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운대구/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해운대구 CI.svg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해운대구 갑해운대구 1우제1동, 우제2동, 우제3동, 중제1동
해운대구 2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송정동, 중제2동
해운대구 을해운대구 3반여제2동, 반여제3동, 재송제1동, 재송제2동
해운대구 4반여제1동, 반여제4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2. 개요[편집]


해운대구의 정치 성향은 동네별로 지지 성향이 극단적으로 갈린다. 같은 구로 엮여 있지만 소득, 주민들의 연령대, 발전 정도의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정치인, 기업인, 연예인 등 고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부촌 마린시티의 경우 국민의힘 지지율이 매우 높으며, 고위공무원, 대기업 임원, 전문직 종사자가 많이 거주하는 센텀시티는 더불어민주당 지지 성향이 비교적 강하다. 그러나 센텀시티의 경우 2020년 총선 때는 부동산 이슈 때문에 부산 평균보다도 미래통합당 지지율이 높아졌다. 좌동반여1동, 반여4동 일대가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고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반여2동, 반여3동 및 반송동 지역은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다.[1]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기 때문에 국회의원은 꾸준히 보수정당에서 배출하고 있으며, 당이나 국회에서 주요 직책을 맡는 등의 중진들도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있다.

20대 총선에서 기장군이 독립하면서 선거구가 해운대 (갑)·(을)로 재편되었고, 옛 해운대·기장 (을) 지역에서 해운대구 지역이 (갑)으로, 기존 갑 지역이 그대로 (을)로 바뀌었다. 이전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문재인, 오거돈 후보가 각각 40%, 50%를 득표하면서 가능성을 보여준 상태에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열렸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갈라지면서 진보 진영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두 지역구 모두 각각 40% 정도 득표를 했다. 당시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면 해운대구의 반(半)새누리당 성향이 만만치 않았던 것이다.

6개월 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부산에서 젊은 층이 많은 편인 해운대구도 이 영향을 받았다.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홍준표 후보를 8%p 차이로 앞서며 3당 합당 이후 27년 만에 민주당계 정당이 처음으로 승리하였다. 문재인 후보가 해운대구에서 이길 수 있었던 원동력은 해운대 신시가지센텀시티였다. 이 두 지역에서 표차를 많이 벌린 덕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이길 수 있었다. 또한 마린시티와 센텀시티의 결과가 흥미로운데, 같은 부촌이라도 센텀시티는 더불어민주당이 우세한 반면, 마린시티는 자유한국당이 우세를 보였다. 또한 유권자의 평균 연령대가 높은 우1동, 반여2, 3동, 반송동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승리했다. 문재인 후보가 이긴 곳은 해운대 (갑) 선거구와 겹치는 경우가 많았으나, (갑)과 (을) 지역구의 문재인 후보 득표율 격차는 불과 0.08%p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왜냐하면 센텀시티가 을 지역구에도 걸쳐있는 데다가, 반여동에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결국 동네별로 차이는 크지만, 전체 결과는 거의 비슷하게 나왔다.

2018년 해운대 (을) 재보궐선거에서도 해운대·기장 (갑) 시절부터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윤준호 후보가 2전 3기만에 50.15%를 득표해 당선되었으며, 3당 합당 이후 해운대구에 지역구를 둔 첫 민주당계 국회의원이 되었다. 해운대구청장도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홍순헌 후보가 당선됐다.

그러나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해운대 (갑), (을) 모두 미래통합당이 승리하였다. 종부세 인상의 직격탄을 맞은 (갑) 선거구에서는 현역 하태경 의원이 유영민 후보를 20%p 이상의 엄청난 격차로 찍어 눌렀고, (을) 선거구[2] 역시 미래통합당에 7%p 정도 뒤지면서 민주당이 의석을 다시 빼앗겼다. 하태경 의원의 경우 보수정당 통합 이전까지는 당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점쳐졌고 실제 여론조사에서도 바른미래당 - 새로운보수당 시절엔 15% 내외에 그쳤으나, 20대 국회에서 2030 남성층에게 강하게 어필하며 존재감을 높인 것이 지지율 격차를 벌렸다. 실제로 20대, 30대에서 미래통합당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앞선 곳은 TK 및 강남권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는데, 하태경 후보는 민주당보다 젊은층 지지율이 높았으며, 관외투표에서도 민주당 후보를 앞질렀다.[3] 뿐만 아니라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좌동에서도 최소 12% 이상 격차로 압도했다. 반면 윤준호 후보는 2년 전 재보궐선거 당선으로 인지도를 높였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미래통합당 김미애 후보를 이기지 못하고 낙선했다. 마린시티뿐만 아니라 센텀시티의 아파트 단지들도 종부세 영향권에 들면서, 센텀시티에서 승패가 결정된 것이다. 해운대구의 21대 총선의 결과는, 문재인 정부의 여러 가지 실정과 부동산 세금 폭탄의 여파가 겹친 더불어민주당 심판 그 자체였다.

