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경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
박남해박유리박일성김알지
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
박파사박지마석골정석날음
태손

석조분
내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진흥왕무열왕
석우로김눌지김동륜김법민
문무왕신문왕성덕왕성덕왕
김정명김이홍김중경김승경
효성왕경덕왕원성왕원성왕
김헌영김건운김인겸김의영
원성왕소성왕헌덕왕
김준옹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흥덕왕신무왕문성왕경문왕
김충공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진성여왕신덕왕경순왕
김요박승영김일





성덕왕의 태자
효상태자 | 孝殤太子
출생
(음력)
연대 미상
신라 금성
사망
(음력)
717년
신라 금성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태자
715년 12월 ~ 717년 6월 (1년 7개월)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중경(中慶)
부모부왕 성덕왕
모후 성정왕후
형제동복형제 김사소
이복형제 김승경, 김헌영
종교불교
시호효상태자(孝殤太子)
작위왕태자(王太子)
골품진골(真骨)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신라왕족. 신라 제33대 왕 성덕왕성정왕후의 장남. 사소부인의 동복 남매이자 34대 효성왕, 35대 경덕왕의 이복 형이다.


2. 생애[편집]


성덕왕의 원자(元子)이다. 어머니는 승부령(乘府令) 소판(蘇判) 김원태(金元泰)의 딸 성정왕후(成貞王后)[1]이다.

성덕왕 14년(715년) 김중경을 태자로 책봉하나, 성덕왕 15년(716년) 왕비이자 태자의 친모 성정왕후를 출궁시킨다. 이 즈음에 성덕왕의 왕권강화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불과 태자 책봉 1년 뒤에 모후가 폐위된 여파인지 성덕왕 16년(717년) 태자 중경은 세상을 떠난다.[2] 참고로 상(殤)은 일찍 죽었다는 뜻이다.

이후 이찬 순원[3]의 딸을 왕비[4]로 삼았고, 성덕왕 23년 왕자 승경을 태자로 삼았다. 이로서 김순원 가문에서 배출된 왕자들이 신라의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중국에서 활동한 신라 출신 승려 김교각과 김중경이 동일인이라는 설이 불교계와 인터넷상에 널리 퍼져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김교각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2:44:34에 나무위키 김중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혹은 엄정왕후(嚴貞王后)라고도 한다.[2] 6월에 태자(太子) 중경(重慶)이 죽었는데, 시호를 효상(孝殤)이라 하였다. 『삼국사기』[3] 효소왕 대에 이찬 경영의 난에 연좌되어 파면된바 있다.[4] 이찬 순원의 딸을 왕비로 삼았다. 『삼국사기』 성덕왕 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