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교통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김포국제공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버스 터미널
||
[ 펼치기 · 접기 ]

운영중인 터미널
고속*강남 (서울경부 · 서울호남)
종합동서울
시외서울남부 · 김포공항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수락터미널
* 서울시 반포동 소재 강남터미널은 명목상 고속터미널이긴 하지만 해당 시설 내 시외버스 서비스도 취급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종합터미널로 분류된다.
서울경부와 서울호남은 운수업 시스템의 「강남」 약호를 공유 중이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센트럴시티 등 시설과 연결되어 있다.
폐쇄된 터미널
동마장 · 신촌 · 서울서부 · 수유 · 용산관광 · 용산시외 · 서울역[2] · 천호동 · 코엑스(도심공항) · 상봉
[2]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이 생기기 전까지 시외버스를 받던 곳으로 서울로7017 바로 옆에 있었다.



파일:한국공항공사_투명.png 김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김해 · 제주 · 대구 · 청주 · 무안 · 울산 · 여수 · 포항 · 군산 · 원주 · 광주


1. 개요
2. 철도
3. 버스
3.1. 국제선 터미널
3.1.1. 시내버스
3.1.2. 시외버스
3.2. 국내선 터미널
3.2.1. 시내버스
3.2.2. 방화동·개화동 방향 서울 시내버스 (2번)
3.2.3. 서울 공항버스 (4번)
3.2.4. 서울 공항버스 (5번)
3.2.5. 시내 방향 서울 시내버스 (6번)
3.2.6. 호텔, 셔틀버스 (7번)
3.2.7. 공항순환버스 (8번)
3.2.8. 인천·부천 방향 시내버스 (9번)
3.2.9. 김포·고양 방향 시내버스 (10번)
3.2.10. 지방 버스 (11-1번)
3.2.11. 경기 북부·동부 방향 공항버스 (11-2번)
3.2.12. 경기 남부 방향 공항버스 (11-3번)
3.2.13. 경기 서남부 방향 공항버스 (11-4번)
3.2.14. 인천공항 방향 공항버스 (12, 13, 14, 15번)
3.3. 롯데몰.김포공항역 정류장
3.4. 김포공항역3번출구 정류장
3.5. 주의사항 및 여담
4. 자가용
5. 택시


1. 개요[편집]


김포국제공항의 교통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2. 철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포공항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96년 3월에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통과 함께 김포공항역을 통해 지하철과 연계되었다. 2023년 7월 현재는 5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골드라인,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개통되어 총 5개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 되었다. 덕분에 서울 시내 및 인천국제공항과의 교통이 굉장히 편리하다.

주요 역까지의 소요 시간은 다음과 같다.
노선출발지/목적지소요시간
5호선여의도27분
광화문40분
왕십리53분
마천83분
하남검단산92분
9호선
(괄호는 급행열차 기준)
여의도28~32분(19분)
고속터미널45~53분(30분)
신논현49~59분(33분)
종합운동장60~71분(41분)
중앙보훈병원78~91분(53분)
공항철도홍대입구14분
공덕18분
서울역22분
인천공항1터미널37분
인천공항2터미널44분
김포 골드라인사우13분
장기22분
양촌32분
서해선일산21분
대곡10분
소사11분
신천20분
선부38분
초지42분
원시47분

국내선 청사 - 한국공항공사 - 9호선,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 - 5호선 김포공항역 - 국제선을 연결하는 지하 통로가 매우 길다. 국제선에서 국내선까지 넉넉히 20분은 걸어야 한다. 터미널 사이 거리가 어중간하게 떨어져 있는데 중앙에 역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

비행기를 타고 김포공항에서 내려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청사에서 역까지 굉장히 오래 걸어야 한다. 따라서 도착층 앞 서울행 버스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송정역에서 5호선을 갈아타거나, 등촌역[주의]/염창역에서 9호선을 갈아타면 덜 걸을 수 있다.

국제선-국내선을 오갈 때에는 공항공사에서 운행 중인 무료 순환버스를 타도 된다. 국제선에서 국내선을 갈 때에는 상관이 없지만 국내선에서 국제선을 갈 때에는 노선에 따라 국제선으로 바로 가지 않고 화물청사를 찍고 오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 버스[편집]



3.1. 국제선 터미널[편집]



3.1.1. 시내버스[편집]





3.1.2. 시외버스[편집]


충청도
행선지정류장소요시간운임운행 횟수운행 회사
당진
서산
태안
당진터미널2:00₩ 11,7001일 9회충남고속
한양고속
서산터미널2:20₩ 16,900
태안터미널2:40₩ 20,000
청주청주시외터미널2:00₩ 13,7001일 2회충북리무진
천안천안종합터미널1:40₩ 10,0001일 1회한양고속
증평
충북혁신도시버스터미널2:20₩ 15,0001일 3회충북리무진
증평시외버스터미널2:50₩ 18,000

