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제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연제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연제구(선거구)
,
,
,
,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 연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연제구연제구 전역
시의원연제구 1거제제1동, 거제제2동, 거제제3동, 거제제4동, 연산제2동, 연산제4동, 연산제5동
연제구 2연산제1동, 연산제3동, 연산제6동, 연산제8동, 연산제9동

1.1. 구의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연제구의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연제구 CI.svg연제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6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5석
재적
11석



2. 지역 특징[편집]


전형적인 보수정당의 텃밭으로 분류되었다. 1995년 동래구에서 분리 이후 모든 선거에서 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이 이겨온 곳으로, 민주당계 정당에게는 난공불락의 지역 중 하나였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민주당에서 부산에 텃밭을 가꾸기 위한 각고의 노력으로 격차가 점점 좁혀지게 되었으며, 본격적으로 성과를 보인 것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였다. 이전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에서 간발의 차로 지면서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지만, 이 선거에서 처음으로 민주당측 인사가 이기기 시작했다. 시장 선거에서 무소속 오거돈 후보의 표가 좀 더 나왔는데,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성과를 보여 28년만에 최초로 민주당계 의원이 이기게 되었다. 이곳의 결과는 부산 정치권의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이변 중의 이변이었는데, 몇 번을 떨어지고 욕을 바가지로 먹어가며 지지기반을 닦아 힘겹게 당선된 부산의 다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는 달리, 김해영 의원은 처음으로 도전하여 단번에 당선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부산이 더이상 난공불락의 요새가 아님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결과이기도 했다.[1]

총선이 열리고 6개월이 지나 사상 초유의 사태가 터지면서 연제구의 정치 구도가 뒤집어졌다. 재보궐 선거로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6%p 격차로 이기면서 부산에서 3연속 민주당 인사가 승리한 지역으로 남게 된 것이다. 게이트가 있었음에도 홍준표가 32%를 받아 6%p의 격차로 석패한 것을 보면 민주당에 우호적인 지역으로 변했다고 말하기 섣부른 면이 있었으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민주당 우위를 다시 한 번 굳혔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이주환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 지역구를 다시 보수정당이 탈환하였는데, 이는 2018년 이후 부산을 포함한 경상도 전반에서 두드러진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비토론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는 문재인 정권 말기에 그대로 이어져, 오거돈 성추행 사건이 터진 후 치러진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62%를 얻어 김영춘 후보를 30%p 가까이 압도하는 결과를 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59.26%를 득표하였는데, 2018년 선거까지 부산 평균보다 민주당 득표율이 항상 높았던 연제구였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37.25%로 부산 평균(38.15%)에 못 미쳤다. 우수한 접근성을 토대로 활발하게 이루어진 재개발이, 오히려 입주민에게 부동산 세금 이슈를 떠안기며 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떠나갔음을 증명하는 결과였다.

95년 이후로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임이 없는 지역구이기도 하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연제구 CI.svg 연제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동래구 을[2]
13대
ta-hash-start=w-b7a8211586995578af1a2a97cfd214ca[[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형우4선
14대
ta-hash-start=w-e16bc4034d220980a334f956f8fa605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최형우5선
연제구
15대
ta-hash-start=w-a8e0614f304631badb289376e7354d33[[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형우6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권태망초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희정초선
18대
ta-hash-start=w-863f5a7d16cc4153445eadbf0a3c89ca[[파일:친박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박대해초선
19대
ta-hash-start=w-4e29c8572edb3e6c1a0eaad5ad36423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희정재선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해영초선
21대
ta-hash-start=w-82f82644bda7a260970fbd52a4c96528[[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주환초선




3.1. 대선[편집]



3.1.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ta-hash-start=w-7ce1b2bc1baf1b4ea2027e15fc2ed39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06a59a7dc0ee268d088864379c23f14[[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81,37053,294
득표율60.22%39.4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74,375
투표 수135,450
무효표 수350
투표율77.68%

