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은평구청

덤프버전 :

||


파일:은평구 CI_White.svg
은평구청
恩平區廳 | Eunpyeong-gu Office
파일:은평구청 전경.jpg
주소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 195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관할 구역서울특별시 은평구
직원 수1,423명
예산1조 870억 원 (2023년)
구청장김미경 (재선)[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부구청장신종우
상급 기관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역대 구청장
3. 조직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공무원 폭언 사건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 집행기관이 입주한 곳. 청사는 녹번동에 위치해 있으며, 은평구통합청사 형태로 은평구보건소, 은평구의회, 녹번동주민센터와 같은 부지에 위치해 있다.


2. 역사[편집]


1980년에 준공한 청사를 2009년에 리모델링했다. 2000년대 말에 전국적으로 지자체들의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 건설 광풍이 불었기 때문에[2] 2010년에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어 신청사들이 유리궁전, 호화청사라고 비판받았지만 중구와 은평구는 신청사 신축 대신 기존 청사의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2.1. 역대 구청장[편집]


선출 구분성명재임 기간당적
관선초대안기호1979년 10월 1일 ~ 1980년 7월 27일
(10개월)
관선
2대이문재1980년 7월 28일 ~ 1980년 11월 26일
(4개월)
3대이충우1980년 7월 28일 ~ 1981년 11월 8일
(11개월)
4대허재구1981년 11월 9일 ~ 1982년 12월 6일
(1년 1개월)
5대김영중1982년 12월 7일 ~ 1985년 3월 13일
(2년 4개월)
6대이영화1985년 3월 14일 ~ 1988년 3월 14일
(3년)
7대김완종1988년 3월 15일 ~ 1989년 11월 7일
(1년 9개월)
8대김치운1989년 11월 8일 ~ 1992년 4월 27일
(2년 6개월)
9대김명주1992년 4월 28일 ~ 1993년 3월 18일
(11개월)
10대류동주1993년 3월 19일 ~ 1995년 3월 19일
(2년)
11대김병석1995년 3월 20일 ~ 1995년 5월 3일
(2개월)
12대권오록1995년 5월 4일 ~ 1995년 6월 30일
(2개월)
민선1기 (13대)이배영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3년)


2기 (14대)1998년 7월 1일 ~ 2001년 2월 13일
(2년 7개월)

ta-hash-start=w-b2c64b9cd7b8b13faed863a9bd795e89[[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2기 (15대)노재동2001년 4월 27일 ~ 2002년 6월 30일
(1년 2개월)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기 (16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4년)
4기 (17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4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기 (18대)김우영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4년)

ta-hash-start=w-774176a4558aa45697ee5c42b47a92b2[[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6기 (19대)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4년)

ta-hash-start=w-95b8813b26d8cc41bafa5f5b1f5958f8[[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7기 (20대)김미경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4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기 (21대)2022년 7월 1일 ~ 현재


3. 조직[편집]


각 국장은 4급(서기관), 과장은 5급(사무관)이다.
2020년 하반기 기준 6국 1소 1사무국 3담당관 34과 1지소 16동 체제로 운영 중이다.













4.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4.1. 공무원 폭언 사건[편집]





2021년 8월, 은평구로 이사를 계획하던 A씨가 불광1동 주민센터에 키르기스스탄 국적을 가진 아내[3]의 이전 등록 절차를 문의하다가 전화가 끊어진 줄 안 공무원이 민원인인 A씨에게 다문화 가정에 대한 혐오 정서를 드러내는 폭언을 한 사건이다.

이후 해당 공무원이 사과하기 위하여 A씨를 찾아왔으나 그 자리에서도 제대로 된 사과는 커녕 다문화 가정과 국제결혼에 대한 편견을 그대로 드러내 더 논란이 되고 있다.

결국 A씨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고, 해당 구청은 취재가 시작되자 그제서야 진상 파악에 나섰다.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5.1. 버스[편집]



간선
지선, 맞춤
광역
마을


5.2. 도시철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9:05:38에 나무위키 은평구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민선 7·8[2] 서울에서만 관악구, 금천구, 마포구, 성북구, 용산구가 이 시기에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를 신축했다.[3] JTBC의 취재 결과 A씨의 아내는 키르기스스탄 부총리와 사촌 관계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