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회

덤프버전 : r (♥ 0)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조선 영의정
태종 ~ 성종
[ 펼치기 · 접기 ]



심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태조 ~ 성종
[ 좌의정 ]

태조조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정종조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태종조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유정현
제16대
박은


세종조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유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문종조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단종조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세조조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예종조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 우의정 ]

태조조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정종조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태종조
문하우정승문하우정승 → 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세종조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문종조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단종조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세조조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예종조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익대공신
[ 펼치기 · 접기 ]

1468년 10월 28일 예종에 의해 책록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 (1등)
신숙주신 운류자광1한계순
한명회2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 (2등)
박원형박지번심 회2이극증
이 복이 부이 서이 준3
이 침정현조
추충정난익대공신 (3등)
강 곤권 감권 찬김효강
노사신류 한박중선서경생
신승선안중경어세겸윤계겸
이존명정인지2정창손2정효상
조득림조석문조익정한계희
한백륜홍 응
1 1478년 성종 때 제명 및 복권, 1507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533년 익대공신에 한해 복권
2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3 1470년 모반 혐의로 인한 제명, 1687년 숙종 때 복권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 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 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 질송문림심 회윤사흔
이 정이 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 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 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 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 수류 지
박거겸선 형신 정2신 준
심 한어유소오백창우 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 현
이 훈정난종정숭조한 보
한 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 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조선 영의정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공숙공(恭肅公)
심회
沈澮
출생1418년(태종 18)
사망1493년(성종 24)
봉호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시호공숙(恭肅)
본관청송 심씨
청보(淸甫)
부모부친 - 청천부원군 심온(沈溫, 1375 ~ 1419)
모친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 ? ~ 1444)
부인정경부인 원주 김씨(貞敬夫人 原州 金氏)
자녀장남 - 심인(沈麟)
차남 - 심한(沈瀚)
3남 - 심원(沈湲)

1. 개요



1. 개요[편집]


조선의 문신이다. 영의정 심온의 아들로 소헌왕후의 남동생이다. 세종의 처남이며 문종, 세조에게는 외숙부가 된다. 영중추부사 심결(沈決)의 형이다. 고려조 수상인 문하시중과 조선 정종조 수상인 문하좌정승을 지낸 청성백 심덕부의 손자이고, 조선 세종조 영의정을 지내다 태종에게 숙청당한 세종의 장인 청천부원군 심온의 아들로, 심회 역시 조선 세조조 수상인 영의정을 지내어 3대가 연속으로 수상을 지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0 07:01:45에 나무위키 심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