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곡성역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섬진강 기차마을 관광철도의 역에 대한 내용은 곡성역(폐역) 문서
곡성역(폐역)번 문단을
곡성역(폐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곡성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Gokseong
한자谷城
간체자
가나谷城(コクソン
주소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곡성로 920 (읍내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역 운영기관
전라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전라선1933년 10월 15일
파일:KTX BI_White, Red.svg2011년 10월 5일
파일:Untitled-1.png2023년 9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S-train2013년 9월 27일
철도거리표
전라선
곡 성

파일:곡성역.jpg
곡성역 전경

1. 개요
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
2.2. 곡성역 정차 KTX 열차번호
2.3. 시간표
2.3.1. 상행
2.3.2. 하행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곡성역은 1933년 10월 1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뒤이어 1938년 9월에 이르러 옛 곡성역사가 준공되었다. 과거 역사는 오곡면에 위치, 읍에서 다소 떨어져 있었으나 1999년 5월 18일 전라선 선로 이설에 따라 역사도 함께 곡성읍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청량리동이 아닌 전농동에 위치한 청량리역과 같이 역명과 지명이 다른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역사가 이전하면서 접근성이 좋아진 것은 물론 달랐던 지명과 역명이 같아진 특이할 만한 사례이다. 역사는 곡‘성(城)’이라는 이름답게 성곽 형태의 독특한 모양으로 지어졌다. 이 때문에 비슷한 성(城)의 모습을 띤 역사인 용문역, 탑리역과 함께 인기있는 철도여행지로 손꼽힌다. 또한 독특한 역명판 디자인과 글씨체가 오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파일:곡성역 스탬프.jpg
곡성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곡성역사를 형상화했다. 이 스탬프와 함께 섬진강 기차마을 코레일 다이어리 스탬프도 비치중이다.
전라선철도역.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곡성로 920 (읍내리 53-6)에 위치해 있다. 전라선에선 전라남도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익산 방면으로 이동하자마자 금지역부터 전라북도 소속이기 때문.

2. 역 정보[편집]


곡성역이 이설되기 전의 역사는 읍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었고, 곡성읍이 아닌 오곡면에 위치하고 있었다. 분명히 복선화해서 역이 이설되었는데 다른 경우와 다르게 이상하게도 읍내에 가까워진, 개선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역사는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역으로 바뀌었다. 사실 이렇게 서술해서 구 역과 현재역이 먼 것처럼 느껴지지만, 현 곡성역에서 구 역이 있는 기차마을까지는 1km 밖에 안 떨어져 있으며, 걸어서 5 ~ 10분이면 닿는 거리다.

전라선 KTX 운행 초기 계획에는 정차 계획이 없었지만, 2011년 10월부터 구례구역과 함께 KTX-산천이 2회씩 정차를 하였고, 2015년 4월부터 4회로 증차하였으나, 이는 정치적인 판단에 의한 증차라는 이유로 구례구역과 함께 비판을 받은 역이지만, 이런 비판을 비웃는 듯 곡성역은 2017년부터 3만 명이나 되는 승하차를 기록했다.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유명한 역. 용문역의 원조로 꼽히며, 이른바 곡성읍성으로 불리고있다.

건널목으로 선로를 직접 건너 승강장으로 가야한다. 물론 이 역을 통과하는 KTX의 속도가 최소 170km/h 이상이기에 매우 위험하므로, 열차 시간 이외에는 승강장 출입을 통제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SRT(일 2왕복)와 ITX-마음이 정차한다.

2.1. 열차 운행 정보[편집]


모든 무궁화호 열차와 ITX-새마을호, SRT 열차가 필수정차하고 KTX, ITX-마음은 선택정차한다.

2011년 10월부터 구례구역과 함께 KTX-산천이 하루 상행 2회, 하행 2회씩 정차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2015년 4월 2일의 호남고속선 합류 전라선 KTX로 운행하면서 변동사항으로 곡성역에 KTX가 하루 상행 4회, 하행 4회로 2배 늘어난다. 이와 함께 KTX-산천도 일부 정차하고 "남원역 - 곡성역 - 구례구역 - 순천역" 구간을 모두 정차하는 편성이 생긴다.

2022년 4월 기준 KTX가 하루 상행 7회(주말 8회), 하행 6회가 정차하고 있다.

2.2. 곡성역 정차 KTX 열차번호[편집]


2023년 9월 기준이다.
  • 하행: #581(용산 -> 여수엑스포, 서대전 경유)[1], #505(용산 -> 여수엑스포)[2], #507(행신 -> 여수엑스포)[3][4], #511(용산 -> 여수엑스포)[5], #515(서울 -> 여수엑스포)[6], #521(용산 -> 여수엑스포)[7]
  • 상행: #504(여수엑스포 -> 행신)[8], #542(여수엑스포 -> 행신)[9], #510(여수엑스포 -> 용산)[10], #514(여수엑스포 -> 서울)[11],#4052(여수엑스포 -> 행신,금토일)[12], #518(여수엑스포 -> 용산)[13], #520(여수엑스포 -> 행신)[14], #584(여수엑스포 -> 용산, 서대전 경유)[15], #544(여수엑스포 -> 행신)[16]


2.3. 시간표[편집]



