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절(불교)/한국

덤프버전 :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 펼치기 · 접기 ]

직할교구제2교구제3교구제4교구제5교구
조계사용주사신흥사월정사법주사
제6교구제7교구제8교구제9교구제10교구
마곡사수덕사직지사동화사은해사
제11교구제12교구제13교구제14교구제15교구
불국사해인사쌍계사범어사통도사
제16교구제17교구제18교구제19교구제20교구
고운사금산사백양사화엄사선암사
제21교구제22교구제23교구제24교구제25교구
송광사대흥사관음사선운사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유명한 불교 (사찰, 寺刹) 목록을 정리한 문서.


2. 수도권[편집]



2.1. 서울특별시[편집]




2.2. 경기도[편집]




2.3. 인천광역시[편집]


  • 보문사: 인천광역시 강화군.[1] 현임 주지는 선조 스님.
  • 백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의선당: 인천광역시 중구.[2]
  • 적석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전등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청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홍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흥륜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3. 강원도[편집]




4. 충청도[편집]



4.1. 대전광역시[편집]


  • 갑사 대전포교당 법천사: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768[3].
  • 비래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골길 47-74.
  • 죽림정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36번길 177[4]. 지역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광제사(홈피/카페)/중앙불교회관[5]: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89-9[6]. 1,2층을 열린 도서관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경로잔치/어린이청소년 수련회 등을 열어 사회봉사도 하고 있다.
  • 금강반야원/금강유치원: 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 35-5.
  • 보현불교대학/보현문화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대자양5길 5. 교회를 매입해 사찰로 쓰는 곳으로, 숭산이 세운 공성회가 모체다.
  • 약불사[7]: 대전광역시 동구 계족로 184-52. 1996년 대전 약불사 방화사건으로 인해 불상 5점과 탱화 7점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 백제불교회관/백제불교문화대학/(사)백불복지회(링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491번길 56.
  • 생활불교회관: 사단법인 대한생활불교회 관할.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536번길 20. #
  • 세등선원: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로 35 세등선원. 창시자 세등 비구니의 법명을 따 명칭을 지은 곳으로, 대전광역시 도심 속 비구니 수행정진 사찰.
  • 영선사: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91번길 22-11. 사찰요리로 유명하다.
  • 충효사: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14[8].
  • 화암사/도솔노인복지센터: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서로 27번길 20-3. 2007년 문을 연 곳으로, 노인복지와 무료 급식/한방치료 봉사도 하고 있다.
  • 한국불교연구원 대전구도회: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262 대업빌딩 302호.
  • 광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서로63번길 26 광수사. 천태종 사찰.
  • 봉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원로6번길 48[9]. 1층의 열린 도서관 겸 카페와 무료미용실으로 인해 사회봉사가 활발하다.
  • 신흥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735번길 24-9. 대한불교정토종 사찰이다.
  • 여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399-9.
  • 여진선원/여진미술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624[10]. 불교미술관을 겸하는 곳인 지라 오전 9시~오후17시 30분까지 개관한다. 분위기가 보통 절들하곤 많이 다르지만 엄연히 조계종 관할.
  • 자광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동.
  • 관음사/대전비구니청림회[11]문화회관/제16호 사찰도서관: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197번안길 59.[12]
  • 대한불교금강회관: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342.
  • 덕수암: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42.
  • 만불선원/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91번길 24. 불교인재 양성교육과 각종 사회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보문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440. 고려 때 사찰 유적인 대전 보문사지와는 별개의 작은 암자 수준의 절이다.[13] 본래 대웅전은 양옥이 아니었으나 1999년 이교도의 방화로 원래 대웅전은 전소되었다.
  • 복전암(복전선원):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의 비구니 수행사찰.
  • 불광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72.
  • 용수사(통도사 대전포교원/통도사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동서대로 1191 2층.
  • 삼문사/삼문사유치원: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천태종 사찰.
  • 송학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364.
  • 연화사/맑고향기롭게 대전지부: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2동 583-7.
  • 정수사/수덕사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111번길 17.
  • 태조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99번길 55. 테미공원 근처의 태고종 사찰이다.
  • 형통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179-12. 테미공원 근처의 조계종 사찰이다.
  • 형통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81-10. 24시간 개방하는 지장기도 도량이다.


