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차관

덤프버전 : (♥ 0)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차관
大韓民國 海洋部次官
The Vice Minister of Oceans and Fisheries
of the Republic of Korea
파일:100138260.jpg
현직박성훈 / 제18대
취임일2023년 7월 3일
최종 약력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

1. 개요
2. 수산청 차장
4. 해양수산부 차관 (1996 ~ 2008)
5.1. 제1차관
5.2. 제2차관
6.1. 제1차관
6.2. 제2차관
7. 해양수산부 차관 (2013 ~)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해양수산부의 차관이다. 해양수산부장관을 보좌하여 해양수산부의 구체적 행정 실무를 총괄·지휘·감독한다.

해양수산부의 전신인 농림수산부 수산청은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66년 설립되었고, 차관급 청장 밑에 1급 상당의 차장을 두었다. 또 다른 전신인 건설교통부 해운항만청 역시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77년 설립되었고, 차관급 청장 밑에 1급 상당의 차장을 두었다. 이 두 기관은 문민정부 시절인 1996년 독도 영유권 문제가 불거지자 해양수산부로 통합되었다.[1]

이후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2008년 해양수산부는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로 나눠졌다. 이 두 부처는 복수차관제를 실시하는 부처였음에도 불구하고, 각 부처에서 한 차관이 해양수산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하지 않았다. 그나마 농림수산식품부는 수산정책실이 2차관 아래 있었고, 기타 어촌 관련 업무만 1차관 아래 있었으나, 국토해양부의 경우 1차관 아래 수자원정책실, 2차관 아래 해양정책국과 물류항만실이 있었다.



수산청 차장해운항만청 차장
해양수산부 차관
국토해양부 차관[복수]농림수산식품부 차관[복수]
해양수산부 차관



2. 수산청 차장[편집]




3. 해운항만청 차장[편집]




4. 해양수산부 차관 (1996 ~ 2008)[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문민
정부
초대임창열 (林昌烈)1996년 8월 13일 ~ 1996년 12월 23일서울대 경영행시 7회부총리 겸 재경원장관[2]
제2대장승우 (張丞玗)1996년 12월 24일 ~ 1998년 3월 8일서울대 상과행시 7회장관[3]
국민의
정부
제3대전승규 (全昇圭)1998년 3월 9일 ~ 1999년 5월 2일제주대 법학행시 7회前 제1차관보[4]
제4대홍승용 (洪承湧)1999년 5월 3일 ~ 2002년 2월 4일고려대 경영-前 해양수산개발원장[5]
추서신길웅 (申吉雄)1999년 12월 19일건국대 상과7급 공채前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6]
제5대유정석 (柳正錫)2002년 2월 5일 ~ 2003년 3월 2일서울대 법학행시 13회국조실 총괄조정관[7]
참여
정부
제6대최낙정 (崔洛正)2003년 3월 3일 ~ 2003년 9월 18일고려대 법학행시 17회장관[8]
직무대리서정호 (徐廷皓)2003년 9월 19일 ~ 2003년 9월 28일한양대 법학행시 17회前 기획관리실장[9]
제7대김영남 (金英南)2003년 9월 29일 ~ 2004년 10월 17일서울대 토목기시 5회지역난방공사 사장[10]
제8대강무현 (姜武賢)2004년 10월 18일 ~ 2006년 8월 8일연세대 영문행시 22회장관[11]
제9대이은 (李垠)2006년 8월 9일 ~ 2008년 2월 29일해양대 항해특채[12]前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13]


5. 국토해양부 차관[편집]



5.1. 제1차관[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권도엽 (權度燁)2008년 3월 1일 ~ 2010년 8월 15일서울대 토목행시 21회국토해양부장관[14]
제2대정창수 (鄭昌洙)2010년 8월 16일 ~ 2011년 5월 17일성균관대 행정행시 23회한국관광공사 사장[15]
제3대한만희 (韓晩喜)2011년 5월 18일 ~ 2013년 3월 13일연세대 경영행시 23회행복청장[16]


5.2. 제2차관[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이재균 (李在均)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19일연세대 행정행시 23회국회의원[17]
제2대최장현 (崔壯賢)2009년 1월 20일 ~ 2010년 8월 15일고려대 경영행시 21회前 차관보[18]
제3대김희국 (金熙國)2010년 8월 16일 ~ 2012년 1월 8일경북대 행정행시 24회국회의원[19]
제4대주성호 (朱成皓)2012년 1월 9일 ~ 2013년 3월 13일부산대 사복행시 26회前 물류항만실장[20]


6. 농림수산식품부 차관[편집]



