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마호블리치

덤프버전 :

프랭크 마호블리치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No.1No.4No.5
터크 브로다
(Turk Broda)
자니 바워
(Jhonny Bower)
햅 데이
(Hap Day)
레드 켈리
(Red Kelly)
빌 바릴코
(Bill Barilko)
No.6No.7No.9
에이스 베일리
(Ace Bailey)
킹 클랜시
(King Clancy)
팀 호턴
(Tim Horton)
찰리 코나커
(Charlie Conacher)
테드 케네디
(Ted Kennedy)
No.10No.13No.14No.17
실 앱스
(Syl Apps)
조지 암스트롱
(George Armstrong)
마츠 순딘
(Mats Sundin)
데이브 키언
(Dave Keon)
웬델 클라크
(Wendel Clark)
No.21No.27No.93No.99
뵈리에 살밍
(Börje Salming)
프랭크 마호블리치
(Frank Mahovlich)
대릴 시틀러
(Darryl Sittler)
덕 길모어
(Doug Gilmour)
웨인 그레츠키
(Wayne Gretzky)





파일:하키 명예의 전당 로고.svg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1981)

파일:Bleacher_Report_logo.pn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Top 100
[ 펼치기 · 접기 ]

※ 201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블리처리포트에서 NHL 역사상 최고의 선수 100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웨인 그레츠키마리오 르미외바비 오어고디 하우바비 헐
6위7위8위9위10위
모리스 리샤르필 에스포지토더그 하비하위 모렌츠테리 서척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이 부르크글렌 홀장 벨리보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이크 보시에디 쇼어테드 린지기 라플뢰르프랭크 마호블리치
21위22위23위24위25위
니클라스 리드스트룀브라이언 트로티에스티브 아이저먼마르셀 디온파트리크 루아
26위27위28위29위30위
데니스 포트빈바비 클라크피에르 필로트앨 매키니스브렛 헐
31위32위33위34위35위
도미니크 하셰크야로미르 야그르조 새킥폴 커피마르탱 브로되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데니스 사바르알렉스 델베키오켄 드라이든테무 셀래네토니 에스포지토
41위42위43위44위45위
래리 로빈슨론 프랜시스크리스 첼리오스맥스 벤틀리베르니 조프리옹
46위47위48위49위50위
조니 바우어페테르 슈타스트니레드 켈리자크 플랑트자니 뷰식
51위52위53위54위55위
질베르 페롤데일 하워척팀 호턴시드 아벨찰리 코나처
56위57위58위59위60위
얼 세이버페테르 포르스베리제레미 로에닉야리 쿠리보르예 셀링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크 레키키스 커척토 블레이크미셸 골레래니 맥도널드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가디너애덤 오츠조 멀린킹 클렌시빌 콜리
71위72위73위74위75위
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뤽 로비타유베르니 파렌트앙리 리샤르
76위77위78위79위80위
크리스 프롱거스티브 라머앤디 배스게이트빌 모시엔코로드 랭웨이
81위82위83위84위85위
밀트 슈미트저롬 이긴라세르지 사바르조르주 베지나에릭 린드로스
86위87위88위89위90위
엘메르 라쉬마이크 모다노브래드 파크디키 무어딧 클래퍼
91위92위93위94위95위
더그 길모어로네 샤보마츠 순딘필 휴슬리자크 르메르
96위97위98위99위100위
스콧 스티븐스스콧 니더메이어파벨 다추크조 뉴언다이크에드 벨푸어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100인
[ 펼치기 · 접기 ]