18대 대선 부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
ta-hash-start=w-6cd32bc24ca089ab21e77c5a2f2d849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b2339d79a596fbea48f25d0a8bd473ca[[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1,370
(60.22%)
53,294
(39.44%)
+28,076
(△20.78)
77.68%
거제1동56.94%42.80%△14.1482.51
거제2동60.66%39.03%△21.6379.08
거제3동63.78%35.85%△27.9379.49
거제4동61.10%38.59%△22.5178.65
연산1동59.45%40.33%△19.1278.42
연산2동64.32%35.37%28.9574.66
연산3동62.40%37.22%△25.1874.09
연산4동62.56%37.17%△25.3975.72
연산5동59.90%39.87%△20.0372.23
연산6동62.39%37.30%△25.0974.03
연산8동62.91%36.76%△26.1574.22
연산9동58.95%40.69%△18.2678.04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2.60%57.40%14.80
국내부재자투표48.60%50.42%▼1.82
집권 연장을 꿈꾸는 여당인 새누리당에선 지난 대선 때 현 대통령 이명박과 대권을 놓고 경쟁했던 박근혜가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한편, 제 1 야당인 민주통합당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원한 친구 문재인이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그 밖에 제 3 세력 후보로 안철수, 통합진보당에서 이정희 등이 대선에 출마했지만 결국 모두 중도 사퇴하면서 박근혜 vs 문재인 양자 구도로 정립되었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로서 부산광역시에서 승리한 후보는 단 1명도 없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그 징크스를 깰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개표 결과 문재인 후보가 매우 선전했지만 정치 경력 1년도 채 안 된 신인이 경력 14년 차 베테랑 정치인인 박근혜의 벽을 넘어서진 못했고 전국 합산 결과 51.55% : 48.02%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득표율 3.53%, 득표 수 108만 496표 차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곳 부산광역시에서도 문 후보가 매우 선전했지만 전국 평균보다 약간 더 크게 벌어져 59.82% : 39.87%로 박근혜 후보가 득표율 19.95%, 득표 수 44만 1,648표 차로 꺾고 승리했다. 이곳 연제구는 부산에서도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 중 하나인 곳답게 부산 평균보다도 더 벌어지며 60.22% : 39.44%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득표율 20.78%, 득표 수 28,076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선 때 연제구의 결과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결과와 비슷했다.[3]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과 유사할 정도로 보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위 박근혜 후보는 연제구 내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박 후보는 거제 1동에서 2,645표 차, 거제 2동에서 2,371표 차, 거제 3동에서 2,138표 차, 거제 4동에서 1,596표 차로 승리했고 연산 1동에서 1,985표 차, 연산 2동에서 2,706표 차, 연산 3동에서 1,817표 차, 연산 4동에서 2,841표 차, 연산 5동에서 1,389표 차, 연산 6동에서 2,676표 차, 연산 8동에서 1,763표 차, 연산 9동에서 4,311표 차로 승리했다. 이렇게 연제구 모든 동에서 네 자리 수 표 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한편, 2위 문재인 후보는 험지 중 하나인 부산 연제구에서 39% 이상의 득표율을 올리며 민주 정당 소속 대선 후보로서는 3당 합당 이후 역대 최고의 득표율을 올렸으나 지역주의의 벽을 넘어서진 못했다. 오로지 국내부재자투표에서 73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89표 차로 승리하는 것에 그쳤고 동별 투표에서는 모든 동에서 패배했다. 거제 1동과 연산 1동, 연산 9동에서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린 것에 만족해야 했다.

3.1.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faf02b2358de8933f480a146f4d2d98e[[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52,45444,22123,3219,9006,745
득표율38.25%32.25%17.0%7.22%4.91%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75,265
투표 수137,602
무효표 수497
투표율78.51%