여기에 오거돈 성추행 사건이 겹치면서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의 이미지는 더욱 악화되었다. 2021년 재보궐선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수도권에서도 여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가장 강했던 곳이 강남3구, 용산구, 분당구, 과천시, 수지구, 광교신도시, 송도국제도시 등의 부촌이었던 것처럼, 부울경 전체에서돈 이곳 해운대구의 민심의 변화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2017년 19대 대선, 2018년 7회 지방선거까지는 해운대구의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득표율이 부산 평균과 비슷했다. 그러나 2021년 이후로는 부산 평균치보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더 높은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훨씬 더 낮게 나오고 있다. 2021년 재보궐선거 때,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 64.80%[4],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후보 32.39%[5]로 부산 평균 격차보다 약 4.16%p 더 벌어지며 더블 스코어의 결과가 나왔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60.87%[6],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35.96%[7]로 부산 평균보다 4.81%p가 더 벌어졌으며, 국민의힘은 2년 연속 60% 이상을 득표한 반면에, 더불어민주당은 5자 구도로 치러진 19대 대선 때의 38.39%보다도 득표율이 더 깎였을 뿐만 아니라 18개동 모두 40%의 벽을 뚫지도 못했다. 특히 마린시티가 있는 우3동은 23.39%에 머물러 윤석열, 이재명 간의 격차가 트리플 스코어로 벌어졌다.

세부적으로 보면 (갑) 지역은 거의 더블 스코어 격차(33.64% : 63.53%)였고 (을) 지역은 이보다 다소 적은 20%p 격차(38.01% : 58.53%)였다. 이렇게 된 것에는 (갑) 지역은 종합부동산세의 타격을 많이 받아서 정권 심판 분위기가 많이 작용되었지만, 중산층 가구가 밀집한 (을) 지역은 종합부동산세의 영향이 약해 갑 지역에 비해서 정권 심판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나마 민주당세를 견인하는 해운대 신시가지가 있는 좌동도 종합부동산세의 타겟이 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앞으로 민주당이 해운대구에서 선전할 가능성은 더욱 더 희박해질 가능성이 높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현직 부산시장인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67.7%를 득표해 31.1%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변성완 후보를 매우 크게 앞섰다. 덤으로 4년 전 더불어민주당에 빼앗겼던 구청장도 국민의힘에서 탈환하였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해운대구
13대
ta-hash-start=w-ee0fbae41b96c8e0ffbc0f8466290c5a[[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기택 (6선)
14대
ta-hash-start=w-de4ed7bfb03191c49f42e9b66fcfade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운환 (재선)
해운대구·기장군 갑해운대구·기장군 을
15대
ta-hash-start=w-4a6762703f33302e6d1e65db02155a47[[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운환 (3선)

ta-hash-start=w-69c1b055b72973acb3d4e3b75b33deb8[[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재 (초선)[8]

ta-hash-start=w-8c7dfdd53eb2db578a1a690333b303cc[[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주 (3선)[9]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손태인 (초선)[10]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안경률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서병수 (초선)[11]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병수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경률 (재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병수 (3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경률 (3선)
19대
ta-hash-start=w-aa78c3db4fc4a1a343183d6113ec46b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병수 (4선)[12]

ta-hash-start=w-3ca5c9417edca73a996f346dd4a6962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하태경 (초선)

ta-hash-start=w-39d16e8efa2fe7277bc8eee5c5352ec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덕광 (초선)[13]
해운대구 갑해운대구 을
20대
ta-hash-start=w-60ad4f73c31222b8ba5c40037a975cb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하태경 (재선)

ta-hash-start=w-152861dfff2eed473dc916aa5805ddc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덕광 (재선)[14]
윤준호 (초선)[15]
21대하태경 (3선)김미애 (초선)


