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베어스/2023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두산 베어스

파일:두산 베어스 원정 심볼.svg두산 베어스
역대 시즌
(OB 베어스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1위
5위3위4위3위
제1대 김영덕제2대 김성근
19871988198919901991
4위5위5위7위8위
제2대 김성근제3대 이광환제4대 이재우
19921993199419951996
5위3위
7위1위
8위
제5대 윤동균제6대 김인식
19971998199920002001
5위4위
3위
2위
1위
제6대 김인식제6대 김인식
20022003200420052006
5위7위3위
2위
5위
제6대 김인식제7대 김경문
20072008200920102011
2위
2위
3위
3위
5위
제7대 김경문7대 김경문
20122013201420152016
3위
2위

6위1위
1위
제8대 김진욱제9대 송일수제10대 김태형
20172018201920202021
2위
2위
1위
2위
2위

제10대 김태형
20222023202420252026
9위5위
제10대 김태형제11대 이승엽



||



2023년도 두산 베어스 홈경기 누적 관중 수[1]
구장경기 수누적 관중 수평균 관중 수총 관중 순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73[2]969,56213,2823위

두산 베어스 2023 시즌
파일:2023 두산 캐치프레이즈.png
TEAM DOOSAN! 2023
최종 순위
5위
승률
7426812.00.521

1. 스토브리그와 선수단 변화
2. 시범경기
3. 시즌 전망
4. 정규시즌
5. 정규시즌 순위
5.1. 순위
5.2. 정규시즌 상대, 구장전적 등
5.2.1. 상대 전적
5.2.2. 월 별 전적
5.2.3. 요일 별 전적
5.2.4. 경기장 별 전적
6. 정규시즌 도중 바뀐 점
6.1. 코칭스태프 이동
6.2. 트레이드
6.3. 선수 영입
6.4. 선수 방출
7. 정규시즌 시구자 목록
8. 정규 시즌 총평
9. 포스트시즌
10. 시즌 결산
10.1. 시즌 최종 순위
10.2. 시즌 팀 및 개인 기록
11. 2024년 KBO 신인드래프트
12. 시즌 후
13. 둘러보기



1. 스토브리그와 선수단 변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시범경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시범경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시즌 전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시즌 전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정규시즌[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2023 시즌 순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승률승차연속
1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144865620.606-1승
2파일:kt wiz 엠블럼.svg
144796230.5606.53승
3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144766530.5399.52승
4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144756720.528112패
5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144746820.521123패
6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144736920.514132승
7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144687600.472191승
8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144618110.42725.54패
9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144588060.420261패
10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44588330.41127.55패
순위 출처: KBO 공식 웹사이트
2023 한국시리즈 우승
2023 한국시리즈 진출
2023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시즌 후반부 2연전이 폐지된 영향으로, 홈 72경기, 원정 72경기를 치렀던 기존 시즌과 달리 2023년에는 홈 73경기, 원정 71경기를 치른다. 홈에서 SSG, kt, KIA, NC, 삼성과는 9번 만나고, 키움, LG, 롯데, 한화와는 7번 만난다. 2024년에는 이와 정반대가 된다.

4.1. 4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4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5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5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6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6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7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7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8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8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6. 9~10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9~10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정규시즌 순위[편집]



5.1. 순위[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승률승차연속
1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144865620.606-1승
2파일:kt wiz 엠블럼.svg
144796230.5606.53승
3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144766530.5399.52승
4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144756720.528112패
5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144746820.521123패
6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144736920.514132승
7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144687600.472191승
8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144618110.42725.54패
9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144588060.420261패
10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44588330.41127.55패
순위 출처: KBO 공식 웹사이트
2023 한국시리즈 우승
2023 한국시리즈 진출
2023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5.2. 정규시즌 상대, 구장전적 등[편집]



5.2.1. 상대 전적[편집]


두산 베어스 2023년 팀 별 상대 전적
상대 팀 전적 승률 승패마진 우열 비고 잔여경기
SSG 랜더스4승 1무 11패.267-7절대열세[3][4]경기 완료
키움 히어로즈12승 0무 4패.750+8절대우세[5][6]경기 완료
LG 트윈스5승 0무 11패.313-6절대열세[7][8]경기 완료
kt wiz5승 1무 10패.333-5절대열세[9][10]경기 완료
KIA 타이거즈12승 0무 4패.750+8절대우세[11]경기 완료
NC 다이노스8승 0무 8패.5000백중세[12][13]경기 완료
삼성 라이온즈11승 0무 5패.688+6절대우세[14]경기 완료
롯데 자이언츠7승 0무 9패.438-2열세[15]경기 완료
한화 이글스10승 0무 6패.625+4우세[16][17]경기 완료
총합74승 2무 68패.521+6순위: 5승차: 12.0경기 완료


