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대구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1.1. 시의회
1.2. 구의회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동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동구 갑동구1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동구2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동구 을동구3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공산동
동구4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1.1. 시의회[편집]




1.2. 구의회[편집]





2. 개요[편집]


노태우대통령과 그의 아들 노재헌 변호사고향이며, 노재헌은 민주자유당 동구 을 지구당위원장도 지낸 바 있다. 이 지역이 배출한 유명 정치인으론 박준규 전 국회의장, 김복동, 강신성일, 유승민[1] 등이 있다.

동구 갑, 동구 을 모두 다른 대구 지역처럼 국민의힘 계열 정당의 텃밭이다. 그렇지만 외지인, 청년층 비율이 높은 신도시가 많은 동구 을의 경우 21대 총선 기준 더불어민주당이 30% 이상 얻을 정도로 대경권 내에서는 진보세가 강하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구광역시 동구 국회의원
동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박준규 (7선)
동구 갑동구 을
14대
ta-hash-start=w-68e2d80b9b9b5fb87b80f88eff74eec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복동 (초선)

ta-hash-start=w-299afad7fa95a2f1c0941d0f8f2fb77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박준규 (8선)[2]

무소속

서훈 (초선)[3]
15대
ta-hash-start=w-4ae48929ecf2c2fa8af1ae0e8785a6bb[[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복동 (재선)

무소속

서훈 (재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강신성일 (초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성영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창달 (3선)[4]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승민 (초선)[5]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성영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승민 (재선)
19대
ta-hash-start=w-f1b4a1e8b4c12f7c7f2e390c76b4cc1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류성걸 (초선)

ta-hash-start=w-6a5889bb0190d0211a991f47bb19a77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승민 (3선)
20대
ta-hash-start=w-b478e76e6a84df66dc6e89d7b03ac7d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종섭 (초선)

무소속

유승민 (4선)
21대류성걸 (재선)강대식 (초선)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동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한나라당
오기환임대윤[6]이훈이재만
2010201420182022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이재만강대식배기철윤석준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ta-hash-start=w-f1291fd5dfbeaea377eaad66b262396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오기환 29.20%

2위:
무소속

김헌백 26.79%
3위:
ta-hash-start=w-e2144fe84da8a2bfdb7b9742702c9ce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권영환 26.33%
4위:
무소속

최제만 17.66%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임대윤 56.32%

2위:
ta-hash-start=w-348bd749ca9ee5f03b04b8a2f0befc79[[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오기환 34.57%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임대윤 71.82%

2위:
무소속

최규태 19.32%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훈 58.70%

2위:
ta-hash-start=w-c0a62e133894cdce435bcb4a5df1db2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오진필 27.11%
3위:
무소속

최규태 14.17%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만 80.42%

2위:
ta-hash-start=w-c3a7eb7c994a6475994948502df99fe4[[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이승천 19.57%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만 74.09%

2위:
ta-hash-start=w-d5c6fed1ac40951a8c804072b383cd8f[[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정덕연 25.90%
2014년1위:
ta-hash-start=w-1d94108e907bb8311d8802b48fd54b4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식 79.39%

2위:
ta-hash-start=w-6b50dfe660e64a5d2a9c80909db063c7[[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택흥 20.60%
2018년1위:
ta-hash-start=w-ada25f9cd16c325eeb05be7e3fe27098[[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기철 37.38%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재헌 33.01%
3위:
ta-hash-start=w-76abfc8949d10c5eb3527b3217b6c2b8[[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식 25.78%
2022년1위: 윤석준 77.54%
2위: 최완식 22.45%



3.1. 지선[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대구광역시장 선거[편집]