19대 대선 부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2,454
(38.25%)
44,221
(32.25%)
23,321
(17.0%)
9,900
(7.22%)
6,745
(4.91%)
+8,233
(△6.0)
78.51%
거제1동40.18%30.09%17.84%7.23%4.48%10.0982.20
거제2동37.33%33.87%16.74%7.75%3.97%△3.4680.61
거제3동34.26%38.01%16.51%6.60%4.30%▼3.7577.19
거제4동36.46%34.43%16.53%7.35%4.81%△2.0377.74
연산1동37.17%34.31%17.17%6.83%4.24%△2.8677.76
연산2동36.52%35.54%16.10%6.77%4.77%△0.9876.19
연산3동33.75%37.92%16.74%6.38%4.79%▼4.1770.94
연산4동35.04%37.13%16.83%6.41%4.34%▼2.0973.30
연산5동39.01%31.28%16.13%7.15%6.18%△7.7371.11
연산6동34.05%38.35%17.09%5.90%4.18%4.3071.09
연산8동39.04%30.93%17.28%7.09%5.15%△8.1175.99
연산9동37.72%32.07%17.32%7.67%4.86%△5.6577.61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6.27%23.47%31.20%5.60%2.40%△5.07
관외사전투표46.01%21.15%16.83%8.94%6.63%△24.86
재외투표62.91%4.97%16.0%4.97%10.91%46.91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대통령 박근혜가 파면된 이후 치러진 조기 대선이다. 제 1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선 지난 대선 때 박근혜와 불과 3.53% 차 접전을 벌였다가 석패했던 문재인 후보가 경선을 뚫고 최종 후보가 되었다. 한편, 정권을 연장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전 경상남도지사 홍준표가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그 밖에 동교동계친안철수계가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갈라져 나가 창당한 국민의당에선 안철수가 최종 후보로 출마했으며 새누리당에서 비박계가 갈라져 나가 창당한 바른정당에선 유승민이 최종 후보로 출마했다. 마지막으로 정의당에선 심상정이 최종 후보로 출마했다.

현재까지 이곳 연제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승리한 것은 1995년에 신설된 이래로 단 한 번도 없었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그 징크스를 깰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지만 1년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후보가 현역 의원 새누리당 김희정 후보를 상대로 접전 끝에 51.6% : 48.39%로 승리하며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김해영은 사상구에서 단 1번 만에 당선된 문재인 전 의원에 이어 두 번째로 3당 합당 이후 부산에서 첫 번째 선거에 바로 당선된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인물이란 기록을 썼다. 즉,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부산 연제구의 민심은 더불어민주당 쪽으로 기울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개표 결과 전국에선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08% : 24.03%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득표율 17.05%, 득표 수 557만 951표 차라는 역대 최다 표 차로 당선되었다. 이곳 부산광역시 또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71% : 31.98%로 득표율 6.73%, 득표 수 15만 1,643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부산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반대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에 부산에서 패배한 보수 정당 소속 대선 후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이곳 연제구 또한 부산 평균과 유사하게 문재인 후보가 38.25% : 32.25%로 득표율 6%, 득표 수 8,233표 차로 홍준표 후보를 꺾고 1위를 차지하였다. 1995년 연제구가 신설된 이래 치러진 총 5번의 대선에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1위를 차지한 건 이번이 최초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문재인 후보는 거제 3동, 연산 3동, 연산 4동과 연산 6동까지 총 4곳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문재인 후보는 거제 1동에서 1,683표 차, 거제 2동에서 261표 차, 거제 4동에서 140표 차로 승리했고 연산 1동에서 281표 차, 연산 2동에서 불과 84표 차, 연산 5동에서 647표 차, 연산 8동에서 703표 차, 연산 9동에서 1,267표 차로 승리했다. 그 외에도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48표 차, 관외사전투표에선 무려 3,734표 차로 승리했으며 국외부재자투표에서 478표 차로 승리했다.

한편, 2위 홍준표 후보는 거제 3동, 연산 3동, 연산 4동, 연산 6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패배를 기록하고 말았다. 그나마도 압승을 거둔 것도 아니다. 거제 3동에선 256표 차로 승리했고 연산 3동에선 236표 차, 연산 4동에서 220표 차, 연산 6동에서 381표 차 승리에 그쳤다. 그 뿐 아니라 어느 동에서도 득표율 40%를 넘기지 못했다. 사전투표에서도 모조리 큰 격차로 패배했으며 특히 거소 및 선상투표에선 안철수에게 밀리며 3위에 그쳤고 국외부재자투표에선 안철수는 물론이고 심상정에게까지 밀리며 4위에 그쳤다.

