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압해초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압해초등학교
押海初等學校
Ap-hae Elementary School
개교1930년 06월 16일 압해공립보통학교
유형단설 초등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최정아
교훈고운 마음, 알찬 실력
교화동백꽃
교목소나무
학생 수62명[기준]
교직원 수16명[기준]
관할 교육청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
주소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복룡로 33-8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육목표
3.6. 교가
4. 학교 시설
5. 학교 생활
5.1. 학교 일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7. 기타



1. 개요[편집]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


2. 학교 연혁[편집]


1930년05월 05일 압해공립보통학교 설립인가
06월 16일 압해공립보통학교 개교
1981년03월 05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2년03월 01일 압해북분교장 편입, 매화분교장 편입
1993년09월 01일 고이분교장, 마산분교장 편입
1996년03월 01일 압해초등학교로 개칭
1999년09월 01일 쌍룡분교장 편입
2006년03월 01일 마산분교장 폐교
2010년02월 28일 쌍룡분교장 폐교
10월 05일 매화분교장 폐교
2014년01월 30일 압해초등학교 총동문회 창립
12월 31일 제15회 전국 100대 교육과정우수학교 선정
2015년01월 15일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인증패 수상
2019년03월 01일 압해초등학교 고이분교장 폐교
2022년09월 01일 제36대 최정아 교장 부임
2023년01월 06일 제90회 졸업식(졸업생:10명, 총 6,073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표[편집]


교명 『압해』를 받치는 세 개의 잎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교육을 뜻한다.


3.2. 교화[편집]


동백꽃을 교화로 삼고 있다.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이다. 우리나라 울릉도와 남·서 해안 산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1] 압해초교 재학생의 「굳은 의지」를 가리킨다.


3.3. 교목[편집]


소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2] 압해초교 재학생의 「푸른 기상」을 뜻한다.


3.4. 교훈[편집]


고운 마음, 알찬 실력

압해초등학교 교훈[3]



3.5. 교육목표[편집]


교육 목표
      ① 스스로 배우고 경험하며 앎을 찾아가는 어린이
      ② 서로 배려하며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③ 문화예술을 즐기며 자연을 사랑하는 어린이

교육 중점 1
삶을 가꾸는 배움교육
공부하는 힘 갖기즐겁게 배우기미래 디자인하기
■ 기초 다지기
○ 나 존중하기
○ 공부 체력 기르기
■ 실력 키우기
○ 공부하는 힘 갖기
○ 공부하는 힘 키우기
■ 경험하며 배우기
○ 활동하며 배우기
○ 스마트러닝하기
■ 함께 배우기
○ 배움중심 협력학습
○ 프로젝트 학습하기
■ 나 알기
○ 나 이해하기
○ 나 계획하기
■ 꿈 찾기
○ 꿈 찾기 프로젝트
○ 꿈 펼치기

교육 중점 2
삶을 체험하는 공동체교육
존중하는 삶 실천하기함께하는 삶 실천하기배려의 삶 실천하기
■ 기본생활 습관 기르기
○ 상황에 맞게 인사하기
○ 실천 약속 지키기
■ 존중하는 마음 기르기
○ 고운말 사용하기
○ 눈맞춤 대화하기
■ 소통하기
○ 다모임하기
○ 한자리모임하기
■ 함께 어울리기
○ 동아리 활동하기
○ 어울림 활동하기
■ 나눔 실천하기
○ 기부 봉사하기
○ 나눔 봉사하기
■ 배려 실천하기
○ 친구 사랑하기
○ 생명 사랑하기

교육 중점 3
삶을 즐기는 감성교육
문화 감수성 갖기생태 감수성 갖기문학 감수성 갖기
■ 문화 즐기기
○ 공연문화 즐기기
○ 체험문화 즐기기
■ 문화 이어가기
○ 우리문화 찾기
○ 전통문화 잇기
■ 자연과 교감하기
○ 생태 놀이하기
○ 생태 탐방하기
■ 지구 지키기
○ 생태 발자국 줄이기
○ 플로깅 하기
■ 문학 다가가기
○ 책 읽어주기
○ 온 책 읽기
■ 문학 즐기기
○ 책 만들기
○ 문학과 만나기

특색 교육
참되고 행복한 삶을 위한 6년 잇기 활동
자기 보호 태권도
(1~2 학년)
○ 신체와 정신단련
○ 기본자세와 품새 익히기
○ 자기 방어기술 습득
○ 예절 교육 병행
○ 연간 16시간 운영
자기안전 수영
(3~4 학년)
○ 안전사고 시 대피방법 알기
○ 영법 익히기
○ 수영 예절 익히기
○ 생존수영 연계
○ 연간 16시간 운영
자기극복 등반, 클라이밍
(5~6 학년)
○ 도전 활동
○ 생태 프로젝트와 연계
○ 연간 16시간 운영


3.6. 교가[편집]


장엄하다 우리 학교 다도해 해변

우리의 오랜 역사 뒤를 이어서

참되고 바른 교훈 서로 받들어

우리는 자라는 압해 어린이

압해초등학교 교가, 작사·작곡 박추자[4]



