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훕스, 외대앞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농구를 주제로 한 웹툰에 대한 내용은 훕스(웹툰) 문서
훕스(웹툰)번 문단을
훕스(웹툰)# 부분을
, 외대앞"역"에 대한 내용은 외대앞역 문서
외대앞역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외대앞역#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흰색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8d704f ||<-3><tablewidth=100%>
[[한국외국어대학교|{{{#ffffff {{{-2 '''학교 정보'''}}}}}}]]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8d704f 역사}}}]]{{{#8d704f {{{-3 (}}}[[한국외국어대학교/임원|{{{#8d704f {{{-3 임원}}}}}}]]{{{#8d704f {{{-3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8d704f 학부}}}]] ||<width=25%><bgcolor=white,#191919> [[동원육영회|{{{#8d704f 재단}}}]]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8d704f 대학원}}}]]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캠퍼스|{{{#8d704f 캠퍼스}}}]]{{{#8d704f {{{-3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캠퍼스|{{{#8d704f {{{-3 서울}}}}}}]] {{{#8d704f {{{-3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8d704f {{{-3 글로벌}}}}}}]]{{{#8d704f {{{-3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상징|{{{#8d704f 상징}}}]] || ||<-3>
[[한국외국어대학교|{{{#ffffff {{{-2 '''학생 정보'''}}}}}}]]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학풍|{{{#8d704f 학풍}}}]]{{{#8d704f {{{-3 (}}}[[한국외국어대학교/졸업자 사회 진출 현황|{{{#8d704f {{{-3 사회 진출}}}}}}]]{{{#8d704f {{{-3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학사제도|{{{#8d704f 학사제도}}}]]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총학생회|{{{#8d704f 총학생회}}}]] {{{#8d704f {{{-3 (}}}[[한국외국어대학교/총학생회/서울캠퍼스|{{{#8d704f {{{-3 서울}}}}}}]] {{{#8d704f {{{-3 ·}}}}}} [[한국외국어대학교/총학생회/글로벌캠퍼스|{{{#8d704f {{{-3 글로벌}}}}}}]]{{{#8d704f {{{-3 )}}}}}}}}}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학내 언론 및 커뮤니티|{{{#8d704f 언론 및 커뮤니티}}}]] {{{#8d704f {{{-3 (}}}[[훕스라이프|{{{#8d704f {{{-3 훕스라이프}}}}}}]]{{{#8d704f {{{-3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동아리|{{{#8d704f 동아리}}}]]{{{#8d704f {{{-3 (}}}[[한국외국어대학교/동아리/서울캠퍼스|{{{#8d704f {{{-3 서울}}}}}}]] {{{#8d704f {{{-3 ·}}}}}} [[한국외국어대학교/동아리/글로벌캠퍼스|{{{#8d704f {{{-3 글로벌}}}}}}]]{{{#8d704f {{{-3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출신 인물|{{{#8d704f 출신 인물}}}]] || ||<-3>
[[한국외국어대학교|{{{#ffffff {{{-2 '''기타'''}}}}}}]]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입학|{{{#8d704f 입학}}}]]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이야깃거리|{{{#8d704f 이야깃거리}}}]]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사건사고|{{{#8d704f 사건사고}}}]] || ||<width=25%><bgcolor=white,#191919> [[한국외국어대학교/교통|{{{#8d704f 교통}}}]] ||<width=25%><bgcolor=white,#191919> [[역동전|{{{#8d704f 역동전}}}]] ||<width=25%><bgcolor=white,#191919> [[HIMUN|{{{#8d704f HIMUN}}}]] || ||<width=25%><bgcolor=white,#191919> [[외대어학원|{{{#8d704f 외대어학원}}}]] ||<width=25%><bgcolor=white,#191919> [[FLEX(어학시험)|{{{#8d704f FLEX}}}]] ||<width=25%><bgcolor=white,#191919>
[[HUFS Life Academy|{{{#8d704f HUFS Life Academy}}}]]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캐릭터.svg 한국외국어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국립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시흥캠퍼스)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사립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의정부캠퍼스 · 동두천캠퍼스)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아신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 · 파일:예원예술대학교 교표.svg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파일:중앙승가대학교 UI.svg 중앙승가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세대학교 UI.svg 한세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 펼치기 · 접기 ]

