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인구

덤프버전 : (♥ 1)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지리 ]
[ 정치 ]
[ 사회 ]
[ 외교 ]

일반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일반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1. 개요
2. 인구 통계 자료
2.1. 총 인구
2.2. 주민등록인구 현황
3. 지역별 인구
4.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인구를 정리한 문서다. 2024년 5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총 인구수는 51,277,347명이다. 이 중 남자 인구수는 25,536,793명이고, 여자 인구수는 25,740,554명으로, 성비[1]는 99.2이다. 즉 여자가 조금 더 많다.[2]

매달 말일 행정구역별로 통계가 집계되어 월별로 조회가 가능하다. 다만 위장전입, 재외국민, 거주불확인 등이 합쳐진 것이라 이 통계가 정확히 실제 인구 수를 나타내지는 않는다.[3] 이 점 참고할 것.

대한민국은 헌법상 북한 지역도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으나, 본 문서에서는 북한의 인구를 제외한 실질적 통치 지역인 남한만의 인구를 서술한다.


2. 인구 통계 자료[편집]



2.1. 총 인구[편집]


아래 표는 통계청 주요 인구지표의 총 인구와 인구동향 조사의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증감 수를 집계한 것이다. 총 인구는 국제이동 인구가 포함된 수치이고 자연증감 수는 단순히 '출생아 수 - 사망자 수'로 산정된 수치이다. 이 때문에 자연증감 인구로 총 인구를 산정하는 것은 오차가 있다.[4]

연도총 인구
(명)
출생아 수
(명)
사망자 수
(명)
자연증감
(명)
197032,240,8271,006,645258,589748,056
197132,882,7041,024,773237,528787,245
197233,505,406952,780210,071742,709
197334,103,149965,521267,460698,061
197434,692,266922,823248,807674,016
197535,280,725874,030270,657603,373
197635,848,523796,331266,857529,474
197736,411,795825,339249,254576,085
197836,969,185750,728252,298498,430
197937,534,236862,669239,986622,683
198038,123,775862,835277,284585,551
198138,723,248867,409237,481629,928
198239,326,352848,312245,767602,545
198339,910,403769,155254,563514,592
198440,405,956674,793236,445438,348
198540,805,744655,489240,418415,071
198641,213,674636,019239,256396,763
198741,621,690623,831243,504380,327
198842,031,247633,092235,779397,313
198942,449,038639,431236,818402,613
199042,869,283649,738241,616408,122
199143,295,704709,275242,270467,005
199243,747,962730,678236,162494,516
199344,194,628715,826234,257481,569
199444,641,540721,185242,439478,746
199545,092,991715,020242,838472,182
199645,524,681691,226241,149450,077
199745,953,580675,394244,693430,701
199846,286,503641,594245,825395,769
199946,616,677620,668247,734372,934
200047,008,111640,089248,740391,349
200147,370,164559,934243,813316,121
200247,644,736496,911247,524249,387
200347,892,330495,036246,463248,573
200448,082,519476,958246,220230,738
200548,184,561438,707245,874192,833
200648,438,292451,759244,162207,597
200748,683,638496,822246,482250,340
200849,054,708465,892246,113219,779
200949,307,835444,849246,942197,907
201049,554,112470,171255,405214,766
201149,936,638471,265257,396213,869
201250,199,853484,550267,221217,329
201350,428,893436,455266,257170,198
201450,746,659435,435267,692167,743
201551,014,947438,420275,895162,525
201651,217,803406,243280,827125,416
201751,361,911357,771285,53472,237
201851,585,058326,822298,82028,002
201951,764,822302,676295,1107,566
202051,836,239272,337304,948-32,611
202151,769,539260,562317,680-57,118
202251,672,569249,186372,939-123,753
2023[5]51,712,619229,971352,721-122,750



2.2. 주민등록인구 현황[편집]