파일:해운대구 CI.svg 역대 해운대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0 재보궐20022004 재보궐
민주자유당한나라당한나라당
서석인신중복[16]서병수허옥경[17]배덕광
20062010201420182022
한나라당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배덕광[18][19]백선기홍순헌김성수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ta-hash-start=w-63f42ac10ac34b1345a62dd5e3d69c1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서석인 100.00%[1]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신중복 45.62%

2위:
무소속

김홍구 32.25%
3위:
ta-hash-start=w-e46bc064f8e92ac2c404b9871b2a4ef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필 11.14%
4위:
무소속

이수찬 10.98%
200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서병수 66.79%

2위:
무소속

김홍구 23.77%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허옥경 53.95%

2위:
무소속

김홍구 23.79%
3위:
무소속

허훈 16.31%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덕광 63.79%

2위:
ta-hash-start=w-1758766cc513a36685a29f03ceaf41b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홍순헌 34.13%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덕광 70.80%

2위:
ta-hash-start=w-a8fa3c8e035cf26461d25cf448047f04[[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홍순헌 29.19%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덕광 51.31%

2위:
ta-hash-start=w-f4667a2fccf527dad06cc706baf81a70[[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고창권 35.76%
3위:
무소속

안정옥 12.91%
2014년1위:
ta-hash-start=w-749d248d530f71a349980c1d5434cab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백선기 54.45%

2위:
ta-hash-start=w-c099e468717d7f2501b9538dd6bdf97b[[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윤준호 31.75%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순헌 52.53%

2위: 백선기 37.86%
2022년1위: 김성수 61.33%
2위: 홍순헌 38.66%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3.1. 대선[편집]



3.1.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55,263103,287
득표율59.85%39.8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40,520
투표 수260,066
무효표 수686
투표율76.37%

18대 대선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5,263
(59.85%)
103,287
(39.82%)
+51,976
(△20.03)
76.37%
우1동63.52%33.99%32.5375.78
우2동62.52%37.22%△25.3077.69
중1동62.30%37.43%△24.8773.46
중2동62.28%37.44%△24.8468.24
좌1동57.06%42.70%△14.3679.19
좌2동56.85%42.80%△14.0578.03
좌3동58.99%40.62%△18.3780.89
좌4동57.31%42.30%△15.0181.39
송정동64.58%35.11%△29.4772.32
반여1동56.48%43.23%△13.2579.91
반여2동62.45%37.22%△25.2369.0
반여3동61.93%37.76%△24.1770.27
반여4동56.64%43.10%△13.5480.21
반송1동63.51%36.11%△27.4069.19
반송2동62.26%37.46%△24.8073.75
반송3동64.35%35.39%△28.9670.20
재송1동58.85%40.84%△18.0177.67
재송2동58.85%40.91%△17.9473.63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2.67%56.89%▼14.22
국내부재자투표48.52%50.49%▼1.97


3.1.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해운대]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2,10680,90448,32520,91812,573
득표율38.39%30.42%18.17%7.86%4.72%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344,624
투표 수266,870
무효표 수918
투표율77.44%