3위 안철수 후보는 연제구 내 모든 동에서 17% 정도 득표율에 그치며 3위에 그쳤다. 국민의당 자체가 워낙 호남 색채가 너무 짙은 당이었기에 부산에선 별 다른 힘을 쓰지 못했다. 오로지 거소 및 선상투표와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2위를 기록했지만 그나마도 1위 문재인 후보를 상대로는 각각 19표 차, 387표 차로 압도적인 격차로 밀리며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그 밖에 유승민과 심상정 또한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각각 4위, 5위에 그쳤다.


3.1.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51,47181,889
득표율37.25%59.26%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0,732
투표 수139,351
무효표 수1,187
투표율77.10%

20대 대선 부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1,471
(37.25%)
81,889
(59.26%)
-30,418
(▼22.01)
77.10%
거제1동37.17%59.44%▼22.2778.64
거제2동36.17%60.89%▼24.7280.02
거제3동34.12%62.47%28.3577.10
거제4동36.40%60.01%▼23.6175.66
연산1동36.29%60.75%▼24.4676.60
연산2동36.90%59.83%▼22.9376.20
연산3동35.91%60.36%▼24.4573.93
연산4동35.19%61.32%▼26.1372.92
연산5동37.86%58.0%▼20.1467.70
연산6동35.47%60.56%▼25.0970.64
연산8동38.47%58.08%▼19.6175.96
연산9동36.15%60.87%▼24.7273.0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7.57%56.21%18.64
관외사전투표42.32%53.68%▼11.36
재외투표63.04%32.02%31.0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36.43%60.17%▼23.7474.67


3.2. 지방선거[편집]



3.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1.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문정수노무현김현옥
득표수56,57241,79411,454
득표율51.00%37.68%10.3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70,586
투표 수112,840
무효표 수1,931
투표율66.15%


3.2.1.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3.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2.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안상영하일민김기재
득표수35,2228,59833,426
득표율45.59%11.13%43.27%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64,502
투표 수78,573
무효표 수1,327
투표율47.76%

3.2.2.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3.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3.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안상영한이헌김석준
득표수47,82713,67013,087
득표율64.12%18.32%17.54%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69,846
투표 수75,725
무효표 수1,141
투표율44.58%

3.2.3.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3.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4.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오거돈허남식김석준
득표수19,61355,9188,557
득표율23.32%66.49%10.1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72,349
투표 수84,791
무효표 수703
투표율49.20%


3.2.4.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3.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5.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허남식김정길
득표수48,79138,078
득표율56.16%43.83%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69,354
투표 수88,021
무효표 수1,152
투표율51.97%

3.2.5.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3.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6.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서병수오거돈
득표수48,38448,616
득표율49.88%50.11%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74,407
투표 수99,853
무효표 수2,853
투표율57.25%


3.2.6.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연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위준57,2031위
64.36%당선
4김홍재31,6682위
35.63%낙선
5차백진사퇴
6김기문사퇴
선거인 수174,407투표율
57.25%
투표 수99,841
무효표 수10,970


3.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7.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
득표수57,57338,8154,2022,1771,837
득표율55.03%37.10%4.01%2.08%1.75%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74,673
투표 수105,913
무효표 수1,309
투표율60.6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573
(55.03%)
38,815
(37.10%)
4,202
(4.01%)
2,177
(2.08%)
1,837
(1.75%)
+18,758
(△17.93)
60.64%
거제1동56.23%35.89%4.35%2.20%1.33%△20.3463.57
거제2동54.35%38.15%4.10%1.78%1.62%△16.2064.30
거제3동48.45%43.80%4.36%1.84%1.55%△4.6562.02
거제4동52.63%39.71%4.01%1.90%1.75%△12.9259.49
연산1동53.18%39.08%4.14%1.81%1.79%△14.1058.74
연산2동52.77%40.02%3.75%1.89%1.56%△12.7558.23
연산3동49.80%42.88%3.04%1.90%2.38%△6.9255.14
연산4동50.97%41.46%3.49%2.03%2.05%△9.5153.93
연산5동55.59%36.12%4.24%2.29%1.76%△19.4748.80
연산6동50.61%41.50%3.53%2.0%2.36%△9.1153.97
연산8동56.43%35.95%3.80%2.23%1.59%△20.4858.15
연산9동56.01%36.55%4.0%1.84%1.60%△19.4657.34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격차
거소·선상투표46.12%34.91%11.64%4.31%3.02%△11.21
관외사전투표66.07%24.62%4.39%2.88%2.04%43.45