아래 표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다. 실제 인구수가 아닌 주민등록수로 산정한 것이기에 주민등록이 말소되지 않은 거주불명자 + 재외국민 + 아직 사망신고 되지 않은 사망자 등까지 모두 포함된 수치이며,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생존자는 제외된 것이다.
연도주민등록인구
(명)
199043,410,899
199144,007,789
199244,503,200
199345,001,113
199445,416,339
199545,858,029
199646,266,256
199746,684,069
199846,991,171
199947,335,678
200047,732,558
200148,021,543
200248,229,948
200348,386,823
200448,583,805
200548,782,274
200648,991,779
200749,268,928
200849,540,367
200949,773,145
201050,515,666
201150,734,284
201250,948,272
201351,141,463
201451,327,916
201551,529,338
201651,696,216
201751,778,544
201851,826,059
2019[6]51,849,861
202051,829,023
202151,638,809
202251,439,038
202351,325,329
2024.551,277,347


2.3. 인구주택총조사[편집]


아래 표는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에서 집계한 인구이다.
| 일제강점기 통계 |<rowbgcolor=#ccc><rowcolor=#000><colbgcolor=#ccc><colcolor=#000> 연도 || 내국인(명) || 외국인(명) || 일본인(명) || 총 인구(명) ||
192519,020,03059,513443,40219,522,945
193020,438,10893,181527,01621,058,305
193522,208,10271,931619,00522,899,038
194023,547,46571,525707,33724,326,327
194425,120,17471,520708,44825,900,142

  • 위 통계는 한반도 전체 인구가 집계된 것이다. 1945년 광복 당시 지금의 남한 지역 인구는 약 1,600만 명, 북한 지역 인구는 약 900만 명이었다.#
  • 아래 광복 이후 통계는 남한 인구만 집계한다.
| 광복 이후 통계 |<rowbgcolor=#ccc><rowcolor=#000><colbgcolor=#ccc><colcolor=#000> 연도 || 내국인(명) || 외국인(명) || 총 인구(명) ||
194920,166,75621,88520,188,641
195521,478,39823,98821,502,386
196024,954,29034,95124,989,241
196629,126,51833,12229,159,640
197030,851,98430,40230,882,386
197534,678,97227,64834,706,620
198037,406,81529,50037,436,315
198540,419,65228,83440,448,486
199043,390,37420,52543,410,899
199544,553,71055,01644,608,726
200045,985,289150,81246,136,101
200547,041,434237,51747,278,951
201047,990,761589,53248,580,293
201549,705,6631,363,71251,069,375
202050,133,4931,695,64351,829,136
2025



3. 지역별 인구[편집]



3.1. 광역자치단체별 인구[편집]




순위광역자치단체인구(명)비율
1위경기도13,654,71026.63%
2위서울특별시9,371,93018.28%
3위부산광역시3,282,7516.40%
4위경상남도3,237,1406.31%
5위인천광역시3,009,8735.87%
6위경상북도2,545,4214.96%
7위대구광역시2,367,8034.62%
8위충청남도2,134,6184.16%
9위전라남도1,795,7173.50%
10위전북특별자치도1,746,9123.41%
11위충청북도1,591,2013.10%
12위강원특별자치도1,522,9522.97%
13위대전광역시1,441,1192.81%
14위광주광역시1,414,2542.76%
15위울산광역시1,100,6092.15%
16위제주특별자치도672,5631.31%
17위세종특별자치시387,7740.76%
총합51,277,347100%


3.2. 7대 권역별 인구[편집]


