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2보병여단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청룡)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청룡부대 문서
청룡부대번 문단을
청룡부대# 부분을
, 과거 상징명칭(흑룡)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흑룡부대 문서
흑룡부대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흑룡부대# 부분을
# 부분을
, 다른 72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72여단 문서
제72여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72여단#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한미연합사단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17사단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1사단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7사단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12사단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3사단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수도사단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31사단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사단예하 여단
수방사52사단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60사단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제72보병여단
第72步兵旅團
The 72nd Infantry Brigade
파일:제2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창설일2020년 12월 1일(제72보병여단)
상징명칭청룡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25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GOP 및 GP 경계
여단장대령 김기하(육사 55기)
위치경기도 양주시


1. 개요
2. 연혁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3.3. 제1대대 용바위
3.4. 제2대대 비룡(GOP)
3.5. 제3대대 파평산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제1군단 제25보병사단 예하 제72보병여단. 별칭은 청룡부대.


2. 연혁[편집]


여단장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경기도 파주시연천군 일대를 담당한다.

원래 명칭은 제72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72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72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김신조 사건이 이 지역에 있었다.[1] 철책 최좌측 파평면에는 제1보병사단과의 사단 협조점이 있다. 해룡 연대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여 그 점은 좋지만 대신 임진강 변에 있어 강바람 때문에 겨울 체감온도가 매우 낮다. 경순왕릉이 이 연대 민통선 이북에 있다.

여단본부가 전차대대와 인접해있으며 부지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직할대[편집]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편집]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3.3. 제1대대 용바위[편집]


  • 본부중대

과거 정비대 부지를 흡수하여 1개 대대 안에 연병장이 3개씩이나 대대치곤 매우 넓은 부대다. 그만큼 정문에서 막사까지 가는길이 매우 멀다.


3.4. 제2대대 비룡(GOP)[편집]


  • 본부중대
2022년 12월부터 기존의 승전대대에서 비룡대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5. 제3대대 파평산[편집]


2015년에 진짜 사나이 시즌2를 이 대대에서 촬영했다.

  • 본부중대

1대대와는 다르게 막사랑 위병소까지의 거리가 매우가깝다. 그리고 부대내부 시설이 낡고 열악한편..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72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김성일예) 중장육사 42기제6군단장
00대정학승준장육사 50기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00대최창수소장육사 51기제1보병사단
00대000대령육사 00기여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훈련소 수료 후 72연대본부나 각 대대로 전입가기 전에 무조건 거쳐가며 자대로 퍼지기 전에 점심식사를 가지게 된다.

신식이라 식당 등 시설들이 비교적 깔끔하며 싸지방과 PX 등과같은 군 복지시설들이 건물 안에 위치한다. 연대 내에 모든 중대 생활관이 침대형 동기생활관으로 구성되어있다. 구보 코스로는 2가지가 있는데 연대 주위를 돌 경우 경사가 취사장으로 통하는 야트막한 진입로 빼고는 없는 편이라 수월하나 전차대대를 경유할 경우 헬게이트가 열린다.


자잘한 훈련으로는 영외 진지보초나 서다가 체력단련때나 돌아오는 대침투훈련이나 화스트 페이스 정도 밖에 없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6:13:22에 나무위키 제72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민통선 내부에 그 당시의 잘린 철책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