3.2.7.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연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성문53,7161위
51.63%당선
2이해동37,2672위
35.82%낙선
6주석수13,0533위
12.54%낙선
선거인 수174,673투표율
60.63%
투표 수105,911
무효표 수1,875


3.2.8.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김영춘박형준
득표수33,76362,316
득표율33.90%62.5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0,447
투표 수100,380
무효표 수805
투표율55.63%

4.7 재보궐선거 부산시장 선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33,763
(33.90%)
62,316
(62.58%)
-28,553
(▼28.68)
거제1동35.33%61.61% ▼26.28
거제2동33.67%63.58% ▼29.91
거제3동31.77%66.07% ▼34.30
거제4동34.18%63.53% ▼29.35
연산1동32.91%64.03% ▼31.12
연산2동35.67%60.93% ▼25.26
연산3동30.21%66.86% ▼36.65
연산4동31.41%65.48% ▼34.17
연산5동34.29%62.10% ▼27.81
연산6동32.11%64.29% ▼32.18
연산8동33.86%61.82% ▼27.96
연산9동32.13%63.46% ▼32.33
거소투표32.59%51.84% ▼19.25
관외사전투표43.51%53.08% ▼9.57


3.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9.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연제구
연제구 일원
정당
후보변성완박형준
득표수29,40060,491
득표율32.24%66.3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0,173
투표 수92,064
무효표 수894
투표율51.09%

8회 지선 부산시장 선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변성완박형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9,400
(32.24%)
60,491
(66.34%)
- 31,091
(▼34.10)
92,064
(51.09%)
거제1동[A]33.43%65.31%▼31.8752.00
거제2동31.27%67.59%▼36.3153.33
거제3동28.94%69.88%▼40.9452.52
거제4동30.04%68.73%▼38.6948.67
연산1동[B]29.87%68.95%▼39.0746.87
연산2동[C]31.72%66.81%▼35.0949.68
연산3동31.28%67.44%▼36.1647.88
연산4동28.72%70.06%▼41.3446.09
연산5동[D]32.94%65.77%▼32.8338.50
연산6동30.36%68.36%▼37.9945.34
연산8동[E]33.06%65.31%▼32.2450.45
연산9동[F]30.82%67.48%▼36.6547.59
후보변성완박형준격차
거소투표31.25%65.86%▼34.61
관외사전투표40.34%57.87%▼17.53
국회의원
선거구
변성완박형준격차투표율
31.22%67.42%▼36.2048.04


3.2.9.2. 연제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성문(李星門)35,8032위
39.48%낙선
2주석수(朱錫修)54,8811위
60.51%당선
선거인 수180,173투표율
51.09%
투표 수92,059
무효표 수1,375

연제구청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성문주석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5,803
(39.48%)
54,881
(60.51%)
- 19,078
(▼21.03)
92,059
(51.09%)
거제1동[A]41.96%58.03%▼16.0752.00
거제2동39.27%60.72%▼21.4453.36
거제3동37.36%62.63%▼25.2652.53
거제4동38.44%61.55%▼23.1148.65
연산1동[B]36.83%63.16%▼26.3246.87
연산2동[C]39.18%60.81%▼21.6249.68
연산3동39.45%60.54%▼21.0847.89
연산4동34.81%65.18%▼30.3746.09
연산5동[D]38.97%61.02%▼22.0538.53
연산6동36.12%63.87%▼27.7545.34
연산8동[E]40.18%59.81%▼19.6350.47
연산9동[F]37.54%62.45%▼24.9047.58
후보이성문주석수격차
거소투표39.80%60.19%▼20.38
관외사전투표47.41%52.58%▼5.17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연제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해영이주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0,570
(47.74%)
64,640
(50.95%)
- 4,070
(▼3.21)
128,204
(70.38%)
[ 펼치기 · 접기 ]

