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심(인사이드 아웃 시리즈)

최근 편집일시 : (♥ 0)




소심[1]
Fear
상징색보라색
성우파일:미국 국기.svg 빌 헤이더, 제이슨 제이 루이스(디즈니 인피니티), 토니 헤일 (2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훈[2]
파일:대만 국기.svg 李勇(리용)[3]
파일:일본 국기.svg 오치아이 코지
좋아하는 것라일리, 기쁨, 슬픔[4], 까칠, 버럭, 라일리의 행복
싫어하는 것라일리의 불행,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

1. 개요
2. 특징
3. 작중 행적
4. 여담



1. 개요[편집]


Thank you, Joy. But I'll have you know I'm not scared of everything.

고마워 기쁨아, 하지만 내가 모든 걸 다 무서워하는 게 아니라는 건 알아둬야 할 것 같아.

- 미국판 예고편 "Shoes of doom"[5]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 라일리 앤더슨의 감정 중 3번째로 등장한 감정으로, 주 담당 영역은 두려움과 놀라움[6].


2. 특징[편집]


기본적으로 안전주의자. 하지만 정도가 지나쳐서 뭐든 겁부터 먹는다. 기쁨의 설명으로는 라일리를 안전하게 보호한다는 중요한 역할이지만 작중에선 소리지르고 숨고 쓰러지는 겁쟁이스러운 모습으로 나온다. 반면 다칠 일이 없는 꿈 보는 일을 할 때는 당당하게 행동한다.[7] 피트 닥터 감독이 밝힌 모티브는 신경세포.


3. 작중 행적[편집]



3.1. 인사이드 아웃[편집]


Does anyone know how to spell 'meteor'?

누구 '유성' 쓸 줄 아는 사람?

기쁨이가 라일리의 새 학교 첫 날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최악의 상황 리스트를 써달라고 했을 때, 유성을 뜻하는 meteor의 철자를 물어본다. 학교에 유성이 떨어지는 상황까지 고려하려고 했던 것.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라일리 머리에 불이 날 수도 있을 거라고 말했다.

난 그만둘래, 전부 포기할 거야. 물론 비겁한 일이라는 건 나도 아는데, 비겁해야지 살아남는단 말이야.(한국어 더빙)

이후 라일리의 가출로 인해 상황이 점점 심각해지자 짐을 싸서 감정 컨트롤 본부를 이탈하려 한다. 물론 결과는 당연히 처절한 몸개그와 함께 실패. 이때 까칠이는, "Emotions can't quit, genius."(감정은 일 그만 못 두거든(한국어 더빙))이라고 말하며 깐다.

버럭아... 이건 아닌 거 같...

(버럭이: 꺼져!)

아악!

- 버럭이한테 경고를 하려다가 쳐맞고 몸개그를 찍을 때의 대사 패턴

버럭이한테 눈치없이 말을 걸다가 버럭이한테 맞아서 몸개그가 나오거나 아예 화면 밖으로 튕겨나가는 등의 개그 캐릭터로서의 역할만 하는 듯하지만 사실 제일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캐릭터다. 기쁨이의 역할을 대신하자는 것, 핵심 기억이 전부 사라져버린 상황에서 하키에 대한 기억을 대신 포트에 넣어 조금이라도 하키 시합을 할 수 있게 하는것, 버럭이 폭주하며 미네소타로 돌아가자는 발상을 떠올릴때 여러 위험 요소를 지적하며 유일하게 작전에 반대한 감정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기쁨과 슬픔이 사라진 라일리를 그나마 무난하게 이끌 수 있는 감정이다. 확실히 기쁨이 만큼은 아니지만 소심이가 제어판을 잡을 경우 그냥 좋지는 않지만 나쁘지도 않은 무난한 결과가 나오는 듯하다.[8]

작중 빙봉을 보자마자 바로 알아본 유일한 감정이다.[9] 다만 빙봉을 보고 반가워하기보단 쟨 왜 여기서 갑툭튀하냐는 반응만 보이고 끝(...).


