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성IC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3년 7월까지 음성IC였던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에 대한 내용은 대소IC 문서
대소IC번 문단을
대소IC#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음성 나들목
陰城 나들목
Eumseong Interchange
음성 요금소
Eumseong Tollgate
평택 방면
금왕꽃동네IC
← 7.3 km
파일:Expressway_kor_40.svg제천 방면
서충주IC
5.4 km →
금왕휴게소(양방향)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관리기관
평택제천선한국도로공사 충북본부 엄정지사
개통
2013년 8월 12일
접속도로
37

(생음대로)

1. 개요
2. 구조
2.1. 제천 방향(상행선)
2.2. 평택 방향(하행선)
3. 역사
4. 기타
5.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평택제천고속도로 10번.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있는 평택제천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음성군에서 유래했다.
이 나들목을 통해 음성읍, 금왕읍, 더 나아가 괴산군 괴산읍 지역을 이용할 수 있지만, 나들목 자체는 금왕읍내 쪽으로 치우쳐 있다.

원래 중부고속도로에 음성군내에 유일한 나들목인 음성IC가 존재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이 나들목은 '북음성IC'로 개통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 나들목이 기존 음성IC에 비해 음성읍내에 훨씬 가까운 관계로 개통을 앞두고 기존의 음성IC는 소재지의 지명을 따라 대소IC로 개칭, 이 나들목이 음성IC 명칭을 가져왔다.


2. 구조[편집]



2.1. 제천 방향(상행선)[편집]


  • 진출 가능: 생음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생음대로 양방향


2.2. 평택 방향(하행선)[편집]


  • 진출 가능: 생음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생음대로 양방향


3. 역사[편집]


  • 2013년 8월 12일: 평택제천고속도로 대소 분기점 - 충주 분기점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4. 기타[편집]


  • 경기 남부 수도권[1]에서 경북 남부[2] 또는 영남 지방을 왕래할 때[3] 충주JC를 이용하는 것보다 이 나들목 진출 후 37번 국도34번 국도를 이용하여 연풍IC까지 내려간 후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이동 거리가 15km 정도 단축된다. 그래서 내비게이션에서도 평택제천고속도로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이렇게 안내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 때문에 고질적인 상습 정체 구간으로 악명 높은 충주 분기점 - 연풍 나들목 구간의 우회 도로로 많이 이용한다. 이 구간은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달리, 평상시에는 교통량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결코 과장이 아니다. 37번 국도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다. 통행료 절감은 덤.

5. 둘러보기 틀[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0:53:16에 나무위키 음성I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평택시, 안성시, 오산시[2] 경주시, 포항시, 영천시[3] 서부 경남, 36번 국도 연선은 제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