7회 지선 동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
득표수
(득표율)
65,465
(38.79%)
90,378
(53.56%)
12,894
(7.64%)
- 24,913
(▼14.76)
58.01%
신암1동30.25%63.09%6.65%▼32.8456.39
신암2동39.16%53.90%6.93%▼14.7459.28
신암3동32.85%60.23%6.90%▼27.3853.41
신암4동[7]33.16%60.51%6.31%▼27.3548.98
신암5동30.43%62.83%6.72%▼32.4056.26
신천1·2동38.41%55.45%6.13%▼17.0459.04
신천3동38.63%54.83%6.53%▼16.2055.77
신천4동35.21%59.11%5.67%▼23.9049.29
효목1동31.16%62.61%6.22%▼31.4553.95
효목2동35.50%58.04%6.45%▼22.5453.80
도·평동[8]30.67%60.61%8.70%▼29.9558.71
불로·봉무동[9]39.16%53.05%7.77%▼13.8958.44
지저동[10]31.26%60.66%8.07%▼29.4053.40
동촌동[11]33.13%59.00%7.86%▼25.8752.01
방촌동33.77%58.12%8.10%▼24.3560.30
해안동[12]32.22%60.28%7.48%▼28.0652.94
안심1동[13]40.07%51.93%7.98%▼11.8654.38
안심2동[14]33.30%57.99%8.69%▼24.6952.85
안심3·4동[15]46.98%44.61%8.40%△2.3756.23
공산동[16]32.87%59.26%7.86%▼26.3958.29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격차
거소·선상투표36.05%45.80%18.14%▼9.75
관외사전투표52.15%39.28%8.56%△12.87
후보임대윤권영진김형기격차투표율
동구 갑[17][18]34.29%58.99%6.71%▼24.6954.13
동구 을[19][20]39.59%52.30%8.10%▼12.7156.26
동구청장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서재헌배기철강대식
득표수
(득표율)
55,546
(33.01%)
62,891
(37.38%)
43,374
(25.78%)
- 7,345
(▼4.37)
58.01%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대구광역시장 선거[편집]

8회 지선 동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서재헌홍준표
득표수
(득표율)
24,745
(19.18%)
100,305
(77.78%)
- 75,560
(▼58.59)
131,007
(44.09%)
신암1동16.39%80.20%▼63.8145.47
신암2동19.00%78.11%▼59.1146.99
신암3동18.38%79.24%▼60.8539.91
신암4동16.16%81.22%▼65.0637.04
신암5동17.36%79.72%▼62.3546.03
신천1·2동19.22%77.90%▼58.6846.24
신천3동20.10%76.70%▼56.6041.94
신천4동18.82%78.43%▼59.6137.57
효목1동15.11%81.92%▼66.8042.47
효목2동16.50%79.93%▼63.0842.70
도평동[A]13.56%84.10%▼70.5345.32
불로·봉무동[B]18.53%78.83%▼60.3041.81
지저동[C]15.80%81.94%▼66.1342.99
동촌동[D]15.44%82.00%▼66.5539.52
방촌동[E]15.66%81.51%▼65.8444.82
해안동[F]13.80%83.76%▼69.9541.60
안심1동[G]19.87%76.86%▼56.9840.24
안심2동[H]16.02%80.64%▼64.6241.59
안심3동[21]25.80%70.70%▼44.9042.90
안심4동[22]18.93%77.94%▼59.0037.07
혁신동[23]29.81%66.58%▼36.7739.72
공산동[J]17.98%78.70%▼60.7242.74
후보서재헌홍준표격차
거소투표20.68%72.41%▼51.72
관외사전투표25.04%71.62%▼46.58
국회의원
선거구
서재헌홍준표격차투표율
동구 갑[24][25]17.26%79.92%▼62.6642.25
동구 을[26][27]19.56%77.33%▼57.7641.22


3.1.2.2. 대구 동구청장 선거[편집]