3.2. 인사이드 아웃 2[편집]


2편에서는 활약이 돋보이는데, 기쁨이, 버럭이, 까칠이하고 같이 추락하자 자기를 붙잡으라고 하며 낙하산을 펼쳤다. 까칠이가 낙하산 가지고 있었냐며 놀라자, 너희는 왜 챙길 생각도 안 했냐고 되묻는 건 덤. 참고로 2편에서 공개된 잠옷은 보라색 아기옷 + 수면모자 차림.


4. 여담[편집]


초기 설정에서 소심이 원래 슬픔의 역할로 나올 예정이었다고 한다. 즉, 기쁨이와 함께 본부를 이탈하는 것은 슬픔이가 아닌 소심이었으며, 여기서 기쁨이는 소심이를 더 심하게 구박했었다. 선술한 무난한 결과를 내는 점이 초기 설정에서는 꽤나 부각되었으며 이 때문에 기쁨이가 괜히 소심이를 질투하기도 했다. 해당 구도는 2탄에서 기쁨 vs 불안의 구도로 재현된다.


[1] 본래 이름인 Fear는 공포심, 두려움을 뜻하기에 '소심'이라는 번역명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본어판에서는 ビビリ('쫄다'를 뜻하는 びびる의 명사형으로 '겁쟁이', '쫄보'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다.), 대만 중국어판은 驚驚(놀랄 경, 자기 이름이 불릴 때, 꺈꺈이라고 불리는데, 중국어가 아닌 대만어다), 대륙중국어판에서는 怕怕(두려워할 파; '두려움이')라 번역했다.[2] 까칠이 역의 이지현 성우랑 실제로 부부사이다.[3] 주음부호는 ㄌㄧˇ ㄩㄥˇ[4] 인사이드 아웃 1 초반에는 슬픔이 답답한 모습을 보여주어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나, 슬픔이가 라일리의 가출을 막은 후 인식이 바뀌어 친하게 지낸다.[5]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 장면임에도 영문판 디즈니 위키에 메인 대사로 게시되어 있다.[6] 인사이드 아웃 제작의 자문을 맡은 심리학자 폴 에크만이 주장한 6가지 기본감정 중 놀람을 일부 포함하는 듯 하다. [7] 감정 제어판에 발을 올리고 앉거나 연기 못한다고 깐다. 그런데 커피 마시면서 꿈을 여유있게 관람하다가 출연한 개가 반으로 쪼개져서(실상은 기쁨과 슬픔이 개 복장을 한 것이었는데 앞부분을 맡은 기쁨과 뒷부분을 맡은 슬픔이 서로 떨어지면서 복장이 반으로 쪼개진 것) 각자 돌아다니자 커피를 뿜으면서 놀라고 부들부들 떨면서 "이건 꿈이야...이건 꿈이야..."라고 한다. 그러다가 거대 광대가 등장하자 아예 기절해 버린다.[8] 때문에 기쁨과 슬픔이 본부에서 이탈한 뒤로 기쁨의 대역을 까칠이 해보았으나 관두었고 소심에게 대신 해보라 했을 때 까칠이 "아주 자연스럽네. 기쁨이랑 진짜 똑같았어.(한국어 더빙)"라고 말했다. 물론 반쯤은 비꼬는 대사다.[9] 빙봉과 연관된 추억이 많은 기쁨의 경우 바로 알아보지 못했고, 슬픔은 아예 쟤 누구야 하는 식의 반응부터 보였다. 상상의 친구는 유아가 혼자 있을 때의 불안함을 극복하고자 만드는 대상이라서, 불안과 관련 깊은 감정인 소심이는 빙봉을 바로 알아본 듯. 기쁨은 빙봉과의 추억이 많아서 바로는 아니라도 곧 알아봤고, 슬픔은 보다 성숙한 정서와 취향을 담당하는 감정이라서 유년기의 상징인 빙봉을 못 알아본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사이드 아웃/등장인물 문서의 r15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인사이드 아웃/등장인물 문서의 r15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