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보병여단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표범)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표범부대 문서
표범부대번 문단을
표범부대# 부분을
, 다른 27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27여단 문서
제27여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27여단#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한미연합사단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17사단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1사단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7사단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12사단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3사단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수도사단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31사단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사단예하 여단
수방사52사단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60사단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파일:투명.png
제5보병사단 예하부대
제27보병여단제35보병여단제36보병여단
포병여단
[ 사단 직할대 ]

본부근무대수색대대공병대대정비대대보급수송대대
전차대대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의무근무대화생방지원대방공중대보충중대

※ 사단 신병교육대는 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 참고.


제27보병여단
第27步兵旅團
The 27th Infantry Brigade
파일:27rgt.jpg
창설일0000년 00월 00일(제27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27보병여단)
상징명칭표범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5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연천군 지역 일대를 수색 및 경계
여단장대령 임성일(육사 56기)
위치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1. 개요
2. 상세
3. 편제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3.3. 제1대대 진격
3.4. 제2대대 철권
3.5. 제3대대 통일(GOP)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영상
5.3. 여단가
6. 사건 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제5보병사단 예하 제27보병여단. 별칭은 표범부대.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편집]


국방개혁 2.0 2020년 12월 1일부로 연대에서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3. 편제[편집]



3.1. 여단 직할대[편집]


  • 본부중대 -
  • 수색중대(GP) -
  • 통신중대 -
  • 의무중대 -
  • 포병대(舊 전투지원중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전투지원중대에서 포병대로 개편.[1]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편집]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2]


3.3. 제1대대 진격[편집]




3.4. 제2대대 철권[편집]




3.5. 제3대대 통일(GOP)[편집]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27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연대장
00대이정기예) 중장육사 41기육군항공작전사령관
00대황정로예) 대령육사 44기연대장
00대이규철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권영호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이윤효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지창훈대령육사 00기여단장
00대김주현대령육사 00기여단장
00대임성일대령육사 56기여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5사단 GOP를 지키는 여단으로서, 사단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여단에 속한 대대가 신탄리 일대와 강원도 철원군 서북부 대마리를 지키고 있다. 당연히 경기도 최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사단 내 그 어떤 지역보다도 가장 춥고 가장 더운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여단 본부는 대광리에 있으며 경원선 대광리역에서 여단본부까지 대단히 가깝다, 2014년부터 대광리역에 통근열차가 정차할때 까지는 여단본부에서 근무하는 장병들을 대광리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이 여단이 위치한 지역에 3번 국도가 지나가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경기도에서는 일반인이 등산할 수 있는 최북단 산으로 유명한 고대산(832m)이 있다.

6.25때의 유명한 격전지 중의 하나였던 백마고지를 바라볼 수 있는 백마고지 전적지를 관리하는 여단이기도 하다. 전적지를 방문했을 때, 가끔 27여단 소속의 장병의 친절한 안내를 받을 수도 있다.

5.2. 부대영상[편집]




5.3. 여단가[편집]




6. 사건 사고[편집]


  • 2014년 12월 23일 2대대 군의관이었던 조주용 대위가 진료중 심정지로 순직하였다.
  • 군부대에 알약 형식의 마약을 가지고 들어왔다

7. 여담[편집]


  • 제27보병여단 관할인 화살머리 고지와 백마고지에서 유해발굴작전이 진행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5:42에 나무위키 제27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5월 현재 아직 전투지원중대로 남아있다[2] 2022년 10월 현재 아직 수송대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