19대 대선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2,106
(38.39%)
80,904
(30.42%)
48,325
(18.17%)
20,918
(7.86%)
12,573
(4.72%)
+21,202
(△7.97)
77.44%
우1동34.23%35.97%18.08%6.87%4.34%▼1.7470.94
우2동36.43%31.91%18.89%8.35%4.04%△4.5279.56
중1동38.04%32.18%17.36%7.65%4.46%△5.8673.43
중2동37.49%31.28%18.70%7.95%4.16%△6.2172.19
좌1동40.92%26.04%17.87%9.45%5.30%△14.8879.33
좌2동40.83%26.86%18.81%8.53%4.74%△13.9778.27
좌3동37.98%29.65%19.55%8.37%4.01%△8.3281.32
좌4동42.53%25.50%18.18%8.68%4.82%△17.0383.28
송정동34.44%34.98%18.76%6.66%4.51%▼0.54[20]70.25
반여1동40.87%28.99%17.35%7.52%4.97%△11.8879.53
반여2동34.40%36.07%18.05%6.37%4.57%▼1.6766.24
반여3동34.32%37.51%17.13%5.69%4.64%▼3.1967.45
반여4동39.89%29.72%17.22%7.47%5.21%△10.1779.76
반송1동33.33%39.17%16.90%5.49%4.42%▼5.8466.67
반송2동32.91%37.57%17.91%6.62%4.46%▼4.6670.26
재송1동40.36%28.46%18.56%8.20%4.10%△11.9077.87
재송2동37.89%32.36%17.24%7.00%5.13%△5.5371.24
우3동31.33%37.30%19.92%8.19%2.94%▼5.9778.44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07%22.87%28.97%6.73%3.56%△6.10
관외사전투표44.07%21.24%17.77%9.82%6.55%△22.83
재외투표57.95%9.01%17.34%4.58%10.74%△40.61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해운대구 갑[21][22]37.64%30.86%18.64%8.18%4.31%△6.7877.24%
해운대구 을[23][24]37.56%32.63%17.63%7.06%4.68%△4.9373.46%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치러진 조기 대선이다.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난 대선 때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불과 3.53%p 차이의 접전을 벌이다가 석패했던 문재인 후보가 경선을 뚫고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다. 한편, 정권을 연장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서는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한 홍준표 도지사가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그 밖에 동교동계친안철수계가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갈라져 나가 창당한 국민의당에서는 안철수 의원이 후보가 되었으며, 새누리당에서 비박계가 갈라져 나가 창당한 바른정당에서는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후보로 확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의당에서는 심상정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곳 해운대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승리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를 상대로 52.95% : 34.86%로 승리했던 것이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과연 문재인 후보가 30년 만에 그 징크스를 깰 수 있을지 주목되었다. 한편 이곳 해운대구는 1년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갑) 지역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유영민 후보가 현역 의원인 새누리당 하태경 후보를 상대로 41%나 득표하며 크게 선전했으나 10%p 남짓한 차이로 석패했고, (을) 지역구에서는 비록 새누리당 배덕광 후보가 당선되기는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윤준호 후보와 최선명 청년 무소속 후보 간의 표 분산 이득을 보아 어부지리로 당선된 것이었다. 즉,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발발 이전부터 이곳의 민심은 과거에 비해 보수세가 조금 약해진 것이다.

재19대 대통령 선거 전체 개표 결과,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08%를 얻어 24.03%를 얻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역대 최다 표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이곳 부산광역시 또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71%를 얻어 31.98%를 얻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15만 1,643표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부산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반대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 이후 30년 만에 부산에서 패배한 보수정당 소속 대선 후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이곳 해운대구는 이번에도 부산진구와 마찬가지로 부산 평균 득표율과 거의 일치하는 흐름을 보여주었는데, 역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39%를 얻어 30.42%를 얻은 홍준표 후보를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해운대구에서 유명한 양대 부촌인 센텀시티마린시티의 표심이 갈렸다. 센텀시티가 있는 우2동은 문재인 후보가 779표차로 승리했지만, 마린시티가 있는 우3동은 홍준표 후보가 959표차로 승리했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같은 부촌이지만 센텀시티 쪽은 상대적으로 젊은 유권자들이 거주하는 반면, 마린시티 쪽은 상대적으로 은퇴한 자산가들과 노년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정당 지지율이 더 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래서 이렇게 엇갈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후보는 이 선거구에 속한 동들 중에서는 해운대해수욕장으로 유명한 우1동,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부촌 마린시티가 있는 우3동, 그리고 어촌 지역인 송정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했다. 문 후보는 우2동에서 779표차, 중1동에서 753표차, 중2동에서 558표차로 승리했고 해운대 신시가지 지역으로 해운대구에서도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약한 좌1동에서 1,721표차, 좌2동에서 2,722표차, 좌3동에서 892표차, 좌4동에서 2,631표차로 승리했다. 그 외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96표차, 관외사전투표에서 무려 5,995표차로 대승을 거두었으며 국외부재자투표 또한 무려 1,016표차로 승리했다. 보면 알 수 있듯이 문 후보는 부촌 지역인 우동과 중동에서 적은 격차로 이겼거나 패배했으나, 젊은층 인구가 밀집한 해운대 신시가지 지역인 좌동에서는 압승을 거두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위 홍준표 후보는 우1동과 우3동, 송정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패배를 기록했다. 홍준표 후보는 우1동에서 212표차, 우3동에서 959표차, 송정동에서 단 32표차로 승리했다. 문 후보와 달리 대체로 부촌 지역인 마린시티와 어촌 지역인 송정동에서 우세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홍 후보로써는 이 두 지역에서 표차를 벌려서 해운대 신시가지에서 벌어진 표차를 상쇄했어야 했는데, 모두 수백 표차 승리에 그쳐 결국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3위 안철수 후보 또한 모든 동에서 18% 정도 득표율에 그치며 3위에 그쳤다. 1위 문재인 후보는 물론 2위 홍준표 후보를 상대로도 대체로 10% 안팎의 격차를 보이며 뒤질 정도로 크게 힘을 쓰지 못했다. 오로지 거소 및 선상투표와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2위를 기록했으나, 그나마도 1위 문재인 후보를 상대로는 각각 48표차, 843표차로 압도적인 격차로 밀리며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4위 유승민 후보 또한 같은 당 소속인 하태경 의원의 지역구임에도 불구하고 그 프리미엄을 누리지 못하였고, 5위 심상정 후보도 마찬가지였다.