거제1동[*A ]48.77%50.07%▼1.3174.06
거제2동47.39%51.48%▼4.1074.41
거제3동42.18%56.53%▼14.3670.62
거제4동44.84%54.17%▼9.3369.75
연산1동[*B ]46.24%52.91%▼6.6770.30
연산2동[*C ]48.66%50.17%▼1.5170.99
연산3동42.86%55.65%▼12.7965.53
연산4동43.68%55.27%▼11.5965.29
연산5동[*D ]49.68%48.86%△0.8259.46
연산6동45.09%53.61%▼8.5264.46
연산8동[*E ]48.23%50.36%▼2.1269.20
연산9동[*F ]46.28%52.08%▼5.8067.34
후보김해영이주환격차
거소·선상투표52.23%46.26%△5.97
관외사전투표59.44%38.76%△20.68
재외투표71.33%27.38%△43.95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059
(44.07%)
34,145
(27.83%)
9,217
(7.51%)
8,085
(6.59%)
5,671
(4.62%)
+ 19,914
(△16.24)
128,226
(70.36%)
[ 펼치기 · 접기 ]

거제1동[*A ]43.71%26.45%8.79%7.99%5.07%△17.2674.07
거제2동44.69%26.91%8.03%7.00%4.88%△17.7874.41
거제3동49.33%25.15%6.28%6.50%4.18%△24.1770.61
거제4동46.99%26.95%6.95%6.36%4.01%△20.0469.75
연산1동[*B ]46.42%27.37%7.19%6.35%4.38%△19.0570.28
연산2동[*C ]42.99%29.18%7.41%7.05%4.33%△13.8270.98
연산3동48.24%27.25%5.70%4.28%3.29%△20.9965.53
연산4동47.04%26.75%6.65%5.69%3.67%△20.3065.28
연산5동[*D ]42.46%29.90%7.15%6.10%4.17%△12.5659.48
연산6동46.73%27.28%6.46%5.69%3.98%△19.4564.47
연산8동[*E ]43.60%29.28%7.08%6.59%4.46%△14.3269.20
연산9동[*F ]45.00%26.63%7.51%6.58%4.42%△18.3767.34
정당
ta-hash-start=w-22b91e866a98674f898cc7add8841a39[[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c8cb9b614bd99032d01aa6d93f174a0[[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de62ecd18eee495355e80b3131d7e9f1[[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4aaa962157fc60f660a8cc3f8e36631[[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b5aca42824f0544dae9cc0d956f9934[[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40.89%27.15%5.11%6.07%6.07%△13.74
관외사전투표32.65%32.51%9.53%7.06%7.31%△0.14
재외투표27.21%39.05%11.83%2.95%12.42%▼11.83





[1] 참고로 부산에서 한 번에 국회의원에 당선된 사람이 김해영이 유일하지는 않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2년 19대 총선 당시 사상구에서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재인은 당시에도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었고, 당시 새누리당에 정치 신인 손수조가 공천되었다. 그러나 김해영은 선거 전만해도 잘 알려지지 않은 정치 신인이었으며, 전직 여성가족부 장관과 1:1 매치라는 점에서 더욱 두드러진다.[2] 동래구 갑은 현재의 동래구 지역이다.[3] 박근혜 60.14% : 39.46% 문재인[A] A B 부산고등법원 · 부산고등검찰청부산교육대학교가 있는 동네[B] A B 연산자이 대단지가 있는 동네[C] A B 연제 롯데캐슬 앤 데시앙 대단지가 있는 동네[D] A B 부산광역시청이 있는 동네[E] A B 더샵 파크시티부산경상대학교가 있는 동네[F] A B = 토곡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