전라도
행선지정류장소요시간운임운행 횟수운행 회사
전주
익산
익산IC2:40₩ 21,8001일 10회대한관광리무진
대한관광리무진 터미널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 맞은편)
3:10

강원특별자치도
행선지정류장소요시간운임운행 횟수운행 회사
춘천
가평
청평
청평터미널1:15₩ 13,8001일 16회강원고속
가평터미널1:35₩ 16,000
춘천시외버스터미널1:50₩ 19,600
원주원주종합버스터미널2:10₩ 19,8001일 10회경기고속
금강고속
강릉
동해
삼척
강릉시외버스터미널3:25₩ 28,6001일 8회경기고속
강원여객
동해종합버스터미널4:05₩ 32,8001일 1회
삼척종합버스터미널4:25₩ 35,0001일 1회


3.2. 국내선 터미널[편집]



3.2.1. 시내버스[편집]



3.2.2. 방화동·개화동 방향 서울 시내버스 (2번)[편집]


서울 시내 방향 버스는 6번 승차홈에서 탈 수 있다.


3.2.3. 서울 공항버스 (4번)[편집]


공항리무진 노선들이 이용한다.
버스경유지
6003서울대 - 관악구청 - 신림역 - 당곡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구로구청 - 구로역 - 목동역 - 목동사거리 - 강서구청사거리 - 발산역 - 마곡역 - 송정역
6014광명터미널 - 광명역 - 광명우체국 - 철산역 - 광명사거리 - 서부트럭터미널 - 신월동


3.2.4. 서울 공항버스 (5번)[편집]


도심공항리무진 노선들이 이용한다.


3.2.5. 시내 방향 서울 시내버스 (6번)[편집]


방화동·개화동 방향 버스는 2번 승차홈에서 탈 수 있다.
버스경유지
601혜화역 - ( 종로1~3가 → 서대문역 / 안국역경복궁역 ) - 연대앞 - 마포구청역 - 염창역 - 발산역 - 마곡역 - 송정역
605후암동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노량진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당산역 - 염창역 - 발산역 - 마곡역 - 송정역
651관악구청 - 신림역 - 난곡입구 - 디지털단지오거리 - 개봉역 - 서부트럭터미널 - 신월동
6629영등포역 - 오목교역 - 목동사거리 - 등촌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발산역 - 마곡역 - 송정역
6632당산역 - 염창역 - 등촌역 - 가양역 - 발산역 - 마곡수명산파크


3.2.6. 호텔, 셔틀버스 (7번)[편집]



3.2.7. 공항순환버스 (8번)[편집]


공항순환버스
여객청사행
8:00 ~ 23:00 (12~15분 간격)
국제선(5번) → 공항공사 → 국내선(8번) → 2주차장 → 국제선(5번, 순환)
화물청사행
6:00 ~ 23:00 (15~25분 간격)
대한항공 → 골프타운 → 교육센터 → 항공박물관 → 2주차장 → 국제선(5번) → 공항공사 → 국내선(8번) → 세관 → 교육센터 → 화물청사(운행종료)


3.2.8. 인천·부천 방향 시내버스 (9번)[편집]


버스경유지
78마전지구 - 검단동 - 마전역 - 완정역 - 당하동 - 원당지구 - 장기동 - 개화역 - 김포공항 - 송정역
86원창동 - 가정역 - 효성사거리 - 작전역 - 계양구청 - 임학역 - 상야/하야동 - 개화역 - 김포공항 - 송정역
3소새울역 - 소사삼거리 - 부천남부역 - 중동역 - 부천북부역 - 원미동 - 부천종합운동장역 - 오정경찰서 - 원종동 - 오쇠동 - 화물청사
12신천역 - 은행동 - 옥길동 - 범박동 - 괴안사거리 - 역곡남부역 - 역곡북부역 - 소사역 - 부천북부역 - 춘의역 - 도당동 - 오쇠동 - 화물청사
50송내역남부 - 중동역 - 부천북부역 - 춘의역 - 도당동 - 원종동 - 오쇠동 - 화물청사 - 김포공항 - 화물청사 - 고강동
50-1부천시청 - 부천터미널 - 상동역 - 신흥시장 - 춘의역 - 도당동 - 원종동 - 고강사거리 - 화물청사 - 김포공항 - 화물청사 - 고강동
71부천대학교 소사캠퍼스 - 소새울역 - 소사역 - 부천북부역 - 춘의역 - 약대오거리 - 삼정사거리 - 오쇠동 - 화물청사 - 김포공항 - 송정역