3.1.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해운대]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92,631156,792
득표율35.96%60.87%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39,847
투표 수259,616
무효표 수2,049
투표율76.39%

20대 대선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2,631
(35.96%)
156,792
(60.87%)
-64.161
(▼24.91)
76.39%
우1동31.23%65.65%▼34.4270.88
우2동31.23%66.40%▼35.1778.02
중1동32.01%65.04%▼33.0373.51
중2동34.09%63.07%▼28.9973.48
좌1동38.07%58.69%▼20.6277.68
좌2동37.73%59.13%▼21.4074.06
좌3동38.16%58.66%▼20.5077.74
좌4동39.21%57.81%▼18.6079.74
송정동35.70%60.72%▼25.0271.29
반여1동39.70%57.23%▼17.5377.02
반여2동37.31%59.02%▼21.7167.61
반여3동37.22%58.61%▼21.3967.24
반여4동39.80%56.74%▼16.9475.86
반송1동37.17%58.67%▼21.5067.44
반송2동37.34%58.69%▼21.3570.51
재송1동35.89%61.16%▼25.2775.38
재송2동39.32%57.23%▼17.9168.30
우3동23.39%74.83%51.4479.9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5.44%59.87%▼24.43
관외사전투표39.07%57.22%▼18.15
재외투표51.35%44.67%△6.68


3.2. 지방선거 [편집]



3.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1.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1.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2.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2.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3.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3.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4.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4.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5.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5.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6.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6.2. 해운대구청장 선거[편집]



3.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7.1. 부산광역시장[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해운대]
정당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
득표수109,62273,1318,9803,6712,770
득표율55.31%36.90%4.53%1.85%1.39%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342,079
투표 수200,332
무효표 수2,158
투표율58.56%

7회 지선 부산광역시장 선거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9,622
(55.31%)
73,131
(36.90%)
8,980
(4.53%)
3,671
(1.85%)
2,770
(1.39%)
+36,491
(△18.41)
58.56%
우1동50.68%42.09%4.30%1.60%1.33%△8.5951.68
우2동53.62%38.67%5.0%1.64%1.07%△14.9559.48
중1동52.70%39.70%4.92%1.53%1.15%△13.0052.66
중2동53.55%38.34%4.75%2.05%1.31%△15.2150.15
좌1동57.02%33.52%6.31%2.00%1.15%△23.5056.13
좌2동57.47%33.97%5.15%2.08%1.33%△23.5056.72
좌3동55.31%35.89%5.73%2.05%1.01%△19.4260.30
좌4동60.29%31.25%5.46%2.01%0.99%29.0464.06
송정동52.81%40.59%3.67%1.33%1.60%△12.2249.02
반여1동57.77%34.98%3.72%2.05%1.47%△22.7960.66
반여2동51.49%42.14%3.28%1.44%1.65%△9.3550.10
반여3동51.25%41.50%3.75%1.61%1.89%△9.7552.59
반여4동56.90%35.23%4.38%2.12%1.37%△21.6759.27
반송1동48.51%44.73%2.66%1.92%2.18%△3.7852.21
반송2동50.58%43.19%2.91%1.73%1.59%△7.3955.62
재송1동57.55%34.82%4.58%1.67%1.38%△22.7357.20
재송2동55.58%37.34%3.72%1.77%1.59%△18.2450.64
우3동45.99%46.87%4.94%1.15%1.05%▼0.8855.86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격차
거소·선상투표47.66%37.85%9.11%2.80%2.57%△9.81
관외사전투표64.24%26.45%5.10%2.46%1.75%△37.79