동구청장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최완식윤석준
득표수
(득표율)
28,767
(22.45%)
99,357
(77.54%)
- 70,590
(▼55.09)
131,010
(44.10%)
신암1동19.30%80.69%▼61.3845.47
신암2동20.94%79.05%▼58.1046.99
신암3동22.72%77.27%▼54.5439.90
신암4동18.20%81.79%▼63.5837.08
신암5동17.43%82.56%▼65.1246.03
신천1·2동20.79%79.20%▼58.4046.27
신천3동23.15%76.84%▼53.6841.95
신천4동22.42%77.57%▼55.1437.58
효목1동16.58%83.41%▼66.8242.47
효목2동18.99%81.00%▼62.0042.71
도평동[A]13.77%86.22%▼72.4545.32
불로·봉무동[B]21.61%78.38%▼56.7741.81
지저동[C]16.26%83.73%▼67.4743.01
동촌동[D]17.68%82.31%▼64.6339.55
방촌동[E]17.50%82.49%▼64.9844.83
해안동[F]16.54%83.45%▼66.9041.60
안심1동[G]23.52%76.47%▼52.9540.26
안심2동[H]18.45%81.54%▼63.0841.61
안심3동[28]32.36%67.63%▼35.2742.94
안심4동[29]22.79%77.20%▼54.4137.08
혁신동[30]37.89%62.10%▼24.2139.72
공산동[J]20.50%79.49%▼58.9842.75
후보최완식윤석준격차
거소투표26.23%73.76%▼47.52
관외사전투표30.43%69.56%▼39.13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19대 대선 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47,350
(20.99%)
100,166
(44.41%)
31,351
(13.90%)
35,819
(15.88%)
9,509
(4.21%)
- 52,816
(▼23.42)
76.97%
신암1동15.58%56.91%12.86%10.60%3.28%▼41.3372.99
신암2동21.50%44.37%15.68%13.67%4.23%▼22.8778.32
신암3동18.27%52.78%12.69%12.21%3.61%▼34.5171.98
신암4동[31]17.51%52.50%13.75%11.73%4.05%▼34.9969.27
신암5동18.88%50.63%12.56%13.40%4.18%▼31.7576.90
신천1·2동21.35%47.15%14.66%11.85%4.54%▼25.8078.97
신천3동19.69%47.74%14.87%13.00%4.16%▼28.0576.33
신천4동19.00%50.96%13.67%11.67%4.23%▼31.9671.33
효목1동16.85%53.27%13.66%12.07%3.50%▼36.4272.96
효목2동19.87%50.69%13.31%12.15%3.59%▼30.8274.46
도·평동[32]14.97%51.54%12.38%17.27%3.42%▼36.5775.69
불로·봉무동[33]20.16%43.14%14.04%18.01%4.04%▼22.9877.87
지저동[34]15.97%52.35%12.26%14.93%3.89%▼36.3873.10
동촌동[35]16.77%50.40%12.75%15.99%3.43%▼33.6370.75
방촌동17.87%47.24%12.23%18.32%3.88%▼29.3778.98
해안동[36]16.40%49.94%13.17%16.46%3.34%▼33.5472.34
안심1동[37]22.06%41.50%14.15%17.75%3.97%▼19.4474.16
안심2동[38]17.45%47.94%12.60%18.38%3.10%▼30.4974.33
안심3·4동[39]25.64%35.27%14.36%19.34%[40]4.84%▼9.6377.17
공산동[41]16.35%51.43%12.06%16.56%2.97%▼35.0875.1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26.71%27.89%21.66%14.09%3.41%▼1.18
관외사전투표29.38%30.37%16.13%17.28%6.20%▼0.99
재외투표52.69%8.70%17.81%7.87%11.39%△34.8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동구 갑[42][43]18.46%50.72%13.62%12.79%3.88%▼32.2673.79
동구 을[44][45]21.01%42.68%13.60%18.13%4.02%▼21.6775.96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동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52,170
(22.60%)
171,004
(74.08%)
- 118,834
(▼51.48)
232,992
(78.36%)
신암1동17.57%79.38%▼61.8276.75
신암2동20.80%76.19%▼55.3981.30
신암3동20.55%76.73%▼56.1876.75
신암4동18.11%78.67%▼60.5570.10
신암5동19.50%77.25%▼57.7581.65
신천1·2동20.83%76.16%▼55.3379.00
신천3동21.52%75.49%▼53.9779.40
신천4동20.09%76.67%▼56.5873.29
효목1동17.84%79.34%▼61.5073.34
효목2동20.01%77.06%▼57.0575.81
도평동[A]19.05%78.02%▼58.9778.70
불로·봉무동[B]21.91%75.20%▼53.2978.37
지저동[C]18.87%78.00%▼59.1275.74
동촌동[D]19.67%77.06%▼57.3872.98
방촌동[E]18.52%78.59%▼60.0878.26
해안동[F]18.70%78.28%▼59.5874.74
안심1동[G]23.95%72.58%▼48.6474.66
안심2동[H]20.63%76.29%▼55.6676.57
안심3동[46]29.13%67.07%▼37.9479.72
안심4동[47]23.09%73.38%▼50.2973.35
혁신동[48]33.59%62.36%▼28.7778.65
공산동[J]21.90%75.20%▼53.3077.1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7.25%62.99%▼35.74
관외사전투표27.16%68.67%▼41.50
재외투표57.29%38.75%△18.54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구 갑[49][50]19.63%77.32%▼57.6376.11
동구 을[51][52]23.58%73.10%▼49.5276.58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구 갑)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재헌류성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1,594
(26.62%)
56,444
(69.59%)
- 34,850
(▼42.97)
82,213
(66.12%)
[ 펼치기 · 접기 ]

