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0보병여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쌍용)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쌍용부대 문서
쌍용부대번 문단을
쌍용부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한미연합사단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17사단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1사단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7사단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12사단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3사단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수도사단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31사단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사단예하 여단
수방사52사단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60사단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제80보병여단
第80步兵旅團
The 80th Infantry Brigade
파일:제28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창설일0000년 00월 00일(제80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80보병여단)
상징명칭쌍용부대
소속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28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중서부 전선 최전방 지역 경계
여단장파일:대령 계급장.svg 대령 차경환(육사 52기)
위치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3.3. 제1대대 흑룡(GOP)
3.4. 제2대대 청룡
3.5. 제3대대 백룡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여단가
6. 사건 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제6군단 제28보병사단 예하 제80보병여단. 별칭은 쌍용부대. 본부는 경기도 파주시에 예하 대대들은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편집]


제28보병사단 GOP를 맡고 있는 두 연대 중 하나이며 구 연대비표는 하얀색이다. 대형사고를 친 81연대와 훈련량 많은 82연대 덕에 큰 존재감은 없다. 사실 군대에서 유명해서 좋을 것이 하나도 없다. 담당 섹터 내에 태풍전망대라는 유일한 민간인 출입지역이 있어서, GOP이면서도 짜장면 배달도 되고 가족면회가 가능한 곳.[1] 이외에도 면회구역이 하나 더 생겼다고 한다.

사단장의 영향으로 2012년 후반부터 2015년 후반기까지는 전 대대가 동기생활관이었다가 2016년부터 전 대대가 분대 생활관으로, 2016년 2분기부터는 1대대를 빼고는 다시 동기 생활관으로 회귀 중이다. [2]

2020년 말부터 80여단의 GOP대대는 전 부대 분대별 생활관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2020년 12월부로 해당 연대의 부대 명칭이 여단으로 변경•적용될 예정이다. 사단이 타 부대에 합쳐짐으로써,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리는 차후 상황에 맞게 개편되는 것으로 보인다.

81여단과 함께 사단 안에서 GOP를 투입하는 여단이다.

여단장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옛 부대 비표색은 하얀색.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의 개편되어 여단으로 부대 규모가 격상됐다.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 직할대[편집]


본부중대, 수색중대, 의무중대, 전투지원중대,수송대 및 기타 직할중대로 구성돼있다. 사단 내에서도 손에 꼽을정도로 시설이 매우 뛰어나며 타 연대에비해 상대적으로 선진병영화 돼있다.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편집]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3.3. 제1대대 흑룡(GOP)[편집]




3.4. 제2대대 청룡[편집]


2002년 11월 KCTC 대대단위 훈련에서 2대대 6중대가 전군 최초로 대항군에 승리를 하였다. 지행역 등에서 "삼화리 부대로 가주세요" 하면 갈 수 있다. 외출은 전곡이나 지행으로 나가는 편이다. 노래방, 사지방, 도서관, 풋살장 등 시설이 나쁘지 않은 편이다. 부대 근처에 임진강이 흐르는데 뷰가 끝내준다.


3.5. 제3대대 백룡[편집]


지행역, 동두천역, 소요산역에서 택시 아저씨에게 동이리 부대로 가달라고 하면 갈 수 있다.

자가용으로 면회를 갈 경우 동이리 마을회관을 검색하고 가면 부대 근처로 갈 수 있다.


3.6. GOP[편집]


경기 북부 지역에서 요충지 중 하나인 필승교[3]를 전담하고 있어서 운이 없으면 별 10개를 보게 된다. 지상작전사령관, 6군단장, 28사단장, 28사단 부사단장(단, 부사단장이 준장(진)일 경우 별 9개가 된다) 정말 운이 없는 경우에는 육군참모총장이 군사령관과 인근 군단장들까지 줄줄이 거느리고 놀러오기도 한다.

2002년에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김판규 대장이 태풍전망대에 별들을 휘몰고 마실을 나온 적이 있었고, 2003년에는 신막사를 최초로 지었다고 노무현 대통령이 구경하러 온 적도 있다. 높으신 분이 온다는 연락이 나오면 대걸레로 다리를 닦는 위엄을 보여준다. 노무현 대통령은 당시 신막사를 방문하지 않았고 28사단 전차대대를 방문했다.

이후 2015년 12월 24일경 박근혜 대통령이 태풍전망대에 방문하였다.

가끔 북한에서 시체가 떠내려오기도 하는데, 발견시 4박5일의 포상휴가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2001년경 처음으로 시체가 떠내려와서 그 당시 최초 보고자(2대대 6중대 소속)는 14박 15일 휴가를 갔지만 그 이후 매년 떠내려 오고 2003년경 시체를 발견하지 못하는 사건 이후(그 당시 마포교 근처에서 투망에 시체가 걸려서 2대대 6중대 기동타격대가 시체를 건졌다.) 2004년에는 휴가를 못 받았다(최초 발견자는 6중대 소속의 갓 전입 온 신병이었다. 2004년에는 시체가 2구나 떠내려왔다)).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80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이정근예) 중장육사 41기육군군수사령관
00대전성대소장육사 47기육군사관학교
00대박후성소장육사 48기제11기계화보병사단
00대박민영준장학군 31기[4]여단장
00대이일용대령육사 00기여단장
00대차경환대령육사 52기여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중령시절 80연대 1대대장과 사단작전참모를 지냈다.


4.3. 병[편집]


2010년 프로게이머계에서 영구 제명되고 군 입대, 80연대 전투지원중대에서 복무 후 만기 전역.
수송대에서 복무 중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1대대같은 경우 gop를 전담한다. 1중대에서 3중대로 갈수록 지형이 험해져서 3중대는 꽤나 험한 지형을 자랑한다. 특히 천국의 계단이라는 지형이 있을 정도.

5.2. 여단가[편집]




6. 사건 사고[편집]




7. 여담[편집]


  • 과거 80연대장이 아침에 기차역으로 뛰어가는 82연대 소속 이등병을 안쓰러워서 1호차에 휴가 가는 줄 알고 태워줬더니 탈영병이었다는 게 함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5 15:22:11에 나무위키 제80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6:14:31에 나무위키 제80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풍전망대에 면회실이 새로 생겼다. 여기 대중교통으로 절대 못간다. 차 있으면 가는데 전곡에서도 버스가 하루에 몇번 안다녀서 못간다.[2] 과도기 과정 중에 일부 부대는 분대 생활관제이기도 하는 등 매우 혼재되었었다.[3] 북한과 남한을 연결하는 임진강 상류지역 유일한 다리. 필승교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고, 황강댐이 무단방류 할시 제일 먼저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곳.[4] 조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