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수신

덤프버전 : (♥ 0)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 펼치기 · 접기 ]


황수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 좌의정 ]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 우의정 ]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익공신
[ 펼치기 · 접기 ]

1455년 9월 5일 세조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
권람신숙주윤사로이곤
한명회1한확이증2
수충경절좌익공신 (2등)
강맹경권반양정3윤암
이계린이계전이사철전균
정인지1정창손1, 4최항홍달손
윤형5
추충좌익공신 (3등)
구치관권공권자신6, 7박강
박원형성삼문6, 8원효연윤사윤
윤자운이극감9이극배이예장
이징석이휘6정수충조득림
조석문조효문최유한계미
한종손황수신황효원홍윤성10
김질11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58년 6월 29일 세조에 의해 책록
3 1466년 연회에서 세조에게 양위를 종용한 혐의로 인한 제명
4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3등에서 2등으로 책록
5 1455년 10월 22일 세조에 의해 책록
6 1456년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한 제명
7 1699년 숙종 때 복권
8 1691년 숙종 때 복권
9 1504년 아들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0 1455년 11월 12일 세조에 의해 책록
11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책록




조선 영의정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 열성공(烈成公)
황수신
黃守身
출생1407년(태종 7)
사망1467년 7월 1일[1] (향년 59 ~60세)
(음력 세조 13년 5월 21일)
재임기간제31대 영의정
1467년 5월 18일[2] - 6월 30일[3]
(음력 세조 13년 4월 6일 - 5월 20일)
봉호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4]
시호열성(烈成)
본관장수 황씨
계효(季孝)
나부(懦夫)
부모부친 - 황희
모친 - 청주 양씨(淸州楊氏) 양진(楊震)의 딸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조선 초기의 관료.


2. 생애[편집]


1407년 영의정부사 황희청주 양씨 양진(楊震)의 딸 사이의 4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음서로 벼슬에 나갔고 그 후 과거 시험을 보러갔다가 시험관이 황수신의 학문이 부진하다고 비난했다고 한다. 조선에서 음서로 영의정이 된 마지막 인물. 1446년에 도승지까지 올랐다가 인사비리를 저질러 파직당하였다. 이후 병조참판이 되어 수양대군 및 집현전 신료와 함께 병법서를 편찬하는데 역할을 한다. 의정부 우참찬, 좌참찬, 우의정을 거쳐 1467년(세조 13) 영의정이 되었고 그 해에 죽었다.

세조실록의 졸기에서는 그야말로 가열차게 까이는데 성이 황이니 마음도 황이라는 평가는 거의 인신공격 수준. 사실 비리가 많았던 인물이기 때문이기도 한데, 아산에 땅을 사면서 관아의 땅을 자기 마음대로 빼돌렸고, 아산현이 행정구역 조정으로 사라지는 것을 알고 관아를 아예 초가집이라고 장부 사기를 쳐서 해먹고 나서 그대로 팔아먹으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게다가 이 사실이 2년 뒤 관노비가 사헌부에 고발을 했는데도 세조가 뭉개버리는 바람에 관노비만 잡혀가게 된다. 사헌부는 시간만 되면 이를 들추어 비난했지만 세조는 계속 이를 무마한다. 뇌물도 어마어마하게 받아서 금품뿐만 아니라 땅, 노비 등 받을 수 있는 건 다 받아먹고 사헌부와 사간원에 끝까지 까였는데도 결국 죽을 때까지 제대로 된 처벌을 받지 않고 생을 마감했다.


3. 기타[편집]


  • 야사엔 당시 장안의 유명한 점쟁이인 홍계관이란 인물이 자신의 미래를 점쳐보니 아무리 점을 쳐봐도 '쥐'때문에 개죽음을 당할 운명인지라, 살아남을 방도를 찾던 중 우연히 황희 정승의 아들 삼형제의 사주를 봐주게 되었다. 장남과 차남은 별 볼일이 없었지만, 막내인 황수신이 훗날 정승반열에 오른다는 점괘를 본 홍계관은 황수신에게 자신을 살려달라 부탁했고, 황수신은 못미더웠지만 일단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은 했다. 세월이 흘러 세조대에 이르러 홍계관의 점이 용하다는 소문이 대궐까지 알려져 세조가 홍계관을 불러 상자를 하나 내밀며 이 상자 안에 무엇이 들어있느냐고 질문하자 홍계관은 '쥐 세 마리'가 들어있다고 대답했지만 상자를 열어보니 쥐는 한 마리만 들어 있었다. 이를 본 세조는 홍계관을 혹세무민하는 자라 하여 끌어내 죽이라 명령하고, 홍계관을 심문하기 위해 한 관리가 들어오는데 그가 바로 형조판서가 된 황수신이었다. 황수신과 홍계관은 서로 알아보고, 홍계관은 그 문제의 쥐를 다시 한번 조사해달라 부탁한다. 이에 황수신이 세조의 허락을 얻어 그 쥐를 살펴보니 유난히 통통했길래 배를 갈랐더니 새끼 쥐 두 마리가 나왔다. 홍계관의 점술에 놀란 세조는 즉시 홍계관을 풀어주었고 그렇게 홍계관은 목숨을 건졌다고..[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59:03에 나무위키 황수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6월 22일.[2] 율리우스력 5월 9일.[3] 율리우스력 6월 21일.[4] 1466년(세조 12) 관제 개정으로 부원군 칭호가 사라진 사이에 죽었다. 묘비명1469년(예종 1)에 쓰여졌기 때문에 도로 부원군으로 되어있다.[5] 사실 이 이야기는 아차 고개의 유래가 된 홍계관 이야기에 황수신을 끼워넣은 이야기로 아차산엔 여러가지 바리에이션의 전설들이 전해지고 있다. 세조대가 아니라 연산군, 혹은 명종 시대라고도 하고, 홍계관을 죽이지 말라는 왕의 명령을 형리가 반대로 알아들어 홍계관을 참수하는 바람에 이곳의 지명이 아차고개가 되었단 얘기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