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맥길 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
[ 펼치기 · 접기 ]
||


파일:미국 대학 협회 로고.svg
[ 북동부 ]
[ 남부 ]
[ 중서부 ]
[ 서부 ]


파일:LSGL_Logo_bgremoved.png
로스쿨 글로벌 리그
Law Schools Global League
||
[ 펼치기 · 접기 ]

 LSGL 개요 

* Law Schools Global League (이하 LSGL)는 세계의 서로 다른 법률 및 법령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토론 및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 2012년에 결성됐다.
* 국제법 및 법률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토론 활성화와 소속 로스쿨들 간 연구협력 장려 및 미래 법조인 육성이 주요 목표다.

 주의사항 

* 취소선: 모스크바 고등경제대학교는 러시아 총장 협회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지 성명에 동참함에 따라 3월 18일부로 회원권이 정지되었다.
소속 로스쿨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서울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파일:NUS 아이콘.png
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파일:우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CUPL-Official logo.png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파일:O. P. 진달 글로벌 대학교 문장_배경제거.png
서울대NUS규슈대학우한대학중국정법대학홍콩중문대학JGU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IDC_logo_White.svg.png
파일:코츠 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IDC 헤르츨리야KOÇUNSW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노스웨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아이콘.png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맥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멕시코 기술자치대학교 아이콘.png
파일:Fundação Getulio Vargas_Logo_01.png
파일:로스안데스 대학교(콜롬비아) 아이콘.png
노스웨스턴UCLA조지타운맥길ITAMFGV로스안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KCL 아이콘.png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원형 아이콘.png
파일:아일랜드 국립 대학교 골웨이_아이콘.png
파일:Siegel_der_Albert-Ludwigs-Universität_Freiburg.png
파일:EBS 경영 및 법학대학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튈뷔르흐 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KCL에든버러QUBNUI 골웨이프라이부르크EBS틸뷔르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야기엘론스키 대학교(JU) 원형 아이콘.png
파일:Stockholm University Logo.png
파일:토리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IE_University_logo.svg.png
파일: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 문장.png
파일:모스크바 고등경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야기엘론스키스톡홀름토리노IE 대학UCP{{{-1 {{{#351015,#white 고등경제대학}}}}}}*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UCT 아이콘.png
파일:프리토리아 대학교 문장_배경제거.png
파일:스트라스모어 대학교 문장_배겅제거.png
케이프타운프리토리아스트라스모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파일:CREPUQ.jpg
Conférence des recteurs et des principaux des universités de Québec
퀘벡 대학 총장 및 학장 협의회(CREPUQ)
||



McGill University
Université McGill
맥길 대학교

파일:맥길 대학교 문장.svg

대학 정보
모토라틴어Grandescunt aucta labore
영어By work, all things increase and grow
한국어모든 것은 노력으로써 성장하고 번창한다
설립 연도1821년 3월 31일 (203주년)
국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소재다운타운퀘벡주, 몬트리올
(Montreal, Quebec, Canada)
맥도날드퀘벡주, 셍뜨안느드벨르뷰
(Sainte-Anne-de-Bellevue, Quebec, Canada)
분류공립대학
설립자제임스 맥길 (James McGill)
총장수잔 포르티에 (Suzanne Fortier)
발전기금CA$2.039 billion (2021년)
재학생학부26,765명 (2022년 봄)
대학원10,411명 (2022년 봄)
직원교직원6,890명 (2022년 봄)
행정직원4,327명 (2022년 봄)
상징마스코트제비 (Marty the Martlet)
색상
 McGill Red (#ED1B2F) 
[1]
링크웹사이트파일:맥길 대학교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대학 언론ta-hash-start=w-9d77dc533c5106c0ae8a281b73800748파일:The McGill Daily logo.png
파일:issuu 아이콘.png McGill Daily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맥길 대학교 소개 영상
파일:McGill_University_Morrice_Hall_Building.jpg
캠퍼스 사진
파일:mcgill-university-logo-png-transparent.png
로고

1. 개요
1.1. 소속 연합
2. 분위기
3. 평가
4. 기타
5. 관련 인물
6.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Mcgill.jpg
맥길 대학교

맥길[2] 대학교는 1821년에 설립된 캐나다 퀘벡몬트리올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대학이다. 다운타운(Downtown) 캠퍼스와 맥도널드(Macdonald)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대학랭킹을 평가하는 주간잡지 맥클린스(Maclean'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8년 연속으로 캐나다 종합대학 랭킹 1위를 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신입생 입학성적이 가장 높은 대학으로, 쿼벡주 이외 다른 캐나다 주에서 뽑힌 고등학생들의 입학 성적 중앙값은 93.2~94.4%였다. 미국에서 지원한 신입생들의 SAT 성적 중앙값은 언어, 수학, 쓰기 영역에서 각각 730점이고, ACT 점수는 32점으로[3], 역시 캐나다에서 가장 까다로운 입학기준을 갖고 있다.

현직 총리인 쥐스탱 트뤼도를 포함해서, 캐나다에서 가장 많은 12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147명의 로즈장학금 수상자, 18명의 억만장자, 100명이 넘는 내각 국회의원, 최소 8명의 해외 국가수반, 13명의 에미상 수상자, 4명의 퓰리처상 수상자가 이 대학교 출신이다. 현재 스탠퍼드 대학케임브리지 대학교[A], 그리고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총장 역시 맥길 출신이다.