전형적인 강약약강의 상대전적을 보였으며[18] 이 중 두산이 LG, kt, SSG에게 절대열세를 보이면서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가지 못한 원인이 되었다.[19] LG, kt, SSG에게 빼앗긴 승수를 키움과 KIA, 삼성 상대로 거뒀지만 적자 메우기에 가까웠으며 이 때문에 두산이 시즌 막판 순위 싸움에 주도권을 가져가지 못하며 겨우 5위에 턱걸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20]

5.2.2. 월 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달,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달,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두산 베어스 2023년 월 별 전적
전적순위승패마진승률
4월12승 1무 11패5위+1.522
5월11승 0무 11패 4위0.500
6월10승 0무 14패6위-4.417
7월11승 0무 5패3위+6.688
8월10승 0무 13패6위-3.435
9월15승 1무 6패4위+9.714
10월5승 0무 8패5위-3.385
최종성적74승 2무 68패5위+6.521

5.2.3. 요일 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요일,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요일,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1 이하일 경우다.

두산 베어스 2023년 요일 별 전적
요일전적요일전적
화요일16승 0무 7패금요일14승 0무 9패
수요일7승 1무 15패토요일13승 0무 11패
목요일10승 0무 11패일요일12승 1무 13패
추가경기월요일2승 0무 2패
최종성적74승 2무 68패

5.2.4. 경기장 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경기장,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경기장,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같을 경우다.

두산 베어스 2023년 경기장 별 전적
홈경기
잠실37승 1무 35패
원정경기
원정경기 총합37승 1무 33패
사직2승 0무 4패울산2승 0무 1패
대구2승 0무 2패포항3승 0무 0패
광주6승 0무 1패군산예정 없음
대전5승 0무 4패청주예정 없음
잠실 원정3승 0무 6패
고척7승 0무 2패
수원2승 0무 5패
문학2승 1무 4패
창원3승 0무 4패
최종성적74승 2무 67패


6. 정규시즌 도중 바뀐 점[편집]



6.1. 코칭스태프 이동[편집]


2023년 시즌 중 코칭스태프 변경
이름 등번호 기존 보직 변경 보직날짜
정재훈731군 투수코치2군 투수코치6월 11일
권명철822군 투수코치1군 투수코치
김지용2투수2군 불펜코치[21]7월 28일

6.2. 트레이드[편집]


2023년 시즌 중 트레이드 선수
원 소속팀 선수명 선수명 원 소속팀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강진성김정우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6.3. 선수 영입[편집]


2023년 시즌 중 영입 선수
선수명 등번호 포지션 비고
브랜든48투수딜런 파일의 대체 선수

6.4. 선수 방출[편집]


2023년 시즌 중 방출 선수
선수명 등번호 포지션 비고
딜런33투수외국인 투수 교체
신창희38포수
신성현5내야수은퇴
이정원112투수은퇴

7. 정규시즌 시구자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2023년/시구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정규 시즌 총평[편집]


절반의 성공을 거둔 시즌. 두산 팬덤과 타 팀 팬덤(특히 삼성 팬덤)에게 있어서 평가가 극도로 갈리는 시즌이다. 두산 팬덤 사이에서는 시즌 말미 연거푸 지며 순식간에 시즌이 끝나버려서 좋지 못했던 시즌으로 혹평받으나, 타 팀 팬덤에게 있어서는 약화된 전력에도 불구하고 리빌딩에 바로 성공하며 삼성같은 암흑기는 피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는 있었던 시즌으로 여겨진다. 9위에 그쳤던 지난해에 비해 네 단계 올라온 5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하면서 2015년 이후의 삼성의 모습은 피했으나 3위 코앞의 문턱에서 연패로 인해 5위로 떨어지고 문제점이 너무 많이 속출하고 이승엽 감독 선임마저 실패로 돌아갔고 힘겹게 온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처참한 경기력만 보여주며 아쉬운 결말을 맺게된 시즌이 되어버렸다. 상술한 대로 2015년 이후의 삼성의 모습은 피했지만, 2020년의 LG 트윈스가 오버랩되는 엔딩을 맞이했다.