신암1동21.04%75.09%▼54.0565.98
신암2동29.07%66.90%▼37.8468.26
신암3동26.43%69.45%▼43.0264.51
신암4동24.56%71.44%▼46.8858.60
신암5동25.00%70.94%▼45.9469.46
신천1·2동26.98%69.87%▼42.8968.19
신천3동27.34%69.17%▼41.8367.43
신천4동26.37%69.76%▼43.3959.97
효목1동22.41%73.68%▼51.2763.14
효목2동25.07%71.68%▼46.6163.73
지저동[*C ]23.78%73.04%▼49.2762.85
동촌동[*D ]25.88%70.80%▼44.9260.38
후보서재헌류성걸격차
거소·선상투표28.16%64.31%▼36.15
관외사전투표39.34%55.41%▼16.08
재외투표61.95%30.43%△31.52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승천강대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3,644
(30.54%)
66,461
(60.33%)
- 32,817
(▼29.79)
112,039
(65.07%)
[ 펼치기 · 접기 ]

도평동[*A ]23.99%67.76%▼43.7766.08
불로·봉무동[*B ]28.18%63.10%▼34.9363.29
방촌동[*E ]22.81%66.83%▼44.0267.40
해안동[*F ]23.84%65.33%▼41.4961.21
안심1동[*G ]30.95%59.95%▼29.0160.99
안심2동[*H ]25.17%65.93%▼40.7662.93
안심3·4동[I]35.63%55.57%▼19.9462.27
공산동[*J ]21.94%68.55%▼46.6163.99
후보이승천강대식격차
거소·선상투표28.82%52.94%▼24.12
관외사전투표41.04%51.01%▼9.97
재외투표55.66%40.56%△15.09

[I]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01,258
(54.27%)
31,012
(16.62%)
11,988
(6.42%)
15,253
(8.17%)
5,656
(3.03%)
+ 70,246
(△37.65)
194,261
(65.49%)
[ 펼치기 · 접기 ]

신암1동62.25%12.32%5.21%6.58%2.05%△49.9365.98
신암2동54.78%16.51%6.88%9.16%2.64%△38.2668.25
신암3동57.84%15.04%6.05%7.89%2.88%△42.8064.53
신암4동60.79%14.84%5.18%5.80%2.52%△45.9558.59
신암5동59.63%14.44%5.67%6.63%2.62%△45.1969.54
신천1·2동57.65%15.69%5.74%8.55%2.43%△41.9668.18
신천3동56.00%15.98%5.71%8.92%3.13%△40.0267.41
신천4동58.95%15.62%5.53%6.44%2.67%△43.3359.97
효목1동62.13%12.79%4.87%6.37%2.36%△49.3363.15
효목2동60.34%14.65%5.20%7.29%2.52%△45.6963.74
도평동[*A ]59.12%13.94%6.54%6.19%2.45%△45.1866.11
불로·봉무동[*B ]53.98%16.43%6.42%8.90%3.09%△37.5563.26
지저동[*C ]61.93%13.53%5.21%5.84%2.05%△48.4062.86
동촌동[*D ]59.17%14.15%5.11%7.46%2.28%△45.0260.38
방촌동[*E ]59.95%13.04%5.43%7.85%2.16%△46.9167.40
해안동[*F ]59.47%13.78%5.04%6.86%2.16%△45.6961.22
안심1동[*G ]50.90%17.95%6.65%8.80%3.28%△32.9560.98
안심2동[*H ]58.32%14.44%5.33%7.15%2.67%△43.8862.94
안심3·4동[*I ]45.64%20.53%8.14%10.24%3.75%△25.1262.27
공산동[*J ]60.84%13.21%5.09%6.60%2.74%△47.6364.00
정당
ta-hash-start=w-840c3eda3ea42ecd90aeb3434f3510b7[[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a0f4339e9a05a0af139b61e4209eaab4[[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1101c92ba65fb18468e246180daafb5a[[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75cbada323f6874f9d26985f9378efb[[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1a378e125753ad74b033e94c7b12706[[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44.16%12.64%7.97%10.11%2.52%△31.52
관외사전투표42.73%22.55%9.05%8.87%4.77%△20.18
재외투표26.36%33.33%12.43%5.97%10.44%▼6.97