인증 현황 (2021년 6월 기준#)
대학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대학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파일:건국대 로고 수정판.png 건국대학교OO파일:KNU_logo1.png 경북대학교OO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OO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OO
파일:SGU Symbol.png 서강대학교OO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 성균관대학교OO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OO파일:wsu_logo (2).png 우송대학교OO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OO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OO
파일:이화여자대학교 교표.png 이화여자대학교OO파일:인하대.png 인하대학교OO
파일:chunganglogo2017.png 중앙대학교OO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OO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OO파일:½É¹ú_N.gif 한국외국어대학교OO
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OO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 ERICAOO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 표기를 하지 아니함.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지역 외국어대학 협의체
Consultative Body of Universities of Foreign Studies in Asia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사업단참여대학
BEST Alliance [5]#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히토츠바시.png 히토츠바시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Risk Management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고베 대학 마크.png 고베대학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Joint Campus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파일:광동외어대.png 광둥외어외무대학
파일:jun_symbol_logo_basic_color.jpg 리츠메이칸APU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BESETO DDMP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Jus Commun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인민대학.png 중국인민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TKT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ENGAGE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SUAE Asia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NLIE Project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png 나가사키대학파일:산둥대학 엠블렘.jpg 산둥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CAMPH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광동제약대 로고.png 광동제약대학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파일:수정됨_천진중의약대.png 톈진중의약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Design Leadership파일:연세미래.pn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파일:치바대학 로고.png 치바대학파일:저장대학.png 저장대학파일:Seal_of_King_Mongkut's_University_of_Technology_Thonburi.svg.png 톤부리 킹몽꿋 기술대학교
파일:external/www.lib.shibaura-it.ac.jp/logo.png 시바우라공업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파일:도쿄예대.png 도쿄예술대학파일:Communication_University_of_China_logo.png 중국전매대학파일:180px-Silpakorn_University_Logo_02.png 실파콘대학교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대학교
파일:상해해양대학.png 상하이해양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파일:Bogor_Agricultural_University_(IPB)_symbol.svg.png 보고르 농과대학교
AFIMA Leaders Program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 로고.jpg 나가사키대학파일:중국해양대학 엠블렘.jpg 중국해양대학파일:1920px-Logo_Rasmi_UMT.png 말레이시아 트랭가누대학교
A³I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야마나시대학 로고.jpg 야마나시대학파일: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로고.jpg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파일:UniMAP.svg.png 말레이시아 펄리스대학교
The AC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릿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Sichuan_University_logo.png 쓰촨대학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쓰쿠바대학 로고.jpg 츠쿠바대학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화둥사범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콘캔대학교 로고.png 콘캔 대학교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히로시마대학 로고.png 히로시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파일:Logo_Almamater_UPI.png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파일:창춘대 로고.jpg 창춘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파일:KMOU_LOGO.pn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종료된 사업단
Common Good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오카야마대학.png 오카야마대학파일:지린대학.png 지린대학
IGPTE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파일:학예대.png 도쿄학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Campus Asia CJK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


파일:SAF소속대학 로고.png
[[The Study Abroad Foundation|{{{#373a3c,#ddd The Study Abroad Foundation}}}]]
국제 교환,방문학생 프로그램
||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EACCACETAC어코드대학EACCACETAC어코드
가천대학교O--워싱턴가톨릭대학교O--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OO-서울/워싱턴강원대학교O--워싱턴
거제대학교--O시드니건국대학교OO-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경기대학교OO-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OO-워싱턴경복대학교--O더블린
경북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상국립대학교O--워싱턴
경성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일대학교O--워싱턴
경희대학교OO-서울/워싱턴계명대학교OO-워싱턴
고려대학교O--워싱턴공주대학교(천안)O--워싱턴
광운대학교OO-서울/워싱턴구미대학교--O더블린
국민대학교OO-서울/워싱턴군산대학교O--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OO-서울/워싱턴단국대학교(죽전)OO-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O--서울/워싱턴대구대학교O--워싱턴
대덕대학교--O더블린/시드니대진대학교O--워싱턴
동국대학교OO-서울/워싱턴동국대학교 경주O--워싱턴
동명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서대학교O--워싱턴
동서울대학교--O더블린/시드니동신대학교OO-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원대학교--O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O더블린동의대학교OO-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O더블린/시드니마산대학교--O더블린
명지대학교OO-서울/워싱턴목원대학교O--워싱턴
목포대학교OO-서울/워싱턴부경대학교O--워싱턴
부산대학교OO-워싱턴백석대학교-O-서울
상명대학교(서울)-O-서울상명대학교(천안)O--워싱턴
상지대학교O--워싱턴서강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O더블린서울과학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O--워싱턴서울시립대학교O--워싱턴
선문대학교OO-서울/워싱턴성결대학교OO-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OO-서울/워싱턴세종대학교OO-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O더블린숙명여자대학교-O-서울
순천대학교OO-서울/워싱턴순천향대학교O--워싱턴
숭실대학교OO-서울/워싱턴신라대학교O--워싱턴
아주대학교OO-서울/워싱턴아주자동차대학교--O더블린
안동대학교OO-서울/워싱턴연성대학교--O시드니
연세대학교OO-서울/워싱턴영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O더블린/시드니영진전문대--O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O시드니/더블린울산대학교OO-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OO-서울/워싱턴이화여자대학교OO-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OO-서울/워싱턴인천대학교O--워싱턴
인하대학교O--워싱턴전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OO-서울/워싱턴전주대학교O--워싱턴
제주대학교O--워싱턴제주한라대학교--O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OO-워싱턴중앙대학교OO-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O--워싱턴청주대학교OO-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OO-서울/워싱턴충북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O--워싱턴한국교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O--워싱턴한국산업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O--워싱턴한국항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라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OO-서울/워싱턴한성대학교O--워싱턴
한신대학교O--워싱턴한양대학교-O-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O-워싱턴호남대학교O--워싱턴
호서대학교OO-서울/워싱턴호원대학교-O-서울
홍익대학교(서울)OO-서울/워싱턴홍익대학교(세종)O--워싱턴




