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조승환인 래퍼에 대한 내용은 키츠요지 문서
키츠요지번 문단을
키츠요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중구·영도구)
제21대
황보승희
제22대
조승환
현직

조승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산광역시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전봉민 ||
||<rowbgcolor=#00b5e2><width=25%> 중·영도 ||<width=25%> 서·동 ||<width=25%> 부산진 갑 ||<width=25%> 부산진 을 ||
|| 공석 ||<bgcolor=#ffffa0,#2d2f34> 안병길 ||<bgcolor=#ffffa0,#2d2f34> 서병수 ||<bgcolor=#ffffa0,#2d2f34> 이헌승 ||
||<rowbgcolor=#00b5e2> 동래 || 남 갑 || 남 을 || 북·강서 갑 ||
||<bgcolor=#ffffa0,#2d2f34> 김희곤 ||<bgcolor=#ffffa0,#2d2f34> 박수영 || 이언주 || 공석 ||
||<rowbgcolor=#00b5e2> 북·강서 을 || 해운대 갑 || 해운대 을 || 사하 갑 ||
||<bgcolor=#ffffa0,#2d2f34> 김도읍 ||<bgcolor=#ffffa0,#2d2f34> 하태경 ||<bgcolor=#ffffa0,#2d2f34> 김미애 || 김척수 ||
||<rowbgcolor=#00b5e2> 사하 을 || 금정 || 연제 || 수영 ||
||<rowbgcolor=#ffffa0,#2d2f34> 조경태 || 백종헌 || 이주환 || 전봉민 ||
||<rowbgcolor=#00b5e2> 사상 || 기장 || || ||
||<bgcolor=#ffffa0,#2d2f34> 장제원 ||<bgcolor=#ffffa0,#2d2f34> 정동만 || || ||
||<-4>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해양수산부장관.svg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22대 해양수산부장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조승환
趙承煥 | Cho Seung-hwan
파일:조승환_국민의힘_후보.jpg
출생1966년 2월 17일 (58세)
(정부 직할) 부산직할시 영도구
(現 부산광역시 영도구)#
거주지세종특별자치시
현직제22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중구·영도구 당협위원장
재임기간제22대 해양수산부장관
2022년 5월 10일 ~ 2023년 12월 29일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배우자, 슬하 1남 1녀
학력대동고등학교 (18회 /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워싱턴 대학교 로스쿨 (법학 / LL.M.)
병역전시근로역 (현역 면제)[1]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부산 중구·영도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2
소속 위원회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경력제34회 행정고시 합격
통일원 통일정책실 사무관
총리실 정무비서관실·의전비서관실 행정관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장
해양수산부 국제기획관실 물류제도팀장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경제2분과 실무위원
대통령실 국토해양비서관실 행정관 (이명박 정부)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인천항건설사무소장
주 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 (박근혜 정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 (문재인 정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상임이사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직능총괄본부 국토균형개발본부 부본부장
제22대 해양수산부장관 (윤석열 정부)
제22대 국회의원 (부산 중구·영도구 / 국민의힘)

[1] 1985년 9월 28일 질병으로 인해 신체등급 5급 판정으로 전시근로역으로 판정 받았으며, 질병명은 만성간염으로 알려졌다. #

1. 개요
2. 약력
3. 생애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을 지냈다.


2. 약력[편집]




3. 생애[편집]


1966년 정부 직할 부산시(現 부산광역시)에서 출생하였다. 대동고등학교 졸업 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한다.

졸업 후 1990년 제34회 행정고시에서 합격했으며, 이후에 통일원[1] 통일정책실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사무관 시절 미국 워싱턴 대학교에 유학을 다녀왔으며,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건, 김종필국무총리 재임 시절인 1997년부터 국무총리 정무비서관실과 의전비서관실에서 행정관으로 근무를 했다. 그가 처음 해양수산부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2003년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장으로 부임하면서 부터이며, 과장직을 맡고 고향인 부산으로 내려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2년간 근무하다가 2007년 본청으로 복귀한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당선된 후 꾸려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경제2분과 실무위원[2]으로 합류했으며,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대통령실 국토해양비서관실 선임행정관, 인천항건설사무소장 등을 맡다가 주 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을 지내며 다양한 행정 경험을 쌓게 된다.

