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기현(동명이인) 문서
김기현(동명이인)번 문단을
김기현(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비대위
김종인
권한대행
주호영
권한대행
김기현
초대
이준석
미래통합당 대표




김기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대표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울산광역시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이채익 ||
||<rowbgcolor=#00b5e2><width=25%> ||<width=25%> 남 갑 ||<width=25%> 남 을 ||
||<rowbgcolor=#ffffa0,#2d2f34> 박성민 || 이채익 || 김기현 ||
||<rowbgcolor=#00b5e2> || || 울주 ||
||<bgcolor=#ffffa0,#2d2f34> 권명호 || 공석 ||<bgcolor=#ffffa0,#2d2f34> 서범수 ||
||<-4>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장
[ 펼치기 · 접기 ]

제1-2대
심완구
제3-5대
박맹우
제6대
김기현
제7대
송철호

파일:Ulsan Brand.jpg





파일:새누리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제2대
진영
제3대
김기현
제4대
유일호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선거구 분리
최병국[1]
제17-19대
김기현
[2]
제19·20대
박맹우
제19-20대
박맹우
제21대
김기현
현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토해양위원장
제18대 후반기
장광근
제18대 후반기
김기현
제19대 전반기
주승용

[1] 남구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이다.[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울산광역시장으로 출마하기 위해 의원직 사퇴.

제6대 울산광역시장
제2대 국민의힘 대표
김기현
金起炫 | Kim Gi-hyeon
파일:김기현_2023.png
출생1959년 2월 21일 (65세)
경상남도 울산군 강동면
(현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
거주지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 롯데캐슬2단지아파트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옥수하이츠아파트
본관김해 김씨
현직국민의힘 대표
제21대 국회의원
여의도연구원 이사장[1]
국민의힘 남구 을 당협위원장
재임기간제6대 울산광역시장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서명
파일:김기현 서명.svg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김병극
배우자이선애
자녀아들 김규대[1], 장녀, 차녀, 삼녀
학력양정국민학교[2] (졸업)
부산중앙중학교 (졸업)
부산동고등학교 (21회 /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과정 수료)
병역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군법무관)
종교개신교 (예장합동)[3]
신장175cm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울산 남구 을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7, 18, 19, 21
소속 위원회행정안전위원회
약력제25회 사법시험 합격
부산지방법원 울산지원 판사
울산광역시 고문변호사
울산 YMCA 이사장
울산 종합자원봉사센터 이사장
제17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 한나라당)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산업자원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
한나라당 조세개혁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원내부대표
제18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 한나라당)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제4정책조정위원장
제18대 중소기업경쟁력 강화특별위원회 위원
독도수호 및 역사왜곡 대책 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새정치수요모임 부대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서민행복추진본부 본부장
한·구주의원외교협의회 회원
한·일의원연맹 회원
한·루마니아의원친선협의회 부회장
한·우즈베키스탄 친선협회 이사
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회 대기업하도급구조개선위원회 위원장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간사
제18대 국회 후반기 국토해양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대변인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지식경제·국토해양·농림수산식품 분야 부의장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제19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 새누리당)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제6대 울산광역시장 (민선 6기 /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울산광역시당 상임고문
제21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 미래통합당)
제2대 국민의힘 원내대표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시민이 힘나는 선대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제2대 국민의힘 대표
여의도연구원 이사장

[1] 인터뷰[2] 現 양정초등학교[3] 울산 대암교회 장로이다.

1. 개요
4. 여담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국민의힘의 새로운 전설, 김기현1.jpg

오직 민생, 다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자 집권 여당인 현직 국민의힘 당대표이다.

국민의힘 원내대표, 울산광역시장, 제17~19,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지역구는 울산 남구 乙.


2.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기현/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비판 및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기현/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파일:김기현 안경 쓰던 시절.jpg
  • 김기현의 과거 사진. 지금과 꽤 다른 인상이다. 과거에는 안경을 썼으나, 현재는 안경을 벗고 활동하고 있다.

  • 전원책이 군 시절 상관이었다. 둘 다 군법무관 출신으로[2] 동향 사람이기도 하고 서로 호형호제하면서 꽤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 공적으로는 말을 아끼는 편이었다. 이는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있다고 평가받는데 실제로 국회의원, 울산광역시장 시절을 통틀어서 딱히 윤리적인 문제로 구설수에 오른 적이 없는 등 논란이 될 만한 발언을 거의 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안에 대해서 말을 아끼는 편에 속하기에 기자들에게도 인기가 그다지 없어, 인지도 확장에는 힘이 부치는 모습을 보인다. 4선 국회의원, 울산광역시장, 원내대표까지 지냈으니 내각에 들어가서 중앙 행정 능력을 입증하는 게 그의 앞에 놓여진 과제라는 평가를 받았었다. 그러나 당대표로 목표를 선회하고 당선되면서, 말이 적어서 행정력에 강점을 보였던 시절과 달리 말을 많이 해야 되는 상황이 되었다.