3.2.7.2. 해운대구청장[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해운대]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순헌(洪淳憲)103,2261위
52.53%당선
2백선기(白宣基)74,3962위
37.86%낙선
3정성철(鄭成澈)12,5313위
6.37%낙선
6차형규(車亨奎)6,3284위
3.22%낙선
선거인 수342,079투표율
58.56%
투표 수200,338
무효표 수3,857

7회 지선 해운대구청장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홍순헌백선기정성철차형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3,226
(52.53%)
74,396
(37.86%)
12,531
(6.37%)
6,328
(3.22%)
+28,830
(△14.67)
58.56%
우1동47.78%42.78%5.94%3.50%△5.0051.65
우2동50.98%39.29%6.79%2.94%△11.6959.47
중1동51.72%39.16%6.41%2.71%△12.5652.64
중2동51.26%38.60%7.80%2.34%△12.6650.06
좌1동53.92%34.77%8.12%3.19%△19.1556.09
좌2동54.56%34.76%7.71%2.96%△19.8056.60
좌3동52.73%36.74%7.95%2.58%△15.9960.24
좌4동56.87%32.16%8.34%2.63%△24.7164.03
송정동49.34%39.87%7.34%3.45%△9.4748.93
반여1동54.08%37.66%5.22%3.04%△16.4260.60
반여2동47.17%42.67%6.56%3.60%△4.5050.21
반여3동46.55%42.44%6.75%4.26%△4.1152.58
반여4동53.45%38.05%5.11%3.39%△15.4059.22
반송1동45.00%45.06%4.02%5.92%▼0.06[25]52.10
반송2동46.25%45.09%4.17%4.49%△1.1655.54
재송1동55.38%36.58%5.52%2.52%△18.8057.17
재송2동52.52%39.02%5.15%3.31%△13.5050.61
우3동44.47%46.53%7.08%1.91%▼2.0655.84
후보홍순헌백선기정성철차형규격차
거소·선상투표46.62%36.13%9.56%7.69%△10.49
관외사전투표63.05%26.71%6.53%3.71%△36.34


3.2.8.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3.2.8.1. 부산광역시장[편집]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김영춘박형준(1위/2위)
득표수
(득표율)
50,629
(31.05%)
110,375
(67.70%)
-59,746
(▼36.65)
우1동27.59%69.56% ▼41.97
우2동28.98%68.58% ▼39.60
중1동29.77%67.67% ▼37.90
중2동31.65%65.95% ▼34.30
좌1동35.90%61.31% ▼25.41
좌2동35.00%62.08% ▼37.08
좌3동34.36%65.84% ▼31.48
좌4동37.05%60.14% ▼23.09
송정동32.90%64.50% ▼31.60
반여1동36.09%61.47% ▼25.38
반여2동32.53%64.88% ▼32.35
반여3동33.14%63.92% ▼30.78
반여4동34.48%62.85% ▼28.37
반송1동30.83%66.25% ▼35.42
반송2동30.92%65.63% ▼34.71
재송1동32.85%64.90% ▼32.05
재송2동34.67%63.01% ▼28.34
우3동21.67%76.11% 54.44
후보김영춘박형준격차
거소투표33.18%53.82% ▼20.64
관외사전투표39.11%58.03% ▼18.92


3.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9.1. 부산광역시장[편집]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해운대]
정당
후보변성완박형준
득표수50,629110,375
득표율31.05%67.7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37,958
투표 수164,774
무효표 수1,747
투표율48.75%