시드 아벨실 앱스앤디 배스게이트장 벨리보맥스 벤틀리
토 블레이크마이크 보시레이 부르크조니 바우어터크 브로다
마르탱 브로되르자니 뷰식파벨 부레크리스 첼리오스킹 클랜시
바비 클라크폴 커피찰리 코나커이방 쿠르누아예시드니 크로즈비
파벨 다추크알렉스 델베키오마르셀 디온켄 드라이든빌 더넌
필 에스포지토토니 에스포지토세르게이 표도로프페테르 포르스베리론 프랜시스
그랜트 퓨어밥 게이니마이크 가트너베르니 조프리옹웨인 그레츠키
글렌 홀더그 하비도미니크 하셰크팀 호턴고디 하우
바비 헐브렛 헐야로미르 야그르패트릭 케인던컨 키스
레드 켈리테드 케네디데이브 키언야리 쿠리엘머 라크
기 라플뢰르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자크 르메르마리오 르미외
니클라스 리드스트룀에릭 린드로스테드 린지앨 매키니스프랭크 마호블리치
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마이크 모다노디키 무어하위 모렌츠
스콧 니더메이어조 뉴언다이크애덤 오츠바비 오어알렉산드르 오베츠킨
베르니 파랑브래드 파크질베르 페롤자크 플랑트드니 포트뱅
크리스 프롱거장 라텔앙리 리샤르모리스 리샤르래리 로빈슨
뤽 로비타유파트리크 루아조 새킥뵈리에 살밍드니 사바르
세르주 사바르테리 서척밀트 슈미트테무 셀래네브랜던 섀너핸
에디 쇼어대릴 시틀러빌리 스미스페테르 슈타스트니스콧 스티븐스
마츠 순딘조너선 테이브스브라이언 트로티에조르주 베지나스티브 아이저먼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관련 수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NHL 로고.svg 1962, 1963, 1964, 1967, 1971, 1973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파일:NHL 로고.svg NHL First All-Star Team(1961, 1963, 1973)

파일:NHL 로고.svgNHL Second All-Star Team(1962, 1964, 1965, 1966, 1969, 1970)

파일:칼더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32-331933-341934-351935-361936-37
칼 보스러스 블링코스위니 슈리너마이크 카라카스실 앱스
1937-381938-391939-401940-411941-42
컬리 달스트롬프랭크 브림섹킬비 맥도널드자니 퀼티그랜트 워윅
1942-431943-441944-451945-461946-47
게이 스튜어트거스 보드나프랭크 맥쿨에드가 라프라드하위 미커
1947-481948-491949-501950-511951-52
짐 맥파든펜티 룬드잭 젤리노테리 서척베르니 조프리옹
1952-531953-541954-551955-561956-57
검프 워슬리카미유 앙리에드 리첸버거글렌 홀래리 리건
1957-581958-591959-601960-611961-62
프랭크 마호블리치랠프 백스트롬빌 헤이데이브 키언바비 루소
1962-631963-641964-651965-661966-67
켄트 더글라스자크 라프리에르로저 크로지어브릿 셀비바비 오어
1967-681968-691969-701970-711971-72
데릭 샌더슨대니 그랜트토니 에스포지토질베르 페롤켄 드라이든
1972-731973-741974-751975-761976-77
스티브 빅커스드니 포트뱅에릭 베일브라이언 트로티에윌리 플렛
1977-781978-791979-801980-811981-82
마이크 보시바비 스미스레이 부르크페테르 슈타스트니데일 하워척
1982-831983-841984-851985-861986-87
스티브 라머톰 바라소마리오 르미외개리 서터뤽 로비타유
1987-881988-891989-901990-911991-92
조 뉴언다이크브라이언 리치세르게이 마카로프에드 벨푸어파벨 부레
1992-931993-941994-951995-961996-97
테무 셀래네마르탱 브로되르페테르 포르스베리다니엘 알프레드손브라이언 베라드
1997-981998-991999-002000-012001-02
세르게이 삼소노프크리스 드루리스콧 고메스예브게니 나보코프대니 히틀리
2002-032003-042004-052005-062006-07
바렛 잭먼앤드류 레이크로프트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알렉산드르 오베츠킨예브게니 말킨
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
패트릭 케인스티브 메이슨타일러 마이어스제프 스키너가브리엘 란데스쿡
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
조나탕 위베르도네이선 매키넌애런 에크블래드아르테미 파나린오스턴 매튜스
2017-182018-192019-202020-212021-22
매튜 바잘엘리아스 페테르손케일 마카키릴 카프리조프모리츠 자이더
2022-232023-242024-252025-262026-27
매티 베니어스




기타 상훈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1990)

파일:Order of Canada.png Order of Canada(1994)

파일:프랭크 마호블리치.jpg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o.27
프랜시스 윌리엄 "프랭크" 마호블리치
Francis William "Frank" Mahovlich OC[1]
출생1938년 1월 10일 (86세)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주 티민스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신체185cm, 93kg
포지션레프트윙
왼쪽
입단1957년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입단
소속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1957~1968)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68~1971)
카나디앵 드 몽레알 (1971~1974)
별명The Big M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기타
5. 연도별 기록(NHL)
5.1. 정규 시즌
5.2.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아이스하키 선수 및 정치인.