4. 학교 시설[편집]


교수학습공간일반교실 8실
교과교실 2실
특별교실 3실
기타 1실
학습지원공간시청각실 1실
기타 3실
교원지원공간1실
관리행정공간8실
체육집회공간1실
보건위생공간보건실 1실
남자화장실 7실
여자화장실 7실
학생식당1실
기타공간6실


5. 학교 생활[편집]



5.1. 학교 일과[편집]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수업일수1학년191
2학년191
3학년191
4학년191
5학년191
6학년191
주당 수업시수186
수업교원수9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20.7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구분교과특기적성
프로그램 수11415
수강학생 수10145155
참여학생 수58

2023학년도 초등돌봄교실,(단위:개,명),
구분오후돌봄저녁돌봄방과후 학교
연계형 돌봄
운영교실수100
참여학생수1700
초등돌봄참여학생중 특수교육대상학생수2
특수학교종일반학급수
참여학생수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6.1. 버스[편집]


중앙
(동서 방향)
(신안군립도서관 방향)
130삼학도차고지↔삼학도차고지
150해양대후문↔구.서산초충무분교
1004목포버스터미널↔분계해수욕장
2004목포버스터미널↔버스터미널입구
압해가룡중앙↔중앙
압해복룡중앙↔중앙
압해송공중앙↔중앙
압해장감중앙↔중앙
동서
(신안군농업기술센터 방향)
(중앙 방향)
130삼학도차고지↔삼학도차고지
150해양대후문↔구.서산초충무분교
1004목포버스터미널↔분계해수욕장
2004목포버스터미널↔버스터미널입구
압해송공중앙↔중앙

공영 버스(복룡리)
1회차동촌 (07:01 / 07:34)
2회차동촌 (08:01 / 08:34)
3회차동촌 (09:01 / 09:34)
4회차동촌 (10:01 / 10:34)
5회차동촌 (12:31 / 13:04)
6회차동촌 (14:31 / 15:04)
7회차동촌 (15:31 / 16:04)
8회차동촌 (16:31 / 17:04)
9회차동촌 (17:41 / 18:14)

공영 버스(가룡리)
횟수우체국동촌
1회차07:01 / 07:3907:02 / 07:38
2회차08:01 / 08:3908:02 / 08:38
3회차09:01 / 09:3909:02 / 09:38
4회차09:51 / 10:2909:52 / 10:28
5회차11:46 / 12:2511:47 / 12:24
6회차13:11 / 13:5013:12 / 13:49
7회차15:21 / 15:5915:22 / 15:58
8회차16:46 / 17:2516:47 / 17:24
9회차17:41 / 18:1917:42 / 18:18


7. 기타[편집]


  • 녹색을 학교를 상징하는 색으로 삼고 있다. 압해초교 재학생의 「온화함과 평온」을 뜻한다.

  • 2013년 '신안교육2013 시책 구현 압해지역 협의회'를 압해초교 승룡관에서 개최했다.[5]

  • 같은 해 4월 목포이랜드노인복지관과 자매결연을 맺었다.[6]

  • 같은 해 10월 전교생들을 대상으로 신안의 섬들을 돌아보는 '이웃 섬 나들이 행사'를 가졌다.[7]

  • 2014년 압해초교 4~6학년 학생들이 과학의 달을 맞이해 진행한 KISTI 사이언스캠프 일환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견학했다.[8]

  • 2015년 ‘푸름이 이동환경교실’을 초청하여 학생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과 다양한 활동 교구를 활용하여 체험중심의 환경교육을 실시했다.[9]

  • 같은 해 4월 압해초등학교는 4월 13일부터 4월 16일을 세월호 참사 1주년 추념주간으로 정하고 희생자 추모식 및 추모 행사를 가졌다.[10]

  • 같은 해 4월 전라남도과학교육원에서 실시된 ‘2015. 신나는 과학탐구 실험캠프’에 압해초교 5∼6학년 학생 26명이 참가했다.[11]

  • 2016년 2학기 교육과정 설명회와 더불어 한가위잔치를 가졌다.[12]

  • 2019년 제61회 한국초등교장협의회 하계연수를 압해초교에서 개최했다.[13]

  • 2022년 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은 압해초교에서 ‘1004섬 수학축전’을 개최했다.[14]

  • 2023년 샌드아트와 클래식이 들려주는 스윗뮤직가든의 ‘지구지킴이 콘서트’를 압해초교 승룡관에서 가졌다. ‘지구 지킴이 콘서트’는 클래식 음악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의 스토리를 재창작하여 지구온난화가 가져온 기후변화로 자연과 동물들이 하나둘씩 지구를 떠나는 과정을 샌드아트로 보여주며, 떠도는 동물들의 마음의 소리를 클래식 ‘동물의 사육제’ 재편곡 음악으로 들려주는 융·복합 예술 공연이다.[15]

  • 같은 해 7월 교육공동체가 함께 하는 간식과 타일 공예 및 1학기 교육과정 평가회를 운영했다.[1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06:29에 나무위키 압해초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