순위지역인구(명)비율
1위수도권26,036,51350.78%
2위부울경7,620,50014.86%
3위충청권5,554,71210.83%
4위호남권4,913,2249.58%
5위대경권4,909,9719.56%
수도권지방50.78%49.22%
6위강원도1,522,9522.97%
7위제주도672,5631.31%
총합51,277,347100%
  • 출처: 2024년 5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통계
  • 수도권에만 50.78%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서 인구의 수도권 편중이 심하다. 2024년 5월 기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격차는 795,679명이다. 사실 2020년대에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그리고 수도권과 가까운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뿐이다.[8] 인구 보합세를 유지 중인 충청북도마저도 수도권 인접 지자체이며, 해당 지역들은 신도시 개발이 많이 되는 지역이라 순유입 인구가 상당히 크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서울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하는 인구와 비수도권에서 이주하는 인구가 모두 대부분 인천과 경기도로만 계속 모이고 있다.
  • 비수도권 인구의 총합은 25,240,834명이며, 그 중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영남(동남권, 대경권)에 거주하고 있다.[9]
  • 영호남의 인구 감소로 인해 충청권은 인구보합현상만으로도 비수도권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충청권의 인구 증가로 대경권, 호남권을 모두 추월했다.
  • 2022년 4월부로 대경권의 인구 수 500만 명 선이, 2023년 6월부로 호남권의 인구 수 500만 명 선이 붕괴되었다.


3.3. 도시권별 인구[편집]


순위지역인구(명)
1위수도권26,036,513
2위부산권5,783,746
3위대구권5,024,592
4위대전권3,548,732
5위광주권3,053,248


3.4. 기초자치단체별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1. 대도시 특례를 받는 시의 인구[편집]


대도시 특례를 받는 시의 인구 순위
[ 펼치기 · 접기 ]

경기 수원시 1,198,987명
경기 용인시 1,079,326명
경기 고양시 1,071,272명
경남 창원시 1,004,693명
경기 화성시 951,179명
경기 성남시 919,706명
충북 청주시 851,790명
경기 부천시 775,488명
충남 천안시 657,633명
전북 전주시 640,120명
경기 안산시 626,166명
경기 평택시 593,276명
경기 안양시 546,182명
경남 김해시 532,510명
경기 시흥시 519,060명
경북 포항시 492,574명




3.5. 읍별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읍(행정구역)/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6. 면별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면(행정구역)/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7. 동별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행정동/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7:39:24에 나무위키 대한민국/인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자 100명당 남자의 수.[2] 대체로 공장 등 산업 시설이 밀집한 지역과 군부대가 다수 위치한 북부 최전방 지역의 성비는 100 이상으로, 전국 기준 수치보다 높다. 즉 이 지역들은 남자가 더 많다. 과거에는 성비가 높아 남자가 더 많았지만, 현재는 정상화되어 거의 비등해졌고 오히려 역전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성비 문서의 이 부분을 참조.[3] 특히 지방 에서는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 살고 있진 않지만 그 지자체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나 고향인 사람 등에게 위장전입을 권하는 경우가 많아 인구가 약간씩 뻥튀기되어 있다. 또한 일부는 미등록 인구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렇다고 가정해도 등록이 중복되었거나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사람인데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실제보다 더 많게 집계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4] 일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사상 처음 발생한 '자연 인구 감소'는 2020년이고, '총 인구 감소'는 2021년인데 언론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KBS, “정부 수립 후 첫 인구감소”…이제 인구는 점점 줄어드나요?[5] 2023년 총 인구는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중위 추계에 의한 예측치이다.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증감은 2024년 2월 28일 발표된 잠정치이며, 확정치 발표는 2024년 8월 28일에 이루어질 예정이다.[6] 주민등록인구 기준, 2019년 11월에 인구가 정점에 달했다. 국가통계포털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1월에 인구가 5,185만 1,427명으로 역대 최대였다.[7] 외국인 인구는 총조사인구 총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외국인 인구를 보려면 5년 단위로 집계된 개별 자료를 확인하면 된다.[8] 당연히 출산으로 늘린건 아니고, 타지역 이주 인구로 늘렸다.[9] 영남은 면적이 넓어서 각종 통계조사 등지에선 동남권대경권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 권역을 합쳐 영남권으로 통계를 낼 경우 인구는 12,533,72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