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1보병여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화랑)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화랑부대 문서
화랑부대번 문단을
화랑부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한미연합사단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17사단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1사단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7사단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12사단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3사단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수도사단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31사단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사단예하 여단
수방사52사단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60사단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제111보병여단
第111步兵旅團
The 111th Infantry Brigade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창설일0000년 00월 00일(제111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111보병여단)
상징명칭화랑부대
소속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37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충청북도 동남권 방위
여단장파일:대령 계급장.svg 대령 ㅇ(ㅁㅇ 00기)
위치충청북도 옥천군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3.3. 제1대대 옥천
3.4. 제2대대 영동
3.5. 제3대대 보은
4. 출신 인물
4.2. 장교/부사관
5. 근무환경
6. 관련 인물
7. 여단가
8. 사건 사고
9.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37보병사단 예하 제111보병여단. 별칭은 화랑부대.

2. 상세[편집]


여단장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예하에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담당으로 총 3개 대대가 존재한다.

원래 명칭은 제111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11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11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추풍령, 조령, 죽령과 함께 경부고속도로, 경부선 철도 등 중부지방 주요 지리 거점을 담당한다.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직할대[편집]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편집]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3.3. 제1대대 옥천[편집]



3.4. 제2대대 영동[편집]


양강 쪽에 있다.

3.5. 제3대대 보은[편집]



4. 출신 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111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곽합예) 준장육사 42기국군체육부대장
00대김동수소장육사 48기제2작전사령부 참모장
00대이윤희대령연대장
01대류수남대령육사 00기여단장
02대김진우대령육사 00기여단장
03대김성윤대령 00기여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5. 근무환경[편집]


옥천읍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휴가와 외출 등이 편리하고, 경부선 옥천역을 이용할 수 있다.

얕은 산과 함께 금강 상류 대청호로 흐르는 서화천에 인접하여 환경이 아름답다.

6. 관련 인물[편집]


* 김용호 목사 (화랑교회): 민간인 목사로서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약 16년 간, 군종목사가 없던 화랑군인교회를 담당했다.
- 충복 옥천에 위치한 제111연대는 부대 내 작은 교회를 가지고 있었으나 군종목사가 파견되지 않은 교회였다. 당시 30대 후반이던 김목사는 전임 민간인 목사의 공석으로 제대로 종교활동을 하지 못하던 장병들의 사정을 접하고 이곳에 부임했다.
- 김목사는 민간인 신분이었으므로 당연히 공식적인 급여나 재정 지원은 없었으며, 부대에서는 군종병 1명을 배치하는 등 운영을 간접 지원했다. 그 외 민간 교회 등의 후원을 받아 교회 운영에 충당했다.
- 부대에는 예하 1개 대대가 함께 주둔하여 적지 않은 인원들이 근무 중이었으며, 일요일 예배에는 50~70명 정도의 인원이 참석했다.
- 일요일과 수요일 정기 예배 외에도 성탄절 행사와 민간 교회 초청 위문 행사 등 특별 행사도 종종 진행했다. 이런 특별 행사 시에는 삼겹살 파티와 간식 지급 등을 병행하여 장병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 종교활동 외에도 예하 격오지 부대에 대한 위문과 훈련시 간식 지급 등의 지원 활동을 진행했고, 밴드와 성가대 등 부대 동아리 활동도 지원했다.
- 이런 활동을 통해 장병들의 사기 진작과 정서 안정에 기여하였기에 지휘관 등 장교들에게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01년, 당시 협소하고 열악했던 교회 건물을 개선하기 위해 부대에서 제공한 부지 위에 민간 교회 등의 건축비 후원을 유치하여, 1년 간의 공사 끝에 2002년 5월 6일에 헌당했다.
- 김용호 목사는 16년 간의 화랑교회 목회를 마치고 2014년부터 전라북도의 작은 시골교회에서 목회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아내, 아들, 딸과 함께 민간인 2명이 반주자, 지휘자 역할로 화랑교회 목회를 도왔다.)
-> 그를 기억하는 많은 전역자들을 위해 아는대로 정리해 본다.

7. 여단가[편집]



8. 사건 사고[편집]



9. 여담[편집]


  • 연대 직할대 행보관 등으로 90년대 후반에도 근무 중이던 이방현 당시 상사가 2018년에도 주임원사로 근무 중이라고 한다. 터프한 외모와 성격 덕분에 111연대에 근무했던 장병들에게는 인상적인 기억으로 남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1 09:31:39에 나무위키 제111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43:44에 나무위키 제111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