맥길대학교 졸업생들은 농구와 아이스하키를 발명했으며, 미식 축구의 규칙들은 1874년 5월 14일 맥길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가 치른 경기가 기원이 되어서 아이비리그 대학들을 비롯해 전세계로 퍼졌다. 또한, 맥길대학교 졸업생들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빅토리아 대학교, 앨버타 대학교 등 세계의 주요 대학들을 창립했다.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오토 한의 방사능 연구로 원자핵과 토륨이 발견된 대학으로 유명하며, 세계 최초로 인공 세포, 인터넷 검색 엔진(아키 검색 엔진), 전하 결합 소자 등이 발명되었다. 특히 의학과 심리학, 신경과학 분야에서 많은 기여를 했는데, 이 대학에서 처음으로 신체 각 부분에 해당하는 뇌의 지도가 완성되었고(펜필드 지도), 브렌다 밀너의 연구를 통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차이점이 밝혀졌으며, 20세기에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 중 하나였던 도널드 올딩 헤브의 연구를 통해 뉴런과 시냅스의 작용 원리가 알려졌다.


1.1. 소속 연합[편집]





2. 분위기[편집]


파일:McGill University_cover_01.jpg

고교 졸업생들이 보통 대학을 정하는 시기인 5-6월의 캠퍼스가 정말 아름다우며, 이 아름답고 바람직한 페이크 풍경에 끌려서 오는 학생들도 꽤 있다. 그러나 빠르면 10월 초부터 이 그림은 없어지고 눈만 쌓이고 또 쌓이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늦으면 4월 말까지도 간다. 다만 여름은 오히려 후텁지근하고 습한 편이다.

캐나다 대학들은 미국의 대학들과는 달리 봄방학을 "Spring Break"이라고 부르지 않고 "Reading Week" 등의 이름으로 부르는데, 이를 보고 "캐나다 대학들은 을 건너뛰기 때문에 봄방학이 없다" 라고 농담하기도 한다. 그만큼 겨울이 길고 봄이 짧다(물론 캐나다라고 전부 이렇지는 않다). 거기다 캐나다에서 법적으로 봄의 시작은 춘분이기에 2월 중순에 하는 방학이 봄방학이라고 불리기에는 앞뒤가 잘 안맞는 기분이 크다.

겨울이 오면 영하 20도 이하는 기본이고, 심할 때는 영하 40도 정도까지도 내려간다. 이런 날씨를 이용해, 학교에서는 야외 잔디밭에다가 아이스 링크를 세워둔다. 이용하는 사람은 극소수.

캐나다 대학들 중 미국에서 잘 알려진 대학 중 하나라서 미국에서 온 학생들이 중국에서 온 학생수를 능가하고, 왠지 모르게 다른 나라 유학생도 많이 온다. 캐나다에서 가장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입학한다고 알려져 있다. 학생수의 규모는 미국>중국 순이지만, 2018년 기준 중국 유학생이 최초로 미국 유학생의 숫자를 제쳤다.[4]

퀘벡 주에 있지만 수업은 전부 영어로 한다. 물론 프랑스어 수업 빼고. 프랑스어로 과제와 시험을 제출해도 무방하다 (!!!) 참고로, 퀘벡의 다른 도시들과 다르게 퀘벡주 최대도시인 몬트리올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는 시민의 비율이 50%가 넘는다.

매년 캐나다 대학들 중 "파티 스쿨" 1위 내지는 최상위권을 차지하는데, 퀘벡은 법적으로 18세부터 음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캐나다 주에서는 19세부터, 또 미국에서는 21세부터 음주가 허용되기 때문에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맥길로 몰려드는 학생들도 꽤 있다.

의외로 퀸스 대학교(캐나다)와 스포츠 관련으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보통 대학간의 라이벌 하면 떠오르는 연고전이나 MIT-Caltech같이 죽자고 달려드는 사이는 아니다. 그러기엔 학생들의 관심도가 너무 낮은 데다가 심지어 이 라이벌 관계를 아는 학생이 많다고 할 수도 없을 정도. 오히려 실질적으론 세계랭킹으로나 학생들이 두고 고민하는 쪽으로나 토론토대학과 맥길대학이 서로 비등하게 자주 부딪히는 편이랄까. 토론토가 제1의 도시, 몬트리올이 제2의 도시(허나 1970년 전에는 몬트리올이 제1의 도시였다)인 것을 봐도 그렇고, 토론토는 영국계, 몬트리올은 프랑스계 이민자들의 개발지역이었단 점들을 보더라도 그렇다. 온타리오의 토론토는 캐나다 상업의 중심지, 수도는 오타와지만 퀘벡의 몬트리올은 캐나다 정치의 중심지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역대 캐나다 총리들의 본산지.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맥길의 문과로 모이는 학생들이 많다.

Around McGill in 80 seconds


3. 평가[편집]



2023년 세계 대학 랭킹
평가사US NEWSTHEARWUQS
순위54위46위73위31위

2024년 세계 대학 랭킹
평가사US NEWSTHEARWUQS
순위-49위-30위

4. 기타[편집]



5. 관련 인물[편집]




6. 대중매체에서의 모습[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1:08:48에 나무위키 맥길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cGill Visual Identity Guide[2] 파열음 뒤 경음화(Post-Obstruent Tensification)으로 인해 '맥낄,' 혹은 '매낄'로 발음하기 쉬우나 영어나 불어에서는 자음연쇄없이 /məˈɡɪl/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 미국의 최상위권 명문대인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의 SAT, ACT 중앙값과 비슷하다[A] A B C 부총장이지만 총장은 명예직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총장직을 수행한다.[4] 2023년 기준 미국 국적 학생은 2052명, 중국 국적 학생은 2697명이다. 그리고 참고로 한국 국적 학생은 189명이다. # [5] 맥길의 분교로서 설립[6] 해마를 포함한 내측측두엽이 제거된 미국의 기억장애 환자 H. M. 의 사례를 맥길대 교수인 브렌다 밀너가 연구하여 밝힌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