8회 지선 부산광역시장 선거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변성완박형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0,629
(31.05%)
110,375
(67.70%)
-59,746
(▼36.65)
48.75%
우1동26.93%71.94%▼45.0142.93
우2동27.89%71.07%▼43.1848.37
중1동27.69%71.26%▼43.5741.91
중2동29.27%69.42%▼40.1542.86
좌1동33.94%64.87%▼30.9344.54
좌2동33.83%65.11%▼31.2845.20
좌3동33.10%65.23%▼32.1348.60
좌4동35.68%63.22%▼27.5452.95
송정동29.75%69.00%▼39.2543.29
반여1동33.77%65.04%▼31.2749.74
반여2동29.98%68.37%▼38.3944.21
반여3동30.46%67.82%▼37.3644.31
반여4동32.89%65.91%▼33.0246.89
반송1동28.32%69.73%▼41.4146.00
반송2동29.68%68.25%▼38.5749.06
재송1동31.13%67.79%▼36.6644.38
재송2동33.59%65.23%▼31.6440.07
우3동19.97%79.49%▼59.5248.62
후보변성완박형준격차
거소투표30.02%67.24%▼37.72
관외사전투표36.33%62.02%▼25.69


3.2.9.2. 해운대구청장[편집]


해운대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순헌(洪淳憲)62,7632위
38.66%낙선
2김성수(金成洙)99,5451위
61.33%당선
선거인 수337,958투표율
48.75%
투표 수164,767
무효표 수2,459

8회 지선 해운대구청장 부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홍순헌김성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2,763
(38.66%)
99,545
(61.13%)
-36,782
(▼22.47)
48.75%
우1동37.60%63.69%▼26.3942.93
우2동34.15%65.84%▼31.6948.37
중1동36.94%63.05%▼26.1141.93
중2동36.77%63.22%▼26.4542.89
좌1동42.45%57.54%▼15.0944.57
좌2동42.50%57.49%▼14.9945.18
좌3동41.63%58.36%▼16.7348.62
좌4동44.81%55.18%▼10.3752.98
송정동39.23%60.76%▼21.5343.30
반여1동40.51%59.48%▼18.9749.75
반여2동37.84%62.15%▼24.3144.28
반여3동36.92%63.07%▼26.1544.33
반여4동39.34%60.65%▼21.3146.92
반송1동35.97%64.02%▼28.0546.05
반송2동37.64%62.35%▼24.7149.06
재송1동36.70%63.29%▼26.5944.38
재송2동39.44%60.55%▼21.1140.10
우3동27.15%72.84%▼45.6948.50
후보홍순헌김성수격차
거소투표36.73%63.26%▼26.53
관외사전투표43.89%56.10%▼12.21


3.3. 총선[편집]




3.3.1. 해운대구·기장군 갑 / 해운대구·기장군 을 (15~19대)[편집]







3.3.2. 해운대구 갑 / 해운대구 을 (20대~)[편집]






21대 총선 해운대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유영민하태경(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9,633
(37.38%)
78,971
(59.47%)
- 29,338
(▼22.10)
133,831
(69.99%)
[ 펼치기 · 접기 ]

우1동[*A ]33.27%63.06%▼29.7962.33
우2동[*B ]34.14%63.19%▼29.0571.41
중1동[*D ]35.96%60.98%▼25.0264.60
중2동[*E ]36.68%60.36%▼23.6864.90
좌1동41.86%54.80%▼12.9469.08
좌2동41.00%55.75%▼14.7666.37
좌3동40.22%56.27%▼16.0671.34
좌4동[*F ]42.21%54.91%▼12.7074.61
송정동38.89%57.26%▼18.3662.05
우3동[*C ]26.24%71.47%▼45.2471.81
후보유영민하태경격차
거소·선상투표37.50%55.28%▼17.79
관외사전투표44.72%51.29%▼6.58
재외투표59.63%36.23%△23.39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윤준호김미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6,799
(45.90%)
53,900
(52.87%)
- 7,101
(▼6.97)
103,215
(66.74%)
[ 펼치기 · 접기 ]