두산의 전성기를 이끌던 선수들이 대거 유출되고, 남은 선수들도 이제는 노쇠화가 눈에 띄고 있다[22]. 설상가상으로 그들을 대체할 선수들의 성장세도 매우 더디다. 결국 이런 문제점이 극에 달하고 9위를 기록한 지난해를 기점으로 두산도 2015년 이후의 삼성처럼 하위권을 전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많았던 걸 생각해보면 올해의 성과가 절대 나쁜 건 아니다. 이승엽의 두산은 유일하게 피타고리안 승률(6위)보다 상위 순위(5위) 기록한 팀이고, 팀 합산 war(5위)에 걸맞는 시즌 성적을 올렸다는 점에서 결과로 보여주는 야구는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팀 최다 연승인 11연승, 하위권에서 3위까지 치고 올라가는 등 1년 만에 우려를 뒤엎을 희망적인 상황을 여러 차례 연출했음에도 마지막 10경기 순위경쟁에서 중요한 순간마다 능력의 한계를 보이는 경기를 펼치며 결국 5위라는 성적을 받은 것에 대한 큰 아쉬움은 어쩔 수 없고, 이러한 아쉬움이 팬들의 야유로 돌아왔다. 차라리 처음부터 5위를 두고 치열하게 싸워 승리해 5위로 시즌을 마쳤다면 호평으로 남았겠지만, 3위가 가능했던 상황에서 5위로 시즌을 마친다는 것은 선수단에게도, 팬들에게도 진한 아쉬움이 되었다.

이렇게 이승엽 부임 이후 두산 만의 팀컬러와 미라클이 사라졌다는 의견이 골수 팬덤 사이에서 나타나는 것이 비판의 주된 이유다. 아무리 양의지, 알칸타라, 브랜든 등 양질의 전력보강이 있었고 이 선수들이 모두 제 몫을 했다지만 지난해 9위까지 떨어진 막장 상태의 팀을 프로 지도자 경혐이 전혀 없는 초임 감독치고는 준수한 성과임에도 이승엽 감독에 대한 골수팬들의 평가는 좋지 못하다[23].

투수진면에서 김동주라는 앞으로 두산 선발진을 이끌어 갈 젊은 선발 유망주를 발굴해 내었으며, 알칸타라와 브랜든를 필두로 붕괴된 선발진이 작년의 처참한 성적에 비해[24] 올시즌 완벽한 부활에 성공했다는 점, 필승조 라인의 탄탄함은 부족하지만 불펜진 역시 작년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한 점[25]에서 투수진의 재정비라는 과제는 그나마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다. 야수진 역시 작년보다 모든 부분에서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26] 로하스-양의지-양석환으로 이어지는 클린업의 선전, 박준영이라는 카드의 성장, 정수빈과 김재호의 부활은 올시즌 두산의 미라클이 삼성, SK와 다르게 부흥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었다.

그러나 필승조 정철원-홍건희가 시즌 후반이 되자 점점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며 결국 김강률, 김명신에게까지 마무리를 맡겨야 했며, 5선발은 시즌이 끝날 때까지도 숙제로 남았다. 또한 올 시즌 타선은 시즌 내내 리그 최약체급의 물빠따를 선보이며 팀의 발목을 잡았다. 그나마 사람답게 한 선수는 양의지, 도루왕을 차지하며 부활한 정수빈, FA를 앞두고 감이 살아난 양석환 정도. 김재환은 올해도 부활에 실패하며 먹튀의 오명을 벗지 못했고, 이제는 은퇴를 바라보아야 할 김재호가 유격수 자리에서 팀 내 승리기여도 1위라는 점[27], 시즌 전 이유찬으로 점찍은 2루는 강승호가 1.4의 승리기여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는 점, 무엇보다 제대로 된 젊은 야수가 단 하나도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내년 두산이 준비해야할 부분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특히 팀내 최고참인 김재호의 대체자가 박계범, 이유찬, 안재석... 너무나도 붕괴된 상황이라 김재호에게 휴식을 줄 기회가 흔치 못했고, 결국 시즌 막판에 한계를 보이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작년에 좋은 모습을 보여줘 처참한 성적을 찍은 작년 팬들에 위안이 되었던 김민혁, 김대한, 송승환 등도 오히려 퇴보된 모습만 보여준 것도 덤.