6.1. 제1차관[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정학수 (丁鶴秀)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22일고려대 행정행시 21회前 정책홍보관리실장
제2대민승규 (閔勝奎)2009년 1월 23일 ~ 2010년 8월 15일동국대 농경제-농촌진흥청장[21]
제3대김재수 (金在水)2010년 8월 16일 ~ 2011년 7월 22일경북대 경제행시 21회농림부장관[22]
제4대이상길 (李相吉)2011년 7월 23일 ~ 2013년 3월 14일서울대 사회교육행시 24회前 식품산업정책실장[23]


6.2. 제2차관[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박덕배 (朴德培)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22일서울대 해양기시 15회국립수산과학원[24]
제2대하영제 (河榮帝)2009년 1월 23일 ~ 2010년 8월 15일서울대 농학행시 23회국회의원[25]
제3대정승 (鄭勝)2010년 8월 16일 ~ 2011년 6월 6일전남대 경제행시 23회식약처장[26]
제4대오정규 (吳定圭)2011년 6월 7일 ~ 2013년 3월 26일서울대 경영행시 25회 지역발전비서관[27]


7. 해양수산부 차관 (2013 ~)[편집]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교고시비고
박근혜
정부
제10대[28]손재학 (孫在學)2013년 3월 24일 ~ 2014년 8월 3일부경대 생물기시 21회국립수산과학원[29]
제11대김영석 (金榮錫)2014년 8월 4일 ~ 2015년 10월 20일경북대 행정행시 27회장관[30]
제12대윤학배 (尹學培)2015년 10월 21일 ~ 2017년 6월 15일한양대 행정행시 29회 해양수산비서관[31]
문재인
정부
제13대강준석 (姜俊錫)2017년 6월 16일 ~ 2018년 8월 26일부경대 수산경영기시 22회부산항만공사 사장[32]
제14대김양수 (金良洙)2018년 8월 27일 ~ 2020년 8월 14일고려대 사학행시 34회前 기획조정실장[33]
제15대박준영 (朴俊泳)2020년 8월 15일 ~ 2021년 5월 20일고려대 행정행시 35회前 기획조정실장[34]
제16대엄기두 (嚴基斗)2021년 5월 21일 ~ 2022년 5월 9일고려대 행정행시 36회前 기획조정실장[35]
윤석열
정부
제17대송상근 (宋相根)2022년 5월 10일 ~ 2023년 7월 2일서울대 경제행시 36회前 해양정책실장
제18대박성훈 (朴成訓)2023년 7월 3일 ~서울대 정치행시 37회 국정기획비서관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1:08:21에 나무위키 해양수산부차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외에도 건설교통부 수로국, 농림수산식품부 수산 부문 등도 흡수되었다.[복수] A B 복수차관제[2] 조달청장, 과학기술처 차관, 통상산업부 장관, 민선 경기도지사 등 역임.[3]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국회 예결위 수석전문위원, 통계청장, 기획예산처 차관 등 역임.[4] 기획관리실장 등 역임.[5] 대학교수 출신으로, 인하대, 덕성여대, 중부대 총장을 역임했으며,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역임했다.[6] 업무 중 뇌출혈로 쓰러져 사망, 정부에서 차관에 추서.[7] 수질개선기획단 부단장,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 등 역임.[8]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기획관리실장 등 역임.[9] 인천항만공사 사장 등 역임.[10] 항만국장,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이사장 등 역임.[11] 국립수산과학원장 등 역임.[12] 항해사로 있다가 공무원으로 특채되었다.[13] 해양수산부 안전관리관 등 역임.[14] 건설교통부 차관보, 정책홍보관리실장, 한국도로공사 사장 등 역임.[15] 국토해양부 기획조정실장,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등 역임.[16] 국토해양부 주택토지실장 등 역임.[17] 해양수산부 정책홍보관리실장 등 역임.[18]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이사장 등 역임.[19] 제19대, 제21대.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부본부장 등 역임.[20]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등 역임.[21]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때 대통령실 농수산비서관을 역임.[22] 농림부 기획조정실장, 농촌진흥청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등 역임.[23] 산림청 차장,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 등 역임.[24] 해양수산부 차관보 등 역임.[25] 관선 거창군수, 민선 남해군수, 산림청장, 농수산물유통공사 사장 등 역임.[2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한국농어촌공사 사장 등 역임.[27] 경제기획원, 산업자원부 출신으로, 지역발전위원회 지원단장 등 역임.[28] 통상 부처가 개편되면 다시 대수를 계산하지만, 해양수산부의 경우 특이하게 기존 대수에 이어서 계산한다.[29] 수산정책관 등 역임.[30] 부산청장, 대통령비서실 해양수산비서관 등 역임.[31]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등 역임.[32] 수산정책실장, 국립수산과학원장 등 역임.[33] 해양정책실장 등 역임.[34] 장관 후보자에까지 올랐으나 낙마.[35] 수산정책실장 등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