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락산역

덤프버전 : (♥ 0)

수락산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Suraksan
한자水落山
간체자
가나水落山(スラッ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1662 (상계동 1132-9)
운영 기관
7호선서울교통공사
개업일
7호선1996년 10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2면 3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버스
6.1. 1번 출구
6.2. 3번 출구
6.3. 4번 출구
6.4. 5번 출구
6.5. 6번 출구
7. 사건.사고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11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1662 (상계동 1132-9) 소재이다.


2. 역 정보[편집]


파일:03 수락산(개선).png
역 안내도

파일:수락산역 7호선.jpg
대합실
7호선 계획 당시 임시역명은 '수락역'이었다. 이후 인근에 있는 산인 수락산을 정식 역명으로 부여했고 1996년 10월 11일에 개업했다.

1989년 세워진 2기 지하철 계획 초기의 7호선 북쪽 종점은 수락산역이었으나 1990년에 도봉산역 설치가 확정되면서 종점은 아니게 되었다. 그럼에도 역 구조는 종착역에서나 볼 법한 2면 3선 승강장(|■|■|)이다. 온수역, 청담역, 상일동역, 방화역, 상월곡역, 봉화산역, 박촌역,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 판암역, 반석역 등도 같은 구조이다. 이는 도봉산역의 구조로 인해 수락산역 방면에 분기기를 설치하기 곤란하여, 대신 수락산역을 2면 3선의 직선 승강장으로 두어 한동안 도봉산역과 함께 종착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1] 개통 당시 대체로 도봉산행과 수락산행의 비율은 2:1이었다. 하지만 이후 도봉산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민원이 많아서 수락산행은 서서히 줄어들었고 최종적으로 2009년 7월부터 폐지되었다.

이후 2018년 수락산행이 부활했다. 덕분에 이 열차가 운행하는 시간대에는 장암행 > 도봉산행 > 수락산행을 차례대로 볼 수 있다. 열번 7070 열차로 6호선의 새절행처럼 평일 출근 시간대에 1편성(석남발 07:44) 존재하며, 해당 열차는 운행을 완료하면 그 자리에서 주박한 후 다음날 도봉산역으로 공차회송한 후 운행을 재개하게 된다. 금요일에 운행하는 수락산행의 경우에는 계속 그 자리에서 주박한 후 다음주 월요일에 공차회송하여 운행한다. 개정 직후에는 열차도착 LCD에는 도봉산행으로 떴었다.[2] 별로 중요한 행선지가 아니어서 그런지 열차도착 LCD에는 도봉산행이라고 뜨는데, 수락산행 도착 방송이 나온다든지, 아니면 반대로 수락산행이라고 뜨는데 도봉산행 도착 방송이 오는 등의 경우가 잦다. 열차도착 LCD에서 열차 표시 위에 행선지가 표시되어야 하나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만 열차에는 제대로 수락산행으로 표시되며, 종착 안내방송도 나온다. 유일하게 도철 시절 안내방송이 송출되었으나, 2021년 상반기 안내방송 개정 파일에서 수락산역 종착 방송이 녹음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아직까지 도철 안내방송이 나오는 차량도 있다.

수락산행이 운행하던 당시에는 중선에서 회차하고 도봉산/장암행은 상행 선로에서 취급했으나, 수락산행이 없어진 후로는 그냥 중선에서 취급하되 오른쪽 출입문을 여는 방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서울 1호선 외대앞역, 인천 1호선 동막역, 대전 1호선 중앙로역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하는 셈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인근에 있는 수락산 덕분에 도봉산역처럼 등산객들이 많이 내리는 역이며 부작용으로는 주말에만 되면 술에 취한 등산객들이 거리에 많이 보인다. 부대시설이 매우 잘 돼 있다.

대기실이 도봉산역 쪽과 마들역 쪽 2개로 나눠져 있는데, 도봉산역 쪽에는 편의점이 설치되어 있고 마들역 쪽에는 화장품점이 설치되어 있다.

도봉산역 쪽 대기실은 아직 업무를 하고 있지만, 마들역 쪽 대기실은 업무를 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지폐 교환기를 설치하지 않은 것 때문에 돈을 바꾸려면 반대편 대기실로 걸어가야 한다. 두 대기실 간 거리가 160m나 되기 때문에 꽤 귀찮은 일이다. 화장실은 그 중간에 있다.