올 시즌은 성공이냐 실패냐를 종합적으로 따진다면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라고 정리할 수 있다. 작년 9위라는 성적을 뒤로하고 가을 야구라는 1차 목표와 선수단 재정비라는 목표는 달성했으나 성적과는 별개로, (부임 1년차로 아직 야수진의 세대교체를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시즌이 진행됨에도 특별하게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가 눈에 띄지 않는 점, 스몰볼로 대표되는 이승엽 감독의 지도력에도 물음표가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준다.

또한 옆집 팀인 LG 트윈스가 29년 만에 페넌트레이스-한국시리즈 통합우승에 성공하면서, 두산에 또 한번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두산이 2015년 14년 만에 한국시리즈를 우승했던 당시 LG도 똑같은 평가를 받았던 것[28]으로, 당시 LG와 현재 두산의 문제점이 포스트시즌 진출을 빼면 놀랍도록 흡사한 지라[29]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2024 시즌의 당락을 결정지을 것이다.

9. 포스트시즌[편집]


자세한 사항은 KBO 리그/2023년 포스트시즌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3년를 참고 바람.

10. 시즌 결산[편집]



10.1. 시즌 최종 순위[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승률승차연속
1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144865620.606-1승
2파일:kt wiz 엠블럼.svg
144796230.5606.53승
3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144766530.5399.52승
4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144756720.528112패
5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144746820.521123패
6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144736920.514132승
7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144687600.472191승
8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144618110.42725.54패
9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144588060.420261패
10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44588330.41127.55패
순위 출처: KBO 공식 웹사이트
2023 한국시리즈 우승
2023 한국시리즈 진출
2023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2023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10.2. 시즌 팀 및 개인 기록[편집]



11. 2024년 KBO 신인드래프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명자 명단
라운드(순번) 지명자 출신학교 포지션 투구-타석 계약금 비고
1R(2)김택연인천고투수우투우타3억 5천만원
2R(12)여동건서울고내야수우투우타1억 5천만원
3R(22)임종성경북고내야수우투우타1억원
4R(32)강태완대구상원고외야수좌투좌타8천만원
5R(42)박지호장안고 - 동강대투수좌투좌타6천만원
6R(52)전다민설악고 - 강릉영동대내야수우투좌타6천만원
7R(62)김무빈신일고투수좌투좌타5천만원
8R(72)손율기마산용마고외야수우투좌타3천만원
9R(82)김태완선린인터넷고투수우투우타3천만원
10R(92)류현준장충고포수우투우타3천만원
11R(102)안치호세광고투수좌투좌타[30]

12. 시즌 후[편집]



팬들의 여론을 의식했는지 결국 구단 홈페이지와 공식 SNS 계정에 사과문이 올라왔다.# 하지만 사과문의 내용이 '더 높은곳으로 올라가지 못해 죄송하다'며 팬들의 여론이 왜 이렇게까지 험악해졌는지 이해하지 못한 구단 프런트의 모습으로 여론만 더 악화시키고 있다.

해당 사과문 내용대로라면 두산의 팬들은 작년 9위를 한 팀이 올해 5위를 했지만, 성적이 불만족 스럽다는 이유만으로 욕을 하는 몰상식한 팬으로 보인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31]

작년 9위의 팀을 5위로 올려놓은건 물론 잘 한 일이지만, 애초에 전력이 약화될 대로 약화된 작년 전력 그대로 시즌을 치를 것이면 감독과 코치진의 교체가 굳이 왜 필요했는지 의문이며, 이승엽 감독 부임 후 선수 발굴은 커녕 제대로 기회를 받은 선수는 '양아들 라인'이라 불리는 1호 이유찬, 2호 조수행, 3호 박계범뿐이고, 성적을 떠나 경기 운영, 선수 운용, 사라진 두산의 팀 컬러 등 모든 측면에서 이도 저도 아닌 모습 때문에 여론이 최악으로 간 측면이 크기에 사과문을 올릴 것이면 이승엽 감독이 고개를 숙이거나 김태룡 단장이 고개를 숙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이다.[32]