2.3.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55KTX504행신
08:36KTX-산천542행신
12:45KTX510용산
14:47KTX-산천514서울
16:16KTX_산천4052[금~일]행신
17:21KTX_산천518용산
18:54KTX520행신
19:42KTX_산천584[서대전]용산
20:12KTX-산천544[17]행신

파일:SRT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34SRT682수서
15:19SRT684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13무궁화1502용산
08:31무궁화1532익산
09:06ITX-새마을1082용산
09:48무궁화1534익산
13:08무궁화1536익산
14:14무궁화1504용산
15:02ITX-새마을1084용산
15:37무궁화1538익산
16:41ITX-마음1184용산
17:38무궁화1540익산
19:08무궁화1510용산
20:14무궁화1512용산
23:33무궁화1542익산

남도해양관광열차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8:18남도해양관광열차2522[관광]서울

2.3.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0:36KTX581여수엑스포
10:56KTX505여수엑스포
12:17KTX-산천507[월~목]
507+9507[금~일]
여수엑스포
14:38KTX_산천511여수엑스포
19:05KTX_산천515여수엑스포
22:18KTX521여수엑스포

파일:SRT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45SRT681여수엑스포
21:29SRT683여수엑스포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49무궁화1531여수엑스포
08:40무궁화1533여수엑스포
10:12무궁화1501여수엑스포
11:04ITX-새마을1081여수엑스포
13:32ITX-마음1181여수엑스포
14:18무궁화1535여수엑스포
16:48무궁화1503여수엑스포
19:29무궁화1505여수엑스포
20:08무궁화1537여수엑스포
20:30ITX-새마을1083여수엑스포
21:38무궁화1539여수엑스포
22:29무궁화1541여수엑스포
23:33무궁화1507여수엑스포

남도해양관광열차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05남도해양관광열차2521[관광]여수엑스포


3. 승강장[편집]


남원
1234
구례구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총합비고
2004년41명290명331명
2005년53명394명447명
2006년54명406명460명
2007년58명449명507명
2008년61명479명540명
2009년68명455명523명
2010년88명554명642명
2011년63명98명589명750명[18]
2012년43명47명675명765명
2013년45명48명670명763명
2014년40명68명646명754명
2015년89명84명623명796명
2016년125명66명581명772명
2017년194명100명541명835명
2018년220명95명527명 842명
2019년227명96명507명830명
2020년158명32명250명440명
2021년170명35명281명486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기타[편집]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상) 7단원에 실린 공선옥 작가의 글 '곡성역에서 만난 할아버지'의 무대가 된 역이기도 하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촬영장소로 쓰였는데 피난민 엑스트라를 곡성 고등학교 학생들로 썼다. 학생들에게 영화 찍으러 갈 사람들 모집을 했다고 한다. 영화에 사용된 레플리카 미카3형 161호 증기기관차는 현재 미카3형 129호 명판으로 바꿔달고 2122호 디젤기관차 옆에 정태보존 전시되어 있다.

같은 장소에서 곡성-가정 구간 관광열차로 영업중인 증기기관차 모양의 디젤기관차도 동일한 미카3-129 번호판을 달고 있다.

영화 분홍신에서 나오는 지하철역이 '곡성역'이라고 나와있다. 영화 초반의 곡성역은 인천 지하철에 촬영되었으나 후반에는 대구 지하철[19]에서 촬영되었다.

여자친구의 <귀를 기울이면 (LOVE WHISPER)> 뮤직 비디오에서 (舊)곡성역을 배경으로 하는 군무씬이 나온다. 다만 촬영시에는 역명판을 "곡성역" 대신, 노래 제목 처럼 귀를 기울인다는 의미의 "경은역"[20]으로 바꿔 붙였다.

2100호대 디젤기관차동태 보존 중이다. 가끔씩 운행도 한다(!)
펜션에서 가끔씩 곡성역에 정차/통과하는 열차들이 보인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2:26:17에 나무위키 곡성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통과역: 4개 (천안아산, 오송, 구례구, 여천)[2] 통과역: 1개 (천안아산)[3] 통과역: 1개 (구례구)[4] 금토일 #9507 열차와 함께 복합열차로 운행한다.[5] 통과역: 3개 (오송, 구례구, 여천)[6] 통과역: 1개 (오송)[7] 통과역: 3개 (오송, 공주, 구례구)[8] 통과역: 1개 (구례구)[9] 통과역: 2개 (공주, 서울)[10] 통과역: 3개 (구례구, 오송, 광명)[11] 통과역: 3개 (구례구, 오송, 천안아산)[12] 통과역: 3개 (오송, 광명, 서울)[13] 통과역: 3개 (구례구, 공주, 오송)[14] 통과역: 1개 (천안아산)[15] 통과역: 2개 (구례구, 오송)[16] 통과역: 2개 (구례구, 천안아산)[금~일] A B 금~일에만 운행한다.[서대전] 서대전 경유[17] 금 미운행[관광] A B 수 ~ 일요일만 운행[월~목] 월~목에만 운행한다.[18]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9] 전동차는 2호선이다.[20] 傾听(기울어질 경, 웃을 은)으로 바꾸었는데, 听(웃을 은)자는 "들을 청"이라는 다른 뜻도 있다. 본디 "귀 기울여 주의깊게 듣는다"라는 한자어는 한국에서는 "경청(傾聽)"으로 더 많이 쓰이고 "경은(傾听)"이라는 표현은 주로 중국어에서 많이 쓰인다. 간체자로 본다면 경청이라고 읽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