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외버스터미널

덤프버전 :

||


파일:포천터미널.png

1. 개요
2. 노선
3. 이전 문제
4. 여담
5. 연계 버스 노선
6. 연계 철도역



1. 개요[편집]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2. 노선[편집]


고속버스 노선은 없으며,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와수리(R3002, R3007), 신철원(R3000)




3. 이전 문제[편집]


협소한 터미널 대체목적, 포천시외버스터미널의 위치가 포천읍내 중심부에 위치하여 극심한 교통혼잡을 일으키기 때문에 당시 포천군청에서는 약 71억 여원을 들여 신터미널을 건축하기로 하고 2002년 말 착공해 2004년 9월에 완공하였다.관련기사 중간에 포천군이 시로 승격하여 결국 시 승격 이후에 완공된 셈이 되었다.

신터미널은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청성로 112 (하성북리 618)에 위치하고 있는데 2004년 당시 연간 임대료를 용역결과에 따라 2억여원으로 정하고 운영업체 공모에 나섰으나 임대료가 비싸다는 이유로 운영업체들이 4년간 공모에 응하지 않아 지난 2008년 이후부터 신터미널을 공공용 업무시설로 용도변경하여 어떤 노선도 들어오지 않았다. 관련기사, 임대료문제 게다가 기존 포천시내에서 한복판이 너무 혼잡하다보니 이를 피해 다리 건너 외곽에 세워졌고, 결국 접근성이 저하되면서 메리트가 저하되었다. 하다 못 해 43번 국도(호국로)에 붙어있는 군내사거리나 한내사거리 귀퉁이에 세웠더라면 이 정도까지 접근성이 나쁘지는 않았을 것이다.

결국 포천시외버스터미널은 포천군 시절부터 쓰던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 했고, 계속해서 70억짜리 신축 터미널을 놀릴 수 없어 결국 2009년 이후로 포천시 선거관리위원회와 포천도시공사 같은 공공기관을 입주시켜서 채웠다.[4] 당연히 처음에 의도한 바는 아니겠지만 결과적으로 공공기관 청사를 지어준 결과가 되었다.[5] 게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포천시는 여성회관, 도시공사, 반월아트홀 접근성 강화를 위해 경복대까지 가던 72-3번을 단축하고 대진대까지 가던 3200번을 연장시켰는데 이 건물 앞을 박차지로 활용하고 있다. 의도가 어느 정도는 이뤄진 셈.

하지만 포천시외버스터미널의 극심한 교통혼잡으로 포천광역버스터미널을 원래대로 개관해야한다는 안건이 시의회 상정 계획에 매년 올라온다. 현재도 모든 시외버스 운행은 기존 포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고 있으며 주로 수도권, 강원도권 방면 위주로 운행하고 있다.관련기사

결국 포천시가 기존 터미널과 주변 건물을 철거하고 재개발을 한다고 한다. 표제 사진의 2층 터미널 건물 및 전면 구조물도 2023년 4월 현재 철거가 완료되었고, 함께 철거된 신읍동 42-10 상가 부지에(위 사진에 나오지 않는 터미널 좌측) 컨테이너 임시 매표소와 간이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단, 승하차 위치는 기존과 동일.

4. 여담[편집]




5. 연계 버스 노선[편집]


※ 시외버스와 공항버스는 제외한다.

신읍7통.포천축협입구(40587)
11용정산업단지 방향
11-1
56용정산업단지 방향
56-1영화아파트 방향
56-7포천시청 방향
57-1
60
57포천고등학교 방향
72-3방학동신동아타워 방향
3200종점

신읍7통.포천축협입구(40588)
11운담사거리 방향
11-1
56전곡재래시장 방향
56-1
56-7영평리 방향
57-1동두천 송내주공5단지 방향
6038고개 방향
57소요산역 방향
72-3반월아트홀 방향
88송우리홈플러스 방향
3200청량리역환승센터 방향

6.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2:55:07에 나무위키 포천시외버스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티머니 E-pass 사용 불가[2] 운행횟수가 많지 않기때문에 동서울행 시외버스를 타거나 1403번을 타야한다.[3] 안양 경유는 진흥고속이 운행했었으나 2019년 1월 1일부로 폐선되었으며, 현재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송우리, 고양 경유만 운행한다.[4] 포천군청 시절부터 쓰던 3층 건물이 포화상태인지라 이게 가능했다. 시청이 좁다보니 일부 과는 외부 건물을 임차한 상황이며, 제4별관까지 있다.[5] 포천도시공사 건물의 1층 주차장이 상당히 넓은데 본래 시외버스 주/박차지로 만들어서 그런 것이다.[6] 말년엔 한양고속 도 이 동네에 들어왔다. 당시 센트럴 발 서해안 노선으로 운행하던 그랜버드 HD 블루스카이 일반차량을 28석 우등으로 개조해 운행했다. 폐선이후 중고 매각으로 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