3.2.9. 김포·고양 방향 시내버스 (10번)[편집]


21번 버스는 2번 승차홈에 정차한다.
버스경유지
60-5강화터미널 - 화도터미널 - 마니산입구 - 전등사 - 초지대교 - 대곶 - 양곡 - 운양역 - 개화역
85고양동 - 관산동 - 고양시청 - 화정역 - 행신동 - 개화역 - 김포공항 - 송정역
56교하 - 운정신도시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개화역
150맥금동 - 금촌역 - 운정신도시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능곡역 - 개화역


3.2.10. 지방 버스 (11-1번)[편집]


강원도
행선지정류장소요시간운임운행 횟수운행 회사
춘천
가평
청평
청평터미널1:15₩ 13,1001일 16회강원고속
가평터미널1:35₩ 15,200
춘천시외버스터미널1:50₩ 18,700
원주원주시외버스터미널2:10₩ 19,8001일 10회경기고속
금강고속
강릉
동해
삼척
강릉시외버스터미널3:25₩ 28,6001일 8회경기고속
강원여객
동해종합버스터미널4:05₩ 32,8001일 1회
삼척종합버스터미널4:25₩ 35,0001일 1회
충청도
당진
서산
태안
당진터미널2:00₩ 11,7001일 9회충남고속
한양고속
서산터미널2:20₩ 16,900
태안터미널2:40₩ 20,000
청주청주시외터미널2:00₩ 13,7001일 2회충북리무진
천안천안종합터미널1:40₩ 10,0001일 1회한양고속
증평
충북혁신도시버스터미널2:20₩ 15,0001일 3회충북리무진
증평시외버스터미널2:50₩ 18,000
전라도
전주
익산
익산IC2:40₩ 21,8001일 10회대한관광리무진
대한관광리무진 터미널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 맞은편)
3:10


3.2.11. 경기 북부·동부 방향 공항버스 (11-2번)[편집]


버스경유지
7300의정부터미널 - 의정부역 - 의정부시청 - 송추 - 백석역 - 마두역 - 킨텍스
8843마석(원병원) - 천마산휴게소 - 평내농협 - 금곡동 - 도농역 - 구리역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8844광릉내 - 진접 - 오남역 - 퇴계원 - 별내역 - 별내신도시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8849하남공영차고지 - 하남시청 - 덕풍시장 - 미사역 - 미사강변도시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3.2.12. 경기 남부 방향 공항버스 (11-3번)[편집]


버스경유지
5100세이브존(단대오거리역) - 모란역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5200단국대 - 오리역 - 정자역 - 수내역 - 서현역
5200-1오리역 - 정자역 - 수내역 - 서현역
8165용인터미널 - 명지대 - 강남대 - 동백역 - 신갈역 - 죽전역 - 풍덕초교 - 광교마을 - 부천터미널
8828여주터미널 - 부발 - 이천터미널 - 도예촌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8829이천터미널 - 도예촌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8840동탄2차고지 - 호수부영3차.우미린2차 - 동탄역 - 라마다호텔 - 다은마을·메타폴리스 - 예당마을
8842경기광주터미널 - 정부과천청사 - 과천 - 남태령역 - 사당역 -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


3.2.13. 경기 서남부 방향 공항버스 (11-4번)[편집]


버스경유지
4300동수원 - 한일타운 - 의왕(고천) - 호계사거리 - 안양(범계) - 관악역
4300-1동수원 - 수원역 - 서수원터미널
4300-2군포(산본) - 안양(범계) - 관악역
7002안산터미널 - 안산역 - 시화이마트 - 배곧중심상가 - 시흥행복타운

3.2.14. 인천공항 방향 공항버스 (12, 13, 14, 15번)[편집]


서울 시내 방향 버스는 4,5번 승차홈에서 탈 수 있다.

3.3. 롯데몰.김포공항역 정류장[편집]


주로 김포공항역이나 롯데몰을 가려는 주민들이 이용하는 정류장으로 공항과는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6642번, 6645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김포공항 국제선/국내선 터미널을 경유한다.
버스행선지
601개화역광역환승센터
605개화역광역환승센터 / 후암동
651방화동 / 관악구청
6629방화동 / 영등포
6632개화역광역환승센터
6642개화역광역환승센터
6645개화역광역환승센터
3소사공영차고지
12삼미시장
50고강공영차고지 / 송내남부역
50-1고강공영차고지 / 포도마을사거리
56교하
71소사공영차고지
150맥금동
21구래리
85송정역
60-5강화터미널


3.4. 김포공항역3번출구 정류장[편집]


70번, 서울02번의 종점이다.
버스경유지
70개화역 - 고촌역 - 풍무역 - 걸포북변역
서울02퇴근풍무역.트레이더스 - 서해1,2차아파트 - 풍무홈플러스
서울02출근종점
70A종점
70B종점
01종점

3.5. 주의사항 및 여담[편집]


수많은 공항리무진 노선이 운행 중이며 영등포·강남·명동·동대문 등 서울 시내 주요 중심지로 운행한다. 국제선-국내선 환승을 위한 인천국제공항 노선도 존재한다.