4.2. 세종특별자치시[편집]


  • 영평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구절초축제로 유명하며, 세종특별자치시 편입 이전에는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이었다.
  • 비암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진입로 일부가 도깨비도로로 불리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토된 국보 중 하나가 바로 이 곳에 있었다.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황룡사: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공주 마곡사 말사.
  • 대한불교조계종 광제사: 행정중심복합도시내에 건설된 유일한 절이며 2022년에 준공되었다. 국회세종의사당, 대통령 집무실부지 인근이라 세종동 일대가 개발되면 많은 관광객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시에서 전통 문화 센터도 운영한다 [14]

4.3. 충청북도[편집]




4.4. 충청남도[편집]




5. 전라도[편집]



5.1. 광주광역시[편집]


  • 증심사: 광주광역시 동구.


5.2. 전라북도[편집]




5.3. 전라남도[편집]



6. 경상도[편집]



6.1. 부산광역시[편집]



6.2. 대구광역시[편집]


  • 동화사: 대구광역시 동구. 조계종 제9교구 본사.
  • 안일사: 대구광역시 남구.
  • 은적사: 대구광역시 남구.
  • 임휴사: 대구광역시 남구.
  • 대견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원래 폐사되어 대견사지라고 불리다가 근래 들어 복원되었다.
  • 용연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 유가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2010년 6월부터 주지였던 계성 스님이 음력 초하루법회를 없애고 일요법회를 강화했다.
  • 부인사: 대구광역시 동구. 몽골의 난 때 소실된 고려 전기 대장경을 보관한 곳으로 유명하다.
  • 파계사: 대구광역시 동구. 영조의 탄생설화로 유명하다.
  • 관음사[16]: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8길 15 관음사. 전라북도 군산시의 동국사처럼 일본식 건물이다.


6.3. 울산광역시[편집]




6.4. 경상북도[편집]




6.5. 경상남도[편집]


  • 관룡사: 경상남도 창녕군.
  • 만어사: 경상남도 밀양시.
  • 보리암: 경상남도 남해군.
  • 백암사: 경상남도 함안군.
  • 청곡사: 경상남도 진주시.
  • 칠불사: 경상남도 하동군.
  •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조계종 제15교구본사. 삼보사찰 중 불보(佛寶)사찰로 꼽힌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수도사: 경상남도 의령군.
  • 봉림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성주사: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쌍계사: 경상남도 하동군. 조계종 제13교구본사.
  • 용문사: 경상남도 남해군.
  • 의곡사: 경상남도 진주시.
  • 은하사: 경상남도 김해시. 영화 <달마야 놀자> 촬영지이기도 하다.
  • 표충사: 경상남도 밀양시.
  • 홍제사: 경상남도 밀양시. 사명대사비가 있는 절로 유명한데, 이에 대한 전설이 잘 알려져 있다.[18]
  • 해인사: 경상남도 합천군. 조계종 제12교구본사. 해인사 팔만대장경 및 장경판고로 유명하다. 삼보사찰 중 법보(法寶)사찰로 꼽힌다.
  • 혜양사: 경상남도 거제시.


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8. 북한[편집]


북한 지역 사찰의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북한 지역 사찰 소개(고화질)를 잘 다루고 있다.


8.1. 관북 지방[편집]




8.2. 관서 지방[편집]




8.3. 해서 지방[편집]




8.4. 미수복 경기도[편집]




8.5. 미수복 강원도[편집]




9. 폐사지[편집]



9.1. 대한민국[편집]



9.1.1. 서울특별시[편집]


  • 장의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
  • 청담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19]
  • 원각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0]

9.1.2. 경기도[편집]




9.1.3. 인천광역시[편집]




9.1.4. 강원도[편집]




9.1.5. 충청북도[편집]


  • 흥덕사: 충청북도 청주시. 직지심체요절이 이곳에서 인쇄되었다. 절터만 남아있었으나, 현대에 와서 박물관으로 재건되었다.


9.1.6. 충청남도[편집]




9.1.7. 전라북도[편집]


  • 경복사: 전라북도 완주군 고덕산에 있었던 사찰. 현재 남아있는 절터는 전라북도기념물 제108호로 지정되어 있다.
  • 만복사: 전라북도 남원시. 김시습의 한문소설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이 되는 절이다. 가상의 공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실재했던 절이며, 현재는 절터만 남아있다.
  • 미륵사: 전라북도 익산시.


9.1.8. 전라남도[편집]


  • 법화사: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 옥룡사: 전라남도 광양시.