반여1동[*G ]47.98%51.11%▼3.1370.41
반여2동43.73%54.81%▼11.0860.39
반여3동42.33%56.18%▼13.8459.79
반여4동47.02%51.95%▼4.9368.81
반송1동[*H ]42.47%55.62%▼13.1459.81
반송2동[*I ]43.64%54.75%▼11.1264.24
재송1동[*J ]43.88%55.36%▼11.4867.48
재송2동44.29%54.43%▼10.1559.87
후보윤준호김미애격차
거소·선상투표49.35%46.42%△2.92
관외사전투표57.26%41.29%△15.96
재외투표67.88%32.11%△35.78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02,077
(44.88%)
60,371
(26.54%)
15,880
(6.98%)
16,317
(7.17%)
11,327
(4.98%)
+ 41,706
(△18.34)
237,069
(68.51%)
[ 펼치기 · 접기 ]

우1동[*A ]50.42%22.34%5.73%7.00%4.31%△28.0862.32
우2동[*B ]48.67%22.56%6.74%8.66%4.64%△26.1171.41
중1동[*D ]47.69%24.07%6.79%7.50%5.21%△23.6264.60
중2동[*E ]47.13%24.55%6.46%7.29%5.59%△22.5864.91
좌1동41.83%27.84%8.10%8.55%5.46%△13.9969.08
좌2동42.10%27.42%7.55%8.26%5.55%△14.6866.37
좌3동43.05%26.89%7.51%7.82%5.29%△16.1571.34
좌4동[*F ]40.51%28.95%8.09%8.39%6.14%△11.5574.62
송정동44.41%27.19%6.23%5.89%4.57%△17.2162.05
반여1동[*G ]41.97%29.71%7.83%7.47%4.59%△12.2670.42
반여2동44.55%29.36%6.26%4.33%3.82%△15.1960.40
반여3동47.32%28.41%5.53%4.09%3.54%△18.9159.79
반여4동43.52%28.48%8.06%6.20%4.63%△15.0368.82
반송1동[*H ]47.29%27.75%5.26%3.69%3.65%△19.5459.81
반송2동[*I ]46.57%27.47%6.00%4.26%3.51%△19.1064.25
재송1동[*J ]43.77%27.07%7.37%8.35%5.31%△16.6967.49
재송2동44.85%29.40%6.50%5.11%3.75%△15.4659.87
우3동[*C ]58.03%17.16%4.04%8.77%4.54%△40.8771.81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7.55%22.64%8.57%9.98%3.65%△14.91
관외사전투표35.80%29.97%9.09%7.32%7.15%△5.82
재외투표27.59%31.45%11.57%6.23%14.83%▼3.86







[1] 일종의 계급배반투표 현상에 가깝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고소득층보다 서민층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할 거라고 예상하지만, 한국의 노인 세대, 특히 영남 지방의 기성 세대들은 압도적으로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율이 높다.[2] 재송동 관할이지만 역시나 종부세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더샵 센텀파크더샵 센텀스타 단지가 속해 있다. 이곳의 세대수를 생각하면 사실상 여기서 승패가 결정됐다고 볼 수 있다.[3] 다만 이것은 해운대구 지역의 청년층이 특별히 보수 성향이라기보다는 하태경 의원의 전국적으로 높은 인지도와 개인에 대한 지지도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하태경은 당 내에서 개혁적, 중도적 성향에 가깝다. 또한 민주당보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더 낮은 지역에서 대통령과의 막역한 관계를 어필한 유영민 후보의 유세 전략이 더욱 반감을 가져왔다는 의견도 존재했다.[4] 부산 평균 62.67%[5] 부산 평균 34.42%[6] 부산 평균 58.25%[7] 부산 평균 38.15%[8] 98.04.06. 의원직 사퇴 (부산광역시장 출마)[9] 98.07.21. 재보궐선거[10] 02.01.15. 작고[11] 02.08.08. 재보궐선거[12] 14.04.03. 의원직 사퇴 (부산광역시장 출마)[13] 14.07.30. 재보궐선거[14] 18.01.23. 의원직 사퇴 (뇌물수수로 구속)[15] 18.06.13. 재보궐선거[16] 99.11.26. 구청장직 상실 (선거법 위반)[17] 03.12.16.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18] 14.03.31. 구청장직 사퇴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출마)[19]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해운대] A B C D E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재송1동, 재송2동, 우3동[20]32표 차이였다.[21] 지역구 국회의원 : 바른정당 하태경[22] 관할 동 :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23]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배덕광[24] 관할 동 :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재송1동, 재송2동[25]4표 차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