||




한국외국어대학교
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교훈진리, 평화, 창조
Veritas, Pax, Creatio
상징
슬로건
외대를 만나면 세계가 보인다
Come to HUFS, Meet the World!
캐릭터
미네르바
동물부엉이
교색
{{{#191919,#fff
[ 교색 펼치기 · 접기 ]
HUFS GREEN (#008294)

HUFS GRAY (#DADAD3)

HUFS SILVER (#949292)

HUFS GOLD (#8d704f)

HUFS NAVY (#002D56)

}}}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개교1954년 4월 20일 (70주년)
한국외국어대학
설립자김흥배
이사장제8대 김종철[1] (치의학박사)
총장제12대 박정운[2] (언어학박사)


서울김춘식[3] (언론학박사)
글로벌
김유강[4] (언어학박사)
재무대외
김민정[5] (이학박사)
산학연계
이윤석[6] (공학박사)
법인동원육영회(東園育英會)

서울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이문동 270-1)
글로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왕산리 산84-1)
송도[7]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교육로111번길 22 (송도동 197-1)


학부생
16,740명(2023년)[8]
대학원생
2,488명(2023년)[9]
교직원2,057명(2021년)[10]
면적
서울

82,291㎡ (24,893평)
글로벌

2,309,595㎡ (698,652평)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최우수(A등급)(2021년)
웹사이트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서울캠퍼스

글로벌캠퍼스

[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언어별 표기 펼치기 ]

한국어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일본어(ハン(グク(がい(こく((だい(がく
중국어(hán(guó(wài(guó(((xué
프랑스어Université Hankuk des études étrangères
독일어Hankuk Universität für Fremdsprachen
러시아어Университет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Хангук
스페인어Universidad Hankuk de Estudios Extranjeros
이탈리아어Hankuk Università degli Studi Stranieri
포르투갈어Universidade Hankuk de Estudos Estrangeiros
네덜란드어Hankuk Universiteit voor Buitenlandse studies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Hankuk Universitetet för Främmande Språk
Hankuk Universitet for Fremmedspråk
Hankuk Universitet af Fremmedsprog
Universiti Hankuk untuk Studi Asing
Universitas Hankuk untuk Studi Asing
아랍어جامعة هانكوك للدراسات الأجنبية
태국어
라오어
มหาวิทยาลัยฮันกุ๊กภาษาและกิจการต่างประเทศ
Hankuk ວິທະຍາໄລການສຶກສາຕ່າງປະເທດ
베트남어Đại học Ngoại ngữ Hàn Quốc
힌디어
우르두어
हानकूक यूनिवर्सिटी ऑफ फॉरेन स्टडीज
ہانکک یونیورسٹی آف فارن اسٹڈیز
Hankuk Yabancı Diller Üniversitesi
Hankuk Xarici Dillər Universiteti
페르시아어دانشگاه مطالعات خارجی هانکوک
몽골어Хангүүк Их Сургууль
폴란드어Koreański Uniwersytet Języków Obcych
루마니아어Universitatea Hankuk de Studii Străine
Hankuk Univerzita zahraničních studií
Hankuk Univerzite zahraničných štúdií
헝가리어
핀란드어
Hankuk Külföldi Tanulmányok Egyeteme
Hankukin ulkomaantieteellinen yliopisto
Hankuk Univerzitet za Strane Studije
Ханкук Универзитет за Стране Студије
Универзитет за надворешни студии на Ханкук
Університет іноземних мов Ханґук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Πανεπιστήμιο Ξένων Σπουδών του Ηανκυκ
Хангук Университет за Чуждестранни Науки
카자흐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Hankuk universitetiniñ şeteldik zertteuşisi
Xankuk Chet Tillar Universiteti
Ханкук Университет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줄루어
Chuo Kikuu cha Masomo ya Kigeni cha Hankuk
Jami'ar Koyon Harsunan Waje ta Hankuk
Inyuvesi Hankuk yezifundo zakwamanye amazwe
히브리어אוניברסיטת הנקוק ללימודי חוץ
라틴어Hankuk Universitas studiis externis
에스페란토Hankuk Universitato de Fremdaj Studoj




