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직(조선)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 펼치기 · 접기 ]


이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 좌의정 ]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 우의정 ]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협찬개국공신 (2등)
박포유창윤호이민도
장담정용수조기조반
조영규조온홍길민조견
황희석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김균김로손흥종
심효생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근이백유이부이서
이직장지화함부림황거정
민여익임언충장사정조영무
한상경한충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명공신
[ 펼치기 · 접기 ]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진충좌명공신 (1등)
민무구1민무질1신극례이거이2이무3
이숙번4이애조영무하륜
익대좌명공신 (2등)
이래이천우이화
익대좌명공신 (3등)
김영렬류기마천목박석명
박은성석린윤곤윤저
이숙이지란조희민황거정5
익대좌명공신 (4등)
권근김승주김우김정경
류량문빈서유서익
송거신심구령연사종윤목
윤자당이승상이원6이응
이종무이직7조경조박8
조온한규홍서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4년 태종의 왕자들을 죽이고 상왕 정종을 섬기려 한 혐의로 제명
3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4 1416년 불충, 불경죄로 인한 제명
5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6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7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8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조선 영의정부사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문경공(文景公)
이직
李稷
출생1362년(공민왕 11)
사망1431년 9월 22일[1] (향년 68 ~ 69세)
(음력 세종 13년 8월 7일)
재임기간제19대 영의정부사
1424년 10월 8일[2] - 1426년 6월 27일[3]
(음력 세종 6년 9월 7일 - 세종 8년 5월 13일)
봉호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시호문경(文景)
본관성주 이씨
우정(虞庭)
형재(亨齋)
부모부친 - 이인민(李仁敏, 1330 ~ 1392)
부인양천 허씨 허시(許時)의 딸
자녀장남 - 이사후(李師厚)
차남 - 이사원(李師元)
3남 - 이사순(李師純)
장녀 - 신순궁주[4]
차녀 - 민무휼의 처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정승이다.


2. 생애[편집]


고려 말의 유명한 권문세족 출신으로 증조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이포(李褒)며 아버지는 이인민(李仁敏)이다. 그의 큰아버지는 공민왕 연간(1351 ~ 1374)의 명신이었던 이인복우왕 연간(1374 ~ 1388)의 권신이었던 이인임이다.[5] 하륜은 그의 사촌누나의 남편, 곧 종자형(從姉兄)이다. 8촌 형은 야은 길재 대신 3은으로 불리는 도은 이숭인이다. 그의 장녀는 태종의 후궁인 신순궁주(愼順宮主) 이씨이고 다른 딸은 태종의 처남인 민무휼에게 시집갔다.[6]

1377년(우왕 3) 16세에 문과에 급제했다.

1388년 무진피화 당시 권신 이인임의 조카였던 탓에 전주로 유배된 적이 있다.[7]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과 태조 추대에 참여해 개국공신 3등이 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이인임이 이성계에 의해 축출당했으니 한 집안에서 전혀 다른 길을 걸었다.[8]

1398년(태조 7)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정도전, 남은, 심효생, 장지화(張至和) 등과 함께 모임을 가지고 있다가 정안군 이방원이 이끄는 정변군의 습격을 받았다. 정도전, 심효생, 장지화 등은 그 자리에서 살해되었고 남은은 도망치는데 성공했지만 다시 되돌아와 죽었다. 이때 이직은 급히 하인의 복색으로 갈아입고 도주해 목숨을 건졌고 이후 정안군에게 용서받아 다시 관직 생활을 할 수 있었다.

1415년(태종 15) 태종 때 황희와 함께 충녕대군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다 성주에 안치되었고 민무휼의 장인이었기 때문에 민무휼과 민무회(閔無悔) 옥사에도 연루되어 대간들의 탄핵을 받아 직첩이 회수되었다. 또한 황희와 함께 양녕대군 폐위에 반발했던 것이 화근이 되어 유배되었고, 또한 심온의 옥사에도 연루될 뻔했다.[9] 이후 귀양지에서 책만 읽으며 조용히 지내다 1422년(세종 4) 풀려나 1424년(세종 6) 영의정이 되었으며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로 다녀오기도 하면서 1426년(세종 8) 좌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사직한 뒤 1431년(세종 13)에 죽었다.