2015년에 해양수산부로 복귀해 이사관에 승진, 해사안전국장을 지냈으며, 2016년엔 고향인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인 2017년 9월에는 해수부의 핵심 요직인 해양정책실장으로 임명되었고, 2018년 9월 공직을 퇴임하였다. 퇴임 직후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원장에 임명되었고, 2021년 11월까지 역임했다.


3.1. 해양수산부장관[편집]


관료 출신 인사로는 차관을 거치지는 못했지만 2022년 4월 13일, 윤석열 정부의 첫 해양수산부장관으로 지명되었다.[3] # 윤석열 정부가 주요 공약으로 제시한 '신해양강국 재도약'을 이끌 최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코로나 19 사태와 4차 산업혁명의 전환기를 크게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해운물류 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5월 9일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되면서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김부겸 전 국무총리의 제청을 거쳐 임명했다.

6월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방류되더라도 우리 해안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은 현재 상황이 유지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세계무역기구(WTO)도 일본 바다의 오염 개연성을 보고 후쿠시마산 수산물의 수입 금지가 맞다고 판정했는데, 무슨 근거로 안전하다고 하느냐'는 후속 질문에 "원전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한 적은 없으며, 우리 해안 및 바다 수산물이 안전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후 방사능 물질이 유출됐다고 추정되는데, 아직 (우리 해역) 검사 결과에서 나온 게 하나도 없다"며 "과거에 미뤄볼 때 앞으로도 우리 해역이 안전하다고 얘기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면서 "생선과 물(해수)은 명백하게 구분해야 한다"며 "후쿠시마 해역에서 잡히는 생선은 수입 금지를 내렸다. 반면 해수는 충분히 희석돼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 해역에는 지장이 없다"고 강조했다.#

2023년 12월 4일, 개각 명단에 포함되면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구는 출신지인 부산광역시 중구·영도구사하구 갑 지역구가 거론되는 중이다.

2023년 12월 29일, 강도형 장관 후보자의 임명안이 재가되면서 공직에서 퇴임하였고 이후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부산 중구·영도구 지역구 출마를 선언하였다.


3.2. 정치활동[편집]


해양수산부 장관에서 물러난 후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부산 중구. 영도구 지역구 출마를 선언한 뒤 공천 심사 결과 박성근 전 국무총리비서실장과의 양자 경선을 치르게 되었고 2024년 3월 1일, 국무총리 비서실장 출신 박성근 예비후보와의 경선에 승리함으로써 중구·영도구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됐다. 본선에서 박영미 후보와 맞붙어 득표율 11.28%, 9515표 차이로 박영미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당선 후 인터뷰에서, 본인이 국내 최고 해수 전문가로 꼽히며, 해양수도 부산의 발전이 최근 많이 정체되고 있는 만큼 영도구와 중구 일대에 해양 기업 등을 집중 육성하고 유치해서 중구와 영도구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겠다고 강조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중·영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6,254 (54.82%)당선 (1위)초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기획재정부장관.svg
추경호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교육부장관.svg
박순애이주호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svg
이종호
파일:외교부장관.svg박진
파일:통일부장관.svg권영세김영호
파일:법무부장관.svg한동훈
파일:국방부장관.svg이종섭신원식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이상민
파일:국가보훈부장관.svg박민식[1]강정애
파일:문화체육관광부장관.svg박보균유인촌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정황근
파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svg이창양방문규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조규홍
파일:환경부장관.svg한화진
파일:고용노동부장관.svg이정식
파일:여성가족부장관.svg김현숙
파일:국토교통부장관.svg원희룡박상우
파일:해양수산부장관.svg조승환
파일:중소벤처기업부장관_국문_흰색글자.svg이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02:02:57에 나무위키 조승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통일부.[2] 인수위는 인수위원, 전문위원, 실무위원으로 구성되는데, 인수위원엔 보통 정치인 또는 교수가, 전문위원엔 국장, 실장급 공무원이, 실무위원엔 과장급 공무원이 임명된다.[3] 내부적으로 차관급 보직인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장을 거쳐 실장급 보직으로 공직 생활을 마감했음에도 장관으로 영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박상우 국토부장관이 있다. 박 장관 또한 실장급에서 공직생활을 마쳤으나 내부적으로 차관급 보직으로 평가되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을 거쳤기에 장관 직행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