2. 선수 경력[편집]


크로아티아 이민자의 자식으로 태어난 마호블리치는 주니어 시절에 복수의 NHL 팀들에게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을 정도로 이름이 알려져있었고,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와 입단 계약을 맺었다. 립스의 제휴교인 세인트 마이클즈 학교(St. Michael's College)에 들어가서 1954년부터 1957년까지 활동했고, 1956-57시즌 3경기 출장 이후, 1957-58시즌에 20골을 기록하면서 본격적인 풀타임 시즌을 보냈다.

1960-61시즌 펀치 임락(Punch Imlach)이 감독 및 단장으로 취임하여 마호블리치를 밥 네빈과 레드윙스에서 데려온 레드 켈리와 같은 라인에 세웠고, 이 3명은 립스 내에서 득점 1~3위를 휩쓸었다. 특히, 마호블리치는 시즌 48골로 팀을 이끌었고, 이후 1962년부터 1964년까지 우승에 성공하면서 전성기를 보냈다.

임락 감독과는 초반에는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1962년 우승 이후 연봉 협상 과정에서, 성과에 비해 푼돈을 받는다고 느낀 마호블리치는 임락 단장과의 관계가 험악해졌다. 팀원들은 이러한 상황을 냉전이라고 표현했을 정도. 더군다나, 1962년 초반 올스타전 시기에 시카고 블랙호크스 구단주 제임스 노리스[2]로부터 $1M[3]의 제안을 받았던 일이 있었는데, 계약에 합의했다고 생각한 호크스는 립스에 보증금까지 보내버렸는데, 다음날 립스가 마호블리치가 요구한 금액을 맞춰주기로 합의하면서 호크스와 마찰을 빚었다. 결국, 마호블리치가 공개 회견을 가지며 해프닝으로 마무리되긴 했지만 구단에 찍히게 되었다.

관중하고도 사이가 좋지 못해서 홈에서 홈팬들에게 야유를 받는가하면, 관계가 냉각된 임락 감독은 의도적인 건지 아닌지 마호블리치의 이름을 몇 년씩이나 틀리는 등 경기 외적인 요소로 스트레스를 받은 마호블리치는 결국, 1964년 11월 급성 우을증 진단을 받고 토론토의 종합병원에 입원까지 하게 되었다. 입원하는 동안 팬들의 응원 편지가 대량으로 쇄도하였고, 1개월 후에 구단에 복귀한 마호블리치는 11경기 결장에도 팀내 득점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1966-67시즌에 팀이 또 한번의 우승을 거두는 와중에 마호블리치는 지난 7년간의 시즌 중 최악의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결국, 또다시 우을증을 앓게되어 입원하면서 지역 일간지에서 "마호블리치는 잘 삐지고 쉽게 상처받는 사람"이라고 좋지 못한 비아냥까지 듣게 되었다. 결국, 1967-68시즌동안에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로 트레이드되었는데, 이적 전 인터뷰에서 "비즈니스는 비즈니스이다. 내가 여기서 사람들을 기쁘게 할 수 없다면, 거기 가서 기쁘게 하면 된다."라고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파일:레드윙스 프로덕션 라인 3기.jpg
고디 하우(좌)와 알렉스 델베키오(중)와 함께 형성한 프로덕션 라인 3기

레드윙스로 이적하자마자, 은퇴한 테드 린지의 빈자리에 들어가 마호블리치-알렉스 델베키오-고디 하우로 이어지는 '프로덕션 라인 3기(Production Line III)'를 형성했고, 지난 8년의 시즌 중 최고의 시즌을 보내고 커리어 하이인 시즌 49골을 기록했다.[4]

하지만, 1970-71시즌에 단장이었던 시드 아벨이 감독 네드 하크니스(Ned Harkness)를 경질시키려 했지만, 구단주에 의해 기각되었고 하크니스가 단장직을 이어받게 되었는데, 하크니스가 취임하자마자 자신에게 위협이 될 것 같은 선수들이 죄다 보내버렸다. 마호블리치도 그 중 하나로 지목되어 햅스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런데 이적하자마자 또다시 스탠리 컵을 들어올렸고, 1971-72시즌에는 커리어 베스트인 96포인트를, 1973년에는 또 한번의 우승을 거두면서 립스→윙스→햅스로 가면서 성적은 점점 좋아졌다.