다음과 같은 시조가 유명하다. 조선 건국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까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 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3. 대중매체[편집]


용의 눈물〉에서는 이직의 이름이 정안군이 만든 살생부에 올라 있어서 1차 왕자의 난 때 궁문을 들어서다 정안군이 매복시킨 장사들이 휘두르는 철퇴에 맞아 사망하자 정안군이 그의 죽음을 확인하고 그의 이름에 사선을 그었다. 그런데 제작진이 이게 뒤늦게 역사왜곡임을 알고 이직을 되살렸고 배우도 이우석으로 바꾸었다. 다행히 인물의 인지도가 높지 않았고 사망하는 장면 외에는 출연이 없었기에 큰 어색함 없이 극에 녹아 들었다. 등장인물이 죽었다 살아난 한국 사극 역사상 초유의 해프닝이었다. 이후에는 그냥 그럭저럭 등장하는 조정 관료 정도의 역할로 나온다. 태종 이방원의 명을 받아서 함흥차사로 태조 이성계를 환궁시키려고 했지만 실패하기도 했다. 정승까지 올랐지만 실제 역사대로 사위인 민무휼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위가 국문을 받는 현장에서 민무휼을 소극적으로 변호해주려다 일을 키운 장본인인 대사헌(大司憲) 유정현에게 죄인의 장인되는 사람은 말하지 말라는 폭언을 듣고 태종에게 삭탈관직되어 귀양길에 올랐다. 이후 세종 즉위 후 관직을 돌려받고 한양으로 돌아와 영의정이 되었다고 나레이션으로 나온다.[10]

조영무가 태종의 궁녀를 취해버린 사건에 간접적으로 한 건했다. 오랜만에 조정이 좀 조용해진 와중에 하륜, 이직, 조영무 삼정승이 기방에 들러서 술 한잔 하는데 조영무가 나이먹고 너무 무료하다고 하자 같이 술을 마시던 우의정 이직이 "그럼 첩을 한명 들여보는건 어떠시오?"라고 첩장가를 제안한 것. 문제는 그 제안을 수락한 조영무가 고른 사람이 하필 모종의 이유로 궁밖에 잠시 나와 있던 태종의 궁녀였던것. 결국 조영무는 태종이 비상 소집 훈련 후에 삼정승들과 모여 얘기 하던 중 태종에게 불호령을 들어야했다.[11]

[1] 율리우스력 9월 13일.[2] 율리우스력 9월 29일.[3] 율리우스력 6월 18일.[4] 태종의 후궁.[5] 이인복은 생전 두 동생인 이인임과 이직의 아버지인 이인민을 향해 나라와 집안을 거덜낼 놈들이라고 디스한 적이 있다.[6] 그리고 민무휼은 심온과도 사돈을 맺었는데 따라서 심온과도 인척으로 연결된다.[7] 아버지 이인민 역시 이 때 계림(현 경상북도 경주시)으로 유배를 갔다.[8] 이직의 8촌 형인 도은 이숭인도 조선건국에 반대해 결국 숙청되었다.[9] 심온과 민무휼은 사돈 간이고, 이직은 민무휼의 장인이므로 심온과 이직은 서로 민무휼을 통해서 인척으로 엮어져 있었다.[10] 10여년 후에 방영된 대왕 세종에서는 이직의 사위 민무휼의 동생인 민무회 역으로 나온다. 시대 역행[11] 극중에는 조영무가 '그냥 배째십시오'라며 뻗대자 이방원이 웃으며 넘어가줬다면 사료에서는 이방원이 처음부터 승정원 관리까지 보내서 처벌안할거라고 전하며 그냥 넘어가줌에도 조영무가 눈치를 보며 빌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