[1] 동구 을 한 곳에서만 내리 4선을 지냈다. 지역구 관리를 잘 해 평이 좋았으며 대통령 선거에서도 3위를 한 거의 유일한 지역이다. 21대 총선에서도 동구 갑, 동구 을 모두 친유계인 류성걸, 강대식이 당선됐다.[2] 93.06.30. 의원직 사퇴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파동)[3] 93.08.12. 재보궐선거[4] 05.09.15.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5] 05.10.26. 재보궐선거. 이 당시 유승민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었으나, 재보궐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고 출마하였다.[6] 03.12.1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7] 동대구역이 있는 동네[8] 도동 · 평광동 · 검사동(일부)을 관할하며,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9] 불로동 · 봉무동을 관할하며, 이시아폴리스가 있는 동네[10] 대구국제공항이 있는 동네[11] 입석동 · 검사동(일부)을 관할하며, 대구 공군기지 공군기지, 공군군수사령부가 있는 동네[12] 방촌동(일부) · 신평동 · 부동 · 둔산동을 관할하며,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13]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14]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15]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16] 구 달성군 공산면을 관할하며,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전 하나회 소속 노태우 전 대통령의 고향[17]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18] 지역구 국회의원 : 정종섭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초선)[19]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동[20] 지역구 국회의원 : 유승민 (무소속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 4선)[A] A B C 법정동 동 + 광동 · 검사동(일부),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B] A B C 법정동 불로동 + 봉무동, 이시아폴리스가 있는 동네[C] A B C 법정동 지저동 · 불로동(공항로 이남). 대구국제공항이 있는 동네[D] A B C 법정동 입석동 · 검사동(일부). 대구 공군기지 공군기지, 공군군수사령부가 있는 동네[E] A B C 법정동 방촌동(동촌로 이남)[F] A B C 법정동 방촌동(동촌로 이북) · 신평동 · 부동 · 둔산동,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G] A B C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H] A B C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21]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안심로 이남)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경부고속도로 이남)[22]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 · 각산동(안심로 이북, 경부고속도로 이남)[23] 법정동 각산동 · 신서동 · 동내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내곡동(경부고속도로 이북)[J] A B C 구 달성군 공산면을 관할하며,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전 하나회 소속 노태우 전 대통령의 고향[24]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25] 지역구 국회의원 : 류성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26]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공산동[27] 지역구 국회의원 : 강대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28]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안심로 이남)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경부고속도로 이남)[29]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 · 각산동(안심로 이북, 경부고속도로 이남)[30] 법정동 각산동 · 신서동 · 동내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내곡동(경부고속도로 이북)[31] 동대구역이 있는 동네[32] 도동 · 평광동 · 검사동(일부)을 관할하며,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33] 불로동 · 봉무동을 관할하며, 이시아폴리스가 있는 동네[34] 대구국제공항이 있는 동네[35] 입석동 · 검사동(일부)을 관할하며, 대구 공군기지 공군기지, 공군군수사령부가 있는 동네[36] 방촌동(일부) · 신평동 · 부동 · 둔산동을 관할하며, 제11전투비행단대구 공군기지 관사가 있는 동네[37]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38]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39]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40] 전국에서 유승민의 득표율이 가장 높은 곳이다.[41] 구 달성군 공산면을 관할하며,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전 하나회 소속 노태우 전 대통령의 고향[42]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43] 지역구 국회의원 : 정종섭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초선)[44]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동[45] 지역구 국회의원 : 유승민 (무소속 → 새누리당 → 바른정당, 4선)[46]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안심로 이남)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경부고속도로 이남)[47] 법정동 동호동 · 신서동 · 각산동(안심로 이북, 경부고속도로 이남)[48] 법정동 각산동 · 신서동 · 동내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내곡동(경부고속도로 이북)[49]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50] 지역구 국회의원 : 류성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51]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공산동[52] 지역구 국회의원 : 강대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