1974년에 신설된 리그 WHA에 이적하여 1979년에 은퇴하기까지 토론토 토로스와 버밍햄 불스에서 4시즌을 보냈다. 버밍햄 시절에는 1라인에 쭉 서웠던 그가 인포서인 선수들과 같은 선수들에 서면서 합이 맞지 않은 모습을 보였고, 기자와의 인터뷰에서는 "잘은 모르겠지만 나는 하우델베키오랑 뛰는 것이 훨씬 더 좋은 것 같다."라며 윙스 시절이 심적으로도 좋았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1979년에 WHA의 해체로 인해 레드윙스로의 복귀를 시도하였지만, 이루어지지 못하고 시즌을 앞둔 1979년 10월 7일에 은퇴를 선언했다.

3. 은퇴 이후[편집]


은퇴 이후인 1981년에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90년에는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94년에는 캐나다 2등급 훈장(Order of Canada)에 서훈되었다.

1998년에는 캐나다 총리 장 크레티앵에 의해 상원의원에 임명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여, 2013년 1월 10일에 상원의원에서 은퇴했다.

4. 기타[편집]


  •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후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는 세레머니를 한 최초의 선수이다. 거기에다 아이스링크 한 바퀴까지 도는 건 테드 린지가 최초.

5. 연도별 기록(NHL)[편집]



5.1. 정규 시즌[편집]


정규 시즌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TOR1956-673101-2110000---
1957-5867201636-675110020---
1958-5963222749-946160030---
1959-6070182139-26131000202009-
1960-6170483684231317200010022321.52-
1961-62703338713187111009023613.98-
1962-63673637732256918008023915.06-
1963-6470262955866615004020512.68-
1964-6559232851976723004018212.64-
1965-66683224563681017006024513.06-
1966-6763182846042411003017310.4-
1967-685019173623025004015212.5-
DET1967-681379163226005019113.6-
67-68 합계632626525320100103917.95-
1968-69764929784438713005029316.72-
1969-707438327014591426115025115.14-
1970-7135141832430611122010413.46-
MTL1970-7138172441511412112010017-
70-71 합계733142739411023234020415.2-
1971-727643539642361431464026116.48-
1972-73783855934251827235024215.7-
1973-74713149801647825233022114.03-
NHL 통산
(18시즌)
11815335701103-10541223041116820---

5.2. 플레이오프[편집]


정규 시즌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TOR1956-67126511-18121111---
1959-6010314-327000031358.57-
1960-615112-360100001010-
1961-62126612-2291300203716.22-
1962-63902218000000190-
1963-641441115020160020458.89-
1964-65603319010000150-
1965-664101-210110000714.29-
1966-67123710-48370010466.52-
DET1969-704000-6200000050-
MTL1970-71201413272183801008117.28-
1971-726325-521100001323.08-
1972-731791423061500004420.45-
1973-746123-40020000166.25-
NHL 통산
(14시즌)
1375167118-1631237129237313.7-

[1] 캐나다 2등급 훈장, 1994년 서훈.[2] 정규시즌 최우수 수비수에게 수여하는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의 명칭도 이 인물에서 따왔다.[3] 지금이야 연봉만 $20M~30M도 받는 스타들이 많지만, 당시에는 $25,000도 못받던 선수들이 즐비했기 때문에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제안이었다.[4] 반면에, 마호블리치를 떠나보낸 이후 립스는 현재까지도 두 번 다시 스탠리 컵 우승을 거두는 일은 없었다.NHL판 밤비노의 저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0:08:26에 나무위키 프랭크 마호블리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