1. 개요[편집]


대한민국사립 4년제 종합대학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소재하고 있다. 동대문구 이문동서울캠퍼스를, 처인구 모현읍글로벌캠퍼스를 둔 이원화 캠퍼스체제이며,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송도캠퍼스가 신설될 예정이다. 중국베이징외국어대학, 일본도쿄외국어대학과 함께 '아시아 3대 외국어대학교'로 칭해진다.[11]

6.25 전쟁 휴전 직후인 1954년외교관 양성 및 국내 인재의 해외 진출 지원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정부한국육영회(現 동원육영회)가 주도하여 영국 정부유엔 한국재건단의 지원 하에 한국외국어대학(Foreign Language College of Korea)이란 이름으로 개교하였고, 1980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됨에 따라 지금의 교명으로 변경하였다. 영문명은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로, Korea 대신 Hankuk을 사용한 것은 한국어에서 대한민국을 일상적으로 부르는 말인 '한국'을 세계에 널리 알리려는 목적이 있었다. 본교 재학생 및 졸업생은 외국인에게 모교를 Hankuk University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학(언어·문학/지역학)외사학(외교학/국제학)에 특화되어 있으며, 총 45개의 외국어 교육을 제공하는[12] 외국어대학교로서의 정체성이 근본이지만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경제학, 자연과학, 공학, 교육학, 법학, 군사학 등 종합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종합대학이기도 하다.

국문 약칭은 외대(外大)이고, 영문 약칭은 HUFS(훕스,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이며, FM 구호애국외대(愛國外大)이다.

1.1.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캐릭터_금색.svg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역사
년도연혁
1954한국외국어대학 (Foreign Language College of Korea) 개교
1957이문동 캠퍼스로 이전
1962대학 영문 명칭 변경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80용인분교 개교
종합대학 한국외국어대학교로 승격
1998재단 개혁 및 제2건학 선포
2010용인캠퍼스를 글로벌캠퍼스로 명칭 변경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글로벌캠퍼스 통합
한국육영회한국정경대학교와 대한민국 정부의 국립 서울외국어대학의 설립 의지가 모여 개교했다.

1952년 한국육영회 이사장 동원(東園) 김흥배 박사는 한국정경대 설립을 도모하고 있었고, 당시 정부는 국가 재건을 위해, 외교관 양성과 인재들의 해외 유학을 지원할 외국학 대학교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국립 대학이 범람한다는 여론[13]에 외국어대학을 국립으로 설립하는 과정은 번번이 실패했고, 따라서 정부는 사립으로라도 외국어대학을 설립하려고 했고 때마침 한국정경대를 설립하려는 한국육영회와 뜻을 합치게 된다.

전쟁 이후 황폐해진 조국에서 영국 정부와 UN 한국재건단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1954년 한국외국어대학(Foreign Language College of Korea)의 이름으로 공식 개교한다. 설립자 김흥배 박사가 한국외국어대학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였고 1953년 10월 정부가 이를 수용했기 때문이다.

1962년 영문명을 Hankuk[14][* 일상적으로 대한민국을 부르는 한국이라는 발음을 세계에 더욱 널리 알릴 수 있도록.]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로 교체하여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1980년 종합대학 인가를 받으며 국문명을 한국외국어대학교로 변경하였다. 이 시기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현재의 글로벌캠퍼스를 설립하여 훗날 서울캠퍼스 소속의 문리과대학 및 이공 계열이 이주하게 되었으며 차후에 2014년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가 본/분교 체제에서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통합되어 모든 단과 대학 간의 전과 및 이중전공, 부전공 이수 선택이 가능해지는 변화를 겪었다.

