자체가 신화적인 요소가 강해 모든 부분이 사실인지는 알 수가 없다.[6]


4. 《삼국사기》 기록[편집]


삼국사기(三國史紀)
[ 본기(本紀) ]

1권 「신라 1권 (新羅 一)」2권 「신라 2권 (新羅 二)」
박혁거세 · 박남해 · 박유리 · 석탈해 · 박파사 · 박지마 · 박일성박아달라 · 석벌휴 · 석내해 · 석조분 · 석첨해 · 김미추 · 석유례 · 석기림 · 석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4권 「신라 4권 (新羅 四)」5권 「신라 5권 (新羅 五)」
김내물 · 김실성 · 김눌지 · 김자비 · 김소지김지대로 · 김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8권 「신라 8권 (新羅 八)」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고주몽 · 고유리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27권 「백제 5권 (百濟 五)」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부여의자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열전(列傳) ]

41-43권 「열전 1-3권」44권 「열전 4권」
김유신 ,김원술 · 김윤중 · 김윤문 · 김암,을지문덕 · 거칠부 · 거도 · 이사부 · 김인문 ,김양도, · 김양 ,김흔, · 흑치상지 · 장보고 · 정년 · 사다함
45권 「열전 5권」46권 「열전 6권」
을파소 · 김후직 · 녹진 · 밀우 · 유유 · 명림답부 · 석우로 · 박제상 · 귀산 · 온달강수 · 최치원 · 설총 · 최승우 · 최원위 · 김대문
47권 「열전 7권」
해론 · 소나 · 취도 · 눌최 · 설계두 · 김영윤 · 관창 · 김흠운 · 열기 · 비녕자 · 죽죽 · 필부 · 계백
48권 「열전 8권」
향덕 · 성각 · 실혜 · 물계자 · 백결선생 · 검군 · 김생 · 솔거 · 지은 · 설씨 · 도미 · 필부
49권 「열전 9권」50권 「열전 10권」
창조리 · 연개소문궁예 · 견훤




一年夏六月 애장왕의 가계와 즉위
一年 당나라가 소성왕을 책봉하다
一年秋七月 왕이 이름을 중희로 바꾸다
一年秋八月 양열을 두힐현 소수에 임명하다
양열이 제수된 이유
二年春二月 시조 묘를 배알하다
二年春二月 오묘를 정리하다
二年春二月 언승을 상대등으로 삼다
二年春二月 대사면을 하다
二年夏五月一日 일식이 예정되었으나 일어나지 않다
二年秋九月 형혹이 달에 들어가고 별이 비처럼 쏟아지다
二年秋九月 무진주에서 붉은 까마귀를 진상하다
二年秋九月 우두주에서 흰 꿩을 진상하다
二年冬十月 큰 추위가 있어 소나무와 대나무가 모두 죽다
二年冬十月 탐라국에서 조공을 보내다
三年春一月 왕이 친히 신궁에 제사지내다
三年夏四月 김주벽의 딸을 후궁으로 들이다
三年秋七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年秋八月 가야산 해인사를 창건하다
三年秋八月 삽량주에서 붉은 까마귀를 진상하다
三年冬十二月 균정을 인질로 보내려 하나 사양하다
四年夏四月 왕이 남교에 가서 보리 농사를 살피다
四年秋七月 일본과 우호를 맺다
四年冬十月 지진이 일어나다
五年春一月 수승을 시중으로 삼다
五年夏五月 일본이 사신을 파견해 황금을 바치다
五年秋七月 알천 가에서 열병하다
五年秋七月 삽량주에서 흰 까치를 진상하다
五年秋七月 임해전을 중수하고 동궁 만수방을 새로 짓다
五年秋七月 우두주에서 돌이 일어서다
五年秋七月 웅천주에서 물이 핏빛으로 변하다
五年秋九月 망덕사의 두 탑이 부딪치다
六年春一月 왕이 어머니와 왕비를 봉하다
六年 당 덕종이 돌아가 순종이 즉위하기, 순종이 왕과 대비, 왕비를 책봉하다
六年秋八月 공식 20여 조를 반포하다
六年冬十一月 지진이 일어나다
七年春三月 일본 사신이 와서 만나다
七年春三月 사찰 창건과 불사에 대한 금령을 제정하다
七年春三月 김헌충이 당에서 귀국하다
七年秋八月 사신을 보내 입당 조공하다
八年春一月 김헌창시중으로 삼다
八年春二月 왕이 숭례전에서 주악을 감상하다
八年秋八月 큰 눈이 내리다
九年春二月 일본에서 사신이 오다
九年春二月 김력기가 당에서 소성왕의 책서를 받아오다
九年春二月 군읍의 경계를 나누어 정하다
九年秋七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十年春一月 달이 필성을 범하다
十年夏六月 서형 산성의 소금 창고가 소 울음 소리를 내다
十年夏六月 벽사의 두꺼비가 뱀을 잡아먹다
十年秋七月 김육진을 당에 보내 사은을 하고 방물을 바치다
十年秋七月 크게 가물다
十年秋七月 언승과 제옹이 왕을 시해하다.


5. 같이보기[편집]




6.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9:10:46에 나무위키 애장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호에 '슬플 애'(哀)가 들어가는데 그의 비극적인 삶을 나타내준 셈.[2] 종묘에서 옮기지 않는 자리. 열조 원성왕이 사실은 내물왕계라기보다는 무열왕 여계이므로 5묘에서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을 옮기지 않았다는 주장도 불천위론으로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다.[3] 김제옹은 훗날 희강왕이 되는 김제륭의 다른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4] 장화부인으로 사후 정목왕후.[5] 고려의 헌종은 조선의 이방석에 비슷해서 애장왕하고 비슷하다고 보기는 힘들다.[6] 등창을 낫게 해준 이야기부터가 신화적 요소가 강하다. 두 스님이 선정에 들자 붉은 빛이 스님의 이마에서 뿜어져 나와 하늘로 치솟았다. 이로 인해 왕궁에까지 소문이 퍼지자 치료법을 알려주었는데 궁궐 뜰 앞의 배나무에 실 한쪽 끝을 매고 나머지 한쪽 끝은 왕비의 등창에 가져다 대라는 주술적인 처방이었다. 시킨대로 했더니 과연 배나무가 말라죽고 왕비의 등창이 나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