  • 2022년 8월 31일 디시인사이드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에 인증글과 영상을 남겼다.# 해당 글은 실베에도 랭크되었다. 갤러리에서는 나쁘지 않은 반응이지만 실베에서는 보수 성향의 디시인사이드답지 않게 의외로 추천수보다 비추수가 압도적이고 반응도 매우 좋지 않다. # [3]

  • 가가멜을 닮았다. 하지만 본인은 본인이 출생연도가 앞서기 때문에 가가멜이 자기를 닮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 언론플레이를 잘하지는 않지만 가는곳마다 결과를 보여주는 해결사의 이미지가 있으며, 이준석 이후 많이 무너진 당의기반과 흩어진 보수당심을 다시 세울 당대표로 기대받는 중이다. #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f463656da1addb7faaecce7bbf07405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7dc5541ac8b4184135758af965b0be00[[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0e3363ed9abcf8c7cef785b28b4b9f9c[[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울산 남 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347 (45.56%)당선 (1위)초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30,077 (62.00%)재선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57990ea703eff0f2408e8bac75f342d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8,054 (56.57%)3선[5]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울산광역시장306,311 (65.42%)초선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83c12dcd1b325480f9020a593e8857c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40,475 (40.07%)낙선 (2위)[6]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울산 남 을
ta-hash-start=w-d707329bece455a462b58ce00d1194c9[[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48,933 (58.48%)당선 (1위)4선



7. 둘러보기[편집]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중앙당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최고의결기관 · 수임기구 (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
의장
정우택전국위원회
부의장
이양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가칭)
대통령 후보
윤석열
총괄선거대책위원장
김종인
상임선거대책위원장
김병준 · 이준석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김기현 · 김도읍 · 조경태
이수정 · 스트류커바 디나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당무심의 · 의결기구 (최고위원회의)
당대표
이준석
원내대표김기현정책위원회
의장
김도읍
최고위원조수진배현진 · 김재원 · 정미경
김용태 (청년) · 윤영석 (지명)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당무집행기구 (중앙당 사무처 · 당대표자문보좌기관)
사무총장권성동
전략기획부총장윤한홍조직부총장박성민
홍보본부장김은혜당대표비서실장서범수
특별보좌역
(정무실장)
김철근수석대변인허은아
대변인임승호
양준우
상근부대변인김연주
신인규
주이삭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독립기구 (윤리위원회 등)
중앙윤리위원장
이양희
당무감사위원장
중앙연수원장유민봉지상욱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상설위원회
국책자문위원장
이주영중앙위원회 의장김성태
인권위원장
법률자문위원장
유상범북한인권탈북자납북자위원장지성호
인재영입위원장
정병국
실버세대위원장
박대동
중앙여성위원장
양금희
디지털정당위원장
이영
중앙장애인위원장
김종성청년의힘 대표황보승희
중앙대학생위원장
조영직
홍보위원장
김은혜
지방자치위원장
김선교대외협력위원장권영세
재외동포위원장
김석기
국제위원장
조태용
노동위원장
박대수통일위원장김근식
중앙재해대책위원장정희용중소기업위원장한무경
소상공인위원장
최승재
중산층·서민경제위원장위원장
홍석준
국회보좌진위원장
허대윤
국민통합위원장
정운천
청소년위원장
이혜민
약자와의동행위원장
김미애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특별기구 (특별위원회)
외교안보특별위원장
박진
경제혁신위원장
윤희숙
저출생대책
특별위원장
김미애
미래일자리
특별위원장
조명희
반도체특별위원장
유의동
가상자산특별위원장
성일종
코로나19대책
특별위원장
신상진
국민검증특별위원장
김진태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 정책위원회)
원내대표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
추경호
원내부대표강대식 · 구자근 · 김예지 · 박성민 · 엄태영 · 유상범 · 정동만 · 조명희 · 최춘식 · 태영호 · 허은아
원내대표비서실장
전희경원내대변인강민국
전주혜
정책위원회
의장
김도읍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정책위원회
부의장
류성걸 · 김정재
정책조정위원장윤창현 · 이만희 · 윤한홍 · 신원식 · 임이자 ·
정책조정부위원장
박형수 · 서일준 · 하영제 · 권명호 · 양금희 · 안병길 · 유상범 · 김형동 · 정희용 · 태영호 · 서정숙 · 백종헌 · 김승수 · 이용
파일:국민의힘 로고.svg
역대 당대표
파일:국민의힘 로고.svg
상임고문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
박원순서병수권영진유정복윤장현
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
이재관[1]김기현이춘희남경필최문순
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
이시종남궁영[2]송하진이재영[3]김관용
경남제주
한경호[4]원희룡
[1] 권한대행, 전임자 권선택 시장직 상실 (2017.11.14)[2] 권한대행, 전임자 안희정 사퇴 (2018.3.6)[3] 권한대행, 전임자 이낙연 사퇴 (2017.5.12)[4] 권한대행, 전임자 홍준표 사퇴 (2017.4.9)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아이콘.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제17대 국회의원















[1] 당대표 당연직[2] 전원책은 예비역 법무병과 중령이다. 사단급 부대의 법무참모는 소령이며, 군단급 부대는 중령이 법무참모이다.[3] 시점이 윤석열-이준석 갈등 이후라는 점이 중요하다. 애초에 디시가 전반적으로 친 국민의힘 성향이긴 하지만 국민의힘 인사 중에서는 윤석열보다 홍준표, 이준석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4]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5] 2014.5.15. 의원직 사퇴 (울산광역시장 선거 출마).[6] 다섯 번의 선거 중 첫 낙선.

관련 문서