부패한 이사회를 몰아내고자 봉기한 1998년의 학생 혁명 성공으로 공영 재단[15]이라는 전무후무한 학교 운영 체제가 성립되었으며, 98년 제2건학 운동의 결과로 다른 학교들과 다르게 대학교 총장과 총학생회의 권한이 매우 강해졌다.

1.2. 상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상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입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입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생활[편집]



3.1. 학풍[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학사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사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학내 언론 및 커뮤니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내 언론 및 커뮤니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학부[편집]


||
기타
폐지된 단과대학
융합전공법과대학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대학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세계대학평가[편집]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흰색 로고.svg
연도QSTHEARWUCWURUSN & WRCWTS P(10%)Nature Index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16조선일보 & QS University Rankings: Asia
의과대학이 없는 대규모 종합대학
국내 1위, 아시아 9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0위
2017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397위, 국내 8위[계열별1]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3위
2018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3위[계열별2]
2019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3위
2020World's Universities with Real Impact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00대 대학 중 59위
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407위, 국내 11위(종합대학 8위)[계열별3]
2021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392위, 국내 11위
한경비즈니스 경영대학 평가
종합 9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8위
2022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445위, 국내 13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4위
2023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Innovation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00대 대학 중 32위
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410위, 국내 13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 16위
2024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575위, 국내 17위
2025QS University Rankings
종합 세계 651-660위, 국내 20위

7. 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외국어대학교/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재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동원육영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외대인(HUFSan)[편집]



9.1. 총학생회[편집]




9.2. 총동문회[편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총동문회 #

9.3. 임원[편집]




9.4. 출신 인물[편집]





10. 교통[편집]





11. 이야깃거리[편집]





12. 사건사고[편집]





13. 관련 문서[편집]





[1]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및 치의학대학원 교수[2] ELLT학과 교수[3]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언론정보전공 교수[4] 영어통번역학부 TESOL영어학전공 교수[5] 사범대학 체육학전공 교수[6] 컴퓨터공학과 교수[7] 2023년 개교[8] 휴학생 *명 미포함[9] 휴학생 *명 미포함[10] 학부 (전임 534명, 비전임 1,143명), 대학원 (전임 128명, 비전임 252명)[11] 한국외대는 중국의 북경외대, 일본의 동경외대와 함께 아시아 3대 외대 #[12] 단일 대학에서 가르치는 언어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고, 세계에서는 3번째로 많다.[13] 실제로 대부분의 거점 국립대학교는 이쯤에 설립되었고, 정부 재정은 빠듯했다. 문교부 장관과 외국어학교설립위원회는 제반 사항을 검토한 결과 당시 정부 재정으로 새로운 국립대학을 건설하는 것은 매우 무리라는 결론을 도출했으며, 결국 정치경제대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학교법인을 인가받은 한국육영회를 설득하여 외국학 대학교를 사립의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합의에 이른다. 다른 국가의 외국학 대학교는 모두 국립대학인데 한국만 사립으로 운영되고 있는 이유가 가난하고 쓰라렸던 전쟁 이후의 시대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14] 1946년 지금의 이름을 가지게 된 고려대학교 등과 혼동되는 것을 방지[15] 2005년 사립학교법 개정 이전에도 외대는 총학생회에서 이사회 인사 추천이 가능했다. 총학생회는 이사회 임원 9명 중 1명을 추천 선발한다. 이사회 임원 9명 중 3명은 대한민국 교육부가 추천한다. 이남주 전 이사장은 본교 졸업생 신분으로 공영 재단 안정화 이후 무려 12년간 본교 이사장을 역임했다. 과거 재단의 영향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닌데, 이사회 임원 중 1명은 아직도 구 재단에서 추천하며, 현 김종철 이사장이 구 재단 추천 인사이다.[계열별1] 인문·예술 세계 150위, 국내 5위[계열별2] 인문계열 13위, 인문계열 학생성과 5위, 사회계열 10위,사회계열 학생성과 5위, 이공계 산업공학계열 중상, 인문계 경영학 중상(교수 1인당 국제 논문 7위, 교수 1인당 학생수 7위, 순수 취업률 10위, 중도 탈락률 9위)[계열별3] 인문·예술 세계 184위, 국내 6위 / 현대언어학 분야 세계 51-100위, 국내 4위 / 언어학 분야 세계 101-150위, 국내 3위 / 영어영문학 세계 151-200위, 국내 4위 / 경제학 세계 451-500위, 국내 9위[한외] 이곳으로 리다이렉트되는 문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