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산 버스 9

덤프버전 :

||


파일:9_8141.png
파일:오산9_ELCT.png

1. 노선 정보
1.1. 학통 노선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오산시 CI_White.svg 오산시 일반형버스 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오산 9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오산시 오산동(오산역환승센터2층(1승강장))종점경기도 오산시 지곶동(지곶동대림아파트)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5:50
막차21:45막차23:05
평일배차15~40분주말배차40~45분
운수사명오산교통인가대수10대[1]
노선오산역환승센터2층(1승강장) - 문화의거리 - 오산시청옆 - 오산시티자이 - 호수하우스디 - 호수자이파밀리에 - 동탄2아이파크 - 서연중고등학교 - 동탄호수공원.부영4차 - 나래학교.더샵레이크 - 리베라CC - 동탄역 - 상록.테크노밸리.GS자이 - 예당고사거리 - 동탄1동행정복지센터.헌혈의집 - 메타폴리스 - 새강주공휴먼시아 - 포스코더샵정문 - 화성오산교육청 - 세미초등학교 - 오산대역 - 금암마을3~7단지 - 세교고인돌공원 - 죽미마을8~12단지 - 세마중고교 - 세마역 - 1단지.세마동 - 세마산업단지 - 지곶동대림아파트


1.1. 학통 노선[편집]


파일:오산시 CI_White.svg 오산시 마을버스 9번(학통)
기점경기도 오산시 지곶동(지곶동대림아파트)종점경기도 오산시 세교동(세마중고교)
종점행첫차07:50기점행첫차-
막차07:50막차-
평일배차1일 1회(방학기간 미운행)주말배차미운행
운수사명오산교통[A]인가대수-대
노선지곶동대림아파트 → 삼성본병원 → 매홀중학교 → 세교고인돌공원 → 세마중고교

파일:오산시 CI_White.svg 오산시 마을버스 9-1번(학통)
기점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삼성본병원)종점경기도 오산시 세교동(세마중고교)
종점행첫차08:05기점행첫차-
막차08:05막차-
평일배차1일 1회(방학기간 미운행)주말배차미운행
운수사명오산교통[A]인가대수-대
노선삼성본병원 → 매홀중학교 → 세교고인돌공원 → 세마중고교


2. 개요[편집]


오산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2.6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옛날에도 9번이 있었다고 하는데, 오산여객에서 운행했다고 하며 '오산 → 궐동 → 세마대입구 → 병점 → 수원대 → 병점 → 오산 → 오산여중(현 매홀중)' 구간을 하루 1번만 운행하는 노선이었다고 한다.

  • 현 9번은 2012년 4월 5일부터 6일까지 운송사업자 모집을 받았다. 오산시 공고 제 2012-274호 이 때는 현재 노선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세교고로 가지 않고 바로 세교13단지까지 내려온다든가, 수청로 대신 청학로를 경유(우미아파트 정문 미경유)한다든가.

  • 2012년 6월 26일에 신설되었다. 이 때는 기점이 세마역이었다.

  • 회차문제로 인해 2014년 11월에 기점이 세마역에서 잔다리마을1단지로 변경되었다.

  • 2017년 3월 16일에 기점이 다시 세마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동탄1신도시 회차구간(메타폴리스 → 한빛마을 → 잎새지하차도 → 동탄1동주민센터 → 현대아이파크 → 메타폴리스)이 사라지고, '메타폴리스 - 동탄1동주민센터 - 예당.예원초교 - 예당고사거리 - GS자이 → 우남퍼스트빌 → 경남.반도1차 → 대우푸르지오.반도유보라 → 한화꿈에그린 → 동탄역 → GS자이'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우미아파트 구간이 '오산대역 - 세교16단지'로 바뀌었으며, 인가대수가 3대에서 5대로 증차됐다. 오산교통 트위터

  • 2018년 4월 18일에 '오산세교e편한세상 - 보적사입구 - 세마동주민센터 - 세마역' 구간이 연장됐다. 동탄2신도시 회차구간도 'GS자이 → 우남퍼스트빌 → 경남.반도1차 → 대우푸르지오.반도유보라 → 한화꿈에그린 → 동탄역 → GS자이'에서 'GS자이 - 우남퍼스트빌 - 동탄역'으로 단순화됐다. 또한 오산 첫차가 5시 30분에서 6시로, 동탄 첫차가 6시 30분에서 7시로 늦춰졌으며, 막차 역시 오산 막차가 22시 25분에서 21시 5분으로, 동탄 막차가 23시 30분에서 22시 15분으로 앞당겨졌다.

  • 2019년 4월 30일에 1대가 증차되면서, 평일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19년 5월 말에, 죽미마을입구(ID:24280) 정류장이 죽미마을10단지방향 좌회전 관련하여 8번 버스와 함께 육교 아래로 30m 이전되었다. 스카이뷰에서는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스트리트뷰에서는 좌회전용 버스정류소가 반영되어 있다.

  • 2019년 11월 26일에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24회 → 30회, 토요일 12회 → 18회 운행으로 증회되었다. 오산교통 트위터

  • 2021년 2월 1일에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기준 오산 막차가 21시 15분에서 21시 40분으로, 동탄역 막차가 22시 15분에서 22시 30분으로 늦춰졌다.

  • 2021년 3월 8일에 학통 노선이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 2021년 3월 29일에 학통 노선 기점 출발 시간이 오전 7시 55분에서 7시 50분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1일에 학통 노선 기점 기준 오전 7시 45분 출발 차량이 추가되었다.