13. 둘러보기[편집]


||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8:51:59에 나무위키 두산 베어스/2023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관중수 확인하는 곳: https://www.koreabaseball.com/History/Crowd/GraphTeam.aspx[2] 2023 시즌부터 2연전 폐지와 2021 시즌 2위로 인해 홈 73경기를 치른다.[3] 9.27 열세 확정[4] 2년 연속 열세[5] 8.22 우세 확정[6] 2년 연속 우세[7] 8.31 열세 확정[8] 2년 연속 열세[9] 8.17 열세 확정[10] 5년 연속 열세[11] 9.15 우세 확정[12] 9.24 우세 불가[13] 2년 연속 동률[14] 9.10 우세 확정[15] 10.11 열세 확정[16] 8.11 우세 확정[17] 5년 연속 우세 [18] 다만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한 롯데한테는 열세였다.[19] 특히 LG 상대로 상대전적이 2승 9패로 몰리면서 하마터면 가을 야구 경쟁에 빨간불이 켜질뻔 했지만 남은 5경기 중 3승을 거두면서 가을 야구 탈락을 간신히 모면했다.[20] 이는 반대로 말하면 키움과 KIA, 삼성 상대로 조금이라도 승수를 못거뒀다면 가을 야구에 가지 못했다는 뜻도 된다. 실제로 5위 두산과 6위 KIA랑 불과 1게임차였다.[21] 플레잉코치[22] 김재호와 양의지는 곧 은퇴를 앞둔 시점이다. 특히 김재호는 내년이면 불혹에 단 1년만을 남겨두고 있고 무엇보다 운동량이 극심한 유격수라는 점에서 대체자가 시급한 상황이다. 양의지 역시 예전의 공격력을 기대하기는 무리인 상황이고 포수로서도 뛸 수 있는 기한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면 고민거리가 이만저만이 아니다.[23] 현재 두산 팬들은 두산의 포스트시즌 진출및 한국시리즈 우승과 같은 실력을 통해 팬덤으로 유입되었고 위태위태한 와중에도 어떻게든 가을야구를 경험하는 저력을 보여준 모습을 보아왔기에 올시즌과 같은 결과는 좋게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다.[24] 2022 시즌 선발 WAA 9위, 2023시즌 WAA 1위[25] 2022시즌 WAA 9위, 2023시즌 7위[26] 2022시즌 타격 주루 수비 WAA 각 7,9,9위/2023시즌 각 5,9,6위[27] 안타까운 것은 그 김재호의 나이가 이제 곧 불혹을 바라본다는 것이고 더우기 가장 힘든 포지션이라 불리는 유격수를 맡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 건재하다고 하지만 이젠 예전과 같이 풀타임을 소화하기에는 너무나 힘든 시기에 도달했다는 것이다.[28] 2015년 LG는 야수진의 고령화가 제대로 터지며 9위를 기록했다.[29] 황폐화된 팜과 야수진 고령화, 그로 인한 타격 부진과 스몰볼 고집, 부족한 코칭스태프의 역량, 대 라이벌전 부진, 경기 디테일 부족 등.[30] 선수의 대학 진학 의사에 따른 지명 거부[31] 때문에 실제로 해당 사과문의 댓글 및 홈페이지에는 5위를 해서 화가 난게 아니라며 성토하는 글 들이 수 없이 달리는 중이다.[32] 이런 비슷한 사례가 두산의 감독을 맡았던 김진욱이 있다. 김진욱 또한 두산 감독으로 있었을 당시, 종잡을 수 없는 야구관 및 극단적인 수비 지향적인 야구, 투수교체 및 승부사 기질 부족으로 호성적과는 별개로 당시 두산 팬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렸던 지도자이지만, 전임자 김경문이 황폐화시키고 떠난 두산을 자신의 모티브인 '관리야구'로 혹사를 배제하며 '선발야구'로 시스템을 적립하여 부임 첫해 3위, 부임 두번째 해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록하며 암흑기 위기였던 두산이 강팀으로 다시금 도약할 수 있게 시스템을 재정립한 감독이다. 그리고 전임감독 김경문의 불펜 과부하 운영으로 사실상 황폐화되어버린 투수진을 재건, 수습하여 팀을 다시금 가을야구 및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한 것은 절대 부정할 수 없는 업적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이후 김태형이 김진욱이 장착한 선발야구 시스템을 잘 이어받아 한국시리즈 7회 연속 진출에 3회 우승의 대기록을 달성한 것은 덤. 하지만 이승엽은 김명신과 정철원을 김한수와 함께 무자비한 기용을 선보이며 미래까지 깎아먹는 모습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