김포국제공항도 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처럼 시외버스 노선이 있다. 그러나 영남권 노선은 없으므로 영남권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9호선 급행열차를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거나 공항철도를 타고 서울역으로 가서 KTX를 타야 한다. 원래 목적은 공항버스이나, 서울 서부권에 다른 시외버스 터미널이 없는 관계로 시외버스 터미널의 역할도 겸한다.

모든 시외버스 노선은 교통카드 사용을 할 수 없으며 반드시 매표기에서 승차권을 발권 후 이용해야 한다.

도로 구조상 공항 내로 들어오는 대다수의 시내버스는 운행 방향과 무관하게 항상 롯데몰 김포공항→국제선 청사→한국공항공사→국내선 청사 순서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해서 가던 방향으로 간다.
  • 롯데몰 김포공항과 한국공항공사 정류장에서는 양 방향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판에 써져 있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버스 기사에게 물어보고 타야 한다.
  • 국제선 및 국내선 청사에서 타는 경우에는 시내와 차고지(방화동, 개화동) 방향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맞춰서 타야 한다. 국내선 기준 시내 방향은 청사 중간에 있는 5번 승강장에서, 차고지 방향은 청사 제일 맨 앞 끝에서 탄다. 따라서 시내 방향으로 가기 위해 5번 승강장에서 대기하다가 버스가 무정차 통과하더라도 당신이 원하는 방향이 아니므로 그 자리에서 멈추는 버스를 기다리자.

또한 예전에는 대부분 새벽 4시에 첫차가 출발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도 새벽 4시에서 5시 사이에는 공항이 안 열기 때문에 이 시간대에는 아예 공항에 안 들어왔으나 현재는 605번을 제외한 공항 경유 서울 시내버스는 새벽 4시에서 5시 사이에도 들어온다.

4. 자가용[편집]


김포공항 국내선/국제선 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30분 까지 1,000원
주차장 추가요금30분 초과 15분당 500원씩
하루 주차요금
주중(월~목) 20,000원(24시간)
주말(금~일, 공휴일) 30,000원(24시간)
마중 나오기 위한 임시 주차15분까지 무료

김포공항 화물청사 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30분 까지 1,000원
주차장 추가요금30분 초과 15분당 500원씩
장기 주차요금
주중(월~목) 12,000원(6시간)
주말(금~일, 공휴일) 18,000원(9시간)
마중 나오기 위한 임시 주차15분까지 무료

김포공항 공식주차대행 (주)엘림비엠에스
주차장 기본요금30분 까지 1,000원
주차장 추가요금30분 초과 15분당 500원씩
하루 주차요금
주중(월~목) 20,000원
주말(금~일, 공휴일) 30,000원
주차대행 서비스 요금선불 15,000원


5. 택시[편집]


택시는 바가지 요금 단속이 꽤 심하다. 서울 시내로 간다면 카카오택시 불러서 가는 것이 좋다. 아니면 공항 앞 관광 겸 5호선 송정역 앞에서 택시를 잡는 것도 좋다. 지근거리인 김포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고양시 면허 택시가 서울 택시 이상으로 많다. 그러므로 지역을 잘 보고 타야 한다. 바가지가 안 붙는다면 광화문이나 강남역까지 25,000원 정도가 나온다. 아울러 다른 지역은 택시들이 시외할증 적용과 승차거부를 할 수 있지만 인천, 김포, 부천, 광명, 고양의 경우 공동사업구역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시외할증 적용과 승차거부를 할 수가 없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서울특별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800원(1.6㎞)
추가(병산제) 100원(30초/131m)
할증 20% ~ 40%(야간/시외)
모범/대형택시
기본요금 7,000원(3㎞)
추가(병산제) 200원(36초/151m)
3㎞까지 8,400원, 추가(병산제) 240원(36초/151m)(야간/시외)
인터내셔널택시
기본요금 4,800원(1.6㎞)
추가(병산제) 100원(30초/131m)
할증 20% ~ 40%(야간/시외)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포국제공항 문서의 r12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포국제공항 문서의 r12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6:10:47에 나무위키 김포국제공항/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의] 등촌역은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