  • 2022년 9월 13일부터 노선이 760번과 통합되어 '동탄역 - 동탄호수공원 - 서연중고등학교 - 호수자이파밀리에 - 오산시티자이 - 오산시청 - 오산역환승센터2층'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기존 9번의 기점이었던 '오산세교e편한세상'은 종점으로 변경되고 대신 760번의 기점이었던 오산역환승센터 2층이 기점이 되었다.[2]오산교통 트위터[3]

  • 2023년 8월 7일에 '농협 - 보적사입구 - 지곶동 - 독산성' 구간이 '농협 - 세마산업단지 - 독산성'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9번 · 760번 통합 이전 노선도 ]
파일:오산9번노선도b.png
파일:오산760번노선도.png


  • 오산시내/세교신도시와 동탄신도시를 잇는 노선이다.

  • 지곶동대림아파트/독산성/세교신도시에서 오산역으로 갈 때 동탄1·2신도시를 거치고 가기 때문에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세교신도시에서는 7번, 8번[4], 20-1번 등을 이용하도록 하고, 지곶동대림아파트에서는 34번, 독산성에서는 31번이 있지만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에 시간이 맞지 않는다면 99번을 이용하여 궐동에서 하차 후 33번33-1번을 이용하거나[5], 이 노선 또는 C3번, 세마역 방향 31번[6]을 이용하여 세마역에서 하차 후 1호선 또는 상술한 7번, 20-1번이나 C1번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동탄2신도시 장지동 ~ 동탄역' 구간은 이 노선과 203번H2, H18번보다 빠르게 이어준다. 또한, '2동탄 ~1동탄' 구간도 다른 노선들에 비해 굴곡없이 빠르게 이어준다.

  • 오산역 방면 오산시티자이1.2단지에서 탑승 시 7번, 30번 정류장과 다르게 맞은편 정류장에서 승차해야 한다.

  • G6010번과는 장지동 내부를 경유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선형이 일치한다. 배차간격도 오산-동탄 간 노선 중 압도적으로 최단이며 오산역과 동탄역을 오갈 때 타기 좋은 노선이다.

  • 2022년 9월, 노선이 통합되면서 202번 출신 일렉시티가 투입되었다. 이로써 202번, 8번, 46번에 이어 오산교통에서 네 번째로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 760번과의 통합 이후 오산-동탄 간의 모든 버스노선 중에서 배차간격이 압도적으로 최단인 노선이 되었으며 이 노선 덕분에 116-1번 극단적 감차 및 707번 폐선 이후 매우 부실해졌던 오산-동탄 간 교통은 다시 많이 좋아지게 되었다.

  • 여담으로, 갈곶동, 견산리, 가곡리 등 범 진위권에서는 오산역환승센터 2층에서 6번 또는 6-1번 마을버스와의 환승으로 동탄과의 연계가 가능하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시간표[편집]


오산시 버스 9번 운행시간표
2023년 8월 7일 기준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평일토요일 / 공휴일
횟수오산역환승센터지곶동대림아파트횟수오산역환승센터지곶동대림아파트
1-05:501-05:50
2-06:05205:0006:30
3-06:30305:40도착 후 회차
405:0006:55406:20
505:2007:20507:05
605:4007:40607:40
706:0008:00708:05
806:35도착 후 회차809:05
907:10910:05
1007:401011:05
1108:051111:50
1208:351212:30
1309:051312:50
1409:351413:45
1510:051514:45
1610:351615:20
1711:051716:05
1811:351816:45
1912:051917:30
2012:302018:30
2112:502119:30
2213:152220:20
2313:452321:05
2414:152421:4523:05
2514:45
2615:05
2715:25
2815:50
2916:15
3016:40
3117:25
3217:55
3318:25
3418:55
3519:25
3619:55
3720:25
3820:55
3921:20
4021:4523:05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오산시 CI.svg 오산 - 동탄간 시내버스 파일:화성시 CI.svg
직행좌석
일반시내
마을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58:30에 나무위키 오산 버스 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공휴일 6대 운행.[A] A B GBIS상 인가는 운수사가 오산교통으로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오산교통과 상관없는 오산시 소재의 전세버스 사업자가 운행한다.[2] 사실상 인가 상 번호 및 전산을 배제하고 노선 선형 및 기종점으로만 본다면 경합구간이 당시 9번이 아닌 760번 쪽으로 통합되었고, 기점도 760번 쪽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당시 9번이 760번에 통합된 셈이다.[3] 그동안 오산교통 노선계의 클래식이라는 명맥만을 유지하고 쇠퇴하던 7번보다 현재 성장하고 있는 이 노선과 760번이 수요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인가대수의 한계로 배차간격이 벌어졌는데, 통합되면 인가대수가 7번과 비슷한 수준인 10대가 되었다.(이뿐만 아니라 이 노선은 더 증차예정이어서 인가대수가 오히려 7번을 앞질러 갈 예정이다.) 또한 폐선된 116-1번의 오산 남부-1동탄 구간의 대체 노선이 폐선 4~5일만에 다시 생기는 셈이다. 물론 2동탄을 거치고 1동탄으로 가기 때문에 이로 인한 굴곡은 감안해야 한다.[4] 오산시청과 내삼미동 쪽에 굴곡이 있긴 하지만 동탄 쪽으로 가지 않으므로 이 노선에 비하면 훨씬 빨리 간다.[5] 지곶동대림아파트 한정[6] 독산성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