9.1.9. 울산광역시[편집]


  • 태화사: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루 자리에 있었던 대규모 사찰. 현재는 멸실되었다.


9.1.10. 경상북도[편집]


  • 갈항사: 경상북도 김천시.
  • 감은사: 경상북도 경주시.
  • 곤원사: 경상북도 경주시.
  • 동천사: 경상북도 경주시.
  • 망덕사: 경상북도 경주시.
  • 무장사: 경상북도 경주시.
  • 물산사: 경상북도 고령군.
  • 미탄사: 경상북도 경주시.
  • 사천왕사: 경상북도 경주시.
  • 삼랑사: 경상북도 경주시.
  • 석장사: 경상북도 경주시.
  • 숭복사: 경상북도 경주시.
  • 영묘사: 경상북도 경주시.
  • 원원사: 경상북도 경주시.
  • 장항리 절터: 경상북도 경주시.
  • 정혜사: 경상북도 경주시.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 남아서 국보로 지정되었다.
  • 창림사: 경상북도 경주시.
  • 천관사: 경상북도 경주시.[21]
  • 황룡사: 경상북도 경주시.
  • 황복사: 경상북도 경주시.
  • 흥륜사: 경상북도 경주시.


9.1.11. 경상남도[편집]




9.1.12. 제주특별자치도[편집]


  • 법화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1071. 1980년대에 와서 절의 건물이 일부 세워지기는 했다.
  • 수정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외도일동 소재.
  • 원당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당로16길 41.


9.2. 북한[편집]



9.2.1. 관북 지방[편집]




9.2.2. 관서 지방[편집]




9.2.3. 해서 지방[편집]


  • 패엽사: 황해도 신천군(현 황해남도 신천군). 6.25 전쟁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9.2.4. 미수복 경기도[편집]


  • 보제사: 경기도 개성시(현 개성시).
  • 불일사: 경기도 개성시(현 개성시 판문구역 선적리).
  • 흥왕사: 경기도 개풍군(현 개성시).


9.2.5. 미수복 강원도[편집]




10. 틀[편집]




대한민국의 삼보사찰
불보사찰법보사찰승보사찰
통도사해인사송광사





[1] 석모도 안에 있는 절. 주소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 828번길.[2] 차이나타운 내에 위치.[3] 지번: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8-2[4] 지번: 대전광역시 대덕구 연축동 27[5] 광제사 바로 옆에 있다. 현재는 광제사에서 카페로 영업하고 있다.[6] 계족산 근처.[7] 네이버 지도 상에는 대동약불사라 나오지만 실제 절 현판에는 약불사라고만 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1동의 약불사라는 곳은 절이 아니며, 무속인이 경영하는 점집이다.[8] 지번: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1083[9] 지번: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281-1[10] 지번: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 442-1[11] 대전광역시 지역 비구니 스님들의 모임. 네이버 지도엔 이렇게 검색해야 바로 나온다.[12] 지번: 대전광역시 대전 대사동 198-23. 다만 사실상 개인사찰이기 때문에 외부인의 출입은 인근 절에 비해 좀 힘들다.[13] 대전 보문사지는 대전 보문산 안인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에 있으며, 현 대전 보문사와는 정 반대에 있는 절터다.[14] 부강면에 동명의 작은 절이 존재한다.[15] 지번: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476-1[16] 대구광역시 남구에 불교대학인 관음사가 하나 더 있다.[17] 갓바위 주차장에서 갓바위 방향이 아닌 오른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있다. 팔공산 갓바위를 관리하고 있는 절.[18] 일명 "땀 흘리는 비석"으로 유명한데, 나라에 큰 국난이 닥치기 전 , 땀을 흘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로 가 보면 표충비가 있는 곳 부근에 땀을 흘린 기록이 적혀 있는 게시판이 있다. 대부분 역사적 사건(ex. 3.1 운동)과 연관되어 있는데, 1997년 이후에는 외교/정치적 마찰 등을 우려하여 그냥 몇 리터(몇 되) 한출됨 이라는 기록만 적혀 있으니 참조.[19] 은평뉴타운 건설 예정 부지 안에 있다.[20] 현재의 탑골공원이 위치한 곳이다.[21] 전라남도 장흥군에도 동명의 절터가 있지만 사용하는 글자가 다르다. 경주시는 天官寺, 장흥군은 天冠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