서울 노원구에서는 가장 북쪽에 있는 역이고 의정부, 포천과 가깝기 때문에 의정부, 포천에서 버스 타고 오는 많은 사람들이 환승하는 역이다. 3100, 3200, 3500, 3600번을 타고 왔을 때 서울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역이 수락산역이다. 수락공항터미널이 생겨서 의정부, 포천 쪽 사람들이 인천국제공항 버스를 탈 때도 찾아온다. 그 외 동일로를 끝까지 완주하는 간선버스 146번도 있다.

장암역 방향인 경우 이 역이 마지막 지하역이다. 도봉산포천선이 개통되면 이 타이틀은 사라지게 된다.


3.1. 출구 정보[편집]


파일:Seoulmetro7_icon.svg 수락산역 출구 정보
1,2,5,6번 출구
1수락산입구(수락골)
수락산역 환승주차장
수락119안전센터
미주·동방·백운아파트
은빛아파트3단지
수락파크빌아파트
2극동늘푸른아파트
대망드림힐아파트
5두산아파트
상계상록수아파트
서울북부지방법원 방면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방면
상계문화정보도서관
6상계1동주민센터
수락산우체국
상계1치안센터
수락초·중·고등학교
은빛아파트1·2단지
북부종합사회복지관
한국도심공항터미널
3,4번 출구
3상계1동우체국
수락산입구(노원골)
노원초등학교
가로공원·등산로
수락현대아파트
상계우방아파트
우림루미아트 1·2차
시인천상병공원
수락한신아파트
수락산디자인서울거리
서울둘레길 1코스
4노일초등학교
노일중학교
현대아파트1.2.3.4차
상계대림아파트
북부현대아파트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eoulmetro7_icon.svg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18,155명
2001년22,345명
2002년24,286명비고
2003년27,193명
2004년30,919명
2005년32,924명
2006년32,795명
2007년31,101명
2008년30,354명
2009년29,846명

2010년30,599명
2011년30,806명
2012년30,593명
2013년30,795명
2014년30,663명
2015년29,744명
2016년28,728명
2017년28,069명
2018년27,531명
2019년27,484명
2020년21,498명
2021년21,966명
2022년23,213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수락산역은 2005년까지 무서운 속도로 이용객이 증가했으나, 정작 2005년을 기점으로 승객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2001년에 하루 이용객 2만 명을 돌파한 이후 불과 3년 만에 3만 명을 넘어섰으나 다시 이용객이 빠지기 시작해 2009년이 되어서는 잠시 2만 명대로 내려간 적도 있다. 그러나 2010년에 다시 3만 명대를 회복한 이후 5년간 유지하였으나 2014년부터 하락세가 지속되어 2022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23,213명이 수락산역을 이용하고 있다. 7호선 내에서도 24위 정도로 중상위권이라지만 많다고는 하기 어렵다.

이 역은 서쪽으로 중랑천, 동쪽으로 수락산이 가로막고 있어 역세권이 좁고 긴 편이고, 주변에 거주하는 배후 인구가 많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의정부시의 장암지구, 신곡지구, 민락지구 등 신시가지에서 버스로 넘어오는 환승 수요가 많고 경원선 도봉역 근처에 사는 도봉동 주민들도 강남구에 갈 때는 하천을 건너 수락산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객이 제법 많은 편이다. 다만 경기 동북부 지역의 도로가 개선되고 노원구의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등의 문제로 수요가 점차 하락세를 타고 있고, 또 2027년에는 탑석, 고읍동까지 2028년에는 옥정, 포천까지의 연장으로 환승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승강장은 2면 3선의 혼합식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도봉산
1234
마들

1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노원·건대입구·고속터미널·석남 방면
2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3도봉산·장암 방면
4당역 종착[3]


6. 연계 버스[편집]



6.1. 1번 출구[편집]






6.2. 3번 출구[편집]





7호선수락산역(11522)
마을


7호선수락산역(11894)
마을



6.3. 4번 출구[편집]






6.4. 5번 출구[편집]



수락산역(11538)
마을



6.5. 6번 출구[편집]






7. 사건.사고[편집]


2019년 3월 14일, 이 역에서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717편성이 탈선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해당 역에는 앞에서 서술했다시피 회차 설비가 건설되어 있어 운행 중단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39:04에 나무위키 수락산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1992), 서울市地下鐵7號線建設事業 交通影響評價書 : 最終報告書[2] #[